KR101396495B1 - 연무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연무 차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6495B1 KR101396495B1 KR1020120112400A KR20120112400A KR101396495B1 KR 101396495 B1 KR101396495 B1 KR 101396495B1 KR 1020120112400 A KR1020120112400 A KR 1020120112400A KR 20120112400 A KR20120112400 A KR 20120112400A KR 101396495 B1 KR101396495 B1 KR 1013964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st
- shielding
- unit
- blocking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목적은 건물에서 화재 등 재난 상황 발생 시 승강기 문 틈새, 복도, 창문, 출입문 등 여러 통로로 연기가 새어 다른 구역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사람 이 손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대피 효율을 극대화하는, 연무 차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는, 건물 내 차단대상공간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으로 연무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연무 차단 장치로서, 복수 개의 단위차단수단이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차단수단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면 중 일측 모서리가 상기 권취봉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권취봉을 중심으로 감겨진 형태로 상기 차단대상공간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단위차단수단들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권취봉과 연결된 모서리와 대향된 타측 모서리가 고정바에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차단막; 연무 차단용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분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홀에 상기 단위차단수단이 인접하도록 상기 권취봉의 상측에 구비되는 분사부; 및 상기 차단막의 감김 또는 풀림을 위해 상기 차단막이 감겨진 상기 권취봉을 회전시키는 권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는, 건물 내 차단대상공간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으로 연무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연무 차단 장치로서, 복수 개의 단위차단수단이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차단수단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면 중 일측 모서리가 상기 권취봉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권취봉을 중심으로 감겨진 형태로 상기 차단대상공간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단위차단수단들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권취봉과 연결된 모서리와 대향된 타측 모서리가 고정바에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차단막; 연무 차단용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분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홀에 상기 단위차단수단이 인접하도록 상기 권취봉의 상측에 구비되는 분사부; 및 상기 차단막의 감김 또는 풀림을 위해 상기 차단막이 감겨진 상기 권취봉을 회전시키는 권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무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막에 수막을 형성하여, 화재로 인한 연무 또는 유독 가스 등이 승강기 통로, 복도, 창문, 출입문 등을 통하여 퍼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무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서 화재, 유독 가스 유출, 테러, 화생방 등의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건물 내에 있던 사람들이 안전한 위치까지 대피하는 동안 상기의 유독성 물질을 흡입하지 않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유독가스 질식에 의한 인명 손실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고층 건물에는 편의를 위하여 승강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승강기가 운행되는 승강기 통로는 기본적으로 밀폐 구조가 아니고 전층에 걸쳐서 공기가 순환되는 I 자형의 통로이므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건물의 굴뚝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승강기를 타면 연기 속에 갇혀서 질식할 가능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초고층 건물에서 화재 시 승강기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고층 건물에서 재난 상황 발생 시에는 무엇보다도 대피 과정에서 연무 등을 흡입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만약, 승강기를 이용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도입될 경우에는, 승강기 내부로 연무가 스며들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승강기 내에서 깨끗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은 말할 것도 없다.
승강기 통로는 건물 전 층에 걸쳐 개방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기를 통해 대피할 경우 승강기 내로 연무가 새어 들어오는 것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승강기 통로 및 승강기 내로는 연무 유입이 없도록 하여 승강기 탑승자가 깨끗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기 통로가 전 층간에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어, 연기 흐름에 있어서 마치 굴뚝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관계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층에도 승강기 통로를 통하여 연무가 새어 들어갈 수도 있다는 점이 중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즉 건물 내 어떤 층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층에서 화재 진화 작업을 함으로써 화염에 대한 피해는 해당 층에만 국한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승강기 통로를 통한 연무 확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층으로의 연무 피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승강기 통로 뿐 아니라 계단통로 또한 밀폐 구조가 아닌 전층에 걸쳐서 공기가 순환되는 I 자형의 통로이므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건물의 굴뚝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계단통로를 이용하여도 연무에 노출될 위험성이 크다.
승강기 통로 및 계단통로를 통한 수직방향으로의 연무 확산은 물론, 건물 내의 복도, 창문, 출입문 등을 통한 수평방향으로도 연무가 확산되며, 이러한 다양한 통로들을 통해 연무가 재난 발생 구역에서 상당히 먼 곳까지 퍼져 나가게 되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에 있어서 화염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보다는 연기 등 유독 물질의 흡입에 의한 간접적 피해의 범위가 훨씬 크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점차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무 차단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A)는 한국특허공개 제2006-0109711호(“방화스크린 장치”, 이하 선행기술 1)로서, 인체가 감지되면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방화스크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1은 일반적인 방화벽 장치와 유사하되 사람이 근처에 오면 이를 감지하여 사람이 통과 가능하도록 잠금을 해제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재난 상황으로 인해 발생한 열기, 충격 등에 의하여 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될 경우 오히려 대피로를 막게 될 우려가 있다.
도 1(B)는 한국특허공개 제2008-0085120호(“승강기 통로 연기침입 방지 구조”, 이하 선행기술 2)로서, 승강기 통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화재가 발생되면 승강기 통로에 강제로 공기를 유입시켜 기압을 높여 줌으로서 연기가 승강기 통로 내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2는 승강기 통로로 연기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나, 연기가 밀려들어오지 못할 정도로 승강기 통로 내의 기압을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공기를 끌어와야 되며, 이 과정에서 상당한 부하가 걸리게 되어 에너지 낭비가 심하게 발생하고 또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초고층 건물에서, 특히 100층 정도의 초고층일 경우에는 승강기 통로 전체에 가압이 불가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공기를 불어넣어 주면, 한편 화재 지점에 산소를 더 공급해 주는 셈이 되어, 화재를 대형화시키게 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는 치명적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에서 화재 등 재난 상황 발생 시 승강기 출입문, 계단실 출입문, 복도, 창문, 출입문 등 여러 통로로 연기가 새어 다른 구역으로 퍼져나가는 연무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사람이 손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연무 차단 상태에서 대피 효율도 극대화하는 연무 차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는 건물 내 차단대상공간(200)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으로 연무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연무 차단 장치(100)로서, 판 형태로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을 차단하는 차단막(110);과, 상기 차단막(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분사부(130); 및 상기 차단막(110)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차단막(110)을 동작시키는 권취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부는 연무 차단용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홀(13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분사수단(131)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홀(132)에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이 인접하도록 상기 권취봉(111)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수단(131)은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무 차단용 유체는 물, 수증기, 소화액체, 소화 액체 증기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부(130)는 일측이 상기 분사수단(131)과 연결되는 공급관(13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관(133)은 타측이 외부 소화액체관(미도시) 또는 수도관(30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부(130)는 내부에 상기 연무 차단용 유체를 저장하며, 상기 공급관(133)의 타측에 연결되는 저장부(1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부(130)는 상기 분사수단(131)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에어공급장치(1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막(110)은 복수 개의 단위차단수단(113a)이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면 중 일측 모서리가 상기 권취봉(111)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권취봉(111)을 중심으로 감겨진 형태로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권취봉(111)과 연결된 모서리와 대향된 타측 모서리가 고정바(112)에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막(110)은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이 띠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일부 겹쳐지게 병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불연성 및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는 직물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직물의 조직은 그물망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차단수단(113b)은 실 형태로 형성되며, 유연성 및 신축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막(110)은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면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1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들은 모든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들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14)의 일측에 고정되고, 일부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들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14)의 타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막(11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차단막(110)이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차단막(110)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가 대피 가능한 안전지대(safety zon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차단막(110)이 풀려진 상태가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바(112)에 구비되는 걸림부(141) 및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위치 바닥에 구비되는 고정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잠금수단(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레일 형태로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의 좌우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막(110)의 폭 방향 모서리의 일부 및 상기 고정바(112)의 끝단 일부가 삽입 수용되어 상기 차단막(110)을 안내하는 안내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방향의 승강기 통로, 또는 수평방향의 복도, 문, 창문 등과 같은 건물 내 적절한 위치에 구비되어 연무를 차단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건물의 전 층에 걸쳐 개방된 구조로 되어 연기 흐름에 있어서 굴뚝 역할을 하는 승강기 통로에 설치될 경우, 화재 등 재난 상황으로 인하여 발생된 연기, 유독 물질 등이 승강기 통로를 통해 다른 층으로, 확대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복도에 설치될 경우에는 복도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재난 구역에서 먼 위치의 복도로 연기가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문이나 창문에 설치될 경우, 건물 내 다른 공간으로의 연기가 퍼지는 것이나 또는 연기가 빠져나가 건물 외부의 사람들이나 다른 건물에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는 분사부 및 차단막으로 구성되며, 차단막이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연무가 효과적으로 차단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단위차단수단은 불연성 및 유연성 및 신축성, 또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사람은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대피나 구조 활동을 훨씬 용이하게 해 주는 큰 효과가 있다.
특히 승강기를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도입될 경우, 화재 연무가 승강기 내, 또는 승강기 통로로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승강기 앞에서 대피를 위해 대기하고 있는 사람들이 퍼지는 연기를 흡입하게 될 위험성을 대폭 줄여 줄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는 상기 차단막이 복수 개 구비된 경우, 상기 차단막들이 인접하게 구비될 경우, 연무 차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차단막들의 간격이 넓게 구비될 경우, 상기 차단막들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구조 및 대피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는 승강기 앞 등 사람이 머물러야 할 위치에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를 2셋 이상 설치하여 안전지대(safety zone)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연기 차단 및 사용자 보호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는 연무와 더불어 화재 공간 자체를 고립시킬 수 있는 바, 본 발명인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화재 공간으로의 공기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가 번지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화재를 진압될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 즉 방화벽의 역할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는 연무고립지대, 화염고립지대 형성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이 극대화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는, 기존의 철재 방화벽과는 달리, 설치 후에도 사람의 통과가 가능한 특징이 있으므로, 만약 화재가 발생될 경우, 화재 발생 초기에 즉시 설치함으로써, 즉 화재 발생 공간을 고립시킴으로써,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거나, 또는 화재 확산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기존의 철재 방화벽은 설치 후 사람 통과가 불가하므로 화재 발생 초기 설치가 불가한 관계로 화재 초기 진압 기회를 상실할 수 있는 중대한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무 차단 장치 기술들.
도 2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차단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의 차단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을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부가적인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원격제어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복수 개의 차단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복수 개의 차단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 15, 16, 17, 18, 19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차단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의 차단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을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부가적인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원격제어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복수 개의 차단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복수 개의 차단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 15, 16, 17, 18, 19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연무 차단 장치(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한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막(110)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상기 차단막(11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는 건물 내 차단대상공간(200)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으로 연무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로서, 가장 기본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단막(110), 분사부(130) 및 권취수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은 연무가 통과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공간을 일반적으로 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 시 굴뚝 역할을 하여 다른 층으로 연기가 퍼지도록 하는 큰 요소인 승강기 통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승강기 문 앞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연무가 복도 등을 통해 여기저기로 퍼지는 것을 막고 어느 정도 한정된 공간 내에 갇혀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은 복도 통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터널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분사장치와 차단막(110)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가 복도 또는 터널의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재난 구역에서 먼 위치의 복도 또는 터널 공간으로 연기가 퍼지는 것을 보다 쉽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로 볼 때 복도 통로 전체 또는 터널 통로 전체가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이 될 수 있다.) 또는, 건물 바깥으로 연기가 새어나가 다른 건물에 피해를 주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은 건물 외부 환경이 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라면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는 문이나 창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110)은 복수 개의 단위차단수단(113a)이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은 (연무가 발생되는 가장 대표적인 재난 상황인) 화재 시에 화염에 손상되지 않도록 불연성을 가지는 재질이어야 하며, 또한 사람이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을 밀어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 사이를 벌리고 그 사이로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이어야 한다.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은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차단막(110)은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이 서로 일부 겹쳐지게 병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은 불연성 및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는 직물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물의 조직은 그물망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이 그물망 형상의 조직을 가지는 직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사부(130)로부터 분사되는 연무 차단용 유체가 더욱 넓고 얇게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은 불연성 및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는 직물 재질, 또는 물기를 잘 머물게 하는 수용성 재질, 또는 유체의 표면장력을 크게 하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다양한 재질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워터 커튼은 연무 차단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수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따라서, 차단막은 수막형성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것일수록, 또는 형성된 수막이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일수록 바람직하다.
도 3은 이와 같이 띠 형태로 형성된 상기 차단막(110)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이 서로 일부 겹쳐지게 배치됨으로써, 사람이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사이를 벌려 그 사이로 쉽게 빠져나갈 수 있음과 동시에, 사람이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사이를 벌리고 있지 않을 때에는 서로 겹쳐져서 틈새를 최소화함으로써 연무 차단 효과를 극대화한다.
혹시, 차단막이 겹쳐지는 부위에 미세한 틈이 생기더라도, 수막이 미세한 틈까지 없도록 할 수 있으므로, 봉 특허의 워터 커튼은 연무 차단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도 3(A)와 같이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이 높이 방향(즉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3(B)와 같이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이 폭 방향(즉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제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가 설치되었을 때 사람이 통과하기에 보다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3(A)와 같이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형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단막(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단위차단수단(113a)이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면 중 일측 모서리가 권취봉(111)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권취봉(111)과 연결된 모서리와 대향된) 타측 모서리는 고정바(112)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상기 차단막(11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권취봉(111)을 중심으로 감겨진 형태로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상측에 구비되게 된다. 상기 차단막(110)은 화재 등 재난 상황 발생 시 상기 권취봉(111)에서 풀려나와 펼쳐지면서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을 가로막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고정바(112)는 상기 차단막(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만큼,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을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과 더불어 상기 차단막(110) 하부에 어느 정도의 하중을 줌으로써 상기 차단막(110)이 펼쳐지는 동작을 더욱 원활하게 해 주는 역할도 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차단수단(113b)은 실 형태로 형성되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차단수단(113b)이 실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도 수막이 연무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다수의 단위차단수단(113b)이 평면을 이루는 실차단막은 수막형성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또는 형성된 수막이 용이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의 차단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에 도시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의 차단막을 나타낸 확대도로, 상기 차단막(110)은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면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110)은 상기 지지프레임(114)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이 효과적으로 고정되어 수막을 형성하기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특히, 실 형태로 형성된 단위차단수단(113b)의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114)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단위차단수단(113b)들이 서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110)은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면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14)을 더 포함하되,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들은 모든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들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14)에 고정되고, 일부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들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14)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프레임(114)을 포함하는 차단막(11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로, 도 6a는 띠 형태의 단위차단수단(113a)을 나타낸 것이며, 도 6b는 실 형태의 단위차단수단(113b)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차단막(110)은 띠 형태의 모든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이 도 6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114)의 일측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14)의 타측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의 일단부만 상기 지지프레임(114)의 일측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도 6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114)의 일측에 고정되고, 일부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14)의 타측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b는 상기 단위차단수단(113b)들이 실 형태인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단위차단수단(113b)들이 실 형태일 경우, 터널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단, 터널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할 경우, 차량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도 6b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차단수단(113b)들의 일측만 상기 지지프레임(114)에 고정되도록 형성되거나, 지지프레임(114)을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 상기 지지프레임(114)을 포함하는 차단막(110)의 형태는 판 형상의 뿐 아니라 판 형상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회전문 형태 등 본 발명의 목적어 벗어남 없이 변형실시 가능하다.
상기 분사부(130)는 분사수단(131)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수단(131)은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연무 차단용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홀(13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분사부(130)는 상기 분사홀(132)이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에 인접하도록 상기 권취봉(111)의 상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부(130)에서 연무 차단용 유체를 분사할 경우, 연무 차단용 유체가 상기 분사홀(132)에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상기 차단막(110)에 수막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분사홀(132)은 증기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차단막(110)에 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130)는 상기 분사수단(131)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권취봉(111)에 대응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제1연결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부(135)는 상기 분사수단(131)과 상기 권취봉(111)을 연결하며, 상기 권취봉(111)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연무 차단용 유체는 물 또는 증기일 수 있으며, 물 또는 증기 이외에도 막 형성이 가능하며, 연무 차단이나 화염차단이 가능한 유체라면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변형실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사부(130)는 일측이 상기 분사수단(131)과 연결되는 공급관(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상기 분사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의 상기 분사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공급관(133)이 수도관(300)과 연결된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기 공급관(133)은 수도관(300)과 연결되어 연무 차단용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공급관(133)이 수도관(300)과 연결될 경우, 상기 연무 차단용 유체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장치가 간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저장부(134)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기 분사부(130)는 내부에 상기 연무 차단용 유체를 저장하며, 상기 공급관(133)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저장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관(133)은 일측이 상기 분사수단(131)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저장부(134)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134) 내부에 저장된 연무 차단용 유체를 상기 공급관(133)을 통해 상기 분사수단(131)으로 이송한다. 이 때, 상기 저장부(134)는 연무 차단용 유체를 이송할 수 있도록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가 상기 저장부(134)를 더 포함할 경우, 외부로부터 연무 차단용 유체를 공급받을 수 없는 비상시에도 연무 차단용 유체의 공급이 원활한 효과가 있다.
도 9는 에어공급장치(137)을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기 분사부(130)는 상기 분사수단(131)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에어공급장치(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공급장치(137)는 상기 차단막(110)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차단막(110)에 연무 차단용 기체를 공급한다. 상기 연무 차단용 기체는 공기 등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차단막(110)에 공기막을 형성함으로써, 연무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130)는 상기 분사수단(131)과 에어공급장치(137)로부터 선택적으로 연무 차단용 유체 및 연무 차단용 기체를 분사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권취수단(120)은 상기 차단막(110)의 감김 또는 풀림을 위해 상기 차단막(110)이 감겨진 상기 권취봉(11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권취수단(120)의 회전은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람이 손으로 상기 차단막(110)을 당기면 회전되는 식으로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권취수단(120)은 연무가 발생할 경우, 상기 차단막(110)이 풀려 내려올 수 있도록 상기 권취봉(111)을 회전시켜 주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권취봉(111)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 등과 같은 회전기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은 당연하다.
이 때, 상기 권취수단(120)에 의하여 상기 차단막(110)의 끝단이 완전히 바닥까지 내려오도록 할 수도 있으나,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단막(110)의 끝단이 바닥까지 내려오게 하려면 상기 권취봉(111)을 너무 많이 회전시켜야 하여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 양이 너무 많아질 우려가 있다. 또한 신속하게 상기 차단막(110)을 펼치기 위해서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빨라야만 하여 부하가 커지는 문제도 있을 수 있다. 더불어 화재 등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열기나 충격 등으로 모터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 상기 차단막(110)이 완전히 펼쳐지지 못한 채로 있게 되어 연기가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틈새로 새어드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수단(120)은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기동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풀림 동작 및 사용자가 당김으로써 이루어지는 수동 풀림 동작이 모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권취수단(120)은 연무가 발생할 경우 당연히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권취봉(111)을 회전시켜 상기 차단막(110)이 펼치도록 동작하되, 모터가 아니더라도 사람이 상기 차단막(110)을 잡아당겨서도 상기 차단막(110)이 풀려나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권취수단(120)이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권취수단(120)이 상기 차단막(110)을 다소 천천히 펼치게 설계한다 해도, 연기가 확 몰려오는 긴급한 상황일 때 사람이 상기 차단막(110)을 잡아당겨 신속하게 완전히 펼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위기 상황에 대해서 유연히 대처할 수 있게 해 준다. 물론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권취수단(120)이 상기 차단막(110)을 모터만으로 완전히, 빠르게 펼칠 필요가 없어, 모터의 부하 및 모터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 또한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권취수단(120)이 모터 등을 이용한 자동 풀림 동작만으로 상기 차단막(110)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하지 않고, 사람이 잡아당기는 등과 같은 수동 풀림 동작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경우, 상기 권취수단(120)은 아예 처음부터 자동 풀림 동작에 의해서 펼쳐지는 정도가 상기 차단막(110) 전체가 아니라 일부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권취수단(120)이 자동으로 풀리도록 설계 할 경우, 자동 풀림 동작에 의하여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높이의 0% 내지 70% 범위 내의 높이에 상기 고정바(112)가 위치될 때까지 상기 차단막(110)을 풀어 내리도록 형성한다.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높이의 0%까지 풀어 내린다는 것은 즉 상기 권취수단(120)이 자동 풀림 동작만으로 상기 차단막(110)을 완전히 펼치게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70%의 상한선은, 키가 작은 청소년 내지 성인도 손을 뻗으면 쉽게 상기 차단막(110) 하부 끝단(즉 상기 고정바(112) 부분)을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평균보다 키가 작은 사람이 많이 거주하는 건물(예를 들어 어린이집, 초중 학원 등이 입주한 건물 등)의 경우 상기 권취수단(120)의 자동 풀림 동작에 의하여 상기 차단막(110)이 풀어내려지는 정도가 더 크도록(예를 들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높이의 50% 이하까지 풀어내리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실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화염 때문에 사람이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에 접근하기가 어려울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자동 풀림 동작에 의해 0%까지(즉 바닥까지) 상기 차단막(110)이 풀어내려져 펼쳐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자동 풀림 동작으로 펼쳐지게 하는 정도는, 설계자가 건물 또는 거주자 특성, 설치되는 승강기 문이나 건물 층 높이, 화재 발생 시 대처 가능 정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수단(120)은 정전인 경우에도 작동할 수 있도록 밧데리 등을 이용하여 자동 플림 동작으로 펼쳐지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부가적인 수단들을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로 부가적인 수단들을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차단막(110)이 풀려진 상태가 고정 가능하도록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수단(1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수단(140)은, 고리 형상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112)에 구비되는 걸림부(141) 및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 가능하도록 링 형상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위치 바닥에 구비되는 고정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잠금수단(140)으로 상기 차단막(110)을 바닥에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연기가 상기 차단막(110)과 바닥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람이 상기 차단막(110)을 통과하려 할 때 상기 차단막(110) 하부가 상기 잠금수단(14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사람의 통과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차단막(110)이 내려오는 경로를 안내하도록,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내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150)는 레일 형태로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의 좌우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막(110)의 폭 방향 모서리의 일부 및 상기 고정바(112)의 끝단 일부가 삽입 수용되어 상기 차단막(110)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도 10에서는 상기 안내부(150)가 폭 방향 양측 모서리 모두에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안내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막(110)이 펼쳐져 내려오는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상기 차단막(110)과 건물 벽면 사이의 틈새로 연기가 새어드는 것을 더 방지해 주는 역할 또한 겸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부(1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차단막(110)이 올바른 위치로 잘 펼쳐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기 차단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1은 원격제어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인 연무 차단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중앙처리수단(161)과, 상기 중앙처리수단(161)으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62)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수단(161)과 제어수단(162)은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및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며, 상기 중앙처리수단(161)은 컴퓨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162)은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unit, MCU)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원격제어부(160)를 구비함으로써, 화재 및 재난이 발생하여 전기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전기의 공급 없이도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를 작동할 수 있는 배터리(17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을 참조하여 화재 및 재난으로 인하여 전기 공급이 중단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무 차단 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재 및 재난이 발생할 경우, 상기 중앙처리수단(161)은 상기 제어수단(162)으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의 작동 정보를 송신한다. 먼저, 차단막(110)이 풀리도록 하여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으로 연무 및 화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잠금수단(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막(110)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을 차단 한 후, 상기 걸림부(141)가 상기 고정부(142)에 고정되어 배터리(170)로부터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차단막(110)이 다시 상기 권취봉(111)으로 권취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차단막(110)이 고정된 후, 상기 분사부(130)를 작동시켜 수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화재 및 재난으로 인하여 전기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의 작동이 가능하므로, 구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어 안정성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차단막(11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차단막(110)들의 간격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2는 복수 개의 상기 차단막(110)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막(110)들이 인접하도록 형성된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상기 차단막(110)들의 간격이 넓게 형성된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막(110)이 복수 개로 구비되되, 서로 인접하도록 구비될 경우, 하나 이상의 분사부(130)로 충분히 수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막(110)이 이중으로 구비됨으로써, 연무 차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막(110)이 복수 개로 구비되되, 상기 차단막(110)들의 간격이 넓게 형성된 경우, 상기 차단막(110)이 수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분사수단(131)은 상기 차단막(110)의 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타측에 상기 분사수단(131)들을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13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차단막(110)들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될 경우, 상기 공간부는 대피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인명구조 및 대피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는, 화재 등의 재난 상황에 의하여 연무가 발생하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전방에 상기 차단막(110)이 펼쳐져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을 가로막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이 승강기일 경우, 도 1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무가 승강기 문의 틈새로 새어나와 승강기 통로를 타고 다른 층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차단막(110)이 (사이를 벌릴 수 있는) 다수 개의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연기의 통과는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사람은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사이를 벌려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해 준다. 이러한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는, 고층 건물에서 화재 등의 재난 상황 발생 시 승강기를 이용한 대피가 허용될 경우 사람들이 대피를 위해 승강기 근처에 머무르게 될 확률이 높은 바, 이러한 경우에 그 효과가 더욱 배가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5는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이 복도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재난 발생 구역에서 먼 곳까지 연기가 쉽게 퍼져나갔으나,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를 사용함으로써 도 15(B)에서와 같이 재난 발생 구역을 적절히 차단하여 복도로 연기가 많이 퍼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는 일반적인 방화막 등과는 달리 사람이 쉽게 통과할 수 있어 대피나 구조 활동에 큰 불편을 주지 않는 바, 이러한 복도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무 차단 장치(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설치되어 연무가 고립되도록 하는 연무고립지대(mist isolation zone) 또는 화염고립지대(flame isolation zone)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은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이 터널인 경우로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를 사용함으로써, 재난 발생 구역에서 먼 곳 까지 연기가 쉽게 퍼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이 외부 환경인 경우로서, 건물 내의 연무가 문이나 창문 등을 통해 외부로 퍼져나가지 않도록 막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에서는 건물 내외를 통과하는 문 또는 창문에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가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물론 건물 내의 문, 즉 사무실과 복도 사이의 문 등과 같은 위치에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가 설치됨으로써 연무의 퍼짐을 차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8은 승강기 앞 등과 같이 대피하던 사람들이 대기하고 있을 수 있는 공간을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를 이용하여 안전지대(safety zone)화한 것으로, 즉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연무가 차단되는 안전지대(safety zone)로서의 닫힌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100)를 2개 이상(도 18에서는 승강기 통로로 새어드는 연기를 막기 위해 승강기 문 앞에 설치한 것까지 3개)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100)들로 둘러싸인 공간을 연무가 차단된 안전지대로 만들 수 있다.
도 14, 15, 16, 17, 18, 19은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의 여러 사용 예일 뿐으로, 물론 도 14, 15, 16, 17, 18, 19 등으로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 등이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며, 연무를 차단하면서도 사람이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위치라면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건물 내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특히,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무 차단 장치(100)를 공간의 상측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한 사용 예이다. 도 19에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무 차단 장치(100)는 지지프레임(114), 잠금수단(140) 및 안내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차단막(110)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차단막(110)은 띠 형태의 상기 단위차단수단(130a)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연무 차단용 유체가 중력에 의해 낙하되는 양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100)는 연무와 더불어 화재 공간 자체를 차단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인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화재 공간으로의 공기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가 번지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진압될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으며, 수막을 형성하여 화염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수직 방향으로의 방화벽의 역할 또한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이 극대화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인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본 발명인) 연무 차단 장치
110 : 차단막
111 : 권취봉 112 : 고정바
113a,113b : 단위차단수단 114 : 지지프레임
120: 권취수단
130 : 분사부 131 : 분사수단
132 : 분사홀 133 : 공급관
134 : 저장부 135 : 제1연결부
136 : 제2연결부 137 : 에어공급장치
140: 잠금수단 141: 걸림부
142: 고정부
150: 안내부
160: 원격제어부 161: 중앙처리수단
162: 제어수단
170: 배터리
200: 차단대상공간
300 : 수도관
110 : 차단막
111 : 권취봉 112 : 고정바
113a,113b : 단위차단수단 114 : 지지프레임
120: 권취수단
130 : 분사부 131 : 분사수단
132 : 분사홀 133 : 공급관
134 : 저장부 135 : 제1연결부
136 : 제2연결부 137 : 에어공급장치
140: 잠금수단 141: 걸림부
142: 고정부
150: 안내부
160: 원격제어부 161: 중앙처리수단
162: 제어수단
170: 배터리
200: 차단대상공간
300 : 수도관
Claims (20)
- 건물 내 차단대상공간(200)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으로 연무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연무 차단 장치(100)로서,
판 형태로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을 차단하며, 복수 개의 단위차단수단(113a, 113b)이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면 중 일측 모서리가 권취봉(111)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권취봉(111)을 중심으로 감겨진 형태로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들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권취봉(111)과 연결된 모서리와 대향된 타측 모서리가 고정바(112)에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차단막(110);
상기 차단막(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분사부(130); 및
상기 차단막(110)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차단막(110)을 동작시키는 권취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연무 차단용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홀(13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분사수단(131)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홀(132)에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이 인접하도록 상기 권취봉(111)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131)은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 차단용 유체는
물, 수증기, 소화액체, 소화 액체 증기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130)는
일측이 상기 분사수단(131)과 연결되는 공급관(1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133)은
타측이 외부 소화액체관(미도시) 또는 수도관(30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130)는
내부에 상기 연무 차단용 유체를 저장하며, 공급관(133)의 타측에 연결되는 저장부(1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130)는
분사수단(131)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에어공급장치(1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110)은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이 띠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일부 겹쳐지게 병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은
불연성 및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는 직물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직물의 조직은 그물망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차단수단(113b)은
실 형태로 형성되며, 유연성 및 신축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110)은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평면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들은
모든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들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14)의 일측에 고정되고, 일부 상기 단위차단수단(113a, 113b)들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14)의 타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11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차단막(110)이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차단막(110)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가 대피 가능한 안전지대(safety zon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차단막(110)이 풀려진 상태가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바(112)에 구비되는 걸림부(141) 및 상기 걸림부(141)가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대상공간(200) 위치 바닥에 구비되는 고정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잠금수단(14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레일 형태로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단대상공간(200)의 좌우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막(110)의 폭 방향 모서리의 일부 및 상기 고정바(112)의 끝단 일부가 삽입 수용되어 상기 차단막(110)을 안내하는 안내부(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 차단 장치(100)는
건물 내 차단대상공간(200)에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 차단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2400A KR101396495B1 (ko) | 2012-10-10 | 2012-10-10 | 연무 차단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2400A KR101396495B1 (ko) | 2012-10-10 | 2012-10-10 | 연무 차단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6214A KR20140046214A (ko) | 2014-04-18 |
KR101396495B1 true KR101396495B1 (ko) | 2014-05-19 |
Family
ID=5065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2400A KR101396495B1 (ko) | 2012-10-10 | 2012-10-10 | 연무 차단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649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0773A (ko) * | 2018-12-27 | 2020-07-07 | 고대성 | 방화 및 방연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3808B1 (ko) * | 2016-05-11 | 2016-10-10 | (주)동화이엔씨 |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
KR101863516B1 (ko) * | 2017-12-04 | 2018-06-29 | (주) 미래이앤지 |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
CN108771802A (zh) * | 2018-08-16 | 2018-11-09 | 缪凌鹏 | 高层建筑应急消防智能自救系统 |
KR102146228B1 (ko) * | 2018-12-19 | 2020-08-20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출입문에 설치되는 화재 대피 쿨러 |
KR102398147B1 (ko) * | 2020-09-14 | 2022-05-13 | 김주홍 | 방화 커튼 장치, 이를 포함하는 방화 커튼 시스템과 이의 작동 방법 |
KR102336287B1 (ko) * | 2021-04-20 | 2021-12-07 | (주)유진씨엔이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비상탈출 대피 구호 시스템 |
KR102336288B1 (ko) * | 2021-04-20 | 2021-12-08 | (주)유진씨엔이 |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방호시스템 |
KR102336285B1 (ko) * | 2021-04-20 | 2021-12-08 | (주)유진씨엔이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초기 소화시스템 |
KR102371817B1 (ko) * | 2021-04-26 | 2022-03-10 | (주)비앤와이이엔지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자동 피난 유도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5983A (ko) * | 2004-01-19 | 2005-07-26 | 선우산기(주) | 박막 워터커튼을 이용한 화재 연기 및 화염의 확산방지장치 |
KR200422001Y1 (ko) * | 2006-05-10 | 2006-07-20 | 김동선 |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
KR20080109160A (ko) * | 2007-06-12 | 2008-12-17 | 임동현 |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방화스크린셔터 |
KR20100041618A (ko) * | 2008-10-14 | 2010-04-22 |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
-
2012
- 2012-10-10 KR KR1020120112400A patent/KR10139649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5983A (ko) * | 2004-01-19 | 2005-07-26 | 선우산기(주) | 박막 워터커튼을 이용한 화재 연기 및 화염의 확산방지장치 |
KR200422001Y1 (ko) * | 2006-05-10 | 2006-07-20 | 김동선 |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
KR20080109160A (ko) * | 2007-06-12 | 2008-12-17 | 임동현 |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방화스크린셔터 |
KR20100041618A (ko) * | 2008-10-14 | 2010-04-22 | 솔로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0773A (ko) * | 2018-12-27 | 2020-07-07 | 고대성 | 방화 및 방연 시스템 |
KR102137400B1 (ko) * | 2018-12-27 | 2020-07-24 | 고대성 | 방화 및 방연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6214A (ko) | 2014-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6495B1 (ko) | 연무 차단 장치 | |
JP6978809B2 (ja) | 火災避難室 | |
KR101402942B1 (ko) | 피난장치 | |
KR101863516B1 (ko) |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 |
KR101863067B1 (ko) |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 |
KR100841211B1 (ko) | 건물용 화재피난장치 | |
US20100163339A1 (en) | Fire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 |
KR101523659B1 (ko) | 산소 공급 승강기 | |
KR20130123224A (ko) | 화재시 인명구조 및 진압장치 | |
KR101796701B1 (ko) | 터널용 내진 소화 시스템 | |
KR100757575B1 (ko) | 창호용 화재 확산방지장치 | |
KR20190134354A (ko) | 화재 및 지진을 대비하는 대피장치 | |
KR102396887B1 (ko) | 고층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 |
JP5930722B2 (ja) | 防火シャッター及び防火開閉体 | |
KR102202565B1 (ko) |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 |
JP2021087754A (ja) | 消火器具及び消火設備 | |
KR101289864B1 (ko) | 에어커튼을 병행한 상하 복층식 화연 확산 방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토목 건축 구조물 | |
JPH10314329A (ja) | 耐火スクリーン装置 | |
KR101297429B1 (ko) | 연무 차단 장치 | |
KR102037262B1 (ko) |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 |
KR20110010737U (ko) | 방화 열 차단용 차단막 | |
KR101523186B1 (ko) | 산소 공급 승강기 | |
KR101233425B1 (ko) | 터널용 연기 확산 지연 장치 및 시스템 | |
KR20160004025A (ko) | 비상 탈출용 방화문 | |
KR101540387B1 (ko) | 화재 대피소를 구비한 헬리데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