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33273A1 - 화재 피난 대피시설 - Google Patents

화재 피난 대피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33273A1
WO2012033273A1 PCT/KR2011/003019 KR2011003019W WO2012033273A1 WO 2012033273 A1 WO2012033273 A1 WO 2012033273A1 KR 2011003019 W KR2011003019 W KR 2011003019W WO 2012033273 A1 WO2012033273 A1 WO 20120332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nel
several
front panel
hinge
hi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30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남중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로텍
Priority to CN201180004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711922B/zh
Publication of WO20120332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332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1Cubicles for fire-prote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vacuation facility, and in more detail, the fire was developed to ensure safe protection from flames and toxic gases until the rescuer arrives in case of an emergency or other evacuation means in case of fire It is about evacuation shelter.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evacuate safely from flames and toxic gases until rescued by rescuers when a fire has not been evacuated using emergency or other evacuation facilities.
  •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placed in the bottom end and one side end of one side of the balustrade of the porch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by several fixing brackets, the center of the first hinges A front panel having an entrance door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are each vertically bent forward to form a lower step and upper step, the center is opened and closed by several second hinges, the lock can be opened from the outside A rear panel on which an exit door on which the apparatus is mounted is formed;
  • One side end is mounted to several fourth hinge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and the bottom panel hangs on the lower end of the rear panel when at least one air inlet hole is formed and spread therethrough.
  • One side end is mounted to several fifth hinge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and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 upper panel including several fixing parts coupl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panel when deployed.
  • the fixing portion is proj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rear end of the upper panel and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projections to extend the outer diameter steppe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locking fixture to be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locking projections on the upper step do.
  • each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resistant fiber plate is attached.
  • the two side panels are bisected vertical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folded inwardly facing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sixth hinge on the boundary surfa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damage to life by allowing the rescuer to wait safely from the flame and toxic gas to enter the fire evacuation facilities installed veranda during the fir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to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us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rear view showing a front panel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an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a rectangular plate placed in the shape of the veranda (1) on one end of one end of the handrail 11, the lower end and one end of several fixing brackets
  • One side end is mounted to several fourth hinges 5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2, and when at least one air inlet hole 52 is formed and spread therein, the rear panel 3 A bottom panel 5 which is hooked to the lower step 31 to finish the bottom surface;
  • the fire evacuation facility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top panel (6) comprising (62).
  • the above configuration is to be fixed to the railing 11 of the veranda (1) to temporarily evacuate the flame or toxic gases in case of fire, basically using a non-combustible material and the inside is sealed to the outside and the outside The air is purged by the air inlet hole 52 to prevent the poisonous ga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 FIG. 5 to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us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rear view showing a front panel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not evacuated in case of fire
  • the user opens the side panel 4, which is folded first, opens the inlet door 23, and then pushes the folded bottom and top panels 5 and 6, and the bottom panel 5 of the back panel 3 It is caught by the lower step 31 and spread out in a horizontal state.
  • the fixing part 62 is coupled to the upper step 32 to maintain a rectangular box state.
  • the fixing part 62 is projected upwar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6,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projection (62a) and the outer diameter is stepped to step, and the upper step (32)
  • An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fixture (62b) to be coupled correspondingly to the locking projection (62a).
  • the user enters through the entrance door 23 and escapes from the flame and the toxic gas until rescued by the ground person or rescuer.
  • the air inlet hole 52 may be equipped with an air filter that can effectively block toxic gases.
  • the locking device 34 of the rear panel 3 has a risk of falling if the evacuator opens the exit door 35 from the inside, so that the rescuer does not open the door until the rescuer releases the locking device. will be.
  •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heat-resistant fiber plate 7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each panel 2, 3, 4, 5, 6.
  • the embodiment solves the problem that if the heat of flame is delivered to the evacuator inside as it is made of only a simple metal, the evacuator may be burned by the heat or even hard to endure in the interior. In order to prevent heat transfer by the heat-resistant fiber plate (7).
  •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4 is a plan view showing an unfolding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5 i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wo side panels 4 are vertically bisected and bisected at an interface divided by two sixth hinges 43 to fold inwardly facing each other.
  • the structure is to allow each panel to be folded in a different way and the structure has the advantage that the space occupied in the folded state is minimized.
  • the strength of the side panel 4 is considerably weakened, if not firmly manufactured, there is a risk of damage due to the weight of the evac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Special W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시 비상구나 기타 대피수단으로 피난을 하지 못한 경우 구조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화재 피난 대피시설
본 발명은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재시 비상구나 기타 대피수단으로 피난을 하지 못한 경우 구조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 관한 것이다.
대다수의 인구가 도시에 집중되는 상황에서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 사람이 살고 또 일을 하기 위해 갈수록 고층건물이 늘어나고 있다.이러한 고층건물은 화재가 발생할 때 치명적인 인명의 피해가 우려되므로 비상구와 방화문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또한 완강기 등 각종 대피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완강기의 경우 그 사용법을 숙지하고 있는 사람이 극히 적은 편이며 또 비상시에도 사용시 두려움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비상구의 경우 화재시 많은 사람이 몰려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또 비상구에는 방화문이 설치되어 화염이나 연기가 비상구를 통하여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사실상 방화문을 닫는 것은 대부분 수동으로 이루어져 닫히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하겠다. 이 경우 비상구는 굴뚝의 역할을 하여 오히려 화재의 확산을 가져올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피를 하지 못한 사람들은 화염 그리고 화염보다 더 치명적인 유독가스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재가 발생하여 비상구나 기타 대피시설을 이용하여 대피하지 못했을 때 구조대원에 의해 구조받을 때까지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설된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베란다의 난간의 일측 끝단에 하단과 일측단이 수 개의 고정브라켓에 의하여 벽면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수 개의 제1 경첩에 의하여 개폐되는 입구도어가 형성되는 정면판넬과;
상기 정면판넬과 동일한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단과 상단은 각각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단턱 및 상부단턱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수 개의 제2 경첩에 의하여 개폐되되 외부에서 개방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장착되는 출구도어가 형성되는 배면판넬과;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단이 각각 수 개의 제3 경첩과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정면판넬과 배면판넬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힌지는 절첩되었을 때 상기 정면판넬과 배면판넬의 사이 공간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두 개의 측면판넬과;
상기 정면판넬의 하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4 경첩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홀이 형성되어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 판넬의 하부단턱에 걸려 바닥면을 마감하도록 하는 저면판넬과;
상기 정면판넬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5 경첩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판넬의 상부단턱의 저면과 결합하는 수 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면판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는 상면판넬의 상면 후방 끝단에 상부로 돌출되고 그 상단은 단턱지게 외경이 확장되는 걸림고정돌기와, 상기 상부단턱에 상기 걸림고정돌기에 상응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걸림고정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판넬의 외면에는 내열섬유판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두 개의 측면판넬은 수직으로 이등분되어 이등분된 경계면에는 수 개의 제6 경첩에 의하여 상호 마주보는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시 베란다를 설치된 화재 피난 대피시설에 들어가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대기하면서 구조를 기다릴 수 있도록 하여 인명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판넬 고정구조를 나타낸 배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1 : 베란다 11 : 난간 2 : 정면판넬
21 : 고정브라켓 22 : 제1 경첩 23 : 입구도어
3 : 배면판넬 31 : 하부단턱 32 : 상부단턱
33 : 제2 경첩 34 : 잠금장치 4 : 측면판넬
41 : 제3 경첩 42 : 힌지 43 : 제6 경첩
5 : 저면판넬 51 : 제4 경첩 52 : 공기유입홀
6 : 상면판넬 61 : 제 5 경첩 62 : 고정부
62a : 걸림고정돌기 62b : 걸림고정구 7 : 내열섬유판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입설된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베란다(1)의 난간(11)의 일측 끝단에 하단과 일측단이 수 개의 고정브라켓(21)에 의하여 벽면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수 개의 제1 경첩(22)에 의하여 개폐되는 입구도어(23)가 형성되는 정면판넬(2)과;
상기 정면판넬(2)과 동일한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단과 상단은 각각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단턱(31) 및 상부단턱(32)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수 개의 제2 경첩(33)에 의하여 개폐되되 외부에서 개방할 수 있는 잠금장치(34)가 장착되는 출구도어(35)가 형성되는 배면판넬(3)과;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단이 각각 수 개의 제3 경첩(41)과 힌지(42)에 의하여 상기 정면판넬(2)과 배면판넬(3)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힌지(42)는 절첩되었을 때 상기 정면판넬(2)과 배면판넬(3)의 사이 공간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두 개의 측면판넬(4)과;
상기 정면판넬(2)의 하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4 경첩(51)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홀(52)이 형성되어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 판넬(3)의 하부단턱(31)에 걸려 바닥면을 마감하도록 하는 저면판넬(5)과;
상기 정면판넬(2)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5 경첩(61)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판넬(3)의 상부단턱(32)의 저면과 결합하는 수 개의 고정부(62)를 포함하는 상면판넬(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구성은 베란다(1)의 난간(11)에 고정적으로 장착하여 화재시 화염이나 유독가스를 피해서 임시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불연성 소재를 사용하며 내부는 외부와 밀폐되고 외부의 공기는 공기유입홀(52)에 의하여 정화되어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유독가스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작동관계의 설명은 이하 도면에서 나타낸 동작관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판넬 고정구조를 나타낸 배면도로서, 화재시 대피를 하지 못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먼저 절첩되어 있던 측면판넬(4)이 펴지도록 하고 입구도어(23)을 연 후 절첩되어 있는 저면 및 상면판넬(5, 6)을 밀면 저면판넬(5)은 상기 배면판넬(3)의 하부단턱(31)에 걸려 수평인 상태로 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면판넬(6)을 상부로 젖히면 상기 고정부(62)에 의하여 상기 상부단턱(32)과 결합하여 사각의 박스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62)는 상면판넬(6)의 상면 후방 끝단에 상부로 돌출되고 그 상단은 단턱지게 외경이 확장되는 걸림고정돌기(62a)와, 상기 상부단턱(32)에 상기 걸림고정돌기(62a)에 상응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걸림고정구(62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후 사용자는 입구도어(23)를 통하여 내부로 들어간 후 지상의 사람 또는 구조대원에 의하여 구조될 때까지 화염과 유독가스를 피해 대피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홀(52)에는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에어필터를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판넬(3)의 잠금장치(34)는 구조자가 오기 전에 내부에서 출구도어(35)를 열 경우 대피자가 추락의 위험이 있으므로 구조대원이 잠금장치를 해제할 때까지 내부에서 열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각각의 판넬(2, 3, 4, 5, 6)의 외면에는 내열섬유판(7)이 부착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단순한 금속으로만 이루어졌을 경우 화염의 열기가 내부의 대피자에게 그대로 전달될 경우 대피자는 그 열기에 의하여 화상의 우려가 있거나 또는 도저히 내부에서 견디기 힘든 상황에까지 이를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열섬유판(7)에 의하여 열전달이 잘 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상기 두 개의 측면판넬(4)은 수직으로 이등분되어 이등분된 경계면에는 수 개의 제6 경첩(43)에 의하여 상호 마주보는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구조는 다른 방법으로 각 판넬이 절첩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구조는 절첩된 상태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상기 측면판넬(4)의 강도가 상당히 약해지는 것으로 고려하여 견고하게 제작하지 않으면 피난자의 체중에 의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다.

Claims (4)

  1. 입설된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베란다(1)의 난간(11)의 일측 끝단에 하단과 일측단이 수 개의 고정브라켓(21)에 의하여 벽면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수 개의 제1 경첩(22)에 의하여 개폐되는 입구도어(23)가 형성되는 정면판넬(2)과;
    상기 정면판넬(2)과 동일한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단과 상단은 각각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하부단턱(31) 및 상부단턱(32)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수 개의 제2 경첩(33)에 의하여 개폐되되 외부에서 개방할 수 있는 잠금장치(34)가 장착되는 출구도어(35)가 형성되는 배면판넬(3)과;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단이 각각 수 개의 제3 경첩(41)과 힌지(42)에 의하여 상기 정면판넬(2)과 배면판넬(3)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힌지(42)는 절첩되었을 때 상기 정면판넬(2)과 배면판넬(3)의 사이 공간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두 개의 측면판넬(4)과;
    상기 정면판넬(2)의 하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4 경첩(51)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홀(52)이 형성되어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 판넬(3)의 하부단턱(31)에 걸려 바닥면을 마감하도록 하는 저면판넬(5)과;
    상기 정면판넬(2)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 개의 제5 경첩(61)에 일측단이 장착되고, 펼쳐졌을 때 상기 배면판넬(3)의 상부단턱(32)의 저면과 결합하는 수 개의 고정부(62)를 포함하는 상면판넬(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62)는 상면판넬(6)의 상면 후방 끝단에 상부로 돌출되고 그 상단은 단턱지게 외경이 확장되는 걸림고정돌기(62a)와, 상기 상부단턱(32)에 상기 걸림고정돌기(62a)에 상응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걸림고정구(62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판넬(2, 3, 4, 5, 6)의 외면에는 내열섬유판(7)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측면판넬(4)은 수직으로 이등분되어 이등분된 경계면에는 수 개의 제6 경첩(43)에 의하여 상호 마주보는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대피시설.
PCT/KR2011/003019 2010-09-06 2011-04-26 화재 피난 대피시설 WO201203327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80004748.3A CN102711922B (zh) 2010-09-06 2011-04-26 火灾避难逃离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809 2010-09-06
KR1020100086809A KR100998240B1 (ko) 2010-09-06 2010-09-06 화재 피난 대피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3273A1 true WO2012033273A1 (ko) 2012-03-15

Family

ID=4351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3019 WO2012033273A1 (ko) 2010-09-06 2011-04-26 화재 피난 대피시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98240B1 (ko)
CN (1) CN102711922B (ko)
WO (1) WO20120332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8914A (zh) * 2021-09-10 2021-11-19 广州盛世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折叠式消防逃生安全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929B1 (ko) 2015-05-18 2015-12-21 (주)이엔에프테크 지하실용 화재 대피실
KR101591231B1 (ko) 2015-10-16 2016-02-02 신동환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KR101863901B1 (ko) * 2017-08-30 2018-06-01 주식회사 에스엠텍 접이식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2061008B1 (ko) 2017-09-01 2020-01-08 배종옥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KR20190088290A (ko) 2018-01-18 2019-07-26 이병규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KR102104204B1 (ko) 2019-03-21 2020-04-23 최진택 긴급 대피용 안전고
KR102112588B1 (ko) * 2019-09-16 2020-05-19 유병수 오토 셀프 스윙 아웃 대피구조물
KR102141719B1 (ko) 2020-03-31 2020-08-05 김동우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KR102227463B1 (ko) * 2020-05-25 2021-03-12 배경삼 화재 대피용 바스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021B1 (ko) * 2006-04-04 2006-11-01 김원구 대피용 구조물
KR100773455B1 (ko) * 2006-07-20 2007-1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용 안전 대피소
KR100874555B1 (ko) * 2007-04-18 2008-12-16 주식회사 케이씨씨 공동주택용 피난구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25B1 (ko) * 2006-12-01 2007-10-26 최양식 화재나 화생방재시 인명 대피소
CN201123961Y (zh) * 2007-10-31 2008-10-01 马明升 火灾救生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021B1 (ko) * 2006-04-04 2006-11-01 김원구 대피용 구조물
KR100773455B1 (ko) * 2006-07-20 2007-1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용 안전 대피소
KR100874555B1 (ko) * 2007-04-18 2008-12-16 주식회사 케이씨씨 공동주택용 피난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8914A (zh) * 2021-09-10 2021-11-19 广州盛世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折叠式消防逃生安全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11922B (zh) 2014-04-16
CN102711922A (zh) 2012-10-03
KR100998240B1 (ko)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33273A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055294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WO2016190488A2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1036763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WO2018230837A1 (ko)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WO2019045219A1 (ko) 접이식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20070004492A (ko)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
WO2018199495A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20150102832A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235308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WO2018230836A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CN208017947U (zh) 滑道式救援疏散安全梯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70027206A (ko) 재난용 비상탈출 장치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101046271B1 (ko)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CN112618974B (zh) 一种外置折叠式高层建筑火灾紧急逃生装置
KR100870141B1 (ko) 피신용 곤돌라
CN212593638U (zh) 公寓火灾安全系统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CN2812989Y (zh) 独立式逃生缓降装置
KR20180048183A (ko) 접이식 대피 통로가 구비된 주택용 안전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0004748.3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237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237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