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255B1 - 화재 대피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대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255B1
KR101892255B1 KR1020170070711A KR20170070711A KR101892255B1 KR 101892255 B1 KR101892255 B1 KR 101892255B1 KR 1020170070711 A KR1020170070711 A KR 1020170070711A KR 20170070711 A KR20170070711 A KR 20170070711A KR 101892255 B1 KR101892255 B1 KR 101892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ver
evacuation
housing
finish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948A (ko
Inventor
유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딤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딤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딤돌
Publication of KR2017013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1Trap-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대피세대와 이웃세대를 구분하는 경계에 고정 결합된 하우징;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을 가리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비상 상황에서 잠금해제되면 전방으로 돌출가능하도록 하우징에 결합된 마감재; 마감재 내측에 고정 결합된 제1프레임과, 하우징 내측에 고정 결합된 제2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접이식 회동부재를 구비한 지지틀; 지지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마감재와 하우징 사이에 세워진 상태로 수납된 발판부; 대피세대와 이웃세대에서 개별적으로 잠금해제하기 위한 대피세대의 제1레버와 이웃세대의 제2레버 그리고, 아래층의 화재 대피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제3레버를 구비하고,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가 작동하면 지지틀의 제1프레임에 결합된 마감재를 잠금 해제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재를 잠금해제시 전방으로 전개되는 지지틀과 함께 이웃세대로 이동하기 위한 대피통로를 제공하는 발판부가 전개되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 작동으로 지지틀 및 발판부가 모두 전개되어 1차 대피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제3레버를 작동하면 층고가 낮은 아래층의 화재 대피장치를 전개하여 2차 대피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 대피장치{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에서 화재 발생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화재 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 건축구조물 외측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고 화재 또는 외부인 무단 침입 등의 비상시에는 비상문 주변에 설치된 레버의 작동으로 화재 대피장치의 지지틀과 발판이 함께 전개되어 이웃 세대로 피신하기 위한 1차 대피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웃 세대로의 피난이 여의치 않은 경우 아래층 이웃세대에 설치된 화재 대피장치가 강제로 전개됨으로써 추가 확보된 2차 대피공간으로 대피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화재 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빌딩 또는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구조물에서 화재 발생시 현관문을 통해 탈출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면 창가 또는 발코니에 가서 구조를 기다리거나 화재 진압 실패로 인하여 화염에 휩싸인 놀란 대피자가 고층 건물에서 뛰어내리거나 추락하여 부상당하거나 사망에 이르는 인명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건축구조물의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발코니에 설치할 수 있는 하향식 피난구, 완강기 등과 같은 화재 대피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화재 대피장치는 외부 침입자의 이동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하고, 대피자의 추락 위험에 취약하며, 화재 대피장치가 설비된 발코니에는 각종 생활용품 등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화재 발생한 경우 대피공간으로서 제 역할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1]에는 건축물 외벽에 피구조인이 일시적으로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대피용 구조물을 개시한다. 이 대피용 구조물은 건축물 외벽의 개방된 부분에 피구조인이 대기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회전동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부 프레임과, 외부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예로서, [선행기술문헌 2]에는 접이식으로 발코니 등에 설치된 화재 피난 대피시설을 개시하고 있다. 이 화재 피난 대피시설은 화재 발생시 건축물 외부로 판넬벽이 펼쳐져 대피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대피자가 화염과 유독가스로로부터 대피하고, 대피시설 내부에 체류하면서 구조를 기다리도록 개발되었다. 또 다른 예로서, [선행기술문헌 3]에는 비상시 난간이 전개되어 대피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다리를 통해 건물 밖으로 탈출하는 비상 탈출 시설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1], [선행기술문헌 2]의 경우 화재 등 비상시에 대피자가 화재 발생 장소에 머무르며 구조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화재 위험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날 수 없는 한계로 인하여 안전한 대피장소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3]에서는 화재 발생 시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아래층으로 수직 피난시 대피시설의 바닥면에 형성된 대피통로가 항시 개방된 구조여서 고층에서 대피하는 경우 추락 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40021호
[선행기술문헌 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36763호
[선행기술문헌 3]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4938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피세대의 실내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해제시켜 대피세대의 화재 대피장치를 이용한 1차 대피공간을 확보하고, 1차 대피공간에 진입한 후 아래층 화재 대피장치의 잠금장치를 해제시킴으로써 2차 대피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화재 발생 지역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벗어날 수 있는 화재 대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는, 건축구조물의 대피세대와 이웃세대를 구분하는 경계에 고정 결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을 가리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비상 상황에서 잠금해제되면 전방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마감재; 상기 마감재 내측에 고정 결합된 제1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고정 결합된 제2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접이식 회동부재를 구비한 지지틀; 상기 지지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감재와 하우징 사이에 세워진 상태로 수납된 발판부; 상기 대피세대와 이웃세대에서 개별적으로 잠금해제하기 위한 대피세대의 제1레버와 이웃세대의 제2레버 그리고, 아래층의 화재 대피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제3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가 작동하면 상기 지지틀의 제1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마감재를 잠금 해제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재를 잠금해제시 전방으로 전개되는 상기 지지틀과 함께 이웃세대로 이동하기 위한 대피통로를 제공하는 상기 발판부가 전개되며,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 작동으로 상기 지지틀 및 발판부가 모두 전개되어 1차 대피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제3레버를 작동하면 층고가 낮은 아래층의 화재 대피장치를 전개하여 2차 대피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대피자가 밟고 다니기 위한 디딤판과, 상기 1차 대피공간에서 2차 대피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디딤판에 설치된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레버는 상기 디딤판에 설치하며, 상기 아래층의 화재 대피장치를 전개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덮개를 잠금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가 자중에 의해 회동하지 못하도록 잠금하는 덮개 잠금쇠를 구비하고, 상기 제3레버의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덮개 잠금쇠는 돌출하거나 수축하여 상기 덮개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에 고리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마감재의 상단 및 하단에 끼움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고리 수용홈에 끼워진 상기 마감재의 끼움고리를 구속하여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기 위한 한 쌍의 걸쇠와, 상기 걸쇠 외측에 결합된 코일 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걸쇠 일측에 결합된 고정단에 각각 연결된 연결 와이어와, 상기 연결 와이어의 중도에 일측이 개별 결합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레버와 타측이 개별 결합되는 복수의 작동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이식 회동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양측 상단과 하단에 복수개 설치되며, 각각의 회동부재는 한 쌍의 힌지축과 한 쌍의 연결대, 및 회동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연결대가 접혀 있다가 펼쳐지도록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어 대피자가 2차 대피공간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기 위한 승강 사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 작동으로 상기 지지틀 및 발판부가 모두 전개되어 1차 대피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대피세대의 실내에서 비상문을 열어 1차 대피공간으로 외부의 무단침입자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상기 비상문에 방범용 잠금 손잡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는 대피자가 비상문을 열고 레버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접혀있던 지지틀과 발판이 동시에 펼쳐짐으로써, 안전하게 1차 대피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시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는 1차 대피공간으로 진입한 후, 발판부에 구비된 하층 레버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아래층 화재 대피장치가 전개됨과 아울러 개방된 덮개를 통한 피난 통로가 제공되어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고, 피난 통로의 밑에 구비된 승강 사다리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는 종래 복잡한 장치로 구성된 화재 대피장치와 비교하여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설치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를 구성하는 비상문은 마감재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범죄 등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를 건축구조물에 설치한 경우로서, 화재 대피장치가 이웃세대의 경계벽에 개별 설치하는 화재 대피장치가 수직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대피세대와 이웃세대에 각각 구비된 잠금장치의 레버가 발코니의 비상문 주변에 설치된 경우, 실내에서 바라본 레버를 나타내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의 전방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일부 구성을 절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상시 마감재와 하우징 내부에 지지틀이 수납된 화재 대피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재에 설치하는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에 구비된 발판부의 하층 레버에 연동하는 덮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를 건축구조물에 설치한 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100)는 연립주택, 아파트 등 다수의 독립세대로 이루어진 집합건물과 같은 건축구조물(1)에 적용할 수 있다. 화재 대피장치(100)는 동일 층고에 거주하는 이웃 세대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대피세대(200)와 이웃세대(300)의 경계에 개별 설치하며, 대피세대(200)의 발코니 난간(201) 및 이웃세대(300)의 발코니 난간(301)과 나란하고 약간 돌출되게 화재 대피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층고가 낮은 안전지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화재 대피장치(100)가 수직 방향으로 일렬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화재 대피장치(100)는 건축구조물(1) 외벽에 고정 결합된 하우징(80)과, 하우징(1) 내부를 가릴 수 있도록 하우징(80) 전면에 배치된 마감재(15)와, 하우징(80)과 마감재(15) 사이에 수납되는 지지틀(10)을 구비한다.
하우징(80) 일측에는 대피세대(200)와 이웃세대(300)를 구분하는 경계벽(70)을 사이에 두고 해당 세대의 비상문(91)(91a)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피세대(200)의 비상문(91) 주변에는 화재 대피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후술하는 잠금장치의 레버(51)가 경계벽(70) 일측에 설치되고, 또한 이웃세대(300)의 비상문(91a) 주변에도 화재 대피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잠금장치의 레버(51a)가 경계벽(70) 타측에 설치된다.
대피세대(200)의 발코니에 설치된 비상문(91)과 이웃세대(300)의 발코니에 설치된 비상문(91a)은 경계벽(70)에 의해 차단되어 평상시 출입할 수 없으나, 해당 세대의 레버(51)(51a)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여 화재 대피장치(100)를 전개시켜 통로를 확보하고 나서 각 세대의 비상문(91)(91a)을 모두 개방하면 대피세대(200)와 이웃세대(300)는 상호간 출입이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고하여, 하우징(80)은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 몸체를 구비하고, 그 몸체 내측면에 지지틀(10) 일부를 수용하며, 경계벽(7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된 잠금박스(57)의 상단 및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리 수용홈(81)이 각각 형성된다. 고리 수용홈(81) 각각은 일측이 개구되어, 하우징(80)에 마감재(15)를 결합시 마감재(15)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된 끼움고리(16)가 끼워진다.
지지틀(10)은 철재 또는 불연 강화플라스틱 등 강성 재질의 파이프로 제작되는 구조물로서, 마감재(15) 내측에 고정 결합되고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제1프레임(10a)과, 하우징(80) 내측에 고정 결합되고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제2프레임(10b)과, 서로 마주보는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 사이를 연결하는 접이식 회동부재(20)를 포함한다.
화재 대피장치(100)는 고리 수용홈(81) 근처에 설치된 경보센서(8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프레임(10a)이 일정 거리 떨어지면 경보센서(82)에서 경보음을 발생함으로써 이웃세대에서 화재 발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 확산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마감재(15)의 끼움고리(16)가 고리 수용홈(81)에 걸려 구속되면 제1프레임(10a)이 제2프레임(10b)에 밀착되는 반면, 마감재(15)의 구속 상태가 풀리면 마감재(15) 내측에 결합된 제1프레임(10a)이 제2프레임(10b)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전방으로 나아감에 따라 지지틀(10)의 전개가 시작된다.
회동부재(20)는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의 양측 상단과 하단에 복수개 설치되며, 각각의 회동부재(20)는 한 쌍의 힌지축(20a)과 한 쌍의 연결대(20b) 및 회동축(20c)을 구비한다. 한 쌍의 힌지축(20a)은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에 각각 고정되고, 한 쌍의 연결대(20b) 각각은 일측이 대응하는 힌지축(20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이 회동축(20c)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틀(10)이 접힌 상태에서 상호 밀착된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 내측에 회동부재(20)가 수납될 수 있다. 지지틀(10)이 펼쳐지면 회동부재(20)가 회동함에 따라 길이가 늘어난다.
레버(51) 작동으로 잠금 해제되어 마감재(15)에 수납된 지지틀(10)의 구속 상태가 풀리고 제2프레임(10b)에 밀착된 제1프레임(10a)이 전방으로 전개된다. 이때 대피자가 직접 마감재(15) 또는 제1프레임(10a)에 외력을 가하여 지지틀(10)을 전개시켜야 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한 쌍의 연결대(20b)를 연결하는 회동축(20c)에는, 도 7에 따라 후술하는 탄성부재(22)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2)는 한 쌍의 연결대(20b)가 접혀져 있다가 펼쳐지는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즉 탄성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부재(20)가 저절로 펼쳐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회동축(20c)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연결대(20b)의 길이가 늘어나 마감재(15) 내측에 결합된 제1프레임(10a)을 밀쳐냄으로써 신속한 전개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한 쌍의 연결대(20b) 사이에 후술하는 토션 스프링(22b)을 일체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전방으로 전개된 지지틀(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지지틀(10)의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회동부재(21)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보조 회동부재(21)는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에 각각 힌지 결합된 한 쌍의 링크를 결합하는 것으로, 회동시 상하 방향으로 접거나 펼쳐지는 작동 구조를 적용하는 점에서 회동부재(20)와 유사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10)는 지지틀(10) 내부에 설치하는 판형상의 발판부(30)를 구비한다. 발판부(30)는 대피자가 비상문(91)을 열고 나올 때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 수직으로 세워지고, 화재 발생에 따른 비상시 레버(51) 작동으로 돌출되는 지지틀(10)과 함께 전개된다.
발판부(30)는 대피자가 밟고 다닐 수 있는 디딤판(30a)과, 디딤판(30a) 일측에 마련되고 아래층으로 대피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덮개(30b)를 구비한다.
디딤판(30a) 일측은 제2프레임(10b) 하단에 경첩(30d)을 이용하여 결합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딤판(30a)이 완전히 회동하게 되면 전개된 제1프레임(10a) 하단과 제2프레임(10b) 하단에 각각 걸쳐지게 된다.
대피자가 레버(51)를 작동하여 발판부(30)의 디딤판(30a)를 전개시키면 이웃세대(300)의 비상문(91a)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만들어지고, 이렇게 1차 대피공간을 확보하게 되면 대피자는 이웃세대(300)의 비상문(91a)을 통해 안전하게 구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웃세대(300)의 비상문(91a)을 개방할 수 없거나 이웃세대(300) 까지 화염이 번지는 상황에 놓일 수 있기 때문에 층고가 낮은 안전지대로 이동하기 위한 2차 대피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딤판(30a) 일부에 피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덮개(30b)를 구비한다.
도 4를 참고하여, 덮개(30b)는 일측에 경첩(30c)을 이용하여 디딤판(30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술하는 잠금장치의 하층 레버(51b)에 의해 잠금되거나 잠금해제할 수 있다. 하층 레버(51b)는 수직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 아래층 화재 대피장치(100)를 전개시킬 때 사용하며, 또한 아래층 화재 대피장치(100)를 작동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하층 레버(51b)가 덮개(30b) 위에 위치함으로써 덮개(30b)를 들어올려 회동시킬 수 없다. 즉 덮개 손잡이(31)를 잡고 위로 당기더라도 덮개(30b)가 하층 레버(51b)에 걸리기 때문에 덮개(30b)를 개방시킬 수 없게 된다. 이는 비상문(91)을 열고 나온 대피자가 아래층 화재 대피장치(100)를 미처 전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무심코 덮개(30b)를 개방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덮개(30b)를 열어 피난 통로를 확보한 대피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 사다리(40)를 회동부재(20)에 설치할 수 있다. 대피자는 개방된 덮개(30b)의 피난 통로 밑에 위치한 아래층 화재 대피장치(100)의 승강 사다리(40)를 이용하여 안전한 대피공간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아래층 화재 대피장치(100)의 하층 레버(51b)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일렬 배치된 화재 대피장치(100)를 순차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층고가 낮은 지상까지 안전하게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상시 마감재와 하우징 내부에 지지틀이 수납된 화재 대피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50)는 경계벽(70) 전면에 설치된 잠금박스(57)에 수납되고 상단 및 하단의 고리 수용홈(81)에 각각 끼워진 끼움고리(16)의 결합공(16a)에 결합된 한 쌍의 걸쇠(53)와, 걸쇠(53) 외측에 결합된 코일 스프링(54)과,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한 쌍의 걸쇠(53) 일측에 결합된 고정단(55)에 각각 연결된 연결 와이어(56)와, 연결 와이어(56)의 중도에 일측이 개별 결합되고 복수의 레버(51)(51a)(51b)와 타측이 개별 결합되며 와이어 수납홈(60)을 관통하여 수납된 복수의 작동 와이어(52)(52a)(52b)를 구비한다.
복수의 레버(51)(51a)(51b) 중 대피세대(200)의 레버(51)와 이웃세대(300)의 레버(51a)는 대피세대(200)와 이웃세대(300)가 공용하는 화재 대피장치(100)를 전개시킬 때 사용하는 것이고, 하층 레버(51b)는 위층의 대피자가 화재 대피장치(100)를 사용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므로 위층에 설치된 화재 대피장치(100)의 발판부(30)에 설치된다.
복수의 레버(51)(51a)(51b) 중 어느 하나의 레버를 작동시키더라도 해당 레버(51)(51a)(51b)에 연결된 어느 하나의 작동 와이어(52)(52a)(52b)는 당기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연결 와이어(56)가 한 쌍의 고정단(55)에 결합된 걸쇠(53)를 이동시킴으로써 결합공(16a)에서 빠져나온다. 걸쇠(53)가 끼움고리(16)의 결합공(16a)에서 빠져나오면 마감재(15)는 구속 해제된다. 이때 탄성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부재(20)는 회동함에 따라 마감재(15)에 결합된 제1프레임(10a)이 전방으로 나아가서 지지틀(10)을 전개시킬 수 있다.
화재 대피장치(100)를 처음 설비하거나 화재 진압 후 화재 대피장치(100)를 정상으로 재작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마감재(15)를 접어 끼움고리(16)가 고리 수용홈(81)에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레버 작동을 해제시키면 걸쇠(53)가 결합공(16a)에 끼워져 지지틀(10)를 구속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레버(51)(51a)(51b)가 모두 작동 해제되면, 코일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걸쇠(53)는 원래 위치로 이동하여 고리 수용홈(81)으로 이동하여 결합공(16a)에 끼워지게 된다.
도 7을 참고하여, 탄성부재(22)는 회동부재(20)의 한 쌍의 연결대(20b) 사이에 설치한다. 탄성부재(22)는 지지축(22a)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연결구(22c)와, 지지축(22) 외측에 결합되어 한 쌍의 연결구(22c)를 회동시키는 토션 스프링(22b)를 구비한다. 탄성부재(22)의 연결구(22c)가 회동축(20c)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연결대(20b)에 고정 결합함으로써 제1프레임(10a)이 전개될 때 토션 스프링(22b)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연결대(20b) 사이가 쉽게 벌어지게 하여 지지틀(10)의 제1프레임(10a)이 단시간에 전개되도록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장치에 구비된 발판부의 하층 레버에 연동하는 덮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인용하고 중복되는 구성은 간략히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 레버(51b)는 덮개(30b)에서 떨어져 디딤판(30a)에 설치된다. 발판부(30)의 덮개(30b)는 디딤판(30a) 배면에 마련된 덮개 잠금쇠(58)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된다. 덮개 잠금쇠(58)가 전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덮개(30b)는 밑으로 회동하지 못하는 반면, 덮개 잠금쇠(58)가 수축하게 되면 덮개(30b)는 자중에 의해 밑으로 회동하여 피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 잠금쇠(58)는 디딤판(30a)에 설치된 하층 레버(51b)와 연동된다. 즉 하층 레버(51b)를 작동하면 아래층 화재 대피장치(100)의 잠금박스(57)에 설치된 연결 와이어(56)가 당겨져서 걸쇠(53)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아래층 화재 대피장치(100)의 지지틀(10)이 전방으로 전개되며, 동시에 발판부(30)가 함께 전개됨으로써 2차 대피공간을 확보하는 동작과 병행하여 하층 레버(51b)에 의해 덮개 잠금쇠(58)가 수축됨에 따라 덮개(30b)가 자중에 의해 밑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대피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에 주안점을 두고 설명하였으나, 외부인의 무단 침입에 대비하여 화재 대피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방법에 따라 레버를 작동시켜 지지틀(10)을 전개하여 대피공간을 확보한 다음 비상문(91)을 실내에서 열 수 없도록 비상문(91) 외측에 방범용 잠금 손잡이(92)를 마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대피세대(200)의 내부(일례로, 주거 공간)에 범죄자가 침입하는 경우, 대피자는 비상문(91)을 열고 레버(51)를 작동시켜 지지틀(10)을 전개시켜 대피한 후, 방범용 잠금 손잡이(92)를 이용하여 비상문(91)을 잠금으로써, 범죄자가 대피공간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틀, 발판부, 비상문 등 화재 대피장치의 구성 요소는 특정한 위치나 크기로 제한되지 않고, 화재 대피장치가 설치되는 위치, 건축구조물의 규모 및 대피동선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개량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지지틀 10a : 제1프레임
10b : 제2프레임 15 : 마감재
16 : 끼움고리 16a : 결합공
20 : 회동부재 20a : 고정축
20b : 연결대 20c : 회동축
22 : 탄성부재 22a : 지지축
22b : 토션 스프링 22c : 연결구
30 : 발판부 30a : 디딤판
30b : 덮개 30c, 30d : 경첩
31 : 덮개 손잡이 40 : 승강 사다리
50 : 잠금장치 51, 51a, 51b : 레버
52, 52a, 52b : 작동 와이어 53 : 걸쇠
54 : 코일 스프링 55 : 고정단
56 : 연결 와이어 57 : 잠금박스
60 : 와이어 수납홈 70 : 경계벽
80 : 하우징 81 : 고리 수용홈
82 : 경보센서 91, 91a : 비상문
100 : 화재 대피장치 200 : 대피세대
201, 301 : 발코니 난간 300 : 이웃세대

Claims (9)

  1. 건축구조물의 대피세대와 이웃세대를 구분하는 경계에 고정 결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을 가리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비상 상황에서 잠금해제되면 전방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마감재;
    상기 마감재 내측에 고정 결합된 제1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고정 결합된 제2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접이식 회동부재를 구비한 지지틀;
    상기 지지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감재와 하우징 사이에 세워진 상태로 수납된 발판부;
    상기 대피세대와 이웃세대에서 개별적으로 잠금해제하기 위한 대피세대의 제1레버와 이웃세대의 제2레버 그리고, 아래층의 화재 대피장치를 전개하기 위한 제3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가 작동하면 상기 지지틀의 제1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마감재를 잠금 해제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접이식 회동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양측 상단과 하단에 복수개 설치되며, 각각의 회동부재는 한 쌍의 힌지축과 한 쌍의 연결대, 및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마감재를 잠금해제시 전방으로 전개되는 상기 지지틀과 함께 이웃세대로 이동하기 위한 대피통로를 제공하는 상기 발판부가 전개되며,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 작동으로 상기 지지틀 및 발판부가 모두 전개되어 1차 대피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제3레버를 작동하면 층고가 낮은 아래층의 화재 대피장치를 전개하여 2차 대피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대피자가 밟고 다니기 위한 디딤판과, 상기 1차 대피공간에서 2차 대피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디딤판에 설치된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레버는 상기 디딤판에 설치하며, 상기 아래층의 화재 대피장치를 전개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덮개를 잠금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자중에 의해 회동하지 못하도록 잠금하는 덮개 잠금쇠를 구비하고, 상기 제3레버의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덮개 잠금쇠는 돌출하거나 수축하여 상기 덮개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에 고리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마감재의 상단 및 하단에 끼움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고리 수용홈에 끼워진 상기 마감재의 끼움고리를 구속하여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기 위한 한 쌍의 걸쇠와, 상기 걸쇠 외측에 결합된 코일 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걸쇠 일측에 결합된 고정단에 각각 연결된 연결 와이어와, 상기 연결 와이어의 중도에 일측이 개별 결합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레버와 타측이 개별 결합되는 복수의 작동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대가 접혀 있다가 펼쳐지도록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어 대피자가 2차 대피공간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기 위한 승강 사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 작동으로 상기 지지틀 및 발판부가 모두 전개되어 1차 대피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대피세대의 실내에서 비상문을 열어 1차 대피공간으로 외부의 무단침입자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상기 비상문에 방범용 잠금 손잡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장치.
KR1020170070711A 2016-06-08 2017-06-07 화재 대피장치 KR101892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221 2016-06-08
KR20160071221 2016-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948A KR20170138948A (ko) 2017-12-18
KR101892255B1 true KR101892255B1 (ko) 2018-08-27

Family

ID=6092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711A KR101892255B1 (ko) 2016-06-08 2017-06-07 화재 대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2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8968A (zh) * 2019-03-27 2019-06-18 六安市恒伟标识有限公司 防火门的应急隔离控制方法
KR102096210B1 (ko) * 2019-06-10 2020-04-01 정성용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KR102288765B1 (ko) * 2020-03-24 2021-08-11 최필규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597B1 (ko) * 2021-06-14 2022-09-08 주식회사 와이디티 화재 대피용 사다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445A (ja) 2003-03-09 2004-09-30 Beth-El Zikhron Yaaqov Industries Ltd Nbc戦争から防護する軟質シェルターを収納および展開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055294B1 (ko) * 2011-06-22 2011-08-09 (주) 크로텍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612265B1 (ko) * 2015-09-15 2016-04-14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건축용 안전 난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0114A (ko) * 2007-01-29 2007-02-16 정길수 선박의 웨더타이트 도어의 도그링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445A (ja) 2003-03-09 2004-09-30 Beth-El Zikhron Yaaqov Industries Ltd Nbc戦争から防護する軟質シェルターを収納および展開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055294B1 (ko) * 2011-06-22 2011-08-09 (주) 크로텍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612265B1 (ko) * 2015-09-15 2016-04-14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건축용 안전 난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8968A (zh) * 2019-03-27 2019-06-18 六安市恒伟标识有限公司 防火门的应急隔离控制方法
CN109898968B (zh) * 2019-03-27 2020-11-20 六安市恒伟标识有限公司 防火门的应急隔离控制方法
KR102096210B1 (ko) * 2019-06-10 2020-04-01 정성용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KR102288765B1 (ko) * 2020-03-24 2021-08-11 최필규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948A (ko) 201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KR100725267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CN110799250B (zh) 建筑物中的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US20210301540A1 (en)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KR102005216B1 (ko)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2096210B1 (ko)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KR101024420B1 (ko) 고층 건물의 피난장치
KR101082185B1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101793332B1 (ko) 재난용 비상탈출 장치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425298Y1 (ko) 긴급대피용 탈출장치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US5893431A (en) Basement emergency exit assembly
KR20200029709A (ko) 피난용 사다리장치
KR101166319B1 (ko)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JPH10127796A (ja) 建築構造物の避難用ハッチ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102612618B1 (ko)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KR20230112464A (ko) 화재 대피용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