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294B1 - 화재 피난 대피시설 - Google Patents

화재 피난 대피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294B1
KR101055294B1 KR1020110060457A KR20110060457A KR101055294B1 KR 101055294 B1 KR101055294 B1 KR 101055294B1 KR 1020110060457 A KR1020110060457 A KR 1020110060457A KR 20110060457 A KR20110060457 A KR 20110060457A KR 101055294 B1 KR101055294 B1 KR 101055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fixed
fir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중오
민세홍
Original Assignee
(주) 크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크로텍 filed Critical (주) 크로텍
Priority to KR102011006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294B1/ko
Priority to US14/128,489 priority patent/US9248321B2/en
Priority to JP2014516888A priority patent/JP6181051B2/ja
Priority to CN201280031029.5A priority patent/CN103635232B/zh
Priority to PCT/KR2012/003086 priority patent/WO2012176976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1Cubicles for fire-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Special W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시 비상구나 기타 대피수단으로 피난을 하지 못한 경우 구조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층간 이동을 할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베란다의 난간 일측에 장착되어 박스형으로 절첩되어 화재 등의 위급 상황에서 내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 있어서;
사각의 틀 형상으로 베란다의 난간에 고정되고, 정면에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며 정면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입구도어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한 쌍의 제1 사다리 고정홀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서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걸림단턱부를, 중앙에는 출구도어가 형성되는 배면판넬과;
수직 이등분되는 제1 및 제2 측면판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넬은 상호 수 개의 제1 경첩에 의하여 대응하는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과 후방은 각각 수 개의 제2 및 제3 경첩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측 후방 및 상기 배면판넬의 일측단과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측면판넬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4 경첩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홀 및 이를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개폐판이 형성되며,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으로 밀었을 때 슬라이드식으로 저면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하부 슬라이드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슬라이드 도어에서 상기 입구도어 측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한 쌍의 제2 사다리 고정홀이 형성되며,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판넬의 하단에 위치한 걸림단턱부에 걸려 바닥면을 마감하도록 하는 저면판넬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5 경첩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으로 밀었을 때 슬라이드식으로 저면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상부 슬라이드 도어를 구비하며,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판넬의 상단에 위치한 걸림단턱부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면판넬과;
상기 입구도어의 내측에 구비하고 상부는 전방으로 곡선을 이루며 구부러지는 삽입훅이 형성되어 그 끝단이 상기 제2 사다리 고정홀에 삽입되고, 하단은 아래층에 설치된 장치의 제1 사다리 고정홀에 삽입되는 비상사다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 피난 대피시설{The installation to evacuating from a fire}
본 발명은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재시 비상구나 기타 대피수단으로 피난을 하지 못한 경우 구조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층간 이동을 할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 관한 것이다.
대다수의 인구가 도시에 집중되는 상황에서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 사람이 살고 또 일을 하기 위해 갈수록 고층건물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고층건물은 화재가 발생할 때 치명적인 인명의 피해가 우려되므로 비상구와 방화문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또한 완강기 등 각종 대피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완강기의 경우 그 사용법을 숙지하고 있는 사람이 극히 적은 편이며 또 비상시에도 사용시 두려움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비상구의 경우 화재시 많은 사람이 몰려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또 비상구에는 방화문이 설치되어 화염이나 연기가 비상구를 통하여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사실상 방화문을 닫는 것은 대부분 수동으로 이루어져 닫히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하겠다.
이 경우 비상구는 굴뚝의 역할을 하여 오히려 화재의 확산을 가져올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피를 하지 못한 사람들은 화염 그리고 화염보다 더 치명적인 유독가스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원인이 선출원하고 등록된 특허등록 제10-099824-00000호 (2010년11월29일)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서는 베란다에 절첩가능한 박스형의 시설물 두어 탈출이 불가능한 비상상황시 구조대원에 의해 구조받을 때까지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접혀졌다가 펼쳐지는 작업이 이를 숙지하지 못한 일반인이 위급상황에서 작업하기에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었으며,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는 인식을 가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대피시설은 화재가 발생할 경우 비상탈출 수단보다는 하위의 개념으로 완강기를 포함하는 비상시 층간 이동을 할 수 있는 수단의 설치가 우선적으로 설치되어야하므로 두 가지의 상반된 시설을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또, 어린이나 노약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대피시설을 펼치고 사용 후 접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도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재가 발생하여 비상구나 기타 대피시설을 이용하여 대피하지 못했을 때 구조대원에 의해 구조받을 때까지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함과동시에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설치하고 다시 복원시킬 수 있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란다의 난간 일측에 장착되어 박스형으로 절첩되어 화재 등의 위급 상황에서 내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 있어서;
사각의 틀 형상으로 베란다의 난간에 고정되고, 정면에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며 정면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입구도어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한 쌍의 제1 사다리 고정홀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서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걸림단턱부를, 중앙에는 출구도어가 형성되는 배면판넬과;
수직 이등분되는 제1 및 제2 측면판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넬은 상호 수 개의 제1 경첩에 의하여 대응하는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과 후방은 각각 수 개의 제2 및 제3 경첩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측 후방 및 상기 배면판넬의 일측단과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측면판넬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4 경첩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홀 및 이를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개폐판이 형성되며,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으로 밀었을 때 슬라이드식으로 저면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하부 슬라이드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슬라이드 도어에서 상기 입구도어 측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한 쌍의 제2 사다리 고정홀이 형성되며,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판넬의 하단에 위치한 걸림단턱부에 걸려 바닥면을 마감하도록 하는 저면판넬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5 경첩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으로 밀었을 때 슬라이드식으로 저면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상부 슬라이드 도어를 구비하며,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판넬의 상단에 위치한 걸림단턱부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면판넬과;
상기 입구도어의 내측에 구비하고 상부는 전방으로 곡선을 이루며 구부러지는 삽입훅이 형성되어 그 끝단이 상기 제2 사다리 고정홀에 삽입되고, 하단은 아래층에 설치된 장치의 제1 사다리 고정홀에 삽입되는 비상사다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상면판넬에 고정되어 상면판넬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한 쌍의 제1 에어쇼바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저면판넬에 고정되어 저면판넬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한 쌍의 제2 에어쇼바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후방에 위치한 제2 측면판넬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내지 제2 측면판넬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한 쌍의 제3 에어쇼바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2 측면판넬을 연결하는 제1 경첩의 회전축에는 상기 제1 내지 제2 측면판넬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토션스프링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입구도어와 프레임의 밀착면을 따라 유해가스 및 연기가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면판넬의 전방 상단에는 'U'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갈라진 두 곳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면판넬을 관통하여 끝단에 형성되는 홀에 록킹핀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로킹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로킹부재의 전방 끝단이 삽입되는 로킹홈을 구비하는 로킹브라켓과;
상기 로킹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일단은 로킹부재가 상기 로킹홈에 진입하였을 때 상응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타측단은 와이어 연결부를 구비하는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의 와이어 연결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승한 후 하강하여 끝단에는 로킹 해제 손잡이를 구비하는 제1 와이어로 구성되는 로킹수단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측면판넬의 상단 상기 제2 측면판넬과 인접한 곳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 상단 중앙부분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와이어 관통홀을 통과한 후 하부로 늘어지는 두 개의 제2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의 늘어진 양끝단이 고정되는 당김손잡이로 구성되는 절첩수단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시 베란다를 설치된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 들어가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대기하면서 구조를 기다릴 수 있도록 하고, 층간 이동이 가능할 정도의 상황에서는 비상사다리를 아래층에 위치한 시설물과 결합 고정하여 층간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방화문과 비상계단의 사용이 불가능할 때 용이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시에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황이 해제되면 이를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보다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대피용도로의 사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피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간 이동수단으로의 사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베란다(1)의 난간(11)의 일측에 장착되어 박스형으로 절첩되어 화재 등의 위급 상황에서 내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 있어서;
사각의 틀 형상으로 베란다(1)의 난간(11)에 고정되고, 정면에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며 정면으로 돌출된 손잡이(21)를 구비하는 한 쌍의 입구도어(22)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한 쌍의 제1 사다리 고정홀(23)이 형성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후방에서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걸림단턱부(31)를, 중앙에는 출구도어(32)가 형성되는 배면판넬(3)과;
수직 이등분되는 제1 및 제2 측면판넬(41, 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넬(41, 42)은 상호 수 개의 제1 경첩(43)에 의하여 대응하는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과 후방은 각각 수 개의 제2 및 제3 경첩(44, 45)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2)의 내측 후방 및 상기 배면판넬(3)의 일측단과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측면판넬(4)과;
상기 프레임(2)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4 경첩(51)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홀(52) 및 이를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개폐판(53)이 형성되며,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으로 밀었을 때 슬라이드식으로 저면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하부 슬라이드 도어(54)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슬라이드 도어(54)에서 상기 입구도어(22) 측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한 쌍의 제2 사다리 고정홀(55)이 형성되며,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판넬(3)의 하단에 위치한 걸림단턱부(31)에 걸려 바닥면을 마감하도록 하는 저면판넬(5)과;
상기 프레임(2)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5 경첩(61)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으로 밀었을 때 슬라이드식으로 저면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상부 슬라이드 도어(62)를 구비하며,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판넬(3)의 상단에 위치한 걸림단턱부(31)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면판넬(6)과;
상기 입구도어(22)의 내측에 구비하고 상부는 전방으로 곡선을 이루며 구부러지는 삽입훅(71)이 형성되어 그 끝단이 상기 제2 사다리 고정홀(55)에 삽입되고, 하단은 아래층에 설치된 장치의 제1 사다리 고정홀(23)에 삽입되는 비상사다리(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구성은 베란다(1)의 난간(11)에 고정적으로 장착하여 화재시 화염이나 유독가스를 피해서 임시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불연성 소재를 사용하며 내부는 외부와 밀폐되고 외부의 공기는 공기유입홀(52)에 의하여 정화되어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유독가스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서 비상사다리(7)를 두어 이를 인접한 아래층의 화재 피난 대피시설과 용이하게 연결 장착하여 층간 이동 및 아래층의 화재 피난 대피시설의 사용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작동관계의 설명은 이하 도면에서 나타낸 동작관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대피용도로의 사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피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도면에서는 상기 배면판넬(3)의 전방 상단에는 'U'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갈라진 두 곳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면판넬(3)을 관통하여 끝단에 형성되는 홀에 록킹핀(81)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로킹부재(82)와;
상기 프레임(2)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로킹부재(82)의 전방 끝단이 삽입되는 로킹홈(83)을 구비하는 로킹브라켓(84)과;
상기 로킹브라켓(8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일단은 로킹부재(82)가 상기 로킹홈(83)에 진입하였을 때 상응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부(85)를 구비하고, 타측단은 와이어 연결부(86)를 구비하는 회전링크(87)와;
상기 회전링크(87)의 와이어 연결부(86)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승한 후 하강하여 끝단에는 로킹 해제 손잡이(88)를 구비하는 제1 와이어(89)로 구성되는 로킹수단(8)을 추가로 구비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입구도어(22)를 열고 노출된 로킹수단(8)의 로킹 해제 손잡이(88)를 잡아당기면 상기 회전링크(87)가 회전하면서 상기 로킹부재(82)는 로킹브라켓(84)의 로킹홈(83)으로 부터 이탈하게 된다.
그러면 배면판넬(3)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제1 경첩(43)에 의하여 절첩되었던 측면판넬(4) 즉 제1 및 제2 측면판넬(41, 42)이 펼쳐지게 되고, 측면판넬(4)이 펼쳐지면 제4 경첩(51)에 의하여 연결된 저면판넬(5)은 자중에 의하여 수평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펼쳐지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2)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상면판넬(6)에 고정되어 상면판넬(6)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한 쌍의 제1 에어쇼바(24)와;
상기 프레임(2)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저면판넬(5)에 고정되어 저면판넬(5)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한 쌍의 제2 에어쇼바(25)와;
상기 프레임(2)의 후방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후방에 위치한 제2 측면판넬(42)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내지 제2 측면판넬(41, 42)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한 쌍의 제3 에어쇼바(26)가 추가로 장착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제1 내지 제3 에어쇼바(24, 25, 26)에 의하여 별도의 인력이없이도 용이하게 펼쳐지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법을 잘 알지 못하거나 힘이 약한 노약자 및 어린이들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렇게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구조는 각 경첩에 토션스프링을 장착하는 방법이 있으며 본원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2 측면판넬(41, 42)을 연결하는 제1 경첩(43)의 회전축에는 상기 제1 내지 제2 측면판넬(41, 42)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토션스프링(46)이 장착되는 예를 제시하였다.
이렇게 일련의 판넬이 펼쳐지게 되면 피구조자는 내부로 들어간 후 지상의 사람 또는 구조대원에 의하여 구조될 때까지 화염과 유독가스를 피해 대피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홀(52)에는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에어필터를 장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입구도어(22)와 프레임(2)의 밀착면을 따라 유해가스 및 연기가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27)을 설치하여 입구도어(22)의 틈 사이로 유독가스가 내부로 새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판넬(3)의 출구도어(33)에는 구조자가 오기 전에 내부에서 출구도어(33)를 열 경우 대피자가 추락의 위험이 있으므로 외부에 잠금장치를 두어 구조대원이 잠금장치를 해제할 때까지 내부에서 열리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제1 측면판넬(41)의 상단 상기 제2 측면판넬(42)과 인접한 곳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프레임(2)의 내측 상단 중앙부분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와이어 관통홀(91)을 통과한 후 하부로 늘어지는 두 개의 제2 와이어(92)와;
상기 제2 와이어(92)의 늘어진 양끝단이 고정되는 당김손잡이(93)로 구성되는 절첩수단(9)을 추가로 구비한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사용한 후에 다시 접는 과정이 기존의 경우 상당한 곤란함을 느낄 수 있으며 또 자칫하면 추락의 위험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제시한 것이다.
즉 상기 당김손잡이(93)를 당기면 측면판넬(4)이 접히면서 동시에 상면판넬(6)과 저면판넬(5)이 접히는 힘을 받으며 계속 당기면 상기 로킹수단(8)의 로킹부재(82)가 로킹홈(833)에 삽입되고 회전링크(87)의 걸림부(85)가 이탈을 막아 고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간 이동수단으로의 사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원의 기존 기술과 가장 대비되는 기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실시 예는 먼저 아래층의 베란다(1a)와 인접한 윗층의 베란다(1b)에 화재 피난 대피시설이 구비되어 있으며, 아래층은 화재나 유독가스에 의한 위험은 덜하나 비상구나 기타 층간 이동수단의 이용이 불가능할 때 먼저 윗층의 화재 피난 대피시설을 펼치고, 저면판넬(5)의 하부 슬라이드 도어(54)를 연 후 상기 비상 사다리(7)의 상단 삽입훅(71)을 제2 사다리 고정홀(55)에 삽입하고 하단은 아래층에 위치한 화재 피난 대피시설의 프레임(2)에 형성된 제1 사다리 고정홀(23)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 후 피구조자는 비상사다리(7)를 이용하여 아래로 내려온 후 다른 경로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아래층에서도 마땅한 대피수단이 없을 경우 피구조자는 비상사다리(7)를 따라 내려오다가 아래층에 위치한 화재 피난 대피시설의 상면에서 상기 로킹수단(8)의 로킹핀(81)을 뽑으면 아래층의 화재 피난 대피시설은 펼쳐지고 상면판넬(6)의 상부 슬라이드 도어(62)을 연 후 내부로 피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반복하여 건물 아래에까지 내려갈 수도 있다.
1, 1a, 1b : 베란다
11 : 난간
2 : 프레임
21 : 손잡이 22 : 입구도어
23 : 제1 사다리 고정홀 24 : 제1 에어쇼바
25 : 제2 에어쇼바 27 : 제3 에어쇼바
27 : 가스켓
3 : 배면판넬
31 : 걸림단턱부 32 : 출구도어
4 : 측면판넬
41 : 제1 측면판넬 42 : 제2 측면판넬
43 : 제1 경첩 44 : 제2 경첩
45 : 제3 경첩 46 : 토션스프링
5 : 저면판넬
51 : 제4 경첩 52 : 공기유입홀
53 : 개폐판 54 : 하부 슬라이드 도어
55 : 제2 사다리 고정홀
6 : 상면판넬
61 : 제5 경첩 62 : 상부 슬라이드 도어
7 : 비상사다리
71 : 삽입훅
8 : 로킹수단
81 : 로킹핀 82 : 로킹부재
83 : 로킹홈 84 : 로킹브라켓
85 : 걸림부 86 : 와이어 연결부
87 : 회전링크 88 : 로킹 해제 손잡이
89 : 제1 와이어
9 : 절첩수단
91 : 와이어 관통홀 92 : 제2 와이어
93 : 당김손잡이

Claims (6)

  1. 베란다(1)의 난간(11)의 일측에 장착되어 박스형으로 절첩되어 화재 등의 위급 상황에서 내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 있어서;
    사각의 틀 형상으로 베란다(1)의 난간(11)에 고정되고, 정면에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며 정면으로 돌출된 손잡이(21)를 구비하는 한 쌍의 입구도어(22)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한 쌍의 제1 사다리 고정홀(23)이 형성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후방에서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걸림단턱부(31)를, 중앙에는 출구도어(32)가 형성되는 배면판넬(3)과;
    수직 이등분되는 제1 및 제2 측면판넬(41, 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측면판넬(41, 42)은 상호 수 개의 제1 경첩(43)에 의하여 대응하는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과 후방은 각각 수 개의 제2 및 제3 경첩(44, 45)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2)의 내측 후방 및 상기 배면판넬(3)의 일측단과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측면판넬(4)과;
    상기 프레임(2)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4 경첩(51)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홀(52) 및 이를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개폐판(53)이 형성되며,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으로 밀었을 때 슬라이드식으로 저면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하부 슬라이드 도어(54)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슬라이드 도어(54)에서 상기 입구도어(22) 측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한 쌍의 제2 사다리 고정홀(55)이 형성되며,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판넬(3)의 하단에 위치한 걸림단턱부(31)에 걸려 바닥면을 마감하도록 하는 저면판넬(5)과;
    상기 프레임(2)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5 경첩(61)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으로 밀었을 때 슬라이드식으로 저면 일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상부 슬라이드 도어(62)를 구비하며,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판넬(3)의 상단에 위치한 걸림단턱부(31)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면판넬(6)과;
    상기 입구도어(22)의 내측에 구비하고 상부는 전방으로 곡선을 이루며 구부러지는 삽입훅(71)이 형성되어 그 끝단이 상기 제2 사다리 고정홀(55)에 삽입되고, 하단은 아래층에 설치된 장치의 제1 사다리 고정홀(23)에 삽입되는 비상사다리(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상면판넬(6)에 고정되어 상면판넬(6)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한 쌍의 제1 에어쇼바(24)와;
    상기 프레임(2)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저면판넬(5)에 고정되어 저면판넬(5)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한 쌍의 제2 에어쇼바(25)와;
    상기 프레임(2)의 후방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후방에 위치한 제2 측면판넬(42)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내지 제2 측면판넬(41, 42)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한 쌍의 제3 에어쇼바(26)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2 측면판넬(41, 42)을 연결하는 제1 경첩(43)의 회전축에는 상기 제1 내지 제2 측면판넬(41, 42)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토션스프링(46)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도어(22)와 프레임(2)의 밀착면을 따라 유해가스 및 연기가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27)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넬(3)의 전방 상단에는 'U'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갈라진 두 곳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면판넬(3)을 관통하여 끝단에 형성되는 홀에 록킹핀(81)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로킹부재(82)와;
    상기 프레임(2)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로킹부재(82)의 전방 끝단이 삽입되는 로킹홈(83)을 구비하는 로킹브라켓(84)과;
    상기 로킹브라켓(8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일단은 로킹부재(82)가 상기 로킹홈(83)에 진입하였을 때 상응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부(85)를 구비하고, 타측단은 와이어 연결부(86)를 구비하는 회전링크(87)와;
    상기 회전링크(87)의 와이어 연결부(86)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승한 후 하강하여 끝단에는 로킹 해제 손잡이(88)를 구비하는 제1 와이어(89)로 구성되는 로킹수단(8)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판넬(41)의 상단 상기 제2 측면판넬(42)과 인접한 곳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프레임(2)의 내측 상단 중앙부분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와이어 관통홀(91)을 통과한 후 하부로 늘어지는 두 개의 제2 와이어(92)와;
    상기 제2 와이어(92)의 늘어진 양끝단이 고정되는 당김손잡이(93)로 구성되는 절첩수단(9)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20110060457A 2011-06-22 2011-06-22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055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457A KR101055294B1 (ko) 2011-06-22 2011-06-22 화재 피난 대피시설
US14/128,489 US9248321B2 (en) 2011-06-22 2012-04-20 Fire evacuation installation
JP2014516888A JP6181051B2 (ja) 2011-06-22 2012-04-20 火災避難待避施設
CN201280031029.5A CN103635232B (zh) 2011-06-22 2012-04-20 火灾避难逃生装置
PCT/KR2012/003086 WO2012176976A2 (ko) 2011-06-22 2012-04-20 화재 피난 대피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457A KR101055294B1 (ko) 2011-06-22 2011-06-22 화재 피난 대피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294B1 true KR101055294B1 (ko) 2011-08-09

Family

ID=4493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457A KR101055294B1 (ko) 2011-06-22 2011-06-22 화재 피난 대피시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48321B2 (ko)
JP (1) JP6181051B2 (ko)
KR (1) KR101055294B1 (ko)
CN (1) CN103635232B (ko)
WO (1) WO2012176976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48B1 (ko) 2011-11-02 2012-02-29 (주) 크로텍 화재 피난 대피시설
WO2013066059A1 (ko) * 2011-11-02 2013-05-10 (주) 이엔에프테크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591231B1 (ko) 2015-10-16 2016-02-02 신동환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KR101615728B1 (ko) * 2014-12-01 2016-04-26 이앤에이치시스템(주)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1782139B1 (ko) * 2017-06-16 2017-10-12 주식회사 에스엠텍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20170138948A (ko) * 2016-06-08 2017-12-18 유길용 화재 대피장치
KR102005216B1 (ko) * 2019-03-26 2019-07-29 김주미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2227143B1 (ko) 2019-11-29 2021-03-12 충청남도 책상형 안전 사다리
KR102607023B1 (ko) * 2022-12-15 2023-11-29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건축물용 방화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36874B1 (pl) * 2016-02-29 2021-02-22 Malkowski Zenon Bezpieczenstwo I Ochrona Przeciwpozarowa Biuro Ekspertyz Doradztwa I Nadzoru Fimarc Tunel ewakuacyjny
KR101843842B1 (ko) * 2017-06-16 2018-03-30 주식회사 에스엠텍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US10501937B2 (en) * 2017-09-14 2019-12-10 Christine Inez Karstens Expandable sustainable member beam and pattern
CN110080588B (zh) * 2019-05-27 2021-05-14 北京工业大学 一种灾后逃生的可折叠的双层避难框架装置
CN111001102B (zh) * 2020-02-24 2024-01-16 张力 可折叠的火灾自救舱
KR102141719B1 (ko) * 2020-03-31 2020-08-05 김동우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CN112618974B (zh) * 2020-12-23 2024-05-17 淮阴工学院 一种外置折叠式高层建筑火灾紧急逃生装置
CN112863091B (zh) * 2021-01-25 2022-07-01 福田物业发展有限公司 一种物业管理紧急疏散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63B1 (ko) 2009-12-22 2010-07-05 김광수 피난장치
KR20110019857A (ko) * 2009-08-21 2011-03-02 박종덕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101036763B1 (ko) 2011-03-25 2011-05-25 (주) 크로텍 화재 피난 대피시설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049A (en) * 1883-05-08 Fire-escape
US1448235A (en) * 1922-07-19 1923-03-13 Read Emma Portable baby cage
US2709030A (en) * 1954-05-14 1955-05-24 Walter J Vroman Fire escape
US3841037A (en) * 1973-07-05 1974-10-15 L Clark Portable window-service counter unit
US3984949A (en) * 1974-11-11 1976-10-12 Building Components Research, Inc. Portable room construction
GB1498586A (en) * 1975-03-13 1978-01-18 Naka Tech Lab Movable emergency escape
US4090585A (en) * 1976-11-09 1978-05-23 Laub Charles E Balcony for use on exterior walls of buildings below windows
JPS5926757B2 (ja) * 1978-11-02 1984-06-30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引出し型避難装置
JPS6146123Y2 (ko) * 1978-12-12 1986-12-25
CA1259291A (en) * 1988-03-17 1989-09-12 Peter J. Kelly Escape ladder assembly
NO164820C (no) * 1988-05-24 1990-11-21 Histi Dev As Redningstrapp.
US4989379A (en) * 1990-03-07 1991-02-05 Yugen Kaisha Suzuki House Folding house
CN2070349U (zh) * 1990-04-29 1991-01-30 北京工业大学京天技术装备实验厂 带有传动压爪的平板密封门装置
US5103934A (en) * 1990-10-15 1992-04-14 Brooks Van 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fire escape for a multi-story building
US5377778A (en) * 1993-09-22 1995-01-03 Lan; Tung-Hai Emergency fire escape for multi-storied building
CN2311443Y (zh) * 1997-06-24 1999-03-24 黄杰 一种密封箱体
US5927025A (en) * 1997-10-01 1999-07-27 Fairborn Usa Inc. Mechanical retractable railway dock shelter
US6467221B1 (en) * 2000-08-23 2002-10-22 Bigelow Development Aerospace Spacecraft sleeping berth
US6578664B1 (en) * 2000-11-22 2003-06-17 Stuart Doherty Window guard with quick release latching system
JP3447284B1 (ja) * 2002-02-25 2003-09-16 ユニチカ設備技術株式会社 防火区画用スクリーンシャッター
US20070187178A1 (en) * 2006-02-13 2007-08-16 Jeffrey Tellex Floating ladder system
KR100770825B1 (ko) * 2006-12-01 2007-10-26 최양식 화재나 화생방재시 인명 대피소
US8042562B1 (en) * 2007-04-16 2011-10-25 Mcdaniel Jr Michael D Portable shelters, related shelter systems, and methods of their deployment
US8763315B2 (en) * 2007-07-12 2014-07-01 Morris L. Hartman Folding shed
US20090218167A1 (en) * 2008-02-28 2009-09-03 Eui Whee Lee Executive escape system from high ris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20100058693A1 (en) * 2008-09-11 2010-03-11 Roger Dale Plumley Structure to protect occupants from storm debris
US7980029B2 (en) * 2009-04-24 2011-07-19 Hamidullah Ahmedy Extendible shel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857A (ko) * 2009-08-21 2011-03-02 박종덕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100967563B1 (ko) 2009-12-22 2010-07-05 김광수 피난장치
KR101036763B1 (ko) 2011-03-25 2011-05-25 (주) 크로텍 화재 피난 대피시설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48B1 (ko) 2011-11-02 2012-02-29 (주) 크로텍 화재 피난 대피시설
WO2013066059A1 (ko) * 2011-11-02 2013-05-10 (주) 이엔에프테크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615728B1 (ko) * 2014-12-01 2016-04-26 이앤에이치시스템(주)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1591231B1 (ko) 2015-10-16 2016-02-02 신동환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KR20170138948A (ko) * 2016-06-08 2017-12-18 유길용 화재 대피장치
KR101892255B1 (ko) * 2016-06-08 2018-08-27 주식회사 디딤돌 화재 대피장치
KR101782139B1 (ko) * 2017-06-16 2017-10-12 주식회사 에스엠텍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WO2018230837A1 (ko) * 2017-06-16 2018-12-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EP3639896A4 (en) * 2017-06-16 2021-03-10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BUILDING FIRE / DISASTER EVACUATION INSTALLATION
KR102005216B1 (ko) * 2019-03-26 2019-07-29 김주미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2227143B1 (ko) 2019-11-29 2021-03-12 충청남도 책상형 안전 사다리
KR102607023B1 (ko) * 2022-12-15 2023-11-29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건축물용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81051B2 (ja) 2017-08-16
US9248321B2 (en) 2016-02-02
US20140123570A1 (en) 2014-05-08
WO2012176976A2 (ko) 2012-12-27
CN103635232B (zh) 2016-03-16
JP2014520225A (ja) 2014-08-21
CN103635232A (zh) 2014-03-12
WO2012176976A3 (ko)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294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0998240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036763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2141719B1 (ko)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2096210B1 (ko)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082185B1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20150102832A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46271B1 (ko)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KR100870141B1 (ko) 피신용 곤돌라
KR20110084639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0937385B1 (ko)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난간
KR20210009876A (ko)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의 기계식 비상 탈출장치
KR100408878B1 (ko) 난간용 비상탈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