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001Y1 -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001Y1
KR200422001Y1 KR2020060012444U KR20060012444U KR200422001Y1 KR 200422001 Y1 KR200422001 Y1 KR 200422001Y1 KR 2020060012444 U KR2020060012444 U KR 2020060012444U KR 20060012444 U KR20060012444 U KR 20060012444U KR 200422001 Y1 KR200422001 Y1 KR 200422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proof
fire
spring
balcony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선
Original Assignee
김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선 filed Critical 김동선
Priority to KR2020060012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0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0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3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of one piece, e.g. of corrugated sheet met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깥 창문과 거실측 창문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이중창 샤시와, 양면에 내화코팅제가 도말되어 1,000~1,700 ℃의 고온에서 장시간 견딜 수 있도록 한 유리질섬유 내화천으로 된 것으로서 이중창 샤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하강하여 불길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을 형성하게 되는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와,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의 내화천을 평상시에는 이중창 샤시의 내부공간 상단부에 수납하다가 화재 발생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의 내화천을 강제 낙하시켜 내화천이 불길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내화천 낙하장치와, 이중창 샤시의 내부공간 상단부에 설치되어 내화천 낙하장치에 의해 펼쳐진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의 내화천에 물을 분사하게 되는 스프링 쿨러 및 화재 발생으로 인한 연기 및 열을 감지하고 화재 발생시 내화천 낙하장치와 스프링 쿨러를 구동시키게 되는 연동 제어기로 구성된 것으로서, 평상시 통풍과 채광, 전망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아파트 화재 발생시 불길이 이웃세대로 번지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하고, 이웃세대에서 화재가 발생시 불길을 차단하는 내화천의 복사열로 인해 확장된 발코니 내부의 내장재 또는 가구가 자연 발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프링 쿨러의 작동으로 인항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발코니, 이중창 샤시, 내화천, 스프링 쿨러, 자연 발화.

Description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APT balcony flame isolation apparatus having fire resistance cloth}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가 설치된 아파트 발코니의 이중창 샤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개시된 아파트 발코니의 이중창 샤시의 X-X선 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요부인 내화천과 내화천을 펼치고 감는 내화천 낙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개시된 내화천 낙하장치 중 스프링 유닛과 동력전달부와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중창 샤시 2 : 내화천
3 : 내화천 낙하장치 4 : 하단바
5 : 라쳇 6 : 스프링 쿨러
7 : 기어드 모터 8 : 연동제어기
9, 9a : 가이드 레일 11 : 프레임
12 : 바깥 창문 13 : 거실측 창문
14 : 내부공간 15 : 평판
21 : 띠판 22 : 걸림쇠판
31 : 케이스 32 : 롤러
33, 33a : 롤러 축 34 : 하우징
35 : 베어링 36 : 태엽 스프링
37, 72 : 기어 38 : 결합판
51 : 폴 52 : 전자석
61 : 주급수관 62 : 전자밸브
63 : 급수관 64 : 헤드
71 : 전자 클러치 81 : 연기 감지센서
82 : 열 감지센서 83 : 위치센서
331, 341 : 슬릿홈 521 : 철심
641 : 디플렉터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아파트 화재시 불길이 이웃 세대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고온에서 장기간 견딜수 있는 내화천을 펼쳐 하나의 방화 차단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팔코니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발코니를 확장할 때 화재 안전대책 강구의 일환으로 확장 발코니에 스프링 쿨러를 설치하거나 대피공간을 마련하거나 또는 높이 90 cm 이상의 방화판 및 불에 장시간 견디는 방화유리를 이용하여 불길 차단장치를 마련하도록 2005년 11월 건설교통부에서 고시한 바 있다.
이러한 방화판과 방화유리가 발코니에 고정 설치되고, 이 방화유리에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므로 인해 창의 고유기능인 조망, 통풍, 채광 그리고 창문 개폐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아파트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의 화염은 발코니를 돌아 윗집으로 휘감겨 들어가게 된다. 휘감아 들어오는 화염을 장시간 차단하는 방화판이나 내화천은 복사열을 발산하므로 이 복사열로 인해 확장 발코니 내부의 고분자 가연성 내장재 및 가구가 자연 발화될 위험성이 크다.
특히 확장된 발코니에 스프링 쿨러만이 설치된 경우에는 이웃집 화재로 인해 스프링 쿨러가 작동되면 확장된 공간에 위치한 가전제품이나 가구류 및 내장재가 물에 젖어 이를 교체해야 한다.
또한 아파트 발코니를 확장할 때 통상적으로 설치하는 발코니 창은 페어유리를 끼운 발코니 바깥쪽 샤시에 거실 안쪽으로 샤시를 하나 더 설치한 이중창 샤시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이중창 샤시의 외부에 화염 차단장치를 설치할 때 확장된 발코니의 공간에서 돌출부위로 남아 미관상 보기에 좋지 못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공간을 차지하는 방화유리나 방화판을 대신하여 고온에서 장시간 견딜 수 있는 내화천이 일반 천처럼 둘둘 감긴 상태로 아파트 발코니의 이중창 샤시의 내부공간 상단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다 아파트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감진 내화천이 자유 낙하되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펼쳐진 내화천에 스프링 쿨러의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이웃세대로 화염이 번지는 것을 차단하고 불길을 차단하고 있는 내화천의 복사열로 인해 확장된 발코니 내부의 내장재나 가구 등이 자연 인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습기로부터 내화천을 보호하고 아파트 발코니의 조망과 통풍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깥 창문과 거실측 창문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이중창 샤시; 양면에 내화코팅제가 도말되어 1,000~1,700 ℃의 고온에서 장시간 견딜 수 있도록 한 유리질섬유 내화천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이중창 샤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하강하여 불길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을 형성하게 되는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상기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의 내화천을 평상시에는 이중창 샤시의 내부공간 상단부에 수납하다가 화재 발생시 상기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의 내화천을 강제 낙하시켜 내화천이 불길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내화천 낙하장치; 상기 이중창 샤시의 내부공간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화천 낙하장치에 의해 펼쳐진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의 내화천에 물을 분사하게 되는 스프링 쿨러; 및 화재 발생으로 인한 연기 및 열을 감지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내화천 낙하장치와 스프링 쿨러를 구동시키게 되는 연동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내화천의 상단은 띠판에 의해 내화천 낙하장치의 롤러 원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내화천의 양측단부에는 화재 발생시의 압력으로 내화천이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다수의 걸림쇠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내화천 낙하장치는,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기어드 모터와, 전자 클러치와 롤러 축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 상기 기어드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기어에 전달하거나 차단시키는 전자 클러치로 구성된 동력부와, 일 끝단은 상기 하우징의 슬릿홈에 삽입되고 중심부에 위치한 일 끝단은 상기 롤러 축에 형성된 슬릿홈에 삽입되어 복원 탄성력으로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태엽 스프링과 화재 발생시 또는 작동 점검 이외의 상황에서 상기 태엽 스프링의 풀림을 방지하고 내화천을 감아올리고 태엽 스프링이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가 회전할 경우에 상기 롤러축이 자유로이 공정할 수 있도록 비역전 클러치의 일종이며 전자석의 철심에 결합된 폴을 구비한 라쳇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어 연동 제어기의 전기신호를 받아 철심에 결합된 폴을 잡아당겨 락(lock) 상태를 해제시키는 전자석으로 구성된 스프링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내화천 낙하장치는, 상기 스프링 쿨러의 설치대 역할을 하면서 결합판과 하우징에 볼트로 체결되어 습도 및 이물질로부터 내화천을 보호하는 케이스와, 양측에 롤러축을 구비하고 띠판에 의해 내화천의 일 끝과 결합하여 내화천을 감아 보관하면서 화재 발생시 내화천을 펼치는 롤러, 상기 롤러의 한쪽에 위치한 롤러축을 지지하면서 이중상 샤시의 프레임에 부착된 평판에 볼트로 체결되는 결합판, 삽입된 베어링으로 롤러의 다른 한 쪽에 위치한 롤러축을 지지하면서 이중창 샤시의 프레임에 부착된 평판에 볼트로 체결되어 이중창 샤시의 내부공간의 상부에 내화천 낙하장치를 설치하고 내장된 동력부와 스프링 유닛을 보호하며 일면에 태엽 스프링의 일 끝단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슬릿홈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함으로서 내화천을 이물질과 습기로부터 보호하고 가이드 레일에 양 끝단이 삽입되어 상하운동이 가능하며 자중을 이용하여 감긴 내화천을 펼칠 수 있고 화재시 발생되는 정압력과 부압력에도 화염 차단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내화천의 일 끝단에 결합되고 단면이 '山'자 형상의 하단바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어 내화천이 감긴 상태와 하단바의 상승된 상태를 인지하는 위치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쿨러는, 수도관에 연결된 주급수관과, 상기 주급수관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동 제어기에 의해 구동되어 주급수관을 통해 흐르는 물을 단속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밸브의 후단에 연결되고 내화천의 양면에 물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도록 Y형상으로 분기된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내화천의 양면에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 쿨러 헤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제어기는, 열 감지센서가 400 ℃ 이상의 열을 감지하였을 때 전자밸브를 열어 스프링 쿨러 헤드로부터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파트 발코니를 확장할 경우에 사용되는 이중창 샤시(1)는 재질이 듀랄미늄 또는 PVC로 된 사각형상의 프레임(11)과 바깥 창문(12), 거실측 창문(13)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 이중창 샤시(1)의 바깥 창문(12)과 거실측 창문(13) 사이에 위치한 내부공간(14)은 방음, 단열, 습기 유입차단을 위한 공간이다.
상기 이중창 샤시(1)의 내부공간(14)은 방음, 단열 및 습기 유입차단 효과 외에도 이웃세대에서의 화재 발생으로 스프링 쿨러(6)가 작동되었을 때 집수와 동시에 외부로 배수하여 물이 거실 내부로 뿌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확장된 발코니에 위치한 가구 및 내장재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확장된 발코니 내부로 화염 차단장치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이물질 및 습기로부터 내화천(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중창 샤시(1)의 프레임(11)은 바깥 창문(12)과 거실측 창문(13)과 더불어 밀폐된 내부공간(14)을 형성하며, 내부공간(14)을 이루는 좌우측 프레임의 면에 결합된 가이드 레일(9)(9a)과 삽입된 롤러 축(33)(33a)을 지지하는 결합판(38)과 하우징(34)을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는 평판(15) 등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레일(9)(9a)은 내화천(2)의 양끝을 붙잡아 화재시 발생되는 압력으로부터 불길 차단막의 형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T형상의 홈을 갖는다.
또한 내화천 낙하장치(3)는 화재 발생시에는 락(lock) 상태를 해제하고 태엽 스프링(36)의 복원 탄성력을 이용하여 롤러(32)를 회전시켜 감겨져 있던 내화천(2)을 펼치고, 작동 점검이나 오동작으로 펼쳐진 내화천(2)을 감아올릴 수 있는 기어드 모터(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내화천(2)을 롤러(32)에 감거나 풀기 위한 구성으로는 동력부와 스프링 유닛 등으로 구성되는 데, 상기 동력부는 하우징(34)에 고정 설치된 기어드 모터(7)와, 전자 클러치(71)와 롤러 축(33)에 결합되어 기어드 모터(7)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37)(72), 기어드 모터(7)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기어(37)(72)에 전달하거나 차단시키는 전자 클러치(71)로 구성된다.
또한 스프링 유닛은 일 끝단은 하우징(34)의 슬릿홈(341)에 삽입되고 중심부에 위치한 일 끝단은 롤러 축(33)에 형성된 슬릿홈(331)에 삽입되어 복원 탄성력으로 롤러(32)를 회전시키는 태엽 스프링(36)과 화재 발생시 또는 작동 점검 이외의 상황에서 태엽 스프링(36)의 풀림을 방지하고 내화천(2)을 감아올리고 태엽 스프링(36)이 감기는 방향으로 롤러(32)가 회전할 경우에 롤러축(33)이 자유로이 공정할 수 있도록 비역전 클러치의 일종이며 전자석(52)의 철심(521)에 결합된 폴(51)을 구비한 라쳇(5), 하우징(34)의 일면에 결합되어 연동 제어기(8)의 전기신호를 받아 철심(521)에 결합된 폴(51)을 잡아당겨 락(lock) 상태를 해제시키는 전자석(52)으로 구성된다.
그 외에도 내화천(2)을 롤러(32)에 감거나 풀기 위한 구성으로는 스프링 쿨러(6)의 설치대 역할을 하면서 결합판(38)과 하우징(34)에 볼트로 체결되어 습도 및 이물질로부터 내화천(2)을 보호하는 케이스(31)와 양측에 롤러축(33)(33a)을 구비하고 띠판(21)에 의해 내화천(2)의 일 끝과 결합하여 내화천(2)을 감아 보관하면서 화재 발생시 내화천(2)을 펼치는 롤러(32), 롤러(32)의 한쪽에 위치한 롤러축(33a)을 지지하면서 이중상 샤시(1)의 프레임(11)에 부착된 평판(15)에 볼트로 체결되는 결합판(38), 삽입된 베어링(35)으로 롤러(32)의 다른 한 쪽에 위치한 롤러축(33)을 지지하면서 이중창 샤시(1)의 프레임(11)에 부착된 평판(15)에 볼트로 체결되어 이중창 샤시(1)의 내부공간(14)의 상부에 내화천 낙하장치(3)를 설치하고 내장된 동력부와 스프링 유닛을 보호하며 일면에 태엽 스프링(36)의 일 끝단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슬릿홈(341)을 구비한 하우징(34), 케이스(31)와 결합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함으로서 내화천(2)을 이물질과 습기로부터 보호하고 가이드 레일(9)(9a)에 양 끝단이 삽입되어 상하운동이 가능하며 자중을 이용하여 감긴 내화천(2)을 펼칠 수 있고 화재시 발생되는 정압력과 부압력에도 화염 차단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내화천(2)의 일 끝단에 결합되고 단면이 '山'자 형상의 하단바(4), 하우징(34)의 일면에 결합되어 내화천(2)이 감긴 상태와 하단바(4)의 상승된 상태를 인지하는 위치센서(83) 등이 있다.
여기서, 스프링 룰러(6)는 아파트 발코니에 설치된 수도관에 연결된 주급수관(61)과 주급수관(61)의 일부위에 결합되고 케이스(31)의 내부에 부착되며 열 감지센서(82)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스프링 쿨러 헤드(64)로 물을 보내는 전자밸브(62), 내화천(2)의 양면에 가능하도록 전자밸브(62)에서 Y형상으로 분기되어 케이스(13)의 외면에 결합된 급수관(63), 급수관(63)에 결합되어 내화천(2)의 양면에 물을 고르게 분사시키는 스프링 쿨러 헤드(64)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쿨러 헤드(64)는 헤드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물을 고르게 분사시키는 디플랙터(641)를 구비한다.
상기한 내화천 낙하장치(3)의 작동상태를 도5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펼쳐진 내화천(2)을 감아올림과 동시에 태엽 스프링(36)을 감아 복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연동 제어기(8)에 의해 기어드 모터(7)에 부착된 전자 클러치(71)와 기어드 모터(7)에 전원을 동시에 인가하면 전자 클러치(71)에 의해 모터축과 연결된 기어(72)와 맞물려 있으면서 롤러축(33)에 결합된 기어(37)를 통해 롤러축(33)(33a)에 회전력을 전달되므로 ㉯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32)가 내화천(2)을 감아올림과 동시에 태엽 스프링(36)이 ㉱ 방향으로 감겨 복원 탄성에너지가 저장되게 된다. 또한 비역전 클러치(one way clutch)의 일종인 라쳇(5)은 자유로이 공전한다. 그리고 내화천(2)과 함께 딸려 올라온 하단 바(4)에 의해 작동된 위치센서(83)의 전기신호를 수신한 연동 제어기(8)가 기어드 모터(7)와 전자 클러치(71)에 공급되던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면, 전자 클러치(71)는 모터축과 기어(72)를 분리시켜 공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절환시키게 된다.
이때 태엽 스프링(36)의 복원 탄성에너지에 의해 롤러(32)는 내화천(2)이 펼쳐지려는 방향 즉, ㉮㉰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것을 비역전 클러치의 일종인 라쳇(5)와 폴(51)에 의해 차단되어 대기상태로 된다.
화재 발생시 내화천(2)을 펼치기 위한 내화천 낙하장치(3)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연기 감지센서(81)의 전기신호를 수신한 연동 제어기(8)의 제어로 라쳇(5)의 록(lock) 장치인 전자석(52)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52)의 철심(521)에 연결된 폴(51)이 후진하므로 라쳇(5)은 회전 가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때 태엽 스프링(36)의 복원 탄성에너지에 의해 롤러축(33)(33a)이 ㉮㉰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롤러(32)에 감겨있던 내화천(2)이 신속하게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롤러축(33)(33a)에 결합된 기어(37)에 맞물려 있던 기어(72)는 공회전을 한다.
위와 같이 내화천(2)이 펼쳐진 이후에 이루어지는 스프링 쿨러(6)의 작동은 열 감지센서(82) 또는 아파트 발코니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고온 감지센서의 전기신호를 수신한 연동 제어기(8)의 전기신호에 의해 전자밸브(62)가 동작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아파트 발코니 이중창 샤시의 내부공간 상부에 내화천을 구비한 화염 차단장치와 내화천 낙하장치 등을 설치함으로써 평상시 통풍과 채광, 전망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아파트 화재 발생시 불길이 이웃세대로 번지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웃세대에서 화재가 발생시 불길을 차단하는 내화천의 복사열로 인해 확장된 발코니 내부의 내장재 또는 가구가 자연 발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프링 쿨러의 작동으로 인한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바깥 창문과 거실 측 창문 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이중창 샤시;
    양면에 내화코팅제가 도말되어 1,000~1,700 ℃의 고온에서 장시간 견딜 수 있도록 한 유리질섬유 내화천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이중창 샤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하강하여 불길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을 형성하게 되는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상기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의 내화천을 평상시에는 이중창 샤시의 내부공간 상단부에 수납하다가 화재 발생시 상기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의 내화천을 강제 낙하시켜 내화천이 불길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내화천 낙하장치;
    상기 이중창 샤시의 내부공간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화천 낙하장치에 의해 펼쳐진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의 내화천에 물을 분사하게 되는 스프링 쿨러; 및
    화재 발생으로 인한 연기 및 열을 감지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내화천 낙하장치와 스프링 쿨러를 구동시키게 되는 연동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천의 상단은 띠판에 의해 내화천 낙하장치의 롤러 원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내화천의 양측단부에는 화재 발생시의 압력으로 내화천이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다수의 걸림쇠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천 낙하장치는,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기어드 모터와, 전자 클러치와 롤러 축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 상기 기어드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기어에 전달하거나 차단시키는 전자 클러치로 구성된 동력부와, 일 끝단은 상기 하우징의 슬릿홈에 삽입되고 중심부에 위치한 일 끝단은 상기 롤러 축에 형성된 슬릿홈에 삽입되어 복원 탄성력으로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태엽 스프링과 화재 발생시 또는 작동 점검 이외의 상황에서 상기 태엽 스프링의 풀림을 방지하고 내화천을 감아올리고 태엽 스프링이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가 회전할 경우에 상기 롤러축이 자유로이 공정할 수 있도록 비역전 클러치의 일종이며 전자석의 철심에 결합된 폴을 구비한 라쳇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어 연동 제어기의 전기신호를 받아 철심에 결합된 폴을 잡아당겨 락(lock) 상태를 해제시키는 전자석으로 구성된 스프링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천 낙하장치는, 상기 스프링 쿨러의 설치대 역할을 하면서 결합판과 하우징에 볼트로 체결되어 습도 및 이물질로부터 내화천을 보호하는 케이스와, 양측에 롤러축을 구비하고 띠판에 의해 내화천의 일 끝과 결합하여 내화천을 감아 보관하면서 화재 발생시 내화천을 펼치는 롤러, 상기 롤러의 한쪽에 위치한 롤러축을 지지하면서 이중상 샤시의 프레임에 부착된 평판에 볼트로 체결되는 결합판, 삽입된 베어링으로 롤러의 다른 한 쪽에 위치한 롤러축을 지지하면서 이중창 샤시의 프레임에 부착된 평판에 볼트로 체결되어 이중창 샤시의 내부공간의 상부에 내화천 낙하장치를 설치하고 내장된 동력부와 스프링 유닛을 보호하며 일면에 태엽 스프링의 일 끝단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슬릿홈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함으로서 내화천을 이물질과 습기로부터 보호하고 가이드 레일에 양 끝단이 삽입되어 상하운동이 가능하며 자중을 이용하여 감긴 내화천을 펼칠 수 있고 화재시 발생되는 정압력과 부압력에도 화염 차단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내화천의 일 끝단에 결합되고 단면이 '山'자 형상의 하단바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어 내화천이 감긴 상태와 하단바의 상승된 상태를 인지하는 위치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쿨러는, 수도관에 연결된 주급수관과, 상기 주급수관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동 제어기에 의해 구동되어 주급수관을 통해 흐르는 물을 단속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밸브의 후단에 연결되고 내화천의 양면에 물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도록 Y형상으로 분기된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내화천의 양면에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 쿨러 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제어기는, 열 감지센서가 400 ℃ 이상의 열을 감지하였을 때 전자밸브를 열어 스프링 쿨러 헤드로부터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KR2020060012444U 2006-05-10 2006-05-10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KR200422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444U KR200422001Y1 (ko) 2006-05-10 2006-05-10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444U KR200422001Y1 (ko) 2006-05-10 2006-05-10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001Y1 true KR200422001Y1 (ko) 2006-07-20

Family

ID=4177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444U KR200422001Y1 (ko) 2006-05-10 2006-05-10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001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881B1 (ko) 2006-07-07 2007-10-12 안기정 베란다 설치용 살수방화장치
KR200447730Y1 (ko) * 2009-07-28 2010-02-16 백은주 아파트용 화염 차단장치
KR100962482B1 (ko) 2009-07-27 2010-06-14 (주)카스정보통신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
KR101396495B1 (ko) * 2012-10-10 2014-05-19 (주)씨아이제이 연무 차단 장치
KR101676811B1 (ko) * 2015-10-30 2016-11-16 주식회사 비텍 이동식 부스
KR101867657B1 (ko) * 2015-12-30 2018-06-14 이명식 대테러용 방탄커튼 시스템
KR102008096B1 (ko) * 2018-04-09 2019-08-06 이효진 건물외벽 화재확산 방지 장치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20190117951A (ko) * 2018-04-09 2019-10-17 이치영 계단실을 통한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 구조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102084527B1 (ko) * 2019-01-18 2020-03-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진압용 블라인드
KR20200134477A (ko) * 2019-05-22 2020-12-02 김원호 다용도 롤러블 스크린 칸막이
KR102528446B1 (ko) * 2022-06-13 2023-05-04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연결이 용이한 아파트용 연결형 난간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881B1 (ko) 2006-07-07 2007-10-12 안기정 베란다 설치용 살수방화장치
KR100962482B1 (ko) 2009-07-27 2010-06-14 (주)카스정보통신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
KR200447730Y1 (ko) * 2009-07-28 2010-02-16 백은주 아파트용 화염 차단장치
KR101396495B1 (ko) * 2012-10-10 2014-05-19 (주)씨아이제이 연무 차단 장치
KR101676811B1 (ko) * 2015-10-30 2016-11-16 주식회사 비텍 이동식 부스
KR101867657B1 (ko) * 2015-12-30 2018-06-14 이명식 대테러용 방탄커튼 시스템
KR102008096B1 (ko) * 2018-04-09 2019-08-06 이효진 건물외벽 화재확산 방지 장치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20190117951A (ko) * 2018-04-09 2019-10-17 이치영 계단실을 통한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 구조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102082224B1 (ko) * 2018-04-09 2020-02-26 이치영 계단실을 통한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 구조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102084527B1 (ko) * 2019-01-18 2020-03-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진압용 블라인드
KR20200134477A (ko) * 2019-05-22 2020-12-02 김원호 다용도 롤러블 스크린 칸막이
KR102283214B1 (ko) * 2019-05-22 2021-07-29 김원호 다용도 롤러블 스크린 칸막이
KR102528446B1 (ko) * 2022-06-13 2023-05-04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연결이 용이한 아파트용 연결형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2001Y1 (ko)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KR101497963B1 (ko)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096681B1 (ko)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KR100766881B1 (ko) 베란다 설치용 살수방화장치
CN108301750B (zh) 一种窗户防火装置
WO2019071963A1 (zh) 一种安全逃生系统
KR100744719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PL2110506T5 (pl) Zamknięcie oraz brama rolowana z tego rodzaju zamknięciem
CN201320357Y (zh) 防火门帘
CN112095823A (zh) 一种阻隔式建筑防火隔离系统
KR100983342B1 (ko) 곡면의 개폐 궤적을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CN113719231A (zh) 一种防火卷帘门用储水式帘片、防火式卷帘门及使用方法
CN205259906U (zh) 防火防盗卷帘门
CN101025071A (zh) 自动报警防烟火走廊门墙
KR101637979B1 (ko) 방화겸용 롤스크린
KR100730797B1 (ko) 아파트 세대별 층간 외벽용 방화장치
CN209817887U (zh) 一种钢制防火卷帘
CN213654676U (zh) 一种阻燃性好的防火门
KR20090092853A (ko) 건물 설치용 살수 방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의 확산을방지하는 방법
CN211327877U (zh) 一种消防工程用防火卷帘
KR100695685B1 (ko)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KR200410436Y1 (ko) 아파트 발코니 화염차단장치
CN210768532U (zh) 一种建筑物卷帘式门窗设备
KR102189245B1 (ko) 창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