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271B1 -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271B1
KR101046271B1 KR1020110025119A KR20110025119A KR101046271B1 KR 101046271 B1 KR101046271 B1 KR 101046271B1 KR 1020110025119 A KR1020110025119 A KR 1020110025119A KR 20110025119 A KR20110025119 A KR 20110025119A KR 101046271 B1 KR101046271 B1 KR 101046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fire
building
floo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현
Original Assignee
지엘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엘테크(주) filed Critical 지엘테크(주)
Priority to KR102011002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Special W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대피자가 신속하게 안전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계단실에 구성되는 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비상계단실은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해당층은 거센 불길과 유독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탈출을 시도하는 대피자들은 해당 화재층을 통과하기가 곤란한 문제로, 종래에는 비상계단실이 아닌 건물의 각 층 실내에서 대피자가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탈출용 완강기 또는 베란다에 탈출사다리를 이용하였으나 비상탈출용 완강기는 많은 수의 대피자를 신속하게 대피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고층건물에서 탈출 시, 고소공포증이나 심신이 약한 사람은 대피하기가 더욱 곤란하며, 탈출사다리는 베란다가 없는 빌딩에서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던 바, 본 발명은 비상계단실의 층과 층 사이에 적어도 1개소 이상의 비상방화벽을 마련하고, 그 비상방화벽으로부터 이중틀방화문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평상시에는 이중틀방화문의 도어를 열어 사용하다가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그 화재가 발생한 해당층의 이중틀방화문을 비상방화벽에서 탈거한 후, 접이식으로 구성된 이동터널을 비상방화벽에 설치하여 대피자가 화재층을 벗어나 이동터널을 통해 안전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Evacuation device for fire escape of building which use folding transfor passageway}
본 발명은 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대피자가 신속하게 안전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계단실의 층과 층 사이에 적어도 1개소 이상의 비상방화벽을 마련하고, 그 비상방화벽으로부터 이중틀방화문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평상시에는 이중틀방화문의 도어를 열어 사용하다가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그 화재가 발생한 해당층의 이중틀방화문을 비상방화벽에서 탈거한 후, 접이식으로 구성된 이동터널을 비상방화벽에 설치하여 대피자가 화재층을 벗어나 이동터널을 통해 안전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와 같은 비상시 이용할 수 있도록 방화문이 설치되고, 그 방화문을 통해 비상계단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비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계단실은 층과 층 사이에 계단참이 마련되고, 이를 계단으로 서로 연결하여 대피자가 건물의 상층 또는 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해당층은 거센 불길과 유독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탈출을 시도하는 대피자들은 해당 화재층을 통과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비상계단실이 아닌 건물의 각 층 실내에서 대피자가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탈출용 완강기를 설치하거나, 또는 베란다에 탈출사다리를 적용하여 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행기술이 공개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완강기인 경우 대피할 수 있는 사람이 한 사람으로 제한됨으로써, 많은 사람이 동시에 탈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과 고층에서 탈출을 시도할 경우에는 고도가 높아 낙하하는 대피자에게 공포심을 유발시켜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과, 또한 다른 층에서 탈출하는 사람과 위치가 같은 경우에는 대피자 간에 충돌이 발생하여 2차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베란다의 사다리를 이용하는 경우 베란다가 설비된 건물로 한정되는 문제점과, 설치가 되어 있다 하더라도 탈출하는 하부층에 불이 옮겨진 경우 그 해당층의 상부 라인은 탈출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대피자가 쉽게 대피하기 위해서는 비상계단실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현명하지만 전술한 내용과 같이 비상계단실을 이용하는데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이용하기가 곤란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비상계단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건물의 화재시 많은 수의 대피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다른 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계단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이식 이동터널을 설치하여 화재층의 불길과 유독가스로부터 대피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비상계단실 내부 계단과 계단사이에 건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까지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앙벽체과, 상기 비상계단실의 층과 층 사이에는 상기 중앙벽체의 외측벽면과 비상계단실의 각층을 이루는 내벽면에 사방이 밀폐 연결되는 적어도 1개소 이상 구비되고, 전면,후면 또는 전후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비상방화벽와, 상기 걸림돌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평상시 출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틀방화문과, 상기 이중틀방화문을 탈거한 후, 걸림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비상시 대피자가 화재층을 벗어나 안전한 층으로 이동하는 접이식 이동터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는 비상방화벽에 매립설치되고, 대피자가 이동하도록 문틀통로가 구비된 고정문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중틀방화문은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는 패킹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착탈 결합되는 기밀패킹과, 또한 상기 기밀패킹을 관통한 걸림돌기가 삽입 고정되도록 일측면에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문틀통로 및 패킹통로와 연통되도록 하는 수용통로가 구비되는 이동문틀 및 상기 이동문틀의 수용통로 내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투명화 방화창호가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된 기밀패킹과 이동문틀을 탈거한 후, 접이식 이동터널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접이식 이동통로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내부에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 외부면을 감싸고, 지지대가 인접한 다른 지지대와 접어 닿을 수 있도록 내화성을 갖는 내화시트 및 상기 내화시트 양측에 구비되고, 중앙에는 내화시트의 이동공간과 연통되는 탈출통로가 각각 형성되며, 걸림돌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된 내화성을 갖는 내화패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이식 이동터널의 내화시트의 측면에는 화재층의 대피자를 접이식 이동터널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식 입구와 이동터널 외부를 관측할 수 있는 내화창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벽체의 내부를 분할하고, 그 분할된 일측에는 최상부층은 개방되어 블로워가 설치되고, 최하부층은 폐쇄되고, 측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져 각층 또는 계단참이 형성된 위치에 흡기댐퍼가 설치되며, 분할된 타측에는 최상부층은 폐쇄되고, 최하부층은 건물 외부로 연장되어 개방되며, 그 개방된 단부에는 블로워가 설치되고, 측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져 각층 또는 계단참이 형성된 위치에 급기댐퍼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비상계단실의 외측벽면에 관체를 최상부층에서 최하부층까지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관체의 내부를 분할하며, 그 분할된 일측에는 최상부층은 개방되어 블로워가 설치되고, 최하부층은 폐쇄되며, 측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져 각층 또는 계단참이 형성된 위치에 관통되는 흡기댐퍼가 설치되고, 분할된 타측에는 최상부층은 폐쇄되며, 최하부층은 건물 외부로 연장되어 개방되고, 그 개방된 단부에는 블로워가 설치되며, 측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져 각층 또는 계단참이 형성된 위치에 관통되는 급기댐퍼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계단실의 층과 층 사이와 또는 계단참에 적절하게 비상방화벽을 설치함으로써, 화재층에서 발생한 불길과 유독가스가 상부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중틀방화문을 이용해서 평상시에도 건물의 비상계단실을 이용자가 편리하게 상층과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의 화재발생시 비상방화벽의 고정문틀에 결합된 이중틀방화문을 탈거하고, 비상계단실에 접어서 비치해놓은 이동터널의 양측단을 결합하여 많은 수의 대피자가 화재층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터널의 측벽에 지퍼를 설치하여 미처 대피하지 못한 화재층의 대피자를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계단실에 유입된 유독가스를 제거하거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또는 흡기덕트와 블로워를 설치하여 비상탈출시 대피자의 호흡곤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계단실에 한 쌍의 비상방화벽이 한 층에 구비되어 평상시 사용되는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틀방화문이 비상방화벽에 설치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화재발생시 해당층의 이중틀방화문을 제거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비상방화벽에 접이식 이동터널을 설치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틀방화문과 고정문틀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이중틀방화문을 분리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문틀에서 착탈문틀이 분리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터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돌기가 한 쌍의 비상방화벽에 외측으로 대칭되게 각각 형성되어 내화패킹이 끼워진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동터널이 계단에 설치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방화벽이 비상계단실의 각층에 구비되어 접이식 이동터널이 설치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방화벽이 비상계단실의 계단참과 비상구에 각각 구비되어 이동터널이 설치된 평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문틀에 가이드편이 설치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벽체에 흡기,급기댐퍼가 설치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계단실 외측벽면에 흡기,급기용 관체가 설치된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크게 비상계단실(1)에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된 중앙벽체(2)와 비상계단실(1) 내부로 유입되는 불길과 유독가스를 차단하도록 하는 비상방화벽(10)이 구비되고, 그 비상방화벽(10)에는 평상시 이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중틀방화문(20)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건물의 화재시 비상방화벽(10)에서 이중틀방화문(20)을 제거한 후, 대피자가 안전한 층으로 이동하도록 화재층의 비상방화벽(10)에 설치되는 접이식 이동터널(30)을 포함하며, 비상계단실(1)에 유입된 유독가스를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건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비상계단실(1) 내로 흡기댐퍼(40) 및 급기댐퍼(50)와 블로워(41)(5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앙벽체(2)는 비상계단실(1)의 중앙부분에 건물의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수직으로 설비되며, 내부는 상기 비상계단실(1)의 유독가스가 이동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비상방화벽(10)은 비상계단실(1)과 중앙벽체(2)의 각각의 면에 4면이 접촉되어 유독가스와 불길이 다른 구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비상계단실(1)의 층과 층 사이에 적어도 1개소 이상으로 각 층에 설비되거나 층(3)과 층(3)사이에 있는 계단참(4)에 설비가 가능하며 비상계단실(1)의 규모와 크기에 적절히 대처하여 설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비상방화벽(10)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 주변에 복수의 걸림돌기(12)가 구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2)는 평상시 이용자가 비상계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틀방화문(20)을 끼워 결합하고,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는 이중틀방화문(20)을 탈거한 후, 접이식 이동터널(30)을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와 같이 비상방화벽(10)에 걸림돌기(12)를 직접 매설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첨부된 도면 도 2와 같이, 복수의 걸림돌기(12)가 정확한 위치에 형성된 고정문틀(11)을 비상방화벽(10)에 매설하여 사용하는 것이 걸림돌기(12)의 고정력 및 이중틀방화문(20) 및 접이식 이동터널과(30)의 정확한 결합위치 선정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문틀(11)은 내부에 문틀통로(13)가 형성되어 비상방화벽(10)의 내부와 외부가 소통된다.
또한 상기 비상계단실(1)에 층(3)과 층(3) 사이에는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12 내지 도 14와 같이, 적어도 1개소 이상 설비되는 비상방화벽(10)은 각층의 계단입구에 1열로 구비되어 상하층 계단을 폐쇄하거나, 또는 계단입구와 층(3)과 층(3) 중간에 위치한 계단참(4)을 연결하도록 설비된다.
상기 비상방화벽(10)에 직접 설치되거나 고정문틀(11)에 형성된 걸림돌기(1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중틀방화문(20)은 걸림돌기(12)와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돌기(12)가 관통 끼움되는 관통구멍(2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킹통로(23)가 마련된 기밀패킹(21)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기밀패킹(21)의 외측 일면에 설치되고, 기밀패킹(21)의 관통구멍(22)을 통과한 걸림돌기(12)와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걸림돌기(12)와 대응위치에 복수의 걸림홈(25)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문틀통로(13) 및 패킹통로(23)와 연통되는 수용통로(26)가 구비된 이동문틀(24)이 마련되며, 그 이동문틀(24)의 수용통로(26)에는 힌지 결합되어 수용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2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29)에는 투명한 방화창호(29-1)를 설치함으로써, 도어(29) 내부의 화재 또는 유독가스 유무를 확인하여 화재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6과 같이, 상기 비상방화벽(10)에 끼움 결합된 이중틀방화문(20)이 외부충격 등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중틀방화문(20)에 고리(27)를 마련하고, 그 고리에 대응하는 위치의 비상방화벽(10) 또는 고정문틀(11)에 걸림쇠(1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 도 15과 같이, 상기 비상방화벽(10)에 끼움결합된 이중틀방화문(20)은 설비 위치에 따라 층(3)면 또는 계단참(4)과 같이 평면상이 아닌 계단 시작부분에 설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계단의 시작부분에서 특히 하층으로 내려가는 외측벽면에 결합된 이중틀방화문(20)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비상방화벽(10) 또는 고정문틀(11)에 안내장공(16)이 형성된 가이드편(15)을 복수로 구성하고, 그 안내장공(16)에 끼워져 안내하는 가이드돌기(28)를 이중틀방화문(20)의 이동문틀(24)에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장공(16)은 걸림돌기(12)에 끼워진 이중틀방화문(20)이 걸림돌기(12)를 빠져나올 수 있는 거리만큼의 직선부를 갖고, 그 직선부가 상부로 연장되는 곡선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곡선부의 최상부는 개방되어 이중틀방화문(20)의 가이드돌기(28)의 삽입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이식 이동통로(30)는 첨부된 도면 도 9 및 도 10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내화성능을 갖는 내화시트(31)를 마련하고, 상기 내화시트(31)를 외부에 감싸 덮을 수 있도록 봉 또는 파이프를 사각형상으로 절곡시킨 지지대(32)를 구성하여 내화시트(31) 내부에 이동공간(33)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화시트(31)를 길이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내화시트(31)의 양측면에는 걸림돌기(12)가 끼움 관통되는 관통홀(36)이 형성된 내화성능을 갖는 내화패킹(35)이 마련되며, 이러한 각각의 내화패킹(35)에는 상기 내화시트(31)의 이동공간(33)과 연통되는 탈출통로(37)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 도 11과 같이 비상계단실(1)의 계단에 내화시트(31)가 안착되면 계단의 형상에 맞게 단차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복수로 이루어진 지지대(32)의 설치 간격거리는 계단의 수직면과 수평면의 합한 거리로 구성함으로써, 계단의 수직면에 지지대(32)가 위치되어 대피자가 계단을 이용하기 용이하고, 또한 지지대(32)가 대피자의 통행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걸림돌기(12)는 또는 첨부된 도면 도 10과 같이, 한 쌍의 비상방화벽(10) 모두 외측방향으로 대칭되게 돌출되도록 형성시켜 내화패킹(35)이 비상방화벽(10)을 통과하여 외측에서 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렇게 결합을 하게 되면 비상방화벽(10)의 양측이 내측으로 힘을 받는 이동터널(30)을 지지함으로써, 이동터널(30)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걸림돌기(12)는 필요에 따라 한 쌍의 비상방화벽에서 외측과 내측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하거나, 또는 비상방화벽(10)의 설비 위치를 고려하여 어느 위치에서든지 쉽게 접이식 이동터널(3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비상방화벽(10) 또는 고정문틀(11)의 양측 모두 걸림돌기(12)를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내화패킹(35)은 부드러운 소프트재질로 형성시켜 내화패킹(35)의 크기보다 작은 문틀통로(13)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구부린 상태로 통과시켜 걸림돌기(12)를 통해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접이식 이동터널(30)의 내화시트(31)의 측면에는 첨부된 도면 도 9와 같이, 화재발생 층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대피자들이 접이식 이동터널(30)을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개폐식 입구(34)가 설치되며 개폐방식은 지퍼를 이용할 수도 있고, 암수의 벨크로파스너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내화시트(31)의 측면에는 이동터널(30)을 통해 이동하는 대피자들이 외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내화성을 갖는 비닐로 이루어진 투명한 내화창호(31-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첨부된 도면 도 8과 같이 상기 이중틀방화문(20)에서 이동문틀(24)은 제거되고, 투명한 방화창호(29-1)가 구비된 도어(29)는 비상방화벽(10) 또는 고정문틀(11)에 직접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비상방화벽(10) 또는 고정문틀(11)에 구비된 걸림돌기(12)와 착탈 가능하도록 일측면에 복수로 걸림홈(25)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대피자가 비상방화벽(10) 안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통로(26)가 구비된 착탈문틀(24-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착탈문틀(24-1)은 비상방화벽(10) 또는 고정문틀(11)에서 계단이 있는 내측면에 설치되고, 도어(29)는 외측면에서 층(3)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개폐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8에서는 일례로 착탈문틀(24-1)이 고정문틀(11) 내측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고정문틀(11)이 없는 비상방화벽(10)에도 같은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착탈문틀(24-1)은 평상시 이용자가 개구된 수용통로(26)를 통해 이동하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착탈문틀(24-1)을 탈거하고, 이동터널(30)의 내화패킹(35)을 비상방화벽(10) 또는 고정문틀()에 설치한 후, 내화패킹(35)이 이탈되지 않도록 착탈문틀(24-1)을 재설치함으로써, 내화패킹(35)이 비상방화벽(10)과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양측에 구비된 내화패킹(35) 내면에 고리를 구성하고 그 고리에 로프를 연결하면 이동공간 내부에 대피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는 핸드레일이 완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이식 이동터널(30)은 비사용시 접어 소화전과 같이 비상시 사용하도록 갖춰진 장소에 비치해놓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12)에 이중틀방화문(20) 또는 접이식 이동터널(30)이 끼워진 후,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돌기(12)의 외주연을 나선으로 형성시키거나, 첨부된 도면 도 6과 같이, 걸림돌기(12)의 외주연을 톱니형상의 요철(12a)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형성된 요철(12a)을 갖는 걸림돌기(12)는 끼움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걸림돌기(12)에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슬롯(12b)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걸림홈(25) 내부에 걸림돌기(12)의 외부형상과 동일한 내부형상을 갖는 강성이 고무재의 결합구(25a)를 설치하여 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나아가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비상계단실(1) 내부에 화재로 발생한 유독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신선한 공기를 비상계단실(1) 내부로 배기가 되어야 대피자가 계단 또는 접이식 이동통로(30)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 도 16과 같이, 상기 비상계단실(1) 중앙에 중공으로 형성된 중앙벽체(2)의 내부를 2분할 하고, 측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흡기댐퍼(40)를 설치하여 유독가스를 흡입 가능하게 구비하고, 유독가스가 공기보다 가벼운 것을 고려하여 중앙벽체의 최하부층은 폐쇄되고, 최상부층은 개방하여 그 개방부에 비상계단실의 유독가스를 흡입하는 블로워(41)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비상계단실(1)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도록 중앙벽체(2)의 최상부층은 폐쇄하고, 최하부층은 건물의 외부로 연장되어 개방되며, 그 개방된 부분에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워(51)를 설치하고, 이렇게 흡입된 신선한 공기를 비상계단실(1)에 공급하도록 중앙벽체(2)의 측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급기댐퍼(50)를 각각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첨부된 도면 도 17과 같이, 비상계단실(1)의 외측벽면(1-1)에 관체(2-1)를 최상부층에서 최하부층까지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관체(2-1)의 내부를 2분할하며, 그 분할된 일측에는 최상부층은 개방되어 블로워(41)가 설치되고, 최하부층은 폐쇄되며, 측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져 각층(3) 또는 계단참(4)이 형성된 위치에 관통되는 흡기댐퍼(40)가 설치되고, 분할된 타측에는 최상부층은 폐쇄되며, 최하부층은 건물 외부로 연장되어 개방되고, 그 개방된 단부에는 블로워(51)가 설치되며, 측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져 각층(3) 또는 계단참(4)이 형성된 위치에 관통되는 급기댐퍼(50)가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흡기와 급기를 위해 설치되는 관체(2-1)는 도면에서와같이 외측벽면(1-1)에 나란히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흡기댐퍼(40)의 중앙벽체의 설치위치는 각층의 천장부분에 설치하고, 급기댐퍼(50)의 설치위치는 각층의 바닥부분에 설치되며, 이렇게 위치되는 각각의 흡기,급기댐퍼(40)(50)는 건물 비상시 많은 사람이 모여 정체되는 층(3)의 계단입구 부분과 계단참(4)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블로워(41)(51)의 출력을 고려하여 계단부분에도 설치 가능하며, 이때 고층 건물에 설치된 블로워(41)(51)는 그 출력저하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중앙벽체(2)의 내부에 별도의 팬을 설치하여 유독가스 또는 신선한 공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대피장치의 설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건물의 비상계단실(1)의 규모를 고려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비상방화벽(10)을 설비하고, 비상방화벽(10)에 이중틀방화문(20)을 끼움 결합으로 고정한 후, 도어(29)를 개방하여 평상시에 이용자가 계단을 이용하여 상,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대피자 또는 관리자가 신속하게 해당층에 비치된 접이식 이동터널(30)을 들고 비상방화벽(10)으로 이동하여 이중틀방화문(20)을 구성하는 이동문틀(24) 또는 착탈문틀(24-1)을 탈거한 후, 접이식 이동터널(30)의 일측 내화패킹(35)을 비상방화벽(10)에 끼움 결합하고, 하층의 다른 비상방화벽(10)으로 이동하여 같은 방식으로 이동문틀(24) 또는 착탈문틀(24-1)을 탈거한 후, 접이식 이동터널(30)의 타측 내화패킹(35)을 비상방화벽(10)에 끼움 결합하여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탈거된 착탈문틀(24-1)을 재설치하여 이동터널이 비상방화벽(10) 또는 고정문틀(11)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접이식 이동터널(30) 설치자 및 화재층 대피자는 접이식 이동터널(30)에 구비된 입구(34)를 열고 내부로 들어가서 안전한 층으로 대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관리실은 블로워(41)(51)를 작동시켜 비상계단실(1)의 유독가스를 흡입하여 건물 최상층 외부로 배기하고, 건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여 비상계단실(1) 내부로 급기하면 비상방화벽과 연통된 접이식 이동터널(30)의 유독가스가 제거되어 대피자가 안전한 층으로 대피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비상계단실: 1 외측벽면: 1-1
중앙벽체: 2 관체: 2-1
층: 3 계단참: 4
비상방화벽: 10 고정문틀: 11
걸림돌기: 12 요철: 12a
슬롯: 12b 문틀통로: 13
걸림쇠: 14 가이드편: 15
안내장공: 16 이중틀방화문: 20
기밀패킹: 21 관통구멍: 22
패킹통로: 23 이동문틀: 24
착탈문틀: 24-1 걸림홈: 25
결합구: 25a 수용통로: 26
고리: 27 가이드돌기: 28
도어: 29 방화창호: 29-1
접이식 이동터널: 30 내화시트: 31
내화창호: 31-1 지지대: 32
이동공간: 33 입구: 34
내화패킹: 35 관통홀: 36
탈출통로: 37 흡기댐퍼: 40
급기댐퍼: 50 블로워: 41,51

Claims (11)

  1. 건물의 비상시 이용하여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도록 설비된 비상계단실에 있어서,
    상기 비상계단실(1) 내부 계단과 계단사이 내부 중앙공간에 건물의 상부층에서 하부층까지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앙벽체(2);
    상기 비상계단실(1)의 각 층(3) 사이에는 상기 중앙벽체(2)의 외측벽면과 비상계단실의 각층을 이루는 내벽면에 사방이 밀폐 연결되는 적어도 1개소 이상 구비되고, 전면,후면 또는 전후면에 걸림돌기(12)가 형성된 비상방화벽(10);
    상기 걸림돌기(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평상시 출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틀방화문(20);
    상기 걸립돌기(12)에서 이중틀방화문(20)을 탈거한 후, 걸림돌기(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비상시 대피자가 화재층을 벗어나 안전한 층으로 이동하는 접이식 이동터널(3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12)는 비상방화벽(10)에 매립설치되고, 대피자가 이동하도록 문틀통로(13)가 구비된 고정문틀(11)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틀방화문(20)은 걸림돌기(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22)이 형성되고, 대피자가 이동할 수 있는 패킹통로(23)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2)에 착탈 결합되는 기밀패킹(21);
    상기 기밀패킹(21)을 관통한 걸림돌기(12)가 삽입 고정되도록 일측면에는 복수의 걸림홈(25)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문틀통로(13) 및 패킹통로(23)와 연통되도록 하는 수용통로(26)가 구비되는 이동문틀(24); 및
    상기 이동문틀(24)의 수용통로(26) 내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이중틀방화문의 내외부를 관측할 수 있는 투명한 방화창호(29-1)가 설치된 도어(29);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12)와 결합된 기밀패킹(21)과 이동문틀(24)을 탈거한 후, 접이식 이동터널(30)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틀방화문(20)은 비상방화벽 또는 고정문틀에 내외부를 관측할 수 있는 투명한 방화창호(29-1)가 구비된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직접 설치되고, 상기 비상방화벽 또는 고정문틀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2)가 삽입 고정되도록 일측면에 복수의 걸림홈(25)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수용통로(26)가 구비된 착탈문틀(24-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이동통로(3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내부에는 이동공간(33)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지지대(32)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32) 외부면을 감싸고, 지지대(32)가 인접한 다른 지지대(32)와 접어 닿을 수 있도록 내화성을 갖는 내화시트(31); 및
    상기 내화시트(31) 양측에 구비되고, 중앙에는 내화시트(31)의 이동공간(33)과 연통되는 탈출통로(37)가 각각 형성되며, 걸림돌기(1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걸림돌기(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홀(36)이 구비된 내화성을 갖는 내화패킹(3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이동터널(30)의 내화시트(31) 측면에는 화재층의 대피자를 접이식 이동터널(30)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식 입구(34)와 대피자가 이동터널의 외부 상황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한 내화창호(31-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문틀(11)에는 이중틀방화문의 이동문틀(24)과 결속력을 증대시켜 이중틀방화문(2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걸림쇠(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문틀(11)의 양측면에는 이동문틀(24)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안내장공(16)이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편(15)이 설치되고, 이동문틀(24)에는 상기 가이드편(15)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장공(16)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28)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층(3) 사이에 적어도 1개소 이상 구비되는 비상방화벽(10)은 각층의 계단입구에 구비되거나, 또는 각 층(3) 중간에 위치한 계단참(4)에 복수로 횡방향 또는 복수로 종방향으로 설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벽체(2)의 내부를 분할하고, 그 분할된 일측에는 최상부층은 개방되어 블로워(41)가 설치되고, 최하부층은 폐쇄되고, 측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져 각층(3) 또는 계단참(4)이 형성된 위치에 흡기댐퍼(40)가 설치되며, 분할된 타측에는 최상부층은 폐쇄되고, 최하부층은 건물 외부로 연장되어 개방되며, 그 개방된 단부에는 블로워(51)가 설치되고, 측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져 각층(3) 또는 계단참(4)이 형성된 위치에 급기댐퍼(50)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계단실(1)의 외측벽면(1-1)에 관체(2-1)를 최상부층에서 최하부층까지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관체(2-1)의 내부를 분할하며, 그 분할된 일측에는 최상부층은 개방되어 블로워(41)가 설치되고, 최하부층은 폐쇄되며, 측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져 각층(3) 또는 계단참(4)이 형성된 위치에 관통되는 흡기댐퍼(40)가 설치되고, 분할된 타측에는 최상부층은 폐쇄되며, 최하부층은 건물 외부로 연장되어 개방되고, 그 개방된 단부에는 블로워(51)가 설치되며, 측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져 각층(3) 또는 계단참(4)이 형성된 위치에 관통되는 급기댐퍼(50)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KR1020110025119A 2011-03-22 2011-03-22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KR101046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119A KR101046271B1 (ko) 2011-03-22 2011-03-22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119A KR101046271B1 (ko) 2011-03-22 2011-03-22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6271B1 true KR101046271B1 (ko) 2011-07-05

Family

ID=4492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119A KR101046271B1 (ko) 2011-03-22 2011-03-22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2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4994A (ja) * 2008-10-08 2012-03-01 スイス ラルテ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 階段吹き抜け及び給気シャフトを有する高層ビル
KR101221328B1 (ko) 2012-07-20 2013-01-28 (주)칠칠공사 인명 대피용 옥상 구조물
KR101269599B1 (ko) 2013-01-24 2013-06-05 (주)무한에이앤디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WO2017150994A1 (en) * 2016-02-29 2017-09-08 Fimarc Emergency escape tunn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190B1 (ko) 2006-08-29 2007-01-16 주식회사 하영건축사사무소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다층건물의 비상계단 구조
KR100995220B1 (ko) 2010-05-04 2010-11-17 박주휘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190B1 (ko) 2006-08-29 2007-01-16 주식회사 하영건축사사무소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다층건물의 비상계단 구조
KR100995220B1 (ko) 2010-05-04 2010-11-17 박주휘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4994A (ja) * 2008-10-08 2012-03-01 スイス ラルテ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 階段吹き抜け及び給気シャフトを有する高層ビル
KR101221328B1 (ko) 2012-07-20 2013-01-28 (주)칠칠공사 인명 대피용 옥상 구조물
KR101269599B1 (ko) 2013-01-24 2013-06-05 (주)무한에이앤디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WO2017150994A1 (en) * 2016-02-29 2017-09-08 Fimarc Emergency escape tunnel
US10767361B2 (en) 2016-02-29 2020-09-08 FIMARC Bezpieczenstwo i Ochrona Przeciwpozarowa Biuro Ekspertyz, Doradztwa i Nadzoru Emergency escape tun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220B1 (ko)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KR101055294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036763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046271B1 (ko)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WO2012033273A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2005216B1 (ko)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WO2018199495A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195437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2085587B1 (ko) 접이식 대피장치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CN207286462U (zh) 一种楼内防火逃生通气道
KR101117548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0870141B1 (ko) 피신용 곤돌라
KR20120028525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110087578A (ko) 베란다에 설치되는 보호용 뒷면 커버가 있는 접이식 구난 사다리
KR102244987B1 (ko) 비상 대피장치가 내장된 난간
KR20210009876A (ko)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의 기계식 비상 탈출장치
KR20120007787U (ko)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