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808B1 -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808B1
KR101663808B1 KR1020160057757A KR20160057757A KR101663808B1 KR 101663808 B1 KR101663808 B1 KR 101663808B1 KR 1020160057757 A KR1020160057757 A KR 1020160057757A KR 20160057757 A KR20160057757 A KR 20160057757A KR 101663808 B1 KR101663808 B1 KR 101663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ranch pipe
water
pipe
apartment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동화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이엔씨 filed Critical (주)동화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057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buildings or installations in fire stor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는, 소방수가 공급되는 분기관이 폐곡선 형상을 갖도록 하고 여기에 복수의 격리밸브를 설치하여, 소방 배관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인근의 스프링클러로 소방수가 살수될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최대한 저지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대피공간에 근접한 위치에 소방수에 의한 연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대피공간으로 화재에 따른 열기 및 유독가스가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PIPING STRUCTURE FOR FIREFIGHTING WATER OF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공동주택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에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공동주택의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는 고층아파트나 주상복합 건물 등의 공동주택에는 다수의 인원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당히 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근래에 소방관련법이 강화되면서 공동주택에는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공동주택 외부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대피시설이나 화재진압 및 인명구출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일정시간 이상 거주자를 보호하는 대피공간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다.
그러나, 일정규모 이상의 공동주택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소방 배관은 소방수를 공급하는 관로가 화재나 폭발 등에 의해 손상되었을 때, 초기화재진압에 실패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소방 배관의 일부가 손상되었을 때 이 손상된 부분으로 소방수가 유출됨에 따라 소방 배관 내의 압력이 하강되어 여기에 연결된 스프링클러헤드로는 소방수가 정상적으로 분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방수의 압력저하가 스프링클러 시스템 전체의 성능저하를 야기하는 문제에 대한 대책이 명확히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럴 경우, 대피공간으로 대피한 거주자의 구출이 지연되어 인명피해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공동주택 내의 각종 시설이나 제품 등의 소손이 확대되므로 재산 피해가 증가될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철골구조물이 가열되어 그 구조적 강도가 약화될 수 있으므로, 장시간 동안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는 경우 공동주택이 붕괴되거나 재건축이 필요하게 되는 피해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내에 형성된 일정한 구획 내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관로가 부분적으로 손상되었을 경우에도, 소방수가 우회하여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의 제공이 절실한 실정이다.
참고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97400호(2005.10.07.)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설치구조 및 이 구조를 이용한소방배관 설치방법"과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431936호(2004.05.06.) "공동주택의 층고 축소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스프링클러배관 장치"에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 배관이 설치되는 공간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소방 배관의 손상 시 이에 대처하는 내용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97400호(2005.10.07.)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설치구조 및 이 구조를 이용한소방배관 설치방법"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431936호(2004.05.06.) "공동주택의 층고 축소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스프링클러배관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방 배관의 일부가 손상되었을 경우에도 소방수가 우회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재 발생 시 대피공간으로 열기 및 유독가스가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슬라브 및 복수의 구획벽체에 의해 복수의 구획공간이 형성된 공동주택의 천장에 고정되고 상기 구획벽체를 관통하여 복수의 상기 구획공간마다 그 일부가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폐곡선 형상을 갖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분산 설치된 복수의 스프링클러헤드와, 상기 공동주택 내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소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 및 상기 분기관을 연결하고 상기 소방수가 상기 분기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주배관과, 상기 분기관의 상기 구획벽체를 관통하는 부분마다 각각 설치된 복수의 격리밸브 및 복수의 압력센서와, 복수의 상기 격리밸브 및 복수의 상기 압력센서를 각각 커버하며 복수의 상기 구획벽체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보호커버와, 상기 공동주택에 구비된 경량벽체, 개별대피공간 또는 공동대피공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천장에 설치된 연무형성헤드 및 복수의 상기 압력센서가 발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의 상기 격리밸브의 개폐를 각각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에는, 복수의 상기 구획공간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분기관의 두 지점에 각각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헤드가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보조분기관과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분기관 중 상기 구획벽체를 관통하는 것이 있을 경우에는 그 관통하는 부분에 상기 격리밸브,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보호커버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서로 결합되면 상기 격리밸브,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분기관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커버본체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충전된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커버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구획벽체에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커버본체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무형성헤드는, 상기 소방수를 부채꼴 형상으로 분사하는 선형노즐과, 복수의 상기 선형노즐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봉 형상의 헤드본체 및 상기 헤드본체 및 상기 분기관을 연결하여 상기 소방수가 상기 헤드본체로 공급되도록 하는 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방수가 공급되는 분기관이 폐곡선 형상을 갖도록 하고 여기에 복수의 격리밸브를 설치하여, 소방 배관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인근의 스프링클러로 소방수가 살수될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최대한 저지하고 화재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피공간에 근접한 위치에 소방수에 의한 연무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대피공간으로 화재에 따른 열기 및 유독가스가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의 계통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격리밸브 및 보호커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무형성헤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200)의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벽체(110) 내에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슬라브(slab)에 의해 복수의 층이 형성된 공동주택(100)의 한 층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00)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동주택(100)에는 벽체(110), 계단실(120), 부속실(130), 엘리베이터실(140), 구획벽체(150, 151, 152) 등이 구비된다.
벽체(110)는 공동주택(100)의 외각을 이루는 구조물이고, 내력벽일 수 있다. 벽체(110)가 내력벽이 아닌 경우에는 기둥이 설치될 수 있으며, 벽체(110)가 내력벽일 경우에도 보조적인 기둥이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중요 사항이 아니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엘리베이터실(140)은 엘리베이터(141)가 승강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부속실(130)은 일반적으로 계단실(120)과 엘리베이터실(140) 사이에 설치되어 화재 시 거주자에게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간을 예시한 것이다.
벽체(110) 내에 형성된 공간에는 복수의 구획벽체(150, 151, 152)가 설치되어 복수의 구획공간(160, 162, 164)이 형성된다. 복수의 구획공간(160, 162, 164)은 공동주택(100)에 거주하는 각 세대가 사용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각 구획공간(160, 162, 164)에는 발코니(161, 163, 1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발코니(161, 163, 165)에 구비된 경량벽체(170), 개별대피공간(180) 및 공동대피공간(190)은 화재 시 공동주택(100) 외부로 대피하지 못한 거주자가 구조되기 전까지 피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대피시설을 예시한 것이다.
경량벽체(170)는 거주자가 대피 시 망치와 같은 도구나 발 등으로 충격을 가하면 용이하게 파열되어 통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의미한다.
개별대피공간(180)은 하나의 구획공간(160)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그 내부로 진입하여 일정시간 이상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방화문(181) 등이 구비되어 일정시간 이상 화염이나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설을 예시한 것이다.
공동대피공간(190)은 복수의 구획공간(162, 164)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공동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설을 예시한 것으로, 복수의 방화문(191, 192)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200)에는 저수조(210), 주배관(220), 분기관(230), 격리밸브(240), 보호커버(250), 지관(270), 연무형성헤드(280) 및 제어부(290)가 포함된다.
저수조(210)는 공동주택(100)의 지하실 또는 옥상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저수조(210)의 내부에는 소방수(211)가 저장된다.
저수조(210)에는 소방수(211)를 공동주택(100)으로 공급하기 위한 주배관(220)이 연결되며, 주배관(220)에는 소방수(211)를 유동시키기 위한 펌프(221), 주배관(220) 내의 소방수(211)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223), 펌프(221)의 토출압력만으로는 주배관(220) 내의 소방수(211)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기에 부족할 경우 주배관(220) 내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압력탱크(222)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배관(220)에는 필요에 따라 주배관(220)을 개폐하는 차단밸브(224)가 설치될 수 있다.
주배관(220)에는 분기관(230)이 연결된다.
분기관(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앞에서 언급한 슬라브(slab)에 고정되는데, 구획공간(160, 162, 163)의 천장에 설치된다. 그리고 분기관(230)은 복수의 구획벽체(150, 151, 152)를 관통하여 복수의 구획공간(160, 162, 164)마다 그 일부가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스프링클러헤드(231)는 분기관(230)에 각각 설치되는데, 복수의 구획공간(160, 162, 164) 내에 각각 분산 배치된다.
분기관(230)의 구획벽체(150, 151, 152)를 관통하는 부분에는 격리밸브(240) 및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되며, 분기관(230)의 격리밸브(240) 및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부분에는 이들을 커버하는 보호커버(250)가 각각 설치된다.
아래에서 설명할 보호커버(250)는 구획벽체(150, 151, 152)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구획공간(160, 162, 164)의 면적에 따라 소방법 등의 법규에 규정된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추가적인 스프링클러헤드가 설치되어야 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스프링클러헤드(236, 238)가 각각 설치된 보조분기관(235, 237)이 분기관(23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보조분기관(235, 237)은 그 양단이 분기관(230)의 두 지점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여, 분기관(230)이 형성하는 폐곡선 형상을 분할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보조분기관(235)이 구획벽체(15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분기관(230)과 마찬가지로 보조분기관(235)에 보호커버(250)가 설치되며, 이 보호커버(250) 또한 구획벽체(151)에 고정될 수 있다.
연무형성헤드(280)는 경량벽체(170), 개별대피공간(180) 및 공동대피공간(190)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천장에 설치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거리는 75 센티미터 이하로, 거주자가 대피 시 경량벽체(170)를 파열하거나 방화문(181, 191, 192)을 개방할 때 또는 파열된 경량벽채(170) 또는 닫힌 방화문(181, 191, 192)로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접하게 되는 것이 최대한 지연되도록 한다.
제어부(290)는 도시되지 않은 화재감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를 발할 수 있고, 압력계(223)의 신호를 수신하여 펌프(221), 압력탱크(222), 차단밸브(224)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특히 제어부(290)는 분기관(230)에 설치된 압력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격리밸브(24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격리밸브(240) 및 보호커버(2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분기관(230)에는 격리밸브(240) 및 도시되지 않은 압력센서가 설치된다. 격리밸브(240)는 분기관(230)을 개폐하며,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분기관(230) 내의 소방수(211)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290)로 신호를 발한다.
이때, 격리밸브(240)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원격에서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되며, 격리밸브(240) 및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2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호커버(250)는 격리밸브(240) 및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커버하여 화재에 의한 열기로부터 이들을 보호하며, 보호커버(250)에는 제1 커버본체(251) 및 제2 커버본체(261)가 포함된다.
제1 커버본체(251)는 반으로 절단된 중공원통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커버본체(251) 내에는 수용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제1 커버본체(25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결합리브(254)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결합리브(254)에는 복수의 체결공(2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커버본체(251)의 일측에는 플랜지부(252)가 형성되며, 플랜지부(252)에는 결합공(253)이 형성된다.
제2 커버본체(261)에도 제1 커버본체(251)와 상응하는 형상의 수용공간(267), 결합리브(264), 체결공(265), 플랜지부(262) 및 결합공(263)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커버본체(251) 및 제2 커버본체(261)의 일측 및 타측에는 분기관(230)이 삽입되는 삽입공(256, 266, 266a)이 각각 형성된다.
제1 커버본체(251) 및 제2 커버본체(261)는 체결공(255, 265)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258, 258a)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보호커버(250)를 형성하게 되며, 보호커버(250)는 플랜지부(252, 262)에 형성된 결합공(253, 263)을 관통하여 구획벽체(151)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59)에 의해 구획벽체(15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수용공간(267)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단열재가 충전된다. 단열재로는 에어로겔(earogel)과 같이 단열성이 우수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커버본체(251) 및 제2 커버본체(261) 또한 내화성이 높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선박안전법(법률 제9446호) 제26조에 의한 선박방화구조기준(2009.04.10.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80호) 제3조의 A60급구획과 동등한 내화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강이나 이와 동등한 재료로 만들어져서 60분간의 표준화재시험이 끝날 때까지는 연기와 화염이 통화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보호커버(250)가 화재 시 격리밸브(240) 및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일정한 시간 이상 화염이나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보호커버(250)가 분할된 커버본체(251, 261)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은 설치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분할된 수는 도시된 바와는 달리 필요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호커버(250)는 일면이 개방된 중공원통 형상의 본체에 평판 형상의 플랜지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연무형성헤드(28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무형성헤드(280)에는 헤드본체(281), 선형노즐(283) 및 지관(270)이 포함된다.
선형노즐(283)은 단부에 직선형의 슬릿(284)이 형성되어 소방수(211)가 부채꼴 형상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봉 형상의 헤드본체(281)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노즐결합공(282)이 등간격으로 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여기에는 복수의 상기 선형노즐(283)이 각각 결합된다.
지관(270)은 헤드본체(281) 및 상기 분기관(230)을 연결하여 소방수(211)가 헤드본체(281)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지관(270)을 통하여 소방수(211)가 공급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선형노즐(283)로부터 부채꼴 형상의 연무가 형성되어, 커튼 형상의 수막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200)의 작동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예를 들어, 구획공간(160, 162, 164) 중 하나(16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도시되지 않은 화재감지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290)는 차단밸브(224)를 개방하고 펌프(221)를 작동시켜 소방수(211)가 주배관(220) 및 분기관(230)을 거쳐 스프링클러헤드(231)를 통하여 살수되도록 한다.
만약, 화염에 의해 분기관(230) 중 해당 구획공간(160)에 배치된 부분이 화염이나 폭발에 의해 손상된 경우, 소방수(211)가 손상된 부분으로 유출되면 주배관(220) 내의 압력이 하강된다.
주배관(220) 내의 압력하강이 압력계(223)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290)는 압력탱크(222)를 작동시켜 주배관(220) 내의 압력이 적절한 범위까지 상승되도록 한다.
만약 압력탱크(222)가 작동되더라도 주배관(220) 내의 압력이 충분한 범위까지 상승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290)는 분기관(230)에 설치된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중 압력이 현저히 낮은 것의 위치에 설치된 격리밸브(240)를 차단한다.
이는 분기관(230)의 손상된 부분으로 소방수(211)가 저항 없이 유출되어 구획공간(160) 내에 배치된 스프링클러헤드(231)로 소방수(211)가 적절히 살수되지 않는 부분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분기관(230)의 손상된 부분으로의 소방수(211)의 유출이 차단됨으로써, 분기관(230)의 나머지 부분에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231)로는 소방수(211)가 정상적으로 살수될 수 있다.
즉, 분기관(230)은 폐곡선 형상이므로 어느 한 부분이 차단되더라도 소방수(211)가 최단거리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 우회하여 공급될 수 있으므로, 분기관(230)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분기관(230) 전체에 설치된 스프링클러헤드(231)의 살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화재가 발생된 구획공간(160) 외의 구획공간(162, 164)으로는 소방수(211)가 정상적으로 살수되고 있으므로 화재가 확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주자는 경량벽체(170)를 파열하고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구획공간(162)을 통하여 공동주택(100) 외부로 대피할 수 있다.
만약 공동주택(100) 외부로 대피할 수 없을 경우에는 개별대피공간(180)이나 공동대피공간(190)으로 대피할 수 있으며, 이때 연무형성헤드(260)에 의해 형성되는 연무(25)에 의해 화염이나 열, 유독가스 등이 방화문(181, 191, 192)이나 파열된 경량벽체(170)를 통하여 확산되는 것이 최대한 억지된다.
아울러, 보호커버(250)는 격리밸브(240) 및 압력센서가 화염이나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일정한 시간 동안 지연시키므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화재진압 및 구조작업을 위한 시간을 최대한 확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분기관(230)에는 압력센서와 함께 유량센서가 추가로 설치되거나, 압력센서 대신 유량센서가 대신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공동주택 110: 벽체
120: 계단실 130: 부속실
140: 엘리베이터실 150, 151, 152: 구획벽체
160, 162, 164: 구획공간 161, 163, 165: 발코니
170: 경량벽체 180: 개별대피공간
181: 방화문 190: 공동대피공간
191, 192: 방화문 200: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210: 저수조 211: 소방수
220: 주배관 221: 펌프
222: 압력탱크 223: 압력계
224: 차단밸브 230: 분기관
231: 스프링클러헤드 235, 237: 보조분기관
236, 238: 스프링클러헤드 240: 격리밸브
250: 보호커버 251: 제1 커버본체
252: 플랜지부 254: 결합리브
261: 제2 커버본체 262: 플랜지부
264: 결합리브 267: 수용공간
270: 지관 280: 연무형성헤드
290: 제어부

Claims (1)

  1. 복수의 슬라브 및 복수의 구획벽체(150, 151, 152)에 의해 복수의 구획공간(160, 162, 164)이 형성된 공동주택(100)의 천장에 고정되고, 상기 구획벽체(150, 151, 152)를 관통하여 복수의 상기 구획공간(160, 162, 164)마다 그 일부가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폐곡선 형상을 갖는 분기관(230);
    상기 분기관(230)에 분산 설치된 복수의 스프링클러헤드(231);
    상기 공동주택(100) 내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소방수(211)가 저장되는 저수조(210);
    상기 저수조(210) 및 상기 분기관(230)을 연결하고 상기 소방수(211)가 상기 분기관(23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주배관(220);
    상기 분기관(230)의 상기 구획벽체(150, 151, 152)를 관통하는 부분마다 각각 설치된 복수의 격리밸브(240) 및 복수의 압력센서;
    복수의 상기 격리밸브(240) 및 복수의 상기 압력센서를 각각 커버하며 복수의 상기 구획벽체(150, 151, 152)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보호커버(250);
    상기 공동주택(100)에 구비된 경량벽체(170), 개별대피공간(180) 또는 공동대피공간(190)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천장에 설치된 연무형성헤드(280); 및
    복수의 상기 압력센서가 발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의 상기 격리밸브(240)의 개폐를 각각 조절하는 제어부(290); 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구획공간(160, 162, 164)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분기관(230)의 두 지점에 각각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헤드(236, 238)가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보조분기관(235, 237);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분기관(235, 237) 중 상기 구획벽체(150, 151, 152)를 관통하는 것이 있을 경우에는 그 관통하는 부분에 상기 격리밸브(240),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보호커버(250)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보호커버(25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서로 결합되면 상기 격리밸브(240),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분기관(230)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커버본체(251, 261);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충전된 단열재;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커버본체(251, 261)의 일측에는 상기 구획벽체(150, 151, 152)에 결합되는 플랜지부(252, 26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커버본체(251, 261)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체결부재(258, 258a)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리브(254, 26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무형성헤드(280)는
    상기 소방수(211)를 부채꼴 형상으로 분사하는 선형노즐(283);
    복수의 상기 선형노즐(283)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봉 형상의 헤드본체(281); 및
    상기 헤드본체(281) 및 상기 분기관(230)을 연결하여 상기 소방수(211)가 상기 헤드본체(281)로 공급되도록 하는 지관(270); 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1020160057757A 2016-05-11 2016-05-11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101663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57A KR101663808B1 (ko) 2016-05-11 2016-05-11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57A KR101663808B1 (ko) 2016-05-11 2016-05-11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808B1 true KR101663808B1 (ko) 2016-10-10

Family

ID=5714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757A KR101663808B1 (ko) 2016-05-11 2016-05-11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708A (ko) 2021-03-15 2022-09-22 (주)티오피 소방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9486A (ja) * 1995-05-01 1996-11-19 U G Kk 複数階集合住宅用消火装置
KR20030068945A (ko) * 2002-02-19 2003-08-25 김상욱 가스계 소화약제의 배관저장형 소화시스템
KR100431936B1 (ko) 2001-09-10 2004-05-17 현대건설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층고 축소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스프링클러배관 장치
KR20050097400A (ko) 2004-04-03 2005-10-07 김진현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설치구조 및 이 구조를 이용한소방배관 설치방법
KR20120002285A (ko) * 2010-06-30 2012-01-05 지원건설(주) 배관 이음부 누수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40046214A (ko) * 2012-10-10 2014-04-18 (주)씨아이제이 연무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9486A (ja) * 1995-05-01 1996-11-19 U G Kk 複数階集合住宅用消火装置
KR100431936B1 (ko) 2001-09-10 2004-05-17 현대건설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층고 축소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스프링클러배관 장치
KR20030068945A (ko) * 2002-02-19 2003-08-25 김상욱 가스계 소화약제의 배관저장형 소화시스템
KR20050097400A (ko) 2004-04-03 2005-10-07 김진현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설치구조 및 이 구조를 이용한소방배관 설치방법
KR20120002285A (ko) * 2010-06-30 2012-01-05 지원건설(주) 배관 이음부 누수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40046214A (ko) * 2012-10-10 2014-04-18 (주)씨아이제이 연무 차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708A (ko) 2021-03-15 2022-09-22 (주)티오피 소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542B2 (en) Fire suppression system
US6637518B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KR101794327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차단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JP2004008566A (ja) 乗物用防災設備
KR20070020266A (ko) 화재 보호
KR101663808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JP6125897B2 (ja) 延焼防止用散水ノズル及びこれを用いた街路壁面用散水システム
KR102263360B1 (ko) 공사 중인 건물 내에 설치하는 안전 대피소
JP2012100819A (ja) 泡消火装置
RU251546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окализованной по объему и/или площади борьбы с пожаром в пожароопасных зонах зданий и установок
US2023000950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in a building
JP4901259B2 (ja) 消火設備
JP2006305389A (ja) パッケージ型自動消火設備
JPH10118214A (ja) ウォーターミストを利用した消火、消煙方法及びその装置
TWI683686B (zh) 滅火設備
Till et al. Firefighter Intervention: Manual Fire Suppression
RU2286190C1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ысотного здания или сооружения
KR100587475B1 (ko) 방화문을 이용한 연소가스 차폐장치
EP1199086B1 (en) Safety arrangement against fires to retard, delay, control and extinguish a fire by means of humidification having water as basic extinguishing element
JP2013070959A (ja) 高膨張泡消火設備
JP3435437B2 (ja) スプリンクラ設備
KR101753119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살수장치
JP6178082B2 (ja) 防火部材
Chopade Fire Suppression Systems for High Rise Buildings in India
Egorova THE FIRE SAFETY FEATURES OF HIGH-RISE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