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706B1 -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706B1
KR101314706B1 KR1020110014204A KR20110014204A KR101314706B1 KR 101314706 B1 KR101314706 B1 KR 101314706B1 KR 1020110014204 A KR1020110014204 A KR 1020110014204A KR 20110014204 A KR20110014204 A KR 20110014204A KR 101314706 B1 KR101314706 B1 KR 101314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mergency escape
buffer
escape device
evac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752A (ko
Inventor
구성회
Original Assignee
구성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성회 filed Critical 구성회
Priority to KR1020110014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7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상층에서 화재 또는 비상상황 발생시 다수의 대피자가 하강부를 통해 건물 하층으로 연속적으로 하강하여 대피하므로 긴박한 상황에서도 대기시간없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건물 외벽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하강부를 통해 건물 하층으로 하강하므로 건물 외벽이나 간판, 발코니, 창문 등의 설치물과 충돌하지 않으면서 대피자의 하중을 완충부가 완충시킴으로써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강부에 도난방지부를 장착하여 절도범의 침입을 방지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탈출장치{Emergency Evacu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또는 비상상황 발생시 다수의 대피자들이 건물 외부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탈출장치로 많이 쓰이는 완강수단 즉, 완강기는 아파트, 호텔, 병원 등과 같은 건물의 화재 및 비상상황 발생시 계단을 사용하기 곤란할 경우 창문이나 베란다 등의 외부로 통하는 부근에 설치되어 대피자의 자중에 의해 하강로프장치로 서서히 내려오게 하는 안전피난기구이다.
즉, 완강기는 화재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출입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대피하지 못할 경우 창문 또는 베란다에 설치되어 대피자를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별도의 조작없이 가슴에 안전벨트를 조이고 하강하면 자중에 의해 건물의 하부로 대피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상탈출장치는, 대피 공간에 복수의 대피자가 존재할 경우, 한 명의 대피자가 탈출을 완료한 후 다시 다른 대피자가 상기 완강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완강기의 하강완료 후, 안전벨트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나머지 대피자들의 연속적이고 신속한 탈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로프를 이용하여 건물의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람 등에 의해 로프가 흔들리거나 하는 경우 대피자가 건물의 외벽이나 간판, 발코니, 창문 등과 같은 설치물에 충돌하게 되어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의 상층에서 화재 또는 비상상황 발생시 다수의 대피자가 하강부를 통해 건물 하층으로 연속적으로 하강하여 대피하므로 긴박한 상황에서도 대기시간없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외벽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하강부를 따라 건물 하층으로 하강하므로 건물 외벽이나 간판, 발코니, 창문 등의 설치물과 충돌하지 않으면서 대피자의 하중을 완충부가 완충시킴으로써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강부에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절도범의 침입을 방지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 또는 비상상황 발생시 건물 외부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비상탈출장치로서,
상기 건물에 설치되어 대피자가 건물 상층에서 하층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하강부와;
상기 건물 상층으로부터 하강하는 대피자의 하중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를 감싸 보호하면서 지지부에 고정되는 보호부와;
상기 하강부와 완충부를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상층에서 화재 또는 비상상황 발생시 다수의 대피자가 하강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하강하여 대피하므로 긴박한 상황에서도 대기시간없이 다수의 대피자를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외벽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하강부를 통해 건물 하층으로 하강하므로 건물 외벽이나 간판, 발코니, 창문 등의 설치물과 충돌하지 않으면서 대피자의 하중을 완충부가 완충시킴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강부에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절도범의 침입을 방지함으로써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화재 또는 비상상황 발생시 건물(C) 외부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비상탈출장치(100)로서, 상기 건물(C)에 설치되어 대피자가 건물(C) 상층에서 하층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하강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건물(C) 상층으로부터 하강하는 대피자의 하중을 완충시키는 완충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완충부(120)를 감싸 보호하면서 지지부(140)에 고정되는 보호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하강부(110)와 완충부(120)를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부(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강부(110)는 상기 지지부(140)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완충부(120)보다 높게 형성되는 제 1봉체(11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봉체(111)에 결합되어 상부가 절곡되는 제 2봉체(112)가 구비되며, 상기 제 2봉체(112)를 건물(C)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120)는, 대피자의 하중을 탄력있게 완충시키는 완충부재(121)가 구비되고, 상기 하강부(1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대피자의 하강시 발디딤 역할을 하는 디딤판(12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보호부(130)는, 상기 완충부(120)와 지지부(140)에 고정되어 완충부(120)의 완충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보호외피(131)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외피(131)의 하부에 완충부(120)의 완충시 공기가 흡.배기되는 통공(132)이 구비된다.
상기 보호외피(131)는 자바라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물(C) 2층 높이의 하강부(110)에 장착되어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건물(C)의 상층과 하층을 연통하도록 형성된 대피공(C')에 비상탈출장치(100')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비상탈출장치(100)의 설치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C) 외벽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지지부(140)를 위치시킨다.
상기 지지부(140)는 지면을 평탄화한 후 안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지지부(140)의 하부를 일부 매설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140)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봉체(111)를 고정시키되, 상기 제1봉체(111)는 완충부(1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봉체(111)에는 대피자의 하중을 완충시키는 약할을 하는 완충부재(121)를 끼워 지지부(140)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완충부재(121)의 상부에는 건물(C)의 상부에서 하강하는 대피자가 발을 디딜 수 있게 디딤판(122)의 관통공(122')을 제 1봉체(111)에 결합한다.
상기 완충부(120)의 디딤판(122) 상면에 보호부(130)의 보호외피(131)를 고정시켜 감싼 상태에서, 보호외피(131)의 하단부를 지지부(140)의 상면에 밀착시켜 스크류(S)로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부(140)에 고정된 제 1봉체(111)에는 상부가 직각으로 절곡된 제 2봉체(112)가 결합되어 스크류(S)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가 절곡된 제 2봉체(112)의 단부는 건물(C) 외벽에 밀착되어 고정부재(113)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113)는 앵커볼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물(C) 2층 높이의 하강부(110)에는 절도범이 하강부(110)를 타고 건물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난방지부(150)가 장착될 수도 있으며, 각 층별로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도난방지부(150)는 통상의 센서부로서, 절도범이 하강부(110)를 타고 건물(C) 상층으로 올라올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울리게 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비상탈출장치(100)는, 5층 이하의 건물(C)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간판, 발코니, 창문 등에 간섭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화재 또는 비상상황 발생시 건물(C)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C)의 상층, 즉 대피자가 건물(C) 외부로 떨어져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층에서 화재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피자는 먼저, 비상탈출장치(100)가 설치된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해야한다.
상기 비상탈출장치(100) 옆으로 이동한 대피자는 발코니 또는 창문 등을 통해서 하강부(110)의 제 2봉체(112)가 몸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여 손으로 감싼 후 하강하게 된다.
상기 대피자가 건물(C) 하층으로 신속하게 하강하게 되면, 대피자의 발은 보호외피(131)가 고정된 디딤판(122)에 착지하게 된다.
이때, 완충부재(121)는 대피자의 하중과 가속력에 의해 압축됨과 신장됨을 반복하면서 대피자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됨과 동시에 보호외피(131) 내부의 공기는 통공(132)을 통해 흡입 및 배출되며, 상기 완충부재(121)의 신축작용시 보호외피(131)도 자바라 모양으로 접혀짐과 펴짐을 반복하게 된다.
하강이 완료된 대피자는 디딤판(122)에서 지면으로 내려오게 되고, 건물 상층에 위치한 또 다른 대피자들도 하강부(110)를 통해 연속적으로 하강함으로써 촉박한 시간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대피자가 대기시간 없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비상탈출장치(100)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C)의 외부가 아닌 건물(C)의 내부에 비상탈출장치(1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건물(C)의 상층과 하층을 수직으로 연통하는 대피공(C')이 형성되며, 상기 대피공(C')에는 수직으로 하강부(110)가 설치되며, 상기 하강부(110)의 하부에는 완충부(120)와 보호부(130) 및 건물의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140)로 이루어진 비상탈출장치(10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비상탈출장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 또는 비상상황 발생시 대피자는 비상탈출장치(100')가 설치된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해야한다.
상기 비상탈출장치(100') 옆으로 이동한 대피자는 하강부(110)의 제 2봉체(112)가 몸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여 손으로 감싼 후 건물(C)의 하층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대피공(C')에는 평상시에는 폐쇄되고 비상시에는 개방이 가능하도록 개폐판(C")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대피공(C')에 수직으로 설치된 하강부(110)를 통해 대피하는 대피자는 대기시간없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건물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비상탈출장치 110: 하강부
111: 제 1봉체 112: 제 2봉체
113: 고정부재 120: 완충부
121: 완충부재 122: 디딤판
130: 보호부 131: 보호외피
132: 통공 140: 지지부
150: 도난방지부

Claims (7)

  1. 화재 또는 비상상황 발생시 건물 외부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비상탈출장치로서,
    상기 건물에 설치되어 대피자가 건물 상층에서 하층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하강부와;
    상기 건물 상층으로부터 하강하는 대피자의 하중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를 감싸 보호하면서 지지부에 고정되는 보호부와;
    상기 하강부와 완충부를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건물 2층 높이의 하강부에 장착되어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강부는,
    상기 지지부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완충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제 1봉체와;
    상기 제 1봉체에 결합되어 상부가 절곡되는 제 2봉체와;
    상기 제 2봉체를 건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완충부는,
    대피자의 하중을 탄력있게 완충시키는 완충부재와;
    상기 하강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대피자의 하강시 발디딤 역할을 하는 디딤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보호부는,
    상기 완충부와 지지부에 고정되어 완충부의 완충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보호외피와;
    상기 보호외피의 하부에 완충부의 완충시 공기가 흡.배기되는 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호외피는 자바라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상층과 하층을 연통하도록 형성된 대피공에 비상탈출장치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장치.
KR1020110014204A 2011-02-17 2011-02-17 비상탈출장치 KR101314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204A KR101314706B1 (ko) 2011-02-17 2011-02-17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204A KR101314706B1 (ko) 2011-02-17 2011-02-17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752A KR20120094752A (ko) 2012-08-27
KR101314706B1 true KR101314706B1 (ko) 2013-10-07

Family

ID=4688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204A KR101314706B1 (ko) 2011-02-17 2011-02-17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011B1 (ko) * 2015-03-06 2017-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상탈출장치
CN110201322A (zh) * 2019-05-09 2019-09-06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活动板房逃生杆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03U (ja) * 1991-05-31 1994-04-12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垂直シュータ
KR200385813Y1 (ko) * 2005-03-22 2005-06-02 윤재철 유희용 점프 운동발판
KR200423386Y1 (ko) * 2006-05-04 2006-08-07 권준형 미끄럼봉 안전발판
KR20060109400A (ko) * 2006-09-06 2006-10-20 남주희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03U (ja) * 1991-05-31 1994-04-12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垂直シュータ
KR200385813Y1 (ko) * 2005-03-22 2005-06-02 윤재철 유희용 점프 운동발판
KR200423386Y1 (ko) * 2006-05-04 2006-08-07 권준형 미끄럼봉 안전발판
KR20060109400A (ko) * 2006-09-06 2006-10-20 남주희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752A (ko) 201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782139B1 (ko)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099760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JP2008014112A (ja) 津波避難装置
KR101314706B1 (ko) 비상탈출장치
KR100927317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1317330B1 (ko) 비상탈출장치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771711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CN211169414U (zh) 住宅外加装电梯的结构
KR200425298Y1 (ko) 긴급대피용 탈출장치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CN201794234U (zh) 防爬防护栏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2467543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RU23055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с высо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KR20110087572A (ko)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200466838Y1 (ko) 긴급 대피용 구조기구
KR100905490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KR20110083820A (ko)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