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989A -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989A
KR20200003989A KR1020180076869A KR20180076869A KR20200003989A KR 20200003989 A KR20200003989 A KR 20200003989A KR 1020180076869 A KR1020180076869 A KR 1020180076869A KR 20180076869 A KR20180076869 A KR 20180076869A KR 20200003989 A KR20200003989 A KR 20200003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moke
building
oxyge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090B1 (ko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수
Priority to KR1020180076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0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2013/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6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Abstract

본 발명은건물에 화재로 인한 정전 및 단전 상황에서도 축전지를 통한 전원공급 작동으로 화재 연기와 유독가스를 실시간으로 탐지하여 자동 작동으로 소방시설과 관리자 소방센터와 상호 연동하여 유기적인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평상시에는 환기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사용 가능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내에 설치된 소화전과 연결되고, 감시를 위한 공간내에 설치하는 국부센서부, 산소량을 체크하는 산소량센서, 건물내의 공급 전기을 축전하는 축전지, 상기 축전지나 건물에서 직접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배연기로 구성하여; 통신모듈을 형성하여 실시간으로 화재감지 상황을 체크하여 신호발생시 즉각적으로 기존 소화전, 119센터 및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Rechargeable smoke exhaust system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배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로 인한 정전 및 단전 상황에서도 축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실시간으로 작동하여 기숙사, 원룸, 고시원, 모텔, 컨테이너주택과 같은 실내공간이 작은 건물, 사무실, 주거건물, 공공건물, 창고, 생산시설건물의 벽면, 창호, 베란다, 계단실 등에 적용하여 사용가능한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빌딩 내 화재 시에는 유해가스, 가연물 및 다양한 유독가스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연소되는 산소 소비에 의해서 실내공기의 산소 농도가 연소시의 산소 소비에 의해서 실내공기의 산소 농도가 감소하고, 불완전연소에 의해서 CO가스 농도가 높아지는 등 거주자는 가스중독이나 마비현상이 일어나서 심할 경우에는 생명의 위협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고층 빌딩에서는 화재의 발생에 수반하는 연기와 유독가스가 피난의 장애가 되지 않도록 일정한 구획 내에 연기를 막아놓고 이를 배출하는 제연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제연 시스템'이라 함은 소화활동설비의 하나로서 화재시 발생된 연기 및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소화활동에 장애가 되는 연기를 제거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기존의 제연시스템의 계통도는 10층 이상의 고층 빌딩에는 화재 발생시에 비상통로나 계단과 같은 피난구역으로 연기나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해 인명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제연 시스템이 설치된다.
이때, 이러한 제연 시스템의 구성은, 화재 발생시 빌딩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를 흡입하는 배연송풍기,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송풍기, 배연송풍기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연기가 이동되는 통로인 배연덕트, 급기송풍기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인 급기덕트, 화재에 의해 발생된 연기가 배연덕트를 따라 이동되기 위해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밀폐되도록 제어되는 배연댐퍼, 급기덕트를 따라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해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개방되도록 제어되는 급기댐퍼 외에도 화재감지기, 방화댐퍼, 방화문, 제연커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배연댐퍼는 연기배출을 위한 공기통로인 배연덕트에 연결되며,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배연송풍기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켜 화재의 초기진압, 연소확대, 인명피해 등을 예방 또는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화재 발생시 화재구역의 배연댐퍼의 블레이드(날개)를 개방하여 배연송풍기에 의해 연기를 외부로 배출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화재구역의 배연댐퍼만이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비화재구역에 설치된 배연댐퍼의 블레이드는 완전한 닫힘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비화재구역에서 배연댐퍼의 블레이드가 완전히 폐쇄되어야 배연송풍기가 화재구역 내의 연기 및 유해가스를 빨아들여 원활하게 고층 빌딩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배연댐퍼는 블레이드의 배열구조가 수평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연댐퍼는 다수개의 블레이드의 양단이 블레이드간에 서로 맞물리도록(경첩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연결힌지가 형성된 연결링크대에 의해 중앙의 댐퍼축이 회전하면 나머지 블레이드와 연결된 연결힌지에 의해서 회전지지축이 따라서 회전하게 되는 구조이다. 즉, 배연댐퍼는 중앙의 댐퍼축이 회전하는 경우, 마치 도미노 현상과 같이 연결링크대상에서 중앙의 댐퍼축과 연결된 연결힌지에 의해 연쇄적으로 좌우의 나머지 연결힌지들이 움직여 배연댐퍼의 블레이드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원리로 작동하는 배연댐퍼는, 배연댐퍼의 중앙의 댐퍼축이 배연댐퍼 개폐장치 내에 장착되어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기밀하게 닫힘상태로 고정시켜 배연덕트에 설치한 후에, 초기 전원 투입시 배연댐퍼에 장착된 배연댐퍼 개폐장치에 의해 회전 운동하게 된다. 이때, 블레이드가 열렸다가 닫히면서 배연댐퍼 구조의 특성상 및 사용상 발생되는 블레이드 누기틈새의 결함으로 인해 블레이드간의 닫힘상태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고층 빌딩 내의 제연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연댐퍼의 중앙의 댐퍼축과 회전지지축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회전지지축과 연결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중앙의 댐퍼축의 움직임으로만 조절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배연댐퍼 자체의 기계적인 유격이 생겨 근원적으로 3~5%의 누기틈새를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연댐퍼는 연기나 유해가스를 배기하기 위하여 작동시 수평적으로 흡입하여 흡입 집중도가 현저히 낮아져 배기 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연댐퍼는 화재 발생에 국한하여 연기와 유독가스를 배기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일상생활에서 활용하지 못하는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1. 등록번호 제10-0884890호 (화재시 배연의 기능성을 발휘하는 실내환기시스템) 2. 등록번호 제20-0195917호 (휀이 부설된 배연 댐퍼장치) 3. 등록번호 제20-0419490호 (배연댐퍼)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화재로 인한 건물 내 정전 및 단전 상황에서도 축전지를 통한 전원공급 작동으로 화재 연기와 유독가스를 실시간으로 배기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된 건물 실내 공간내의 화재 연기와 유독가스를 체크하여 실시간 상황에 따라 다른 동작을 시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부를 벤츄리관 형태로 형성하여 화재 연기와 유독가스의 흡입량 및 유동속도를 증대시켜 배기 효율을 최대치로 발휘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모듈을 형성하여 실시간으로 화재감지 상황을 체크하여 신호발생시 즉각적으로 기존 소화전, 119센터 및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하는 연기감지센서나 열감지센서의 작동시 연동하는 소리나 경광등으로 화재 여부를 신호하는 소화전, 상기 소화전에 신호적으로 연결되며 건물의 내부 천장이나 상부 벽면에 설치하는 국부센서부, 상기 건물의 내부 천장이나 상부 벽면에 설치하는 산소량센서, 상기 소화전과 국부센서부 및 산소량센서와 신호적으로 연결되며, 건물에 공급되는 전원을 축전지에 충전하여 화재 발생으로 건물 내 전원 차단 상황에서도 국부센서부의 감지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하고, 화재로 인한 실내 공간의 연기 배기 및 실내 공기를 함께 배기하여 산소량 감소시켜 화재의 확산방지와 제압을 위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건물의 벽면이나 창호에 설치하는 배연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국부센서부는 배연기가 설치되는 건물의 공간에 연기감지센서 및 열감지센서, 냄새센서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산소량센서는 배연기가 설치된 실내공간 내의 산소량 변화를 체크하여 비 화재시에는 환기를 위해 소화전과 화재 연동신호를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배연기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산소량센서는 배연기가 설치된 실내공간에서 화재 발생시 국부센서부의 신호가 감지되면 산소량 변화를 통해 배기연의 작동 제어 및 배기 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연기는 건물의 벽면이나 창호에 설치를 위해 통 형상으로 형성하며 전방에는 보호망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작동시 개방되고 비 작동시 폐쇄되는 개폐플립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앙에는 휀(54:Fan)에 회전축 방식으로 직접 연결하거나 벨트 방식으로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케이스에는 탈부착하여 교체가능하도록 하는 축전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화재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나팔 형태로 형성하는 흡입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에는 국부센서부 및 산소량센서와 신호적으로 연결하는 통신모듈을 형성하여, 상기 국부센서부 및 산소량센서에서 화재 감지신호가 전달되거나 국부센서부 및 산소량센서의 감지신호로 인해 배연기가 작동하면 관리자나 관리사무소 및 119 소방서로 화재신호를 발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연기에는 고유 설정번호를 부여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화재발생 신호를 전달 받을 경우 화재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로 인한 건물 내 정전 및 단전 상황에서도 축전지를 통한 전원공급 작동으로 화재 연기와 유독가스를 실시간으로 배기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설치된 건물 실내 공간내의 화재 연기와 유독가스를 체크하여 실시간 상황에 따라 다른 동작을 시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흡입부를 벤츄리관 형태로 형성하여 화재 연기와 유독가스의 흡입량 및 유동속도를 증대시켜 배기 효율을 최대치로 발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통신모듈을 형성하여 실시간으로 화재감지 상황을 체크하여 신호발생시 즉각적으로 기존 소화전, 119센터 및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연기의 전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연기의 후방 사시도,
도 5에서 도면 a는 배연기의 배면도, 도면 b는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연시스템이 창호에 설치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연시스템이 벽면에 설치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연시스템이 컨테이너 시설에 설치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연시스템이 공조덕트에 설치된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의 화재 및 비화재, 환기를 위한 작동순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은 건물내에 설치된 소화전(10)과 연결되고, 감지를 위한 실내 공간 내에 설치하는 국부센서부(20), 산소량을 체크하는 산소량센서(30), 건물내의 공급 전기을 축전하는 축전지(40), 상기 축전지(40)나 건물에서 직접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배연기(50)로 축전식배연시스템(100)을 구성한다.
상기 축전식배연시스템(100)은 건물에 설치하는 연기감지센서(11)나 열감지센서(12)의 작동시 연동하는 소리나 경광등으로 화재 여부를 신호하는 소화전(10)과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소화전(10)에 신호적으로 연결되며 건물의 내부 천장이나 상부 벽면에 설치하는 국부센서부(2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국부센서부(20)는 배연기(50)가 설치되는 건물의 공간에 국부연기감지센서(21) 및 국부열감지센서(22), 냄새센서(23)를 조합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건물의 공간 사용 특성에 따라 알맞은 센서를 선택하여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건물의 내부 천장이나 상부 벽면에 설치하는 산소량센서(30)를 형성한다.
상기 국부센서부(20)와 산소량센서(30)는 건물의 실내공간 천장 중앙이나 실내공간 코너나 화재발생 가능성 큰 휘발성 물질이나 가연성 물질을 많이 취급하는 부분, 전열용품이나 발화가 쉽게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 근접하게 설치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산소량센서(30)는 배연기(50)가 설치된 실내공간 내의 산소량 변화를 체크하여 비 화재시에는 환기를 위해 소화전(10)과 화재 연동신호를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배연기(5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산소량센서(30)는 배연기(50)가 설치된 실내공간에서 화재 발생시 국부센서부(20)의 신호가 감지되면 산소량 변화를 통해 배연기(50)의 작동 제어 및 배기 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소화전(10)과 국부센서부(20) 및 산소량센서(30)와 신호적으로 연결되며, 건물에 공급되는 전원을 축전지(40)에 충전한다.
상기 축전지(40)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으로 건물 내 전원 차단 상황에서도 국부센서부(20)의 감지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하고, 화재로 인한 실내 공간의 연기 배기 및 실내 공기를 함께 배기하여 산소량 감소시켜 화재의 확산방지와 제압을 위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건물의 벽면이나 창호에 설치하는 배연기(5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배연기(50)는 건물의 벽면이나 창호에 설치를 위해 통 형상으로 형성하며 전방에는 보호망(51)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작동시 배기 풍력에 의해 개방되고 비 작동시 폐쇄되는 개폐플립(52)을 형성하는 케이스(53)를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53)의 중앙에는 휀(54:Fan)에 회전축 방식으로 직접 연결하거나 벨트(55) 또는 체인(56) 방식으로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모터(57)를 형성한다.
즉, 상기 개폐플립(52)의 상부 양 끝단은 케이스(53)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하부는 고정되지 않는 구조로 휀(54)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풍력에 의해 개폐플립(52)이 회전되어 개방되고 휀(54)이 정지되면 자체하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닫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휀(54)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모터(57)와 직접 축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서는 화재가 발생하면 높은 온도의 열기가 발생되어 축 연결 방식을 이용할 경우 모터(57)가 열기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53)의 내측 일측에 설치하여 벨트(55)나 체인(56)방식으로 휀(54)과 연결하여 휀(54)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3)에는 탈부착하여 교체가능하도록 하는 축전지(40)를 형성하는데, 상기 축전지(40)는 건물의 실내나 실외에 위치하도록 케이스(53)에서 해체 및 조립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축전지(40)는 케이스(53)에 조립시 단자(53a)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단자(53a)는 모터(57)와 연결되며, 축전지(40)는 건물내로 유입되는 전원부와 연결하여 설치한다.
상기 케이스(53)의 전면에 화재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나팔 형태로 형성하는 흡입구(58)를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53)의 일 측에는 화재시 알림하는 배연비상벨(59)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케이스(53)는 사각 형태로 제작하는 것으로 전방케이스(53b)와 후방케이스(53c)로 형성되며 전방케이스(53b)에는 보호망(51)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망(51)을 감싸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실내측으로는 직경이 크고 휀(54)측으로는 직경이 작아지는 흡입구(58)를 형성한다.
즉, 상기 배연비상벨(59)은 흡입구(58)에 간섭되지 않는 전방케이스(53b)의 전방면 일측에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후방케이스(53c)의 내측에는 모터(57)이 고정되면 외면 일측에는 축전지(40)가 설치되는 단자(53a)가 형성되고 개폐플립(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3)에는 국부센서부(20) 및 산소량센서(30)와 신호적으로 연결하는 통신모듈(60)을 형성한다.
상기 국부센서부(20) 및 산소량센서(30)에서 화재 감지신호가 전달되거나 국부센서부(20) 및 산소량센서(30)의 감지신호로 인해 배연기(50)가 작동하면 관리자나 관리사무소 및 119 소방서로 화재신호를 발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통신모듈(60)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를 이용하거나 웹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배연기(50)에는 고유 설정번호를 부여하여 통신모듈(60)을 통해 화재발생 신호를 전달받을 경우 화재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가능한 것으로, 통신모듈(60)에 고유번호를 설정 부여하여 건물의 주소나 층수, 호실을 정확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전식배연시스템(100)의 배연기(50)는 여러 형태로 설치가능한데 크게 창호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경우와 건물의 외벽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데, 상기 배연기(50)는 실내측으로 흡입구(58)를 향하고 개폐플립(52)은 실외측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배연기(50)를 창호에 설치할 경우에는 창호의 상부측 유리를 일부분 제거한 후 케이스(53)를 삽입하여 고정 설치하거나, 창호의 창문을 케이스(53)가 삽입가능한 면적으로 개방시킨 다음 창호틀에 케이스(53)를 고정하여 설치한 후 창호의 개폐된 여분 공간은 수납장이나 폐쇄기구를 이용하여 차단한다.
아울러, 상기 배연기(50)를 건물의 외벽에 설치할 경우 외벽에 케이스(53)가 삽입될 크기의 설치홀을 형성한 다음 케이스(53)를 설치 고정한다.
이때, 상기 배연기(50)의 케이스(53)에는 축전지(40)를 설치하고 후 소화전(10)과 신호적으로 연결하는데 상시 전원은 건물에 공급되는 전원공급수단과 연결하거나 소화전(10)으로부터 공급받도록 연결한다.
이후, 건물의 공간 특히 천정에 연기감지센서(11) 및 열감지센서(12), 냄새센서(23)로 조합되는 국부센서부(20)와 산소량센서(30)를 소화전(10)와 축전지(40)내에 설치된 제어부(41)와 전기 신호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축전지(40)에는 국부센서부(20)와 산소량센서(30) 및 소화전(10), 배연비상벨(59)간의 전원의 공급 및 차단 제어 및 작동 제어를 하는 제어부(41)를 이용하여 작동하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배연기(50)의 케이스(53) 일 측에 통신모듈(60)을 설치 후 관리자나 소방센터, 관리프로그램과 통신으로 연동하도록 설정하며 각 축전지(40)의 제어부(41)를 통해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여 축전식배연시스템(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배연기(50)는 개폐플립(52)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모터(57)에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축전식배연시스템(100)을 설치 후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 감지 과정에 따라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작동 조건은 공통적으로 배연기(50)가 작동할 경우 관리자나 소방센터에 통신모듈(60)을 통해 비 화재시 작동 상태와 화재시 작동 상태 여부를 실시간 통신으로 전달한다.
1. 비 화재 상황에서의 축전식배연시스템(100)의 작동은 소화전(10)이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축전지(40)에 전기를 공급받아 축전하며 완충할 경우 충전을 멈추고 충전률이 감소 될 경우 재충전하며, 산소량센서(30)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실내공기에 설정된 값보다 산소량이 부족할 경우 개폐플립(52)을 개방하는 동시에 모터(57)를 작동시켜 휀(54)을 회전시켜 실내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실내공기를 순환하는 정화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축전식배연시스템(100)의 작동은 소화전(10)에서 감지된 화재신호가 제어부(41)로 전달되어 배연기(50) 및 배연비상벨(59)를 작동시키도록 작동하며, 국부센서부(20)통해 화재가 감지되면 제어부(41)로 전달되어 배연기(50)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소화전(10)으로 전달하여 소화전(10)에 설치된 비상벨을 작동시켜 알림한다.
그리고, 화재로 인한 건물 전기장치 소실로 단전이 되면 제어부(41)에서 전기 공급의 차단을 감지하여
2. 화재의 상황에서 화재 현장에 설치된 배연기(50)는 소화전(10)을 통해 신호를 전달받아 개폐플립(52)을 개방하는 동시에 모터(57)를 작동시켜 휀(54)을 회전으로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와 유독가스를 건물 외부로 신속하게 배기한다.
3. 화재로 인하여 국부센서부(20)의 연기감지센서(11) 및 열감지센서(12), 냄새센서(23) 중 하나 또는 산소량센서(30)에서 화재로 인하여 산소량이 설정된 값 이하로 급격히 감소되는 현상이 감지될 경우 축전지(40)의 제어부(41)에 신호를 전달하여 개폐플립(52)을 개방하는 동시에 모터(57)를 작동시켜 휀(54)을 설정된 최대회전수로 회전시켜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와 유독가스를 건물 외부로 신속하게 배기한다.
이때, 화재로 인한 연기나 유독가스는 나팔 형태의 흡입구(58)를 통해 입구쪽에서는 압력은 높되 유동 속도는 느리지만 휀(54)쪽으로 진행할수록 작아지는 직경에 의해 압력은 낮아지되 유동 속도는 빨라져 휀(54)의 흡입력과 함께 배기력이 증대되어 빠르게 연기나 유독가스를 배기하는 것이다.
아울러, 화재가 소멸되거나 진압된 후 소화전(10)을 통한 화재신호나 국부센서부(20)를 통한 화재신호가 더 이상 송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소화전(10)을 통한 알림 멈춤과 휀(54)과 배연비상벨(59)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본 발명의 축전식배연시스템(100)은 기숙사, 원룸, 오피스텔, 고시원, 학원, 모텔, 호텔, 아파트 등의 주거용 건물이나 각종 건축물생활공간 또는 선박 및 항공기 열차에 설치가능하며 실내 공간면적에 따라 배연기(50)의 배기 용량이나 크기를 변화시켜 설치하여 사용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축전식배연시스템(100)은 특히 실내 공간이 작은 컨테이너로 제작하여 사무실, 숙소, 기숙사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시설에 적용하여 사용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축전식배연시스템(100)은 대형 빌딩과 같은 곳에 환기를 위해 설치한 실내공간과 외부(옥상)으로 연결한 공조덕트에 배연기(50)를 설치하여 화재로 인한 연기 및 유독가스를 배기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실내공간의 면적에 따라 배연기(50)를 여러 개소에 설치하여 배기용량을 조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축전식배연시스템(100)은 작은 공간에 큰 비용 없이 개별적으로 설치함으로서 화재 연기로 인한 질식 원인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내부 산소(공기)도 같이 배기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동시에 화재의 범위를 최소로 국지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축전식배연시스템(100)은 국부센서부(20)를 이용하여 화재 신호의 감지를 통한 화재신호를 건물 내의 소화전(10)으로 전달하여 비상벨과 동시에 배연기(50)의 케이스(53) 일 측에 형성된 배연비상벨(59)을 작동시켜 화재발생을 신속하게 알려서 내부에 있는 거주자들이 빠른 시간내에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알림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소화전 11 : 연기감지센서
12 : 열감지센서 20 : 국부센서부
21 : 국부연기감지센서 22 : 국부열감지센서
23 : 냄새센서 30 : 산소량센서
40 : 축전지 41: 제어부
50 : 배연기 51 : 보호망
52 : 개폐플립 53 : 케이스
53a : 단자 53b : 전방케이스
53c : 후방케이스 54 : 휀(Fan)
55 : 벨트 56 : 체인
57 : 모터 58 : 흡입구
59 : 배연비상벨 60 : 통신모듈
100 : 축전식배연시스템

Claims (7)

  1. 건물에 설치하는 연기감지센서(11)나 열감지센서(12)의 작동시 연동하는 소리나 경광등으로 화재 여부를 신호하는 소화전(10),
    상기 소화전(10)에 신호적으로 연결되며 건물의 내부 천장이나 상부 벽면에 설치하는 국부센서부(20),
    상기 건물의 내부 천장이나 상부 벽면에 설치하는 산소량센서(30),
    상기 소화전(10)과 국부센서부(20) 및 산소량센서(30)와 신호적으로 연결되며, 건물에 공급되는 전원을 축전지(40)에 충전하여 화재 발생으로 건물 내 전원 차단 상황에서도 국부센서부(20)의 감지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하고, 화재로 인한 실내 공간의 연기 배기 및 실내 공기를 함께 배기하여 산소량 감소시켜 화재의 확산방지와 제압을 위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건물의 벽면이나 창호에 설치하는 배연기(5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센서부(20)는 배연기(50)가 설치되는 건물의 공간에 국부연기감지센서(21) 및 국부열감지센서(22), 냄새센서(23)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량센서(30)는 배연기(50)가 설치된 실내공간 내의 산소량 변화를 체크하여 비 화재시에는 환기를 위해 소화전(10)과 화재 연동신호를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배연기(5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량센서(30)는 배연기(50)가 설치된 실내공간에서 화재 발생시 국부센서부(20)의 신호가 감지되면 산소량 변화를 통해 배연기(50)의 작동 제어 및 배기 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연기(50)는 건물의 벽면이나 창호에 설치를 위해 통 형상으로 형성하며 전방에는 보호망(51)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작동시 배기 풍력에 의해 개방되고 비 작동시 폐쇄되는 개폐플립(52)을 형성하는 케이스(53),
    상기 케이스(53)의 중앙에는 휀(54:Fan)에 회전축 방식으로 직접 연결하거나 벨트(55) 또는 체인(56) 방식으로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모터(57),
    상기 케이스(53)에는 탈부착하여 교체가능하도록 하는 축전지(40),
    상기 케이스(53)의 전면에 화재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나팔 형태로 형성하는 흡입구(58),
    상기 케이스(53)의 일 측에는 화재시 알림하는 배연비상벨(59)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3)에는 국부센서부(20) 및 산소량센서(30)와 신호적으로 연결하는 통신모듈(60)을 형성하여,
    상기 국부센서부(20) 및 산소량센서(30)에서 화재 감지신호가 전달되거나 국부센서부(20) 및 산소량센서(30)의 감지신호로 인해 배연기(50)가 작동하면 관리자나 관리사무소 및 119 소방서로 화재신호를 발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연기(50)에는 고유 설정번호를 부여하여 통신모듈(60)을 통해 화재발생 신호를 전달 받을 경우 화재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KR1020180076869A 2018-07-03 2018-07-03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KR10211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869A KR102117090B1 (ko) 2018-07-03 2018-07-03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869A KR102117090B1 (ko) 2018-07-03 2018-07-03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989A true KR20200003989A (ko) 2020-01-13
KR102117090B1 KR102117090B1 (ko) 2020-05-29

Family

ID=6915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869A KR102117090B1 (ko) 2018-07-03 2018-07-03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72U (ko) * 2020-01-22 2021-07-30 허성범 창 배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917Y1 (ko) 2000-03-09 2000-09-15 엄재현 휀(fan)이 부설된 배연(排煙) 댐퍼(damper)장치
KR200419490Y1 (ko) 2006-04-07 2006-06-21 유병학 배연댐퍼
JP2007219791A (ja) * 2006-02-16 2007-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火災警報器
KR100884890B1 (ko) 2007-08-20 2009-02-23 임병국 화재시 배연의 기능성을 발휘하는 실내 환기시스템
KR20090070262A (ko) * 2007-12-27 2009-07-01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조 및 배연기능을 겸비한 하이브리드 광덕트시스템 및그의 제어방법
KR20160136856A (ko) * 2015-05-21 2016-11-30 최낙훈 화재 경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917Y1 (ko) 2000-03-09 2000-09-15 엄재현 휀(fan)이 부설된 배연(排煙) 댐퍼(damper)장치
JP2007219791A (ja) * 2006-02-16 2007-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火災警報器
KR200419490Y1 (ko) 2006-04-07 2006-06-21 유병학 배연댐퍼
KR100884890B1 (ko) 2007-08-20 2009-02-23 임병국 화재시 배연의 기능성을 발휘하는 실내 환기시스템
KR20090070262A (ko) * 2007-12-27 2009-07-01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조 및 배연기능을 겸비한 하이브리드 광덕트시스템 및그의 제어방법
KR20160136856A (ko) * 2015-05-21 2016-11-30 최낙훈 화재 경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72U (ko) * 2020-01-22 2021-07-30 허성범 창 배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090B1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890B1 (ko) 화재시 배연의 기능성을 발휘하는 실내 환기시스템
KR101610281B1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KR101638152B1 (ko) 스마트 화재예방 및 대응 시스템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JP6189404B2 (ja) 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および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の使用方法
KR101453485B1 (ko)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KR20100128779A (ko) 방화용 대피실
KR20080027012A (ko)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61449B1 (ko)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된 배기팬
CN102296863B (zh) 楼房防火救生间
KR102117090B1 (ko)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CN111735162B (zh) 一种住宅卫生间多用途调风、火灾避难装置
CN201276861Y (zh) 一种安全屋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CN211081587U (zh) 一种能够防止火势快速蔓延的防火门
KR200433050Y1 (ko)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KR101549219B1 (ko) 측면 가이드가 구비된 방연용 에어커튼 장치
WO2018182362A1 (ko)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KR100804381B1 (ko) 제연 환기시스템
KR102324886B1 (ko) 실내공간 화재 발생에 의한 유독가스 및 화재연기 배연 구조를 갖는 환기장치 및 제어방법
CN212730761U (zh) 一种室内灭火喷淋系统
CN112459681A (zh) 一种具备阻隔有害气体流通功能的高阻燃钢木质防火门
KR102654161B1 (ko) 소화기와 일체로 제작된 자동 개폐 가능한 전동 루버
KR102240700B1 (ko) 실내의 유독가스 절감시스템
KR200353393Y1 (ko) 다기능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