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033A - 고층건물 피난장치 - Google Patents
고층건물 피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60033A KR20090060033A KR1020070127168A KR20070127168A KR20090060033A KR 20090060033 A KR20090060033 A KR 20090060033A KR 1020070127168 A KR1020070127168 A KR 1020070127168A KR 20070127168 A KR20070127168 A KR 20070127168A KR 20090060033 A KR20090060033 A KR 200900600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dder unit
- housing
- ladder
- upper cover
- rise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04F11/062—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fo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발코니 바닥에 해치형태로 매립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관통구멍 내에 설치되는 관상의 바디와, 일단이 바디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바디의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개별적으로 회동 개폐하는 상부 및 하부덮개를 갖는 하우징; 스텝구멍을 갖는 판상의 몸체 양 측단에 관상의 결합가이드를 각각 갖되, 각자가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되어 상호 중첩되도록 조립됨으로써 텔레스코픽 형태로 신축되는 다수의 사다리단위체와, 각 사다리단위체가 이웃하는 다른 사다리단위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최외측 사다리단위체의 자유단이 하우징의 일측 내벽에 힌지 연결됨과 함께 하우징의 하부덮개와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신축사다리유닛; 하우징의 바디 내부에 설치되고, 축소된 상태의 신축사다리유닛을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으로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키는 사다리로커;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되고, 수직으로 회동되어 신장된 신축사다리유닛의 최외측 사다리단위체를 탄성적으로 파지해주는 사다리홀더; 하우징의 상부덮개를 닫힌 상태로 고정하여 오(誤)개방을 방지하는 안전개방수단; 및 하우징의 상부덮개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에 알리는 경보수단;을 포함한다.
아파트, 긴급피난, 화재, 피난사다리, 발코니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에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위난이 발생한 경우 신속히 대피하기 위한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의 발코니(balcony) 바닥에 관통구멍을 뚫고 이에 해치(hatch) 형태로 매립 설치되어 위난 발생 시 바로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된 고층건물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에 화재 또는 기타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사실상 대피가 어려워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일정 층 이상의 건물에 대해서는 위난 시 탈출할 수 있는 비상탈출수단을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기도 하다.
대표적 비상탈출수단으로 완강기(緩降機)가 널리 채택되고 있으나, 이는 와이어로프(wire rope)에 의존하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하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대단히 어렵고 위험천만할 뿐만 아니라 탈출속도가 대단히 느 려 실제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아 실효성에 커다란 문제가 있다.
한편, 아파트를 비롯한 고층건물에는 화재발생시 그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화재발생위치 부근의 통로(복도)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화문(防火門)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바, 화재가 발생하면 비상계단을 통한 대피도 사실상 불가하여 화재지역에 그대로 고립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일반 주거용 아파트의 경우 호텔이나 사무용 빌딩 등 여타 고층건물과 달리 그나마 완강기 등의 비상탈출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탈출이 불가능하며, 오로지 소방용 고가사다리나 구조헬기 등에 탈출을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고가사다리는 그 신장높이에 한계가 있고 구조헬기는 주거 밀집지역인 화재지역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 인명피해가 커지는 것이다.
특히, 근래에는 건물의 높이가 수십 층에 달하는 초고층 아파트와 건물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바, 화재시 전술한 피난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인명피해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국내 등록특허 제0529859호 및 0481693호 등에는 예컨대 아파트의 발코니를 통해 바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발코니 난간에 피난사다리를 구비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화재지역의 바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게 하여 통상의 비상탈출수단인 완강기 등에 비해서는 비교적 신속하면서 위험수위를 낮추어 줄 수는 있지만, 피난사다리가 건물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피난도중 자칫 추 락의 우려도 전혀 배제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극심한 공포로 인해 탈출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본공개특허 평5-68719호와 국내등록특허 제0661605호, 제0447998호 및 제0725267호 등에는 아파트의 발코니 바닥에 비상탈출수단을 매립 설치하여 위난시 누구나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소위 "발코니 매립형 피난장치"들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들은 발코니 바닥에 해치상태로 설치되어 위난시 덮개를 열 경우 내부에 축소상태로 보관되어 있던 사다리수단이 아래층으로 신장됨으로써 실내에 비상탈출구를 제공해주는 것으로, 크게는 사다리수단의 구성에 다소의 차이가 있을 뿐 전체적인 작동 메카니즘(operating mechanism)에서는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탈출을 위해 상부덮개를 열면 하부덮개가 상부덮개와 연동하여 동시에 열리는 구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어린이 등이 호기심으로 상부덮개를 여는 등과 같이 잘못된 개방에도 하부덮개가 열리면서 사다리수단이 아래층으로 신장되어 위난 상황이 아님에도 사생활의 노출 등 아래층 주민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
둘째, 또한 실제 화재 시에는 위층 주민이 탈출한 뒤에도 개방된 상부 및 하부덮개를 닫을 수 없어 화재 진압을 위해 뿌려진 물이 개방된 피난장치의 통로를 통해 아래층으로 떨어져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발코니 매립 피난장치의 경우 실내 에 위치할 뿐 아니라 특히 방이나 거실을 발코니까지 확장한 경우도 많으므로 소방용수(消防用水)가 아래층으로 떨어질 경우 그 아래층에 상당한 피해를 주게 되는 것이다.
셋째, 위와 같은 오동작이 발생한 때 이를 감지하고 경보(alarm)할 수 있는 안전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상하층간 사생활 침해는 물론 자칫 범죄의 우려도 내포하고 있는 바, 여타 비상탈출수단에 비해 안전한 탈출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시공을 기피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넷째, 한편 일본공개특허 평5-68719호는 사다리수단이 팬터그래프(pantograph)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얇은 슬래브(slab)의 두께 내에 사다리수단을 접어서 보관하기 위해서는 사다리수단의 구성요소(element)들을 박(薄)형으로 구성할 수밖에 없어 구조적강도가 약하고 탈출 시 횡적유동이 커 불안감을 유발한다.
그리고 국내 등록특허 제0661605호의 경우 사다리수단이 로프를 그물(net) 형태로 엮은 것이기 때문에 탈출시 유동이 극심하여 안정감이 현저히 떨어지고 추락의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소방시설물로는 적합하지 않다.
특히, 이 기술은 화재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모터와 실린더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비상탈출수단의 덮개를 개방시키기 때문에 오작동에 의한 폐해의 우려가 매우 크다. 예컨대, 화재가 없음에도 감지기의 이상으로 잘못 개방되거나 또는 화재지역에 사람이 없어도 작동되어 아래층에 불필요하게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0725267호 및 제0447988호의 경우는, 비상탈출수단의 상부덮개가 개방되거나 또는 사다리수단이 펼쳐지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경보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하고 있기는 하나, 상부덮개를 개방할 시 하부덮개가 연동하여 동시에 열리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단순한 상부덮개의 잘못된 개방만으로 여전히 하부덮개가 열리면서 사다리수단이 아래층으로 펼쳐지게 되는 바, 여전히 아래층 주민에게 피해를 줄 소지가 다분하다.
특히 국내 등록특허 제0725267호는 사다리수단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신축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는 하지만, 여러 개의 사다리분체들이 상호 결합되는 큰 사다리분체의 안쪽, 즉 2개의 사이드바(side bar) 사이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구성인 바, 아파트의 층간높이를 감안하여 적어도 5∼6개의 분체들로 이루어져야 하는 구조상 아래로 내려갈수록 분체의 폭이 점차 줄어 최하측(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분체의 폭이 상당히 협소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급박한 탈출 상황에서 자칫 발을 헛디뎌 떨어질 우려도 없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아파트의 발코니 등 실내 바닥에 매립 설치되어 화재 등의 위난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음은 물론, 비(非)위난 시의 오(誤)개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개방 시에는 이를 즉각적으로 경보하여 외부에 알리고, 탈출 후에도 아래층에서 탈출구를 간편하게 차폐시킬 수 있어 아래층 주민에게 끼치는 피해를 최소화 함으로써 안심하고 시공할 수 있는 고층건물 피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구조를 취하는 사다리수단의 구조적강도가 우수하고 신장상태에서의 유동도 적어 안전한 탈출을 보장할 수 있는 고층건물 피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고층건물 피난장치는,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의 발코니 바닥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에 해치형태로 매립 설치되어 화재 등의 위난 시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게 해주는 피난장치로서,
관통구멍 내에 설치되는 관상의 바디와, 일단이 바디에 각각 힌지(hinge) 연결되어 바디의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개별적으로 회동 개폐하는 상부 및 하부덮개를 갖는 하우징; 스텝구멍(step hole)을 갖는 판상의 몸체 양 측단에 관상의 결합가이드를 각각 갖되, 각자가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되어 상호 중첩되도록 조립됨으로써 텔레스코픽 형태로 신축되는 다수의 사다리단위체와, 각 사다리단위체가 이웃하는 다른 사다리단위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최외측 사다리단위체의 자유단이 하우징의 일측 내벽에 힌지 연결됨과 함께 하우징의 하부덮개와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신축사다리유닛; 하우징의 바디 내부에 설치되고, 축소된 상태의 신축사다리유닛을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으로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키는 사다리로커(ladder locker);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되고, 수직으로 회동되어 신장된 신축사다리유닛의 최외측 사다리단위체를 탄성적으로 파지해주는 사다리홀더(ladder holder); 하우징의 상부덮개를 닫힌 상태로 고정하여 오(誤)개방을 방지하는 안전개방수단; 및 하우징의 상부덮개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에 알리는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신축사다리유닛의 최외곽 사다리단위체를 제외한 나머지 사다리단위체의 몸체 상단에 발판플랜지가 구비되어 탈출 시 발디딤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안전개방수단은, 하우징의 바디 내벽에 설치되는 걸림부재와, 안내장공을 구비하여 걸림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개방제한부재와, 하우징의 상부덮개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제한부재의 안내장공을 걸어주는 훅으로 이루어져, 상부덮개가 1차적으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만 개방되도록 제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하우징의 바디에 설치되고, 견인와이어가 신축사다리유닛의 최내측 사다리단위체 하단에 연결되어 신장된 신축사다리유닛을 축소시키는 윈치(winch)를 더 구비하여 위층에서 펼쳐진 신축사다리유닛을 간편하게 초기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하우징의 상부덮개를 예각으로 개방 유지시키고, 주위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부덮개를 자동으로 폐쇄시켜주는 자동도어폐쇄수단을 더 포함하여, 아래층이 입을 수 있는 피해를 최대한 차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에 화재와 같은 긴급위난이 발생할 시 매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바로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난발생 시 이를 즉각적으로 경보하여 외부(주변 및 재난관계기관 등)에 알려줌으로써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非)위난 시의 오(誤)개방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범죄의 우려로부터 안심하고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위난 시 탈출 후에도 아래층에서 탈출구를 간편하게 차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래층 주민에게 끼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신축구조를 취하는 사다리수단이 다수개의 판상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구조적강도가 우수함은 물론 신장상태에서는 견고하게 홀딩되므로 유동 또한 적어 안전한 탈출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바닥 매립형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신뢰성과 안전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4에서, 본 발명에 의한 고층건물 피난장치는, 상부 및 하부덮 개(12)(13)를 가지고 예를 들어 아파트의 발코니(B) 바닥에 해치형태로 매립 설치되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축소상태로 수용되어 위난 시 하방(아래층)으로 신장되는 신축사다리유닛(20)과, 이 신축사다리유닛(20)을 하우징(10) 내부에 수평상태로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키는 사다리로커(30)와, 신축사다리유닛(20)의 신장 시 이를 탄성적으로 파지해주는 사다리홀더(40)와, 하우징(10) 상부덮개(12)의 오개방을 방지하는 안전개방수단(50) 및 하우징(10) 상부덮개(12)의 개방 시 이를 감지하여 외부에 경보를 발하는 경보수단(6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발코니(B)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구멍(H) 내에 설치되는 사각 관(管)상의 바디(11)와, 이 바디(11)의 상부 및 하부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상부덮개(12)와 하부덮개(13)로 이루어진다. 상부 및 하부덮개(12)(13)는 바디(11)의 한쪽 상??하단에 각각 힌지(14a)(14b)로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개폐된다.
바디(11)의 일측 내벽(11a)에는 신축사다리유닛(20)을 장착하기 위한 2개의 스터드볼트(stud bolt:15)가 이격 설치되고, 상부덮개(12)의 내면에는 탈출 후 상부덮개(12)를 하부에서 닫기 위한 손잡이(16)가 구비된다.
상부덮개(12)는 바디(11)에 힌지(14a)만으로 연결되어 개방 시 완전히 젖혀져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기로는 탈출 후 상부덮개(12)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도록 일단이 상호 힌지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바디(11)의 내벽(11c)과 상부덮개(12)의 내면에 힌지 연결되는 1쌍의 링크(18)에 의해 적정 각도로 개방 유지된다.
신축사다리유닛(20)은 도5a 내지 도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되어 중첩되게 결합됨으로써 텔레스코픽 형태로 신축되는 다수의 사다리단위체(21)와, 서로 결합된 이웃하는 2개의 사다리단위체(21)들이 상호간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22)으로 이루어진다.
각 사다리단위체(21)는 스텝구멍(23a)을 갖는 판상의 몸체(23) 양측에 관상의 결합가이드(24)를 각각 구비한다. 이러한 사다리단위체(21)는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재의 양측을 절곡하여 결합가이드(24)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각 사다리단위체(21a∼21e)들은 최내측 사다리단위체(21e) 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점차 작아지는 크기를 갖지만, 모든 사다리단위체(21a∼21e)의 스텝구멍(23a)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바람직하기로 다수의 사다리단위체(21) 중 최외측 사다리단위체(21a)를 제외한 나머지 사다리단위체(21b∼21e)의 상단에는 탈출 시 스텝구멍(23a)에 대한 발디딤이 보다 용이하도록 발판플렌지(25)가 각각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들 발판플렌지(25)는 신축사다리유닛(20)의 신장 시 해당 사다리단위체(21)를 감싸는 다른 사다리단위체(21)의 스텝구멍(23a) 하단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이 경우, 최내측 사다리단위체(21e)의 스텝구멍(23a)에는 발판플렌지(25)가 구비되지 않는 바, 최내측 사다리단위체(21e)의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스텝구멍(23a)의 하단에 직접 발판플렌지(25a)를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와 같은 신축사다리유닛(20)은 하우징(10)의 바디(11)에 직접 장착 될 수도 있지만, 발코니(B)의 관통구멍(H)에 대한 하우징(10)의 매설과 유지보수의 용이성 등을 감안하여 별도의 고정브래킷(26)에 최외측 사다리단위체(21a)의 상단을 힌지 연결한 뒤, 이 고정브래킷(26)을 바디(11)의 스터드볼트(15)에 끼워 너트(15a)로 체결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를 위해 고정브래킷(26)에는 스터드볼트(15)와 손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대략 오뚜기 형상의 체결구멍(26a)을 갖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고정브래킷(26)에는 신장된 신축사다리유닛(20)을 축소시키기 위해 후술한 윈치(70)도 함께 장착되는 바, 최외측 사다리단위체(21a)의 고정단 쪽에는 윈치(70) 등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노치(notch)부(21f)가 형성된다.
이탈방지수단(22)은 각 사다리단위체(21)의 양측 결합가이드(24)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구멍(27)과, 각 사다리단위체(21)의 양측 결합가이드(24) 상단부 내측에 설치되어 결합가이드(24)를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스프링(28a)에 의해 탄성바이어스(elastic bias) 되는 로커(28)로 구성된다.
로커(28)는 신축사다리유닛(20)의 신장 시 해당 사다리단위체(21)를 감싸고 있는 다른 사다리단위체(21)의 걸림구멍(27)에 끼워짐으로써 상호 슬라이딩 결합된 2개의 사다리단위체(21)의 이탈을 방지한다.
로커(28)와 스프링(28a)은 케이싱(29)의 내부에 수용되어 결합가이드(24)내에 고정 설치되고, 로커(28)의 자유단쪽 상면은 신축사다리유닛(20)의 축소 시 걸 림구멍(27)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최외측 사다리단위체(21a)에는 결합가이드(24)에 걸림구멍(27)만 형성되고, 최내측 사다리단위체(21e)의 결합가이드(24)에는 로커(28)만 설치된다.
한편, 이와 같은 이탈방지수단(22)의 로커(28)로 인해 각 사다리단위체(21a∼21e)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될 경우 신축사다리유닛(20)이 축소된 상태에서 각 사다리단위체(21a∼21e)의 하단부가 순차적으로 돌출되게 되어 신축사다리유닛(20)의 축소높이가 커지게 되는 바, 바람직하기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최내측 사다리단위체(21e) 쪽으로 갈수록 각 사다리단위체(21a∼21e)의 높이가 로커(28)의 설치공간을 감안하여 일정길이씩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축소 시 각 사다리단위체(21a∼21e)의 하단이 모두 일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신축사다리유닛(20)은 하우징(10)의 하부덮개(13)와 일체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사다리로커(30)에 의한 신축사다리유닛(20)의 잠금과 동시에 하우징(10)의 하부덮개(13)도 닫히고 신축사다리유닛(20)의 신장 시에는 하우징(10)의 하부덮개(13)가 함께 개방된다.
이를 위해 신축사다리유닛(20)과 하우징(10)의 하부덮개(13)는 장공(17a)을 갖는 조정링크(17)를 통해 간격을 두고 일체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는 신축사다리유닛(20)과 하우징(10) 하부덮개(13)의 회전중심, 즉 하우징(10) 바디(11)에 힌지 연결되는 위치가 서로 상이한 바 이를 보정해주기 위함이다.
사다리로커(30)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바디(11) 내벽, 바람직하기로 신축사다리유닛(20)이 힌지 연결되는 내벽(11a)과 대향하는 내벽(11b)에 설치되어 신축사다리유닛(20)의 자유단을 구속 및 해제한다.
사다리로커(30)는 바디(11) 내벽(11b)에 스크루(screw: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고정되는 케이싱(3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신축사다리유닛(20)의 자유단을 받쳐주는 걸림레버(32)와, 이 걸림레버(32)와 동축으로 형성되어 케이싱(31)의 상부로 돌출되는 연결보스(33) 및 이 연결보스(33)에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걸림레버(32)를 정 또는 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분리핸들(34)로 구성된다.
여기서, 핸들을 걸림레버(32)와 분리시켜 구성한 이유는 예컨대 위난상황이 아님에도 어린이 등이 호기심으로 하우징(10)의 상부덮개(12)를 열고 신축사다리유닛(20)을 오작동시킬 우려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함이다.
걸림레버(32)는 1개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신축사다리유닛(20)의 보다 안정된 구속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가 구비되어 이격 배치되고, 각 걸림레버(32)는 상호 연동하도록 일단이 링크(link:35)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도, 분리핸들(34)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보스(33)는 2개의 걸림레버(32) 중 1개에만 구비된다.
신축사다리유닛(20)과 마주보는 케이싱(31)의 후면에는 각 걸림레버(32)의 자유단이 그 외부로 돌출되고 또한 회전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2개의 유도슬릿(guide slit:31a)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레버(32)는 유도슬릿(31a)의 일단에 의해 돌출각이 제한된다.
한편, 분리핸들(34)은 하우징(10)의 바디(11) 내부, 예를 들어 신축사다리유닛(20)을 피벗(pivot) 지지하여 바디(11) 내벽(11a)에 고정하는 고정브래킷(26)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연결보스(33)와 분리핸들(34)은 상호 전동(傳動) 가능한 결합구조를 갖는다.
사다리홀더(40)는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사다리유닛(20)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의 바디(11) 일측 내벽(11a)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신축사다리유닛(20)과 하우징(10)의 하부덮개(13) 사이에 위치된다.
사다리홀더(40)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사다리유닛(20)의 최외측 사다리단위체(21a)의 일정부분을 탄성적으로 삽입 지지하도록 양단에 그립(grip)부(41)를 각각 갖는 채널(channel)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그립부(41)는 신축사다리유닛(20)이 사다리홀더(40) 내로 용이하게 끼워져 파지될 수 있도록 그 선단에 바깥에서 안쪽을 향해 V형으로 이중 절곡된 누름탭(push tab:42)을 갖는다.
이와 같은 사다리홀더(40)는 단순히 금속판재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신축사다리유닛(20)이 신장을 위해 하방으로 회전될 때의 충격과 소음도 완화할 수 있도록 고탄성의 금속부재(43)가 내부에 인서트(insert) 성형된 고무블록으로 구성된다.
안전개방수단(50)은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바디(11) 내벽에서 돌출되는 걸림부재(51)와, 이 걸림부재(5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긴 안내장공(52a)을 가지고 상부덮개(12)의 개방각도를 제한하는 일정길이의 개방제한부재(52) 및 상부덮개(12)의 내면에 설치되어 개방제한부재(52)의 장공(52a)을 걸어주는 훅(hook:53)으로 구성된다.
걸림부재(51)는 상부덮개(12)의 구속과 구속해제를 위해 개방제한부재(52)가 전후방향으로 적절히 기울어질 수 있도록 개방제한부재(52)의 유동을 허용하며, 그 선단에 개방제한부재(52)의 이탈을 막기 위한 헤드(head:51a)를 갖는다.
경보수단(60)은 하우징(10)의 상부덮개(12)의 개방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센서(61)와, 이 개방감지센서(61)의 감지신호에 의해 외부에 경보를 발하는 경보장치(62)로 구성된다.
개방감지센서(61)는 하우징(10)의 상부덮개(12)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바디(11)와 상부덮개(12)에 상호 접촉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서로 멀어질 경우 소정신호를 발생하는 1쌍의 자석스위치(magnet switch)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방감지센서(61)는 안전개방수단(50)의 상부덮개(12) 개방허용각도를 고려하여 상부덮개(12)의 힌지 연결 쪽 단부에서 바디(11)와 상부덮개(12)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또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개방수단(50)의 개방제한부재(52)와 훅(53)의 접촉부위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안전개방수단(50)의 개방제한부재(52)를 상부덮개(12)에 구비된 훅(53)으로부터 해제시킨 후 상부덮개(12)를 더욱 개방시킬 때 신호를 발생하는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개방제한부재(52)를 훅(53)에서 해제시킴과 동시에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바, 개방제한부재(52)와 훅(53)의 접촉부위에 개방감지센서(61)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경보장치(62)는 개방감지센서(61)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경보버저(alarm buzzer:63)와 경보램프(alarm lamp:64)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위와 같은 경보버저(63) 및 경보램프(64)와 더불어 네크워크 장비(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소방서, 경찰서, 경비업체 등의 재난관련기관에 긴급위난상황을 전달하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난장치는 바람직하기로 신장된 신축사다리유닛(20)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윈치(70)를 함께 구비한다. 이는 예컨대 위난 시를 대비한 모의긴급대피훈련을 실시하거나 신축사다리유닛(20)을 잘못 작동시킨 경우 등에 신장된 신축사다리유닛(20)을 간편하게 축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피난장치에 사용되는 윈치(70)는 도14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드럼(71)과, 이 권취드럼(71)에 감기는 견인와이어(72)와, 권취드럼(71)과 동축으로 고정되어 연동하는 래칫휠(ratchet wheel:73)과, 이 래칫휠(73)의 회전방향을 구속 및 구속해제 하는 래치레버(ratchet lever:74)와, 권취드럼(71)을 회전시키기 위한 분리핸들(75) 및 이들 요소들을 수용하는 케이싱(76)으로 구성된다.
권취드럼(71)은 2개의 권취부(71a)(71b)를 서로 구획되게 가지며, 일단에 케이싱(76)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보스(71c)를 동축으로 갖는다.
견인와이어(72)는 권취드럼(71)의 각 권취부(71a)(71b)에 분리되어 감기는 1쌍으로 이루어지고, 각 견인와이어(72a)(72b)는 고정브래킷(26)에 구비된 가이드링(79)을 경유하여 그 자유단은 도5b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사다리유닛(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결합가이드(24)를 통해 최내측 사다리단위체(21e)의 하단에 연결된다.
래칫휠(73)은 단순히 권취드럼(71)과 일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드럼(71)과 별개로 구성되어 유성기어장치(77)를 통해 연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견인와이어(72)를 보다 용이하게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유성기어장치(77)는 케이싱(76)의 내주에 형성되는 내접기어(internal gear:77a), 래칫휠(73)의 일단에 형성되어 내접기어(77a)의 중심에 위치하는 썬 기어(sun gear:77b) 및 권취드럼(71)의 타단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접기어(77a)와 썬 기어(77b)에 동시에 맞물리는 3개의 유성기어(77c)들로 이루어진다.
래치레버(74)는 케이싱(76)에 피벗 지지되어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78)에 의해 일단이 래칫휠(73)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권취드럼(71)의 풀림방향 회전을 구속한다.
분리핸들(75)은 윈치(70) 전용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전술한 사다리로커(30)의 분리핸들(34)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양자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윈치(70)의 분리핸들(75)과 사다리로커(30)의 분리핸들(34)은 하나의 물품이며, 필요에 따라 양자에 공용으로 쓰이는 것이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화재와 같은 긴급 위난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피난장치(1)의 상부덮개(12)를 위로 들어 올린다. 이때, 상부덮개(12)는 안전개방수단(50)에 의해서 개방각도가 제한되어 예컨대 사람의 손이 간신히 들어갈 정도의 일정각도만큼만 열린다.
즉, 상부덮개(12)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부덮개(12)의 내면에 구비된 훅(53)이 바디(11) 내벽(11b)의 걸림부재(51)에 결합된 개방제한부재(52)의 안내장공(52a)에 걸려 있게 되는 바, 상부덮개(12)를 열더라도 개방제한부재(52)가 함께 딸려 올라와 그 안내장공(52a)의 하단이 바디(11)의 걸림부재(51)에 구속되므로 상부덮개(12)가 더 이상 열리지 않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부덮개(12)를 따라 위로 올라온 개방제한부재(52)를 훅(53)으로부터 이탈시켜 상부덮개(12)의 구속을 해제한 뒤, 상부덮개(12)를 완전히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개방된 상부덮개(12)는 그와 바디(11)간에 설치된 1쌍의 링크(18)에 의해 개방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개방제한부재(52)를 훅(53)에서 이탈시키거나 또는 이탈시킨 후 상부덮개(12)를 더욱 들어 올리게 되면, 개방제한부재(52)와 훅(53)의 접촉부위 혹은 바디(11)와 상부덮개(12)의 힌지(14a) 연결쪽 단부에 대응되게 구비된 경보수 단(60)의 개방감지센서(61)가 상부덮개(12)의 개방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경보장치(62)가 작동함으로써 외부에 위난발생을 즉각적으로 알리게 된다.
이때, 개방감지센서(61)가 네크워크장비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방서와 경찰서 등의 위난관련기관에도 즉시 위난상황이 접수되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실제로는 화재와 같은 긴급위난이 발생되지 않은 상황(예컨대, 어린이 등의 호기심에 의한 오작동 또는 도둑침입 등)이라 하더라도 주변, 특히 아래층에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신축사다리유닛(20)의 고정브래킷(26)에 부착되어 있는 분리핸들(34)을 탈거하여 사다리로커(30)의 케이싱(31) 위로 돌출된 연결보스(33)에 결합한 뒤, 분리핸들(34)을 돌려 신축사다리유닛(20)을 받쳐주고 있는 걸림레버(32)를 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걸림레버(32)에 의해 바디(11)의 내부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던 신축사다리유닛(20)의 구속이 해제된다. 그렇지만, 신축사다리유닛(20)은 윈치(70)에 의해서도 구속되어 있으므로 사다리로커(30)의 해제만으로는 곧바로 신장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윈치(70)의 래치레버(74) 돌출단을 눌러 래칫휠(73)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그러면 윈치(70)의 권취드럼(71)이 회전되면서 그에 감겨진 견인와이어(72a)(72b)들이 풀리게 됨으로써 신축사다리유닛(20)이 자중에 의해 그 힌지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되는데, 본 발명의 피난장치(1)는 하우징(10)의 하부덮개(13)가 신축사다리유닛(20)과 조정링크(17)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하부덮개(13)가 신축사다리유닛(20)과 함께 회동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하방으로 회동하는 최외측 사다리단위체(21a)내에 삽입되어 있던 다수의 다른 사다리단위체(21b∼21e)들이 그 자중과 원심력에 의해 하방으로 빠져나오면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길게 신장됨으로써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층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사다리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피난장치(1)는 신축사다리유닛(20)이 다수의 금속판재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견고할 뿐만 아니라 신장된 상태에서도 비교적 유동이 적고, 특히 사다리홀더(40)가 신장된 신축사다리유닛(20)의 상부를 안정되게 파지해주므로 흔들림이 최소화된다.
즉, 신축사다리유닛(20)이 하방으로 회동되면, 고정브래킷(26)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사다리홀더(40)에 최외측 사다리단위체(21a)가 탄성적으로 삽입되게 되고, 사다리홀더(40)의 양단에 마련된 그립부(41)에 의해 안정되게 파지됨으로써 신장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공간상에 펼쳐진 신축사다리유닛(20)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신축사다리유닛(20)을 타고 아래층으로 탈출하는 사람들이 매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피난장치(1)는 상부덮개(12)와 하부덮개(13)가 서로 연동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바, 최종 탈출자가 대피하면서 열려 있는 상부덮 개(12)를 닫아준다. 그러면 피난장치(1)에 의해 발코니(B)가 상하로 연통되어 있지 않고 확실하게 폐쇄되며, 따라서 소방용수나 매연 등이 피난장치(1)의 통로를 통해 아래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윈치(7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다리로커(30)의 걸림레버(32)를 회전시켜 신축사다리유닛(20)의 구속을 해제시킴과 동시에 신축사다리유닛(20)과 하부덮개(13)가 회동 개방되면서 신축사다리유닛(20)이 신장됨은 물론이다.
한편, 이와 같이 신축사다리유닛(20)이 하방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초기상태로 복귀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닫혀 있는 상부덮개(12)를 다시 개방한 후, 사다리로커(30)의 걸림레버(32)를 풀어주는데 사용한 분리핸들(34, 75)을 사다리로커(30)의 연결보스(33)로부터 분리한 뒤, 윈치(70)의 권취드럼(71)에 구비된 연결보스(71c)에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분리핸들(75)을 감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권취드럼(71)이 동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견인와이어(72a)(72b)들이 위로 당겨지면서 권취드럼(71)에 감겨짐으로써 최내측 사다리단위체(21e)부터 순차적으로 축소된다.
그리고 모든 사다리단위체(21b∼21e)들이 최외측 사다리단위체(21a)내에 삽입되고 나면, 계속된 견인와이어(72)의 당김에 의해 축소된 신축사다리유닛(20)이 그 힌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됨으로써 바디(11)의 내부에 초기와 같이 수평상태로 위치되게 된다.
이때, 신축사다리유닛(20)과 일체적으로 연결된 하우징(10)의 하부덮개(13) 도 동시에 상방으로 회동되어 닫히게 된다.
이어서 상부덮개(12)를 적절히 닫은 뒤 그 내면에 구비된 안전개방수단(50)의 훅(53)을 바디(11)의 걸림부재(51)에 결합되어 있는 개방제한부재(52)의 안내장공(52a) 상단에 걸어주고 완전히 닫는다.
도16 및 도1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고층건물 피난장치(1)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탈출 시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덮개(12)를 일정조건하에서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자동도어폐쇄수단(80)이 더 구비된 구성이다.
자동도어폐쇄수단(80)은 일단이 서로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10)의 바디(11) 내벽(11c)과 상부덮개(12)의 내면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상부덮개(12)를 수평에 대해 예각으로 개방 유지시키는 하부 및 상부링크(81)(82)로 이루어지되, 이들 하부 및 상부링크(81)(82) 중 적어도 하나가 주위의 온도에 의해 그 형상이 와해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상부링크(82)는 자유단이 서로 중첩되는 제1 및 제2몸체(83)(84)로 이루어지고, 양자의 중첩부 사이에 열반응 형상와해부재(85)를 개재한 후 클램프(clamp:86)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열반응 형상와해부재(85)는 예컨대, 공지의 글래스벌브나 금속퓨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글래스벌브는 주지하다시피 폐쇄된 유리관에 알콜, 에테르 등의 액체 가 수용되어,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내부에 수용된 물질의 부피가 팽창하면서 유리관이 파손됨으로써 형상이 와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어자동폐쇄수단(80)은 전술한 실시예의 링크(18)를 대체하여 하우징(10)의 바디(11)와 상부덮개(12)를 연결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화재시 최종 탈출자가 상부덮개(12)를 미처 닫지 못하더라도 불길이 번져 주위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열반응 형상와해부재(85)가 파손됨으로써 예각으로 개방되어 있던 상부덮개(12)가 그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자동으로 닫히게 되므로 소방용수 등의 아래층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18 및 도19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고층건물 피난장치(1)의 또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구성에서, 안전개방수단이 하우징(10)의 상부덮개(12)를 완전한 폐쇄상태로 로킹시키는 일렉트릭 록(electric look:90)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일렉트릭 록(90)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데드볼트(dead bolt:91)가 작동하는 전자 시건장치로, 그 작동을 위한 스위치(92)를 함께 구비한다. 스위치(92)는 바람직하기로 피난장치(1)와 떨어진 곳, 예를 들어 발코니(B)의 한쪽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렉트릭 록(90)은 바디(11)의 일측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 는데, 발코니(B)의 바닥에 매립되는 피난장치(1)의 특성상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위해 바디(11)의 내부에서 탈부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덮개(12)에는 데드볼트(91)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편(93)이 구비된다.
한편, 도20에는 전술한 신축사다리유닛(20)의 이탈방지수단(100)의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이탈방지수단(100)이 서로 중첩되게 결합되는 각 사다리단위체(21)의 결합가이드(24)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된 받침플랜지(101)와, 결합가이드(24)의 상단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신장 시 해당 사다리단위체(21)를 감싸는 이웃하는 다른 사다리단위체(21)의 받침플랜지(101)에 걸리는 걸림플랜지(102)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탈방지수단(100)은 전술한 구성의 실시예보다 훨씬 간단한 구조를 가질 뿐 아니라, 각 사다리단위체(21)의 높이를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할 필요도 없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층건물 피난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층건물 피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2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4는 도2의 결합상태 평면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 피난장치의 신축사다리유닛을 나타낸 축소상태와 신장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6은 신축사다리유닛의 이탈방지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 피난장치의 사다리로커를 도시한 부분 절단 사시도,
도8은 사다리로커의 작동을 보인 평단면도,
도9는 본 발명 피난장치의 사다리홀더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10은 도9의 Ⅹ-Ⅹ선을 따라 취한 발췌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 피난장치의 안전개방수단을 도시한 부부확대 사시도,
도12는 안전개방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 피난장치의 경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 피난장치의 윈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5는 윈치의 작동을 보인 배면도,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 피난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도어폐쇄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와 요부 발췌 평면도,
도18 및 도19는 본 발명 피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 시도와 요부 발췌 평단면도,
도20은 신축사다리유닛의 이탈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발췌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 바디
12, 13: 상부 및 하부덮개 17: 조정링크
20: 신축사다리유닛 21: 사다리단위체
22: 이탈방지수단 23a: 스텝구멍
24: 결합가이드 25, 25a: 발판플랜지
26: 고정브래킷 27: 걸림구멍
28: 로커 28a: 스프링
30: 사다리로커 32: 걸림레버
33: 연결보스 34, 75: 분리핸들
40: 사다리홀더 41: 그립부
42: 누름탭 43: 금속재
50: 안전개방수단 51: 걸림부재
52: 개방제한부재 52a: 안내장공
53: 훅 60: 경보수단
61: 개방감지센서 62: 경보장치
70: 윈치 71: 권취드럼
72: 견인와이어 73: 래칫휠
74: 래치레버 80: 자동도어폐쇄수단
81, 82: 상부 및 하부링크 83, 84: 제1 및 제2몸체
85: 열반응 형상와해부재 86: 클램프
90: 일렉트릭 록 91; 데드볼트
92: 스위치 93: 걸림편
100: 이탈방지수단 101: 받침플랜지
102; 걸림플랜지 B: 발코니
Claims (19)
-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의 발코니 바닥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에 해치형태로 매립 설치되어 화재 등의 위난 시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게 해주는 피난장치로서,상기 관통구멍 내에 설치되는 관상의 바디와, 일단이 상기 바디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바디의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개별적으로 회동 개폐하는 상부 및 하부덮개를 갖는 하우징;스텝구멍을 갖는 판상의 몸체 양 측단에 관상의 결합가이드를 각각 갖되, 각자가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되어 상호 중첩되도록 조립됨으로써 텔레스코픽 형태로 신축되는 다수의 사다리단위체와, 각 사다리단위체가 이웃하는 다른 사다리단위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최외측 사다리단위체의 자유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벽에 힌지 연결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하부덮개와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신축사다리유닛;상기 하우징의 바디 내부에 설치되고, 축소된 상태의 상기 신축사다리유닛을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으로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키는 사다리로커;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되고, 수직으로 회동되어 신장된 상기 신축사다리유닛의 최외측 사다리단위체를 탄성적으로 파지해주는 사다리홀더;상기 하우징의 상부덮개를 닫힌 상태로 고정하여 오(誤)개방을 방지하는 안전개방수단; 및상기 하우징의 상부덮개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에 알리는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사다리유닛의 최외곽 사다리단위체를 제외한 나머지 사다리단위체의 몸체 상단에 발판플랜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사다리유닛의 이탈방지수단이,상기 사다리단위체의 양 결합가이드 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구멍과, 상기 사다리단위체의 양 결합가이드 상단부 내부에 설치되고 결합가이드를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신장 시 해당 사다리단위체를 감싸는 다른 사다리단위체의 걸림구멍에 끼워지는 로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사다리유닛의 각 사다리단위체 높이가 최내측 사다리단위체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사다리유닛의 이탈방지수단이,상기 각 사다리단위체의 양 결합가이드 하단에 내측으로 형성되는 받침플랜지와, 상기 사다리단위체의 양 결합가이드 상단에 외측으로 형성되는 걸림플랜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로커가,상기 하우징의 바디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신축사다리유닛의 자유단을 받쳐주는 걸림레버와, 이 걸림레버의 회전중심과 동축으로 구비되는 연결보스와, 상기 하우징의 바디 내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보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걸림레버를 회동시키는 분리핸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레버가 복수개 구비되어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 걸림레버는 상호 연동하도록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보스가 어느 한 걸림레버에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홀더는,내부에 고탄성 금속재를 인서트 성형하여 상기 신축사다리유닛의 최외곽 사다리단위체를 삽입 지지하는 채널상의 고무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개방수단은,상기 하우징의 바디 내벽에 설치되는 걸림부재와, 안내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개방제한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덮개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제한부재의 안내장공을 걸어주는 훅으로 이루어져,상기 상부덮개가 1차적으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만 개방되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이,상기 하우징의 상부덮개가 일정각도 이상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센서와, 상기 개방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를 발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감지센서가,상기 개방제한부재와 상기 훅의 접촉부위에 상호 대응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부덮개의 2차 개방을 감지하는 자석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감지센서가,상기 하우징의 몸체와 상부덮개의 고정단 쪽에 상호 대응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자석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디에 설치되고, 견인와이어가 상기 신축사다리유닛의 최내측 사다리단위체 하단에 연결되어 신장된 신축사다리유닛을 축소시키는 윈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2개의 권취부를 서로 구획되게 가지며 일단에 연결보스를 일체로 갖는 권취드럼과, 이 권취드럼의 각 권취부에 감기고 자유단이 상기 신축사다리유닛의 각 결합가이드를 통해 그 최내측 사다리단위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1쌍의 견인와이어와, 상기 권취드럼과 동심으로 고정된 래칫휠과, 상기 래칫휠에 일단이 탄성적으로 맞물려 상기 권취드럼의 감기방향 회전만을 허용하고 외력에 의해 래칫휠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는 래치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바디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권취드럼의 연결보스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권취드럼을 감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분리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덮개를 예각으로 개방 유지시키고, 주위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부덮개를 자동으로 폐쇄시켜주는 자동도어폐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도어폐쇄수단은,일단이 서로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디 내벽과 상부덮개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상부덮개를 예각으로 개방 유지시키는 하부 및 상부링크로 이루어지되,상기 하부 및 상부링크 중 어느 하나는 자유단이 서로 중첩되는 제1 및 제2몸체로 이루어져 양자의 중첩부 사이에 열반응 형상와해부재를 개재한 후 클램프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응 형상와해부재는 글래스벌브, 금속퓨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개방수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디에 설치되는 일렉트릭 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덮개를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위치 고정시키는 일렉트릭 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 피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7168A KR101029640B1 (ko) | 2007-12-07 | 2007-12-07 | 고층건물 피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7168A KR101029640B1 (ko) | 2007-12-07 | 2007-12-07 | 고층건물 피난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8773A Division KR20090096594A (ko) | 2009-08-25 | 2009-08-25 | 고층건물 피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0033A true KR20090060033A (ko) | 2009-06-11 |
KR101029640B1 KR101029640B1 (ko) | 2011-04-15 |
Family
ID=4099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7168A KR101029640B1 (ko) | 2007-12-07 | 2007-12-07 | 고층건물 피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9640B1 (ko) |
Cited B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6509B1 (ko) * | 2009-09-22 | 2010-05-06 | (주)오라파트너스 | 비상탈출장치 및 그 시공방법 |
KR101008161B1 (ko) * | 2010-06-15 | 2011-01-13 | 이갑순 | 비상용 사다리 장치 |
KR101024420B1 (ko) * | 2010-12-08 | 2011-03-23 | 주식회사 엘원 | 고층 건물의 피난장치 |
KR101037582B1 (ko) * | 2010-11-25 | 2011-05-27 | (주) 네오텍 | 개선된 사다리를 가지는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 |
KR101040100B1 (ko) * | 2011-03-17 | 2011-06-09 | 신재학 | 비상 탈출 장치 |
KR101112627B1 (ko) * | 2010-09-15 | 2012-02-16 | 주식회사 에스엠텍 |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
KR101125160B1 (ko) * | 2011-04-13 | 2012-03-20 | 임금심 | 하강식 피난사다리 권상장치 |
KR101130971B1 (ko) * | 2010-02-03 | 2012-03-28 | 주식회사 에스엠텍 |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
KR101141301B1 (ko) * | 2010-01-14 | 2012-05-04 | 주식회사 에스엠텍 | 화재 대피용 구난 사다리 |
KR101141300B1 (ko) * | 2010-01-15 | 2012-05-04 | 주식회사 에스엠텍 | 베란다에 설치되는 접이식 십자형 구난 사다리 |
KR101145158B1 (ko) * | 2010-04-30 | 2012-05-14 | 주식회사 에스엠텍 | 구난 사다리 설치 프레임 |
KR101271566B1 (ko) * | 2011-03-24 | 2013-06-07 | 주식회사 그린택지티에스 | 해치형 피난장치 |
KR101290693B1 (ko) * | 2011-11-01 | 2013-07-29 | 정상근 |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
KR20160111656A (ko) | 2015-03-17 | 2016-09-27 | 배병근 | 터널관로용 안전 사다리 |
CN107060634A (zh) * | 2017-03-22 | 2017-08-18 | 无锡市卡德姆机械科技有限公司 | 自动侧移开闭的逃生梯安装座 |
CN108396526A (zh) * | 2018-05-29 | 2018-08-14 | 大连民族大学 | 滑动式晾衣架 |
CN108691504A (zh) * | 2018-05-29 | 2018-10-23 | 大连民族大学 | 叠层展开阳台逃生梯 |
CN108775223A (zh) * | 2018-05-29 | 2018-11-09 | 大连民族大学 | 阳台逃生梯的展开方法 |
KR20220057965A (ko) * | 2020-10-30 | 2022-05-09 | (주)삼덕에스디피 | 자동 전개 및 복원 기능을 구비하는 접이식 안전난간 |
KR102441598B1 (ko) * | 2021-06-14 | 2022-09-08 | 주식회사 와이디티 | 화재 대피 사다리용 설치박스 |
KR20220154484A (ko) * | 2021-05-13 | 2022-11-22 | 한국전력공사 | 송전선로 현수형 작업용 사다리 |
KR102483319B1 (ko) * | 2021-11-25 | 2023-01-03 | (주)엔이에스 | 피난 사다리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5860B1 (ko) | 2011-04-04 | 2011-05-19 | 류순모 |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
KR101036210B1 (ko) | 2011-04-18 | 2011-05-20 | 류순모 |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
KR101045023B1 (ko) | 2011-05-02 | 2011-06-30 | 류순모 |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
KR101171203B1 (ko) | 2011-05-02 | 2012-08-06 | 류순모 |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용 승강구 개폐 장치 |
KR101188140B1 (ko) | 2011-05-12 | 2012-10-08 | 류순모 |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
KR101188141B1 (ko) | 2011-05-12 | 2012-10-08 | 류순모 |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
KR101045024B1 (ko) | 2011-05-12 | 2011-06-30 | 류순모 |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
KR101269645B1 (ko) | 2011-05-27 | 2013-05-30 | 김종국 | 바닥설치형 피난장치 |
KR101154844B1 (ko) * | 2011-10-06 | 2012-06-18 | (주) 네오텍 | 개선된 사다리를 가지는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 |
KR102227143B1 (ko) * | 2019-11-29 | 2021-03-12 | 충청남도 | 책상형 안전 사다리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91889B2 (ja) | 1991-09-12 | 2000-09-25 | ナカ工業株式会社 | 避難装置の梯子取付構造 |
KR100490165B1 (ko) * | 2002-12-26 | 2005-05-17 | 주식회사 로템 | 순간 팽창식 비상사다리 |
KR20040005723A (ko) * | 2003-11-24 | 2004-01-16 | 남주희 |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
KR100725267B1 (ko) * | 2006-04-19 | 2007-06-04 | (주)관동건업 |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
-
2007
- 2007-12-07 KR KR1020070127168A patent/KR10102964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6509B1 (ko) * | 2009-09-22 | 2010-05-06 | (주)오라파트너스 | 비상탈출장치 및 그 시공방법 |
KR101141301B1 (ko) * | 2010-01-14 | 2012-05-04 | 주식회사 에스엠텍 | 화재 대피용 구난 사다리 |
KR101141300B1 (ko) * | 2010-01-15 | 2012-05-04 | 주식회사 에스엠텍 | 베란다에 설치되는 접이식 십자형 구난 사다리 |
KR101130971B1 (ko) * | 2010-02-03 | 2012-03-28 | 주식회사 에스엠텍 |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
KR101145158B1 (ko) * | 2010-04-30 | 2012-05-14 | 주식회사 에스엠텍 | 구난 사다리 설치 프레임 |
KR101008161B1 (ko) * | 2010-06-15 | 2011-01-13 | 이갑순 | 비상용 사다리 장치 |
KR101112627B1 (ko) * | 2010-09-15 | 2012-02-16 | 주식회사 에스엠텍 |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
KR101037582B1 (ko) * | 2010-11-25 | 2011-05-27 | (주) 네오텍 | 개선된 사다리를 가지는 바닥 설치형 피난 사다리 장치 |
KR101024420B1 (ko) * | 2010-12-08 | 2011-03-23 | 주식회사 엘원 | 고층 건물의 피난장치 |
KR101040100B1 (ko) * | 2011-03-17 | 2011-06-09 | 신재학 | 비상 탈출 장치 |
KR101271566B1 (ko) * | 2011-03-24 | 2013-06-07 | 주식회사 그린택지티에스 | 해치형 피난장치 |
KR101125160B1 (ko) * | 2011-04-13 | 2012-03-20 | 임금심 | 하강식 피난사다리 권상장치 |
KR101290693B1 (ko) * | 2011-11-01 | 2013-07-29 | 정상근 |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
KR20160111656A (ko) | 2015-03-17 | 2016-09-27 | 배병근 | 터널관로용 안전 사다리 |
CN107060634A (zh) * | 2017-03-22 | 2017-08-18 | 无锡市卡德姆机械科技有限公司 | 自动侧移开闭的逃生梯安装座 |
CN108396526A (zh) * | 2018-05-29 | 2018-08-14 | 大连民族大学 | 滑动式晾衣架 |
CN108691504A (zh) * | 2018-05-29 | 2018-10-23 | 大连民族大学 | 叠层展开阳台逃生梯 |
CN108775223A (zh) * | 2018-05-29 | 2018-11-09 | 大连民族大学 | 阳台逃生梯的展开方法 |
KR20220057965A (ko) * | 2020-10-30 | 2022-05-09 | (주)삼덕에스디피 | 자동 전개 및 복원 기능을 구비하는 접이식 안전난간 |
KR20220154484A (ko) * | 2021-05-13 | 2022-11-22 | 한국전력공사 | 송전선로 현수형 작업용 사다리 |
KR20230147582A (ko) * | 2021-05-13 | 2023-10-23 | 한국전력공사 | 송전선로 현수형 작업용 사다리 |
KR102441598B1 (ko) * | 2021-06-14 | 2022-09-08 | 주식회사 와이디티 | 화재 대피 사다리용 설치박스 |
KR102483319B1 (ko) * | 2021-11-25 | 2023-01-03 | (주)엔이에스 | 피난 사다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29640B1 (ko) | 2011-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9640B1 (ko) | 고층건물 피난장치 | |
KR20090096594A (ko) | 고층건물 피난장치 | |
KR101173585B1 (ko) | 층간 비상탈출장치 | |
KR100725267B1 (ko) |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 |
KR100757204B1 (ko) |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 |
US3847246A (en) | Emergency fire exit means | |
EP3639896B1 (en) |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 |
CN211986704U (zh) | 多功能逃生装置 | |
CN210131264U (zh) | 一种高楼逃生装置 | |
KR101962656B1 (ko) |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 |
KR101736816B1 (ko) | 열차단 효율을 높인 소방용 방화기구 | |
KR100787812B1 (ko) |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 |
CN111013032B (zh) | 多功能逃生装置 | |
CN1970114B (zh) | 一种楼宇走火救生方法及其设施 | |
KR101545524B1 (ko) | 피난 장치 | |
CN215231681U (zh) | 一种楼宇逃生装置 | |
GB2222848A (en) | Fire escape ladder | |
CN215084397U (zh) | 一种注水式高层建筑逃生系统 | |
JPH10127796A (ja) | 建築構造物の避難用ハッチ | |
KR101271566B1 (ko) | 해치형 피난장치 | |
CN113450528A (zh) | 一种家庭消防应急系统及工作方法 | |
RU190301U1 (ru) | Защитно-эваку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RU2455040C2 (ru) |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спасения | |
EP1979570B1 (en) | Escape ladder | |
CN216341801U (zh) | 可展开成逃生梯的防护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825 Effective date: 20101229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