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482B1 -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482B1
KR100962482B1 KR1020090068355A KR20090068355A KR100962482B1 KR 100962482 B1 KR100962482 B1 KR 100962482B1 KR 1020090068355 A KR1020090068355 A KR 1020090068355A KR 20090068355 A KR20090068355 A KR 20090068355A KR 100962482 B1 KR100962482 B1 KR 100962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water
electronic equipment
piece
inclined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주)카스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스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카스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9006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1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 H04Q1/114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flooding protection, e.g. using water proof pro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외부 케이싱에 의해 전자장비랙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살수되는 물을 담수하게 하는 집진하게 하는 몸체; 상기 몸체 에지 부분에 각각 구비되어 집진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는 결착부재; 및 상기 결착부재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전자장비랙 외부를 차단하게 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자장비용랙, 결속부재, 차단부재, 누수방지

Description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Leak prevention apparatus of the rack for the electronic communications equipment}
본 발명은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등 비상상황시 전자장비를 습기 또는 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장비용 랙은 전화국의 교환유통장비 또는 인터넷 서버(Internet suber)등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피시비(PCB; Printed Circuit board)를 복수 분할된 쉘프 내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서브 랙(Sub-Rack)이 입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단일 시스템으로 운용되도록 수납 장치이다.
이러나 전자통신용장비용 랙(1)을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하우징 형태의 몸체(2) 외부면을 내부와 연통되어 통풍될 수 있게 전체면에 대해 통기공(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공(5)에는 몸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송풍수단(미도시) 구비된다. 또한 내부에는 회로 기판이 적층된 서브 랙(4)이 다수개 적층되어 있으며, 이 서브 랙은 네트워크 선을 이용해 외부와 통신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랙을 보호하기 위해 전면에는 도어(3)가 구비되어 몸체 내부 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도어(3)는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통신장비는 대체로 전기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습기 등에 매우 취약한 구조를 하고 있어 항시 전자통신장비용 랙이 설치된 룸은 항시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게 하는 클린룸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통신장비용랙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습식 등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화재 등 비상상황시에 스프링쿨러에 의해 방사되는 물로 인해 장비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즉, 비상상황시 전자통신장비를 물로부터 보호할 수 없어 전자통신장비의 유실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관리되는 네트워크, 전자통신장비에 기록되는 데이터 등이 유실되어 막대한 손실을 야기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재 등 비상 상황시 전자장비를 습기 또는 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통신전자장비용랙의 누수방지장치는, 외부 케이싱에 의해 전자장비랙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살수되는 물을 담수하게 하는 집진하게 하는 몸체; 상기 몸체 에지 부분에 각각 구비되어 집진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는 결착부재; 및 상기 결착부재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전자장비랙 외부를 차단하게 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물을 살수되는 물을 집진하게 하는 제1 경사편과 제2 경사편과, 외주면 에지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제1 경사편과 제2 경사편으로부터 집진된 물이 중진되는 부레 삽입홈과 중진된 물이 일정량 배수되게 하는 배수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착부재는 집진된 물에 의해 승강하는 부레와, 브라켓에 탄지된 상태로 부레의 승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편과, 상기 회전편에 의해 가압지지되되 회전편의 해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차단막이 부레의 승강에 의해 전자장비랙을 블라인드 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등 비상상황시 전자장비를 습기 또는 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 쿨러의 동작과 동시에 동작되게 함으로써 전자통신장비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기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시 화염으로부터 전자장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누수방지장치가 설치된 전자장비용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비용랙의 누수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누수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자장비랙(10)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으며, 상기 전자장비랙(10)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누수방지장치(20)가 구비된다.
상기 누수방지장치(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 결착부재(120) 및 차단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각체 형태의 프레임(210a) 상단에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 경사편(211)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에지 부분에서 중앙 부분으로 원뽈 형태로 경사지게 돌출되게 제2 경사편(212)이 프레임 내주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경사편(212) 에지에는 각각 물모입구(213)이 개구되며, 상기 프레임(210a) 에지 부분에는 하우징(214)이 각각 돌출되게 구비된 상태로 상기 물모입구(213)와 연통되는 부레 삽입홈(2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14) 상면 일측에는 부레 삽입홈(215)에 이웃하게 경사홈(217)이 면취되며, 상기 부레 삽입홈(215)에서 외부로 관통된 배수구(2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0a)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풍구(218)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210) 하단에는 프레임(210a)과 연결되는 각 형태의 외부 커버(219)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 커버에는 고리 삽입홈(219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경사편과 제2 경사편이 프레임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프레임 하부에 외부 커버를 구비시켜 상기 외부 커버를 통해 상기 전자장비랙과 탈착 가능한 구조를 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결착부재(220)는 부레(221), 브라켓(223), 회전편(224), 회전축(225) 및 회전축 브라켓(22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레(221)는 원통 형태로 물에 의해 승강이 가능한 가벼운 소재를 속이빈 상태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편(222)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223)은 "ㄷ"자 형태의 블록으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개구공(22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공 일측에는 돌기(223c)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223c)에 일측이 탄지되는 스프링(223a)이 구비되고, 상기 개구공에 삽입되는 힌지축(223b)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편(224)은 바 형태를 하고 있으며 일측에는 개구공(224b)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공과 이웃하는 위치에 돌기(22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25)은 환봉 형태를 하고 있으며, 외주면 양단부에는 한쌍의 걸 이편(225a)이 구비되고, 상기 걸이편(225a)과 대향되는 측으로 "ㄴ"자 형태를 한 한쌍의 고정고리(225b)가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축 브라켓(226)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된다. 상기 고정고리는 한쌍의 걸이편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차단부재(230)는 얇은 시트로 이루어지며, 화재 등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성 소재를 이용하여 차단막(231)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막(231) 일측면에는 고정링(232)이 구비되며, 차단막 단부에는 중량봉(233)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하우징(214)의 부레 삽입홈(215) 내부에 부레(221)를 삽입하고, 상기 부레 삽입홈(215)와 이웃한 위치에 브라켓(223)을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223)의 "ㄷ"자 사이에 회전편(224)을 삽하고, 삽입된 회전편(224)의 개구공(224b)이 브라켓의 개구공(223d)과 수직선 상태 올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개구공(223d) 측에 스프링(223a)을 위치시킨 후 상기 스프링(223a)을 관통하도록 힌지축(223b)을 개구공에 삽입하여 힌지축에 의해 브라켓에 회전편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223a) 일측 단부는 브라켓의 돌기(223c)에 지지되게 하고, 타측 단부는 회전편의 돌기(224a)에 지지되게 하여 브라켓에 대해 스프링을 이용해 회전편이 탄지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 커버(219)를 프레임(210a) 외주면에 위치시킨 상태로 프레임에 고정되게 한 후 상기 외부 커버(219) 내측에 회전축(225)과 회전축 브라켓(226)이 위치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 브라켓(226)을 외부 커버(219) 내주면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고정시킨 후 상기 회전축 브라켓(226)에 회전축이 축설되게 한다. 그리고 축설된 회전축은 외주면에 구비된 걸이편(225a)이 경사홈(217) 내에 위치되게 하고, 고정고리(225b)가 외부 커버(219)의 고리 삽입홈(219a)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차단부재(230)를 외부 커버(219) 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차단막(231) 단부가 외부 커버에 고정되게 한 후 차단막(231)에 구비된 고정링(232)이 상기 외부 커버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고리(225b)에 결착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차단막은 중량봉(233)에 권치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가 구비된 외부 커버를 전자장비랙 상부에 고정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건물 내에서 화재 등에 의해 스프링쿨러가 동작하게 되면 제1 경사편(211)을 이용해 몸체(210) 내부로 물을 집진하게 한다. 집진된 물은 제2 경사편(212)을 따라 몸체(210) 에지 부분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물은 몸체(210)에 에지에 형성된 물모입구(13)에 충진되게 되며, 충진된 물은 부레 삽입홈(215) 측으로 유입되어 부레(21)를 부력에 의해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부 레(221)가 부레 삽입홈(215)에서 외부로 개구된 배수구(216)를 차폐시키고 있어 충진된 물이 외부로 부레 삽입홈에 물이 충진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부레(121)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레 상부에 형성된 경사편(222)에 의해 회전편(224)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회전편(224)은 힌지축(223b)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브라켓(223)에 지지되고 있어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편(224) 일측 단부는 경사홈(217)에 삽입된 걸이편(225a)을 가압지지하고 있어 회전편(224)을 회전에 의해 걸이편의 가압력이 상실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걸이편에 의해 지지된 회전축(225)이 회전함에 따라 고정고리(225b)에 결착된 고정링(232)이 고정고리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고정고리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차단막(232)이 중량봉(233)의 자중에 의해 하부 블라인딩되며 전자장비랙의 외부를 차단시켜 물이 전자장비랙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막은 화재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화성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경사편과 제2 경사편에 의해 집진된 물은 배수구를 통해 일정량 배출되게 되고, 배출된 물은 배수구와 연결된 호수(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편(224)은 브라켓(223)과 스프링(223a)에 의해 탄지된 상태 여서 물에 의해 상승한 부레가 하강할 경우 스프링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며, 화재 진압이 끝난 후에는 차단막을 중량봉에 권치시켜 고정고리에 결착시켜 전자장비랙을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기재되어 있지는 않지만 몸체 상부에 수위감지센서 등을 구비시키고, 상기 감지센서와 결착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여 스프링쿨러로부터 물이 살포됨과 동시에 결착부재가 동작하여 차단부재가 동작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장비용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누수방지장치가 설치된 전자장비용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비용랙의 누수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누수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자장비랙 20 : 누수방지장치
210 : 몸체 210a : 프레임
211 : 제1 경사편 212 : 제2 경사편
213 : 물모입구 214 : 하우징
215 : 부레 삽입홈 216 : 배수구
217 : 경사홈 218 : 통풍구
219 : 외부 커버 219a: 고리 삽입홈
220 : 결속부재 221 : 부레
222 : 경사편 223 : 브라켓
224 : 회전편 225 : 회전축
226 : 회전축 브라켓 230 : 차단부재
231 : 차단막 232 : 고정링
233 : 중량추

Claims (4)

  1. 외부 케이싱에 의해 전자장비랙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살수되는 물을 담수하게 하는 집진하게 하는 몸체;
    상기 몸체 에지 부분에 각각 구비되어 집진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동작하는 결착부재; 및
    상기 결착부재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전자장비랙 외부를 차단하게 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전자장비용랙의 누수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물을 살수되는 물을 집진하게 하는 제1 경사편과 제2 경사편과, 외주면 에지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제1 경사편과 제2 경사편으로부터 집진된 물이 중진되는 부레 삽입홈과 중진된 물이 일정량 배수되게 하는 배수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전자장비용랙의 누수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재는 집진된 물에 의해 승강하는 부레와, 브라켓에 탄지된 상태 로 부레의 승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편과, 상기 회전편에 의해 가압지지되되 회전편의 해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전자장비용랙의 누수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차단막이 부레의 승강에 의해 전자장비랙을 블라인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전자장치용랙의 누수방지장치.
KR1020090068355A 2009-07-27 2009-07-27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 KR100962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355A KR100962482B1 (ko) 2009-07-27 2009-07-27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355A KR100962482B1 (ko) 2009-07-27 2009-07-27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482B1 true KR100962482B1 (ko) 2010-06-14

Family

ID=4236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355A KR100962482B1 (ko) 2009-07-27 2009-07-27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339B1 (ko) 2018-05-31 2018-11-20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A (ja) * 1993-06-19 1995-01-06 Kawashima Textile Manuf Ltd カーテンレール
JPH09262314A (ja) * 1996-03-29 1997-10-07 Nohmi Bosai Ltd 散布水の収集排水器
KR200422001Y1 (ko) 2006-05-10 2006-07-20 김동선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JP2009063226A (ja) 2007-09-06 2009-03-26 Caterpillar Japan Ltd コンピュータ室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A (ja) * 1993-06-19 1995-01-06 Kawashima Textile Manuf Ltd カーテンレール
JPH09262314A (ja) * 1996-03-29 1997-10-07 Nohmi Bosai Ltd 散布水の収集排水器
KR200422001Y1 (ko) 2006-05-10 2006-07-20 김동선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JP2009063226A (ja) 2007-09-06 2009-03-26 Caterpillar Japan Ltd コンピュータ室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339B1 (ko) 2018-05-31 2018-11-20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482B1 (ko) 전자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
TW201306724A (zh) 戶外機箱之蓋體結構
CN213907082U (zh) 一种具备防水功能的户外通信机柜
CN219286920U (zh) 一种配电箱用散热装置
CN211720045U (zh) 一种防潮配电箱
CN210804209U (zh) 一种计算机用区块链管理运算装置
CN215010731U (zh) 一种无线通讯模块可更换的网关
CN210806535U (zh) 一种安全型箱式变电站
CN210670974U (zh) 一种防侵泡的通信机箱结构
CN214228714U (zh) 一种户外网络通信柜
CN210075467U (zh) 一种网络安全路由设备
CN209691915U (zh) 一种组合式高通滤波器
CN217308040U (zh) 一种计算机网络安全防屏蔽隔离罩
CN210630130U (zh) 一种防水性电子通信箱
CN212936339U (zh) 一种防止潮湿的便于安装的户外通信箱
CN214013427U (zh) 防潮除湿型配电柜
CN214255117U (zh) 一种防潮配电箱
KR101920339B1 (ko) 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
CN213040886U (zh) 一种计算机通信设备防护装置
CN210670406U (zh) 一种无线路由器用网络防火墙设备
CN210840402U (zh) 一种信息通讯用设备机壳的外置防水装置
CN220401868U (zh) 一种易散热的网络路由器
TWM519680U (zh) 取暖換氣扇
CN219204948U (zh) 一种设置有防进水散热孔的屏蔽器
CN211047531U (zh) 一种具有外部防水绝缘结构的分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