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963B1 -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963B1
KR101497963B1 KR20140122440A KR20140122440A KR101497963B1 KR 101497963 B1 KR101497963 B1 KR 101497963B1 KR 20140122440 A KR20140122440 A KR 20140122440A KR 20140122440 A KR20140122440 A KR 20140122440A KR 101497963 B1 KR101497963 B1 KR 10149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indow
window frame
frame
driv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2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철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엠지그룹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엠지그룹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에이엠지그룹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140122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및 각종 건축 구조물에 시공되어 외부 또는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동 및 수동으로 방화구획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구부에 시공되는 창틀과, 이 창틀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폐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창문으로 이루어진 창호 시스템으로써, 실내측과 실외측 창틀로 구성되고, 상기 실내측 창틀이 실외측 창틀보다 높게 구성되어 단층 형태로 구성된 창틀; 상기 실외측 창틀의 상단 외측 벽면에 설치된 본체의 내부에 축수부를 구비하고, 이 축수부에 회전축이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하되, 상기 회전축에 방호 부재가 권취된 방화구획수단;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방호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는 구동 모터; 상기 실외측 창틀 또는 외벽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로 구성된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동작시켜 회전축에 감아진 방호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 모터가 안착되는 이동판을 구비하고, 구동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판을 수동으로 이동시켜 회전축에 권취된 방호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는 수동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Window system with a fireproof partition function}
본 발명은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및 각종 건축 구조물에 시공되어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위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창호의 외측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방화 구획 수단이 설치되어 방화 구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아가 유독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건축물의 내부에는 화재 범위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 구획이 설치된다. 이 방화 구획은 내화 구조로 해야 하지만,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계단 등의 출입문에 방화문으로 구획하고, 통로에 자동 방화 셔터와 덕트 관통 부분에 방화 댐퍼를 사용한다.
그런데, 주거 층이 3층 이상으로 시공된 아파트나 오피스텔 또는 빌라의 경우 계단이나 복도에는 의무적으로 방화 구획이 설치되고 있으나 창호에는 별다른 방화 기능이 없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부주의 또는 전기적인 원인으로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불은 방화문으로 이루어진 현관이나 복도를 통해 번지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창문을 통해 윗집으로 번지게 되고, 윗집에 재산상의 손실은 물론 자칫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이와 같은 위험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창호에 방화 기능을 부과하는 특허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 10-1126900호와 같이 차열 방화유리가 구비된 창호는 물론이고, 국내 등록특허 10-0623969호와 같이 난간에 회전식 방화판을 설치되는 예도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식 방화판은, 복층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난간프레임과, 상기 난간프레임의 하측에 내장되는 구동모터과, 상기 구동모터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과, 상기 난간프레임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들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난간프레임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방화블라인드와, 상기 난간프레임의 하측에 내장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축들로 전달하는 전동수단과, 하층의 천정벽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및 상기 난간프레임 내에 내장되며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수단은 상기 구동축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종동축들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 및 종동스프로킷들에 걸려지는 전동체인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치는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 기능이 블라인드 방식으로 구성되어 블라인드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감지센서의 오작동 시 별다른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 따른 실시 예로, 공개특허 10-2005-0115840호의 창호용 방화 스크린 장치가 있다.
이 장치는 화재를 감지하여 주택 외벽에 구비된 창호를 차단하기 위한 주택 외벽 창호용 방화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호의 상부에서 창호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창호를 가릴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갖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 재질의 부재로서 창호의 외측 또는 내측을 가리도록 상기 창호의 상부에 설치된 드럼에 감기고 풀리게 설치된 스크린과, 상기 드럼을 왕복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린 구동수단과, 주택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내부 화재감지수단과, 상기 내부 화재감지수단에 의해 주택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린이 상기 드럼에서 풀려 상기 창호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리도록 상기 스크린 구동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및 전력공급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방화 스크린 장치에도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즉 이 장치는 스크린으로 창호를 가리도록 하는 것이나, 화재 발생 시 온도가 수백℃에 달하는 화염을 견디기 어렵고, 상부에서 하부로 인출되어 창호를 가리게 되는 스크린을 하단을 고정하는 구조가 없어 창호와 스크린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고, 또한 인명 피해를 주는 유독 가스의 유입을 막을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재 발생 시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위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여 재산상의 피해는 물론이고 인명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모터를 동작시켜 방화벽을 하강시켜 화재가 창호를 통해 번지는 것을 방지하되, 감지 센서의 오 동작에 따른 동작 불능을 대비하고, 집을 비우는 등의 평상 시에도 방범 역할이 가능하도록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 시 창틀을 막아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동시에 유독 가스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구부에 시공되는 창틀과, 이 창틀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폐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창문으로 이루어진 창호 시스템으로써, 실내측과 실외측 창틀로 구성되고, 상기 실내측 창틀이 실외측 창틀보다 높게 구성되어 단층 형태로 구성된 창틀; 상기 창틀을 구성하는 실외측 창틀의 상단 외측 벽면에 설치된 본체의 내부에 회전축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에 권취된 방호 부재가 하방으로 풀어져 창틀 전체를 가리게 되는 방화 구획 수단;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기계실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실외측 창틀 또는 외벽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로 구성된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동작시켜 회전축에 감아진 방호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구부에 시공되는 창틀과, 이 창틀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폐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창문으로 이루어진 창호 시스템으로써, 실내측과 실외측 창틀로 구성되고, 상기 실내측 창틀이 실외측 창틀보다 높게 구성되어 단층 형태로 구성된 창틀; 상기 실외측 창틀의 상단 외측 벽면에 설치된 본체의 내부에 축수부를 구비하고, 이 축수부에 회전축이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하되, 상기 회전축에 방호 부재가 권취된 방화구획수단;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방호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는 구동 모터; 상기 실외측 창틀 또는 외벽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로 구성된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동작시켜 회전축에 감아진 방호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 모터가 안착되는 이동판을 구비하고, 구동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판을 수동으로 이동시켜 회전축에 권취된 방호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는 수동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 본 발명은 상기 방화구획수단의 본체는 실외측 창틀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구동 모터가 설치되는 기계실이 마련되고, 이 기계실의 벽면에 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 스플라인 축이 구비되고, 구동 모터에는 이 스플라인 축이 끼워지는 보스가 구비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구동 모터의 이동 시에는 보스로부터 스플라인 축이 빠져나와 결속이 해지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조작부는 이동판의 저면에 랙 기어를 형성하고, 이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되, 상기 피니언 기어가 축설되는 동일 축 선상에 원동 와이어 롤러를 구비하고, 창문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원동 와이어 롤러와 와이어로 감아지는 종동 와이어 롤러를 구비하는 한편, 이 종동 와이어 롤러가 설치되는 축 선상에 사용자가 당겨 회전시킬 수 있는 와이어가 감아진 회전 롤러가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첫째, 창호가 설치되는 외벽에 방호벽이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재산상 손실을 방지하고, 동시에 인명 피해가 없도록 한 발명이다.
둘째,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자동은 몰론 감지 센서 등의 오작동에 대비하여 수동으로 벽화 구획이 설치되도록 하며, 나아가 기존 창호에도 방화 구획 수단이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아래층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대비하여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유독 가스의 실내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발명이다.
넷째,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는 물론이고, 평상 시에도 선택적으로 방화 구획 수단 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방범 역할, 자외선 차단, 소음 차단 및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창호 시스템의 확대 단면도,
도 4a,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동 조작부의 구성 및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동 조작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동 조작부의 다른 실 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 예의 수동 조작부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기부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구획 수단을 갖는 창호 시스템은 고층 건축물은 물론, 주택, 빌라 또는 상가 건축물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창호 시스템의 확대 단면도,
도 4a,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동 조작부의 구성 및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동 조작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동 조작부의 다른 실 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 예의 수동 조작부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기부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10)은, 창틀(120)과 창문(140)으로 구성된 창호(100)와, 상기 창틀(120)의 전면을 덮어 화재 발생 시 불이 실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 구획 수단(200)과, 상기 방화 구획 수단(200)의 방호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틀(300)과, 상기 방화 구획 수단(200)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방호 부재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400)와,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500)와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부(520) 및 상기 방화 구획을 수동 조작하는 수동 조작부(600) 그리고, 유독 가스의 유입을 방지하는 유독 가스 배기부(700)로 구성된다.
창호(100)
본 발명에 따른 창호(100)는 2중, 3중창 또는 시스템 즉 틸트(Tilt), 턴 (Turn) 방식의 창호는 물론이고, 커튼 월 방식의 창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은 발코니 또는 내,외부 창호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창호(100)는 내부창 보다는 건축물의 외벽(102)에 마련된 개구부에 창틀(120)이 설치되고, 이 창틀에 창문(140)이 끼워진 형태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창틀(120)은 도면과 같이, 실내측과 실외측 창틀(122)(124)로 구분되고, 실내측 창틀(122)을 실외측 창틀(124)보다 높게 구성하여 층이 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우천 시에는 창틀 바닥에 빗물이 고여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혹한기에 실외측 창문과 실외측 창틀 사이에서 유입되는 냉기, 바람 등을 실내측 창틀이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며, 방음 효과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실내측 창틀(122)의 높이를 높게 구성함으로써, 내부에 공간(122a)을 마련할 수 있고, 이 공간에 후술하는 배기부(700)의 가스 배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방화 구획 수단(200)
상기 방화 구획 수단(200)은 상기 창틀(120)의 외측면 다시 말해, 건축물의 외벽(102)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발생하는 특히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로부터 불이 실내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방화 구획 수단(200)은 본체(220)와, 이 본체(220)의 내부 양측 가장 자리에 설치되는 축수부(240)와, 후술하는 모터(400) 및 수동 조작부(6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실(202)과, 상기 축수부에 설치되는 회전축(260) 및 회전축에 권취되며 화재 발생 시 창틀 전면을 막는 방호 부재(280)로 구성된다.
상기 기계실(202)은 본체(220)의 일측 연부에 구획되고, 중앙 부위에 가이드 레일(204)이 설치되어,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모터를 이동시켜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220)는 장방형상의 함체로, 창틀의 외측 상단 또는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다. 특히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벽체와 이 벽체에 앵글 등으로 시공되어 공간을 갖게 되는 대리석 안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20)의 저면에는 출납부(224)가 형성되고, 이 출납부(224)를 통해 방호 부재(260)가 승강하며 창틀 전체를 막아 외부에서 발생한 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출납부(224)와 인접하여 연기 배출 통로(226)가 형성되어 배기부와 연통하고, 본체의 내부에는 설치 공간(222)이 마련되어 축수부 및 회전축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 방화구획수단(200)의 본체(220)는 창틀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데, 창틀의 규격에 맞게 사출 성형하는 방법과, 일정한 길이로 제작하여 창틀의 길이에 따라 여러 개를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법도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방호 부재(260)는 롤 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중 지그재그 방식은 각 부재의 양측단부에 줄을 끼워 연결하고, 이 줄이 후술하는 회전축에 권취시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줄이 감아지거나 풀어지며 지그재그 형식으로 접어지거나 혹은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롤 형태는 방호 부재(260)의 상단부가 회전축(280)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되고, 이 회전축(280)이 구동 모터(400)와 연결되어 구동 모터의 정, 역회전에 따라 방호 부재(260)가 회전축(280) 상에 감아지거나 풀어지며 창호(100)가 차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방호 부재(260)는 철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과 같이 다수의 띠 철판(260a)을 힌지 등올 연결하여 권취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일정한 두께의 원판이 회전축에 감아질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에 방호 부재(260)는 천 또는 다른 재질이 사용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철판을 사용한다.
상기 방호 부재(260)의 하단부에는 무게추(262)가 구비된다.
이 무게추(282)는 자동은 물론 수동 조작 시 방호 부재(260)가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무게추(262)가 하부 고정틀(300)의 안쪽에 끼워져 화재에 따른 불 또는 연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280)은 상기 설치 공간(222)의 양측 가장 자리 각각에 설치된 축수부(240)에 양측 연부가 축설되어 회전하며, 상기 축수부(240)는 볼 베어링 또는 부싱 등으로 구성된다.
고정틀 (300)
본 발명은 창틀이 완전히 감싸질 수 있도록 고정틀(300)을 구비하되, 이 고정틀은 하부 고정틀과 측부 고정틀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창틀(120)을 중심으로 상단은 상기 본체(220)가 위치하고, 하단은 하부 고정틀(320)이 설치되며, 하부 고정틀과 본체 사이에 창틀 측단에 설치되는 측부 고정틀(340)이 위치함으로써, 창틀이 완전히 감싸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고정틀(320)은 상기 본체(220)의 대향측 다시 말해 창틀(12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면에 구비된 탄편(324) 사이에 인입구(322)가 구비되고, 인입구 안쪽에 수용부(326)가 마련되어 상기 무게추(262)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무게추(282)가 하강하여 인입구(322)에 진입하며, 이 인입 구(322)의 양편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탄편(324)이 하방으로 휘어지며 무게추가 진입하도록 하고, 탄편을 통과한 무게추(262)가 수용부(340)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탄편(324)이 복원하며 무게추(262)의 상면을 감싸 완전히 폐쇄되도록 하여 불은 물론이고,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측부 고정틀(340)은 상기 본체(220)와 하부 고정틀(320)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기본적인 형태는 내부에 이동 공간(342)을 갖는 "ㄷ" 형강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 공간이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 시공되어 방호 부재가 이 이동 공간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부 고정틀(340)의 안쪽면에는 방호 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34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무게추(262)의 양측단부에는 이동바(264)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264)은 상기 가이드홈(344)에 끼워져 상하 이동 시 방호 부재가 원활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동바의 단부에 구름 볼이 장착되어 승강을 더욱 완활하게 할 수 있다.
구동 모터(400), 감지부 (500), 제어부(600)
상기 기계실(202)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400)는 정역회전 모터로써, 회전축과 연결되어 방호 부재(260)가 펼쳐지거나 권취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 모터와 방호 부재(260)가 권취되는 회전축(280)은 키(key) 또는 커플링 등에 의해 직결되거나, 또는 모터를 이동시켜 수동으로 방호 부재가 내려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수동 조작부에 설명한다.
상기 감지부(500)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연기 유입을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는 창틀의 외측면 상하단 또는 외벽에 설치되며, 연기감지센서는 실내에 설치되어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들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600)가 구동 모터(400) 및 후술하는 배기부(700)의 송풍팬(720)을 가동시켜 화재로부터 인명을 보호하는 것이다.
수동 조작부 (600)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조작부(600)는 화재 발생 후 센서, 구동 모터의 고장 또는 단전 즉 화재에 의해 전기가 강제로 차단되는 경우 방화구획수단(200)을 수동으로 작동시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수동 조작부(600)의 실시 예로, 먼저 구동 모터(400)를 수평 이동시키는 것으로 가능하다.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보스(602)를 구비하고, 회전축(280)의 단부에 보스에 끼워지는 스플라인 축(604)이 구비된 구성이다.
구동 모터(400)의 하부에는 이동판(620)이 장착되며, 이 이동판(620)은 도면과 같이 양측면에 이동홈(622)이 형성되어, 기계실(202)의 벽면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204)에 끼워져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판의 저면에는 랙 기어(640)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204)은 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구동 모터를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상기 랙 기어(640)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642)를 구비하되, 이 피니언 기어의 축 상에 원동 와이어 롤러(660)가 장착된다.
상기 원동 와이어 롤러(660)와 와이어(668)로 감아지는 종동 와이어 롤러(662)는 창틀에 가깝게 위치하며, 이들 사이에 아이들 와이어 롤러(664)를 구비하여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종동 와이어 롤러(662)가 장착된 축에는 별도의 회전 롤러가 장착되어 있다. 이 회전 롤러에는 손잡이(680)가 구비된 별도의 와이어가 감아져 이 손잡이를 당기면 동일 축 선상에 장착된 상기 종동 와이어 롤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예로, 상기 측부 고정틀()에 무게 추를 당겨주는 당김 부재(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당김 부재(60)는 후크와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먼저 후크(62)는 상기 무게추(262)의 단부에 구비되어 가이드홈(344)에 끼워지는 이동바(264)에 걸려지고, 스프링(64)은 이러한 후크를 당기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 모터(400)로부터 회전축이 이탈하면, 결속이 해지된 회전축에 감긴 방호 부재(260)의 무게 추를 순간적으로 당김으로써, 방호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구성은 하나의 실 예이고, 다른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이어는 체인 또는 벨트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롤러 등을 더 추가하여 손잡이가 거주자가 원하는 장소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구동 모터/센서 고장 또는 전기 차단과 같은 이상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 보스(602)에 끼워진 스플라인 축(604)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방호 부재(260)를 펼칠 수 있지만, 이상 현상이 발생한 경우 거주자가 손잡이(680)를 당겨 수동으로 동작시킨다.
거주자가 손잡이(680)를 당기면 종동 와이어 롤러(662) - 아이들 와이어 롤러(664) - 원동 와이어 롤러(660)가 순차적으로 회전하고, 원동 와이어 롤러와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한 피니언 기어(642)가 회전하며, 이와 맞물린 랙 기어(640)를 이동시켜 이동판(620)이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이동판(620)은 가이드 레일(204)을 따라 이동하며, 동시에 보스(602)가 이동하여 스플라인 축(604)과 분리되고, 보스로부터 분리된 회전축(280)은 구속력이 없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 방호 부재(260) 단부에 구비된 무게추(262)의 무게가 하방으로 작용함과 아울러 여기에 무게추를 당기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더해지면서 방호 부재가 하강하여 하부 고정틀(320)에 끼워지는 것이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조작부의 다른 실시 예이다.
이 실시 예는 베벨 기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구동 모터(400)의 모터축에 원동 베벨 기어(640a)가 장착되고, 회전축(280)의 일단에 종동 베벨 기어(642a)를 구비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로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 모터(400)는 회동판(420)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420)은 선단 중앙 부위가 도면과 같이 힌지핀(440)에 의해 기계실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회동판의 양측 단부는 슬라이드 바(460) 상면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이 슬라이드 바(460)는 고정 브라켓트(480)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 브라켓트(480)는 도 7과 같이, 기계실(102)의 바닥에 설치되도록 하되, 기계실의 좌우측에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트가 전, 후방으로 각각 배치되고, 이들 고정 브라켓트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에 상기 슬라이드 바(46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되, 슬라이드 바의 일부가 도면과 같이 안쪽으로 돌출되어 그 위에 상기 회동판(420)이 안착되어 구동 모터(40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바(460)는 손잡이(462)로 연결된 "ㄷ" 형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거주자가 슬라이드 바를 당기면 슬라이드 바가 고정 브라켓트에서 빠져 나오면서 회전판이 회전하여 베벨 기어가 서로 떨어져 맞물림이 해지되고, 동시에 무게추(262)와 당김 부재의 스프링이 방호 부재(260)를 끌어내려 창호 전면에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배기부 (700)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유독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면, 불에 의한 위험도 상당하지만 무엇보다도 유독 가스에 의한 질식사고도 상당히 위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창호 보다 크게 구성된 실내측 창틀에 유독 가스를 흡입 배출할 수 있는 송풍기(720)를 설치하고, 실내측 창틀 전면에 흡입구를 마련한 다음 이 흡입구를 통과한 유독 가스가 실내측 창틀에 마련된 가스 배출 경로(740)를 통해 본체(200)에 마련된 배출 통로(226)로 유입되도록 하고, 이 가스가 기계실(202)을 통해 기계실 벽체에 천공된 배출구(704)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720)는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기계실 일측 다시 말해, 도면상 배출구와 인접하여 별도의 공기실을 마련하고, 이 공기실에 보다 용량이 큰 송풍기를 설치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외부 또는 아래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창호 전면을 방호 부재(260)가 차단하여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유독 가스를 배출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막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화재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600)에 송출하면 제어부(600)는 구동 모터(400)를 동작시켜 회전축(280)을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회전축에 감아진 방호 부재(260)가 펼쳐지면서 창틀 전면을 막아 불이 실내로 번지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창틀(140)의 외주연도 본체(220)와 하부 고정틀, 측부 고정틀이 감싸고 있어 불이 실내로 유입될 수는 없다.
한편, 본 발명은 유독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화재 발생 후, 방호 부재 및 고정틀에 의해 불이 번지는 것은 차단할 수 있으나, 미세한 틈새로 유입되는 유독 가스까지 차단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에 가스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이 가스감지센서가 유독 가스를 감지하면, 그 신호에 따라 제어부(600)는 송풍기(720)를 동작시켜 실내에 유입된 유독 가스를 가스배출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환경적 또는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구동 모터(400) 및 감지부(500)의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 거주자가 직접 방호 부재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즉, 종동 와이어 롤러(662)에 감아진 와이어를 당겨 각 롤러가 순차적으로 연동하여 피니언 기어(642)가 회전하도록 하고, 동시에 피니언 기어와 맞물린 랙 기어(640)가 이동함으로써, 구동 모터(400)가 이동하여 회전축(280)과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축(280)은 구동 모터의 단속이 해지되어 당김 부재의 스프링이 작용하고, 무게추가 낙하하여 방호 부재가 펼쳐지는 것이다.
10 : 창호 120 : 창틀
122 : 실내측 창틀 1245 : 실외측 창틀
140 : 창문 200 : 방화구획수단
220 : 본체 260 : 방호 부재
280 : 회전축 300 : 고정틀
400 : 구동 모터 500 : 감지부
600 : 제어부 700 : 배기부
720 : 송풍기

Claims (7)

  1. 삭제
  2. 건축물의 개구부에 시공되는 창틀과, 이 창틀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폐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창문으로 이루어진 창호 시스템으로써,
    실내측과 실외측 창틀로 구성되고, 상기 실내측 창틀이 실외측 창틀보다 높게 구성되어 단층 형태로 구성된 창틀;
    상기 실외측 창틀의 상단 외측 벽면에 설치된 본체의 내부에 축수부를 구비하고, 이 축수부에 회전축이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하되, 상기 회전축에 방호 부재가 권취된 방화구획수단;
    상기 창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방호 부재의 하단부가 끼워져 창틀 하부로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고정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방호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는 구동 모터;
    상기 실외측 창틀 또는 외벽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로 구성된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동작시켜 회전축에 감아진 방호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 모터가 안착되는 이동판을 구비하고, 구동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판을 수동으로 이동시켜 회전축에 권취된 방호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는 수동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방화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구획수단의 본체는 실외측 창틀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구동 모터가 설치되는 기계실이 마련되고, 이 기계실의 벽면에 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방화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스플라인 축이 구비되고, 구동 모터에는 이 스플라인 축이 끼워지는 보스가 구비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구동 모터의 이동 시에는 보스로부터 스플라인 축이 빠져나와 결속이 해지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화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조작부는 이동판의 저면에 랙 기어를 형성하고, 이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되, 상기 피니언 기어가 축설되는 동일 축 선상에 원동 와이어 롤러를 구비하고, 창문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원동 와이어 롤러와 와이어로 감아지는 종동 와이어 롤러를 구비하는 한편, 이 종동 와이어 롤러가 설치되는 축 선상에 사용자가 당겨 회전시킬 수 있는 와이어가 감아진 회전 롤러가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방화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구획수단 본체의 내부 양측 가장 자리에 축수부를 구비하여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방호 부재의 하단부에 무게추를 구비하여 이 무게추가 하부 고정틀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화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7. 삭제
KR20140122440A 2014-09-16 2014-09-16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49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2440A KR101497963B1 (ko) 2014-09-16 2014-09-16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2440A KR101497963B1 (ko) 2014-09-16 2014-09-16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963B1 true KR101497963B1 (ko) 2015-03-05

Family

ID=5302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2440A KR101497963B1 (ko) 2014-09-16 2014-09-16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96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512B1 (ko) 2016-08-05 2017-06-19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층간 방화 구조
KR102409081B1 (ko) 2021-11-18 2022-06-15 주식회사 피앤에코 방화용 슬라이딩 창호
CN114837534A (zh) * 2022-06-20 2022-08-02 邵望伟 具有密封结构的防火型铝合金门窗
CN114893098A (zh) * 2022-05-23 2022-08-12 北京舒驰美德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雨天自动关闭的智能窗户
KR20220118752A (ko) 2021-02-19 2022-08-26 한국토지주택공사 발코니의 방풍방화 셔터장치
CN115405210A (zh) * 2022-10-14 2022-11-29 江西伟隆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拆卸的防火窗
KR102477790B1 (ko) 2021-11-25 2022-12-15 주식회사 에프알인더스 미닫이문의 자동 폐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4273A (ja) * 1999-03-04 2000-11-14 Misawa Homes Co Ltd 建具枠材
KR100757575B1 (ko) * 2006-05-25 2007-09-10 김경진 창호용 화재 확산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4273A (ja) * 1999-03-04 2000-11-14 Misawa Homes Co Ltd 建具枠材
KR100757575B1 (ko) * 2006-05-25 2007-09-10 김경진 창호용 화재 확산방지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512B1 (ko) 2016-08-05 2017-06-19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층간 방화 구조
KR20220118752A (ko) 2021-02-19 2022-08-26 한국토지주택공사 발코니의 방풍방화 셔터장치
KR102409081B1 (ko) 2021-11-18 2022-06-15 주식회사 피앤에코 방화용 슬라이딩 창호
KR102477790B1 (ko) 2021-11-25 2022-12-15 주식회사 에프알인더스 미닫이문의 자동 폐쇄 장치
CN114893098A (zh) * 2022-05-23 2022-08-12 北京舒驰美德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雨天自动关闭的智能窗户
CN114837534A (zh) * 2022-06-20 2022-08-02 邵望伟 具有密封结构的防火型铝合金门窗
CN114837534B (zh) * 2022-06-20 2023-09-19 肇庆新亚铝铝业有限公司 具有密封结构的防火型铝合金门窗
CN115405210A (zh) * 2022-10-14 2022-11-29 江西伟隆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拆卸的防火窗
CN115405210B (zh) * 2022-10-14 2024-03-26 江西伟隆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拆卸的防火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963B1 (ko)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JP6764730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KR100995220B1 (ko)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KR200422001Y1 (ko) 내화천을 구비한 아파트 발코니 화염 차단장치
KR100623969B1 (ko) 회전식 방화판
KR102149326B1 (ko) 방화 및 단열 창호
KR101164639B1 (ko) 지하주차장 소방용 방화댐퍼 겸용 팬
CN101684716A (zh) 带有可倾斜板条的卷式百叶窗
KR100983342B1 (ko) 곡면의 개폐 궤적을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JP6436438B2 (ja) 差圧緩和型迅速作動両開き扉
CN101025071A (zh) 自动报警防烟火走廊门墙
CN205349195U (zh) 一种新型防火卷帘门
KR20110125482A (ko)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CN108019141B (zh) 防火遮阳节能一体化窗
WO2014140205A1 (en) Arrangement for pressurizing a space and/or evacuating smoke therefrom in case of a fire
KR100859527B1 (ko)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101511607B1 (ko)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CN201367659Y (zh) 一种双层通风换气幕墙
CN107905702A (zh) 一种新型防火用卷帘门
CN212079096U (zh) 一种具有吸烟功能的防火卷帘门
CN220815487U (zh) 一种新型防火卷帘
CN214006980U (zh) 一种具有便于抽拉固定的防火帘
CN112302514A (zh) 一种水平防火卷帘门及其使用方法
KR20200003989A (ko)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