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587B1 - 접이식 대피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대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587B1
KR102085587B1 KR1020180076491A KR20180076491A KR102085587B1 KR 102085587 B1 KR102085587 B1 KR 102085587B1 KR 1020180076491 A KR1020180076491 A KR 1020180076491A KR 20180076491 A KR20180076491 A KR 20180076491A KR 102085587 B1 KR102085587 B1 KR 10208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evacuation
moving
locking devic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562A (ko
Inventor
정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웨이
Priority to KR102018007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5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각 층에 구조박스와 탈출박스를 나란하게 설치하고, 대피자는 해당 층의 구조박스에서 해당 층의 탈출박스를 거쳐 하부층의 구조박스로 이동하도록 설계된 대피동선을 따라 대피자가 안전지대로 이동할 수 있는 접이식 화재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박스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하는 제1잠금장치와, 제1잠금장치의 동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고 박스 형태의 대피 공간을 형성하는 제1접철 구조물과, 제1접철 구조물에 설치되고 대피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발판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출박스는, 제1잠금장치와 독립적으로 수동으로 동작하는 제2잠금장치와, 제2잠금장치의 동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고 제1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제2접철 구조물과, 제2접철 구조물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수납되고 제2잠금장치의 잠금해제시 제2접철 구조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이동통로를 연장하는 제2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제3접철 구조물과, 제3접철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이동통로에 연통되는 새로운 대피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3접철 구조물의 하방 이동에 따라 하부층 구조박스의 제1잠금장치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연계동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대피장치{Folding Evacu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접이식 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잡하지 않은 소형 크기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박스 형태의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설치 작업에 적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집합건물에 설치된 복수개 대피장치에 대해 개별적인 점검 작업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 건물은 좁은 부지 안에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으나, 건물 내부에 여러 사람이 거주하는 관계로 지진,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대형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난 발생에 대비하여 베란다에 설치된 완강기를 이용하는 대피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완강기는 조작이 어려워 노약자, 여성, 어린이와 같이 일반사람이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하나의 로프에 사용자의 체중을 실어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완강기 사용에 따른 불안감을 떨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 발생에 대비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대피장치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09976호[특허문헌 1]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안전난간대가 베란다에 설치되어 화염이나 연기를 일시적으로 피할 수 있으나, 건물에서 탈출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위급상황에서 실효를 거두기 어려우며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사용이 꺼려지게 된다.
비상시에 전개되어 대피공간을 제공하고 건물 밖으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다른 종래기술의 대피장치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740261호[특허문헌 2]에는 출입유닛(10)과 안전팬스유닛(20)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팬스유닛(1), 및 팬스유닛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슬라이딩계단유닛(30)을 포함하는 피난 대피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 2]에서는 출입유닛(10)과 안전패스유닛(20)이 일체형 구조로 만들어지고, 안전패스유닛(20) 내부에 슬라이딩계단유닛(30)을 수납하며 이 슬라이딩계단유닛(30)은 한쌍의 슬라이딩팬스(31)의 내측에 절첩계단(32)을 구비하는 등 구조물 구조가 복잡하고 장치 크기 및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건물 외벽에 설치하기 위한 작업 인력 및 시간이 늘어나고, 제조단가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고층 건물에서 어느 하나의 대피장치를 동작시키면 바로 아래층부터 지상층까지 모든 대피장치가 연속하여 일괄(一括)적으로 전개되는데, 층별 대피장치만을 전개시켜 개별적으로 점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슬라이딩계단유닛(30)에 구성된 펀치유닛(60)이 아래층 출입유닛(10)에 구성된 푸시유닛(50)을 타격하여 팬스유닛(1) 및 슬라이딩계단유닛(30)이 전개되게 하는데, 펀치유닛(60)과 푸시유닛(50)의 정렬 위치가 잘못되어 타격 지점을 빗나가는 오동작이 발생하면 아래층 대피장치가 전개되지 않아 대피자가 안전하게 탈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크고 무거운 슬라이딩계단유닛(30)이 빠르게 하강하여 펀치유닛(60)이 푸시유닛(50)을 타격시 구조물 파손이 유발되기 쉽고 이에 따라 재사용하려면 대피장치의 수리가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099760호(2011.12.28 공고)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740261호(2017.05.29 공고)
없음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소형 크기의 구조물로 제작할 수 있어 설치 작업에 적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개별 점검 작업이 쉽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한 접이식 대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층에 개별 설치하는 대피장치들 간의 연계 동작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대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화재대피장치는, 고층 건물의 각 층에 구조박스와 탈출박스를 나란하게 설치하고, 대피자는 해당 층의 구조박스에서 해당 층의 탈출박스를 거쳐 하부층의 구조박스로 이동하도록 설계된 대피동선을 따라 대피자가 안전지대로 이동할 수 있는 대피장치로서,
상기 구조박스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하는 제1잠금장치와, 상기 제1잠금장치의 동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고 박스 형태의 대피 공간을 형성하는 제1접철 구조물과, 상기 제1접철 구조물에 설치되고 대피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발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탈출박스는, 상기 제1잠금장치와 독립적으로 수동으로 동작하는 제2잠금장치와, 상기 제2잠금장치의 동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고 제1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제2접철 구조물과, 상기 제2접철 구조물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제2잠금장치의 잠금해제시 상기 제2접철 구조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이동통로를 연장하는 제2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제3접철 구조물과, 상기 제3접철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이동통로에 연통되는 새로운 대피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제3접철 구조물의 하방 이동에 따라 하부층 구조박스의 제1잠금장치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연계동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제1접철 구조물의 고정틀에 고정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잠금레버와, 상기 제1접철 구조물의 지지틀에 고정 결합된 제1잠금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잠금레버 일측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제1잠금장치의 동작을 각각 유발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누름판을 형성하고, 상기 제1잠금레버 타측에 제1걸쇠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누름판 중 어느 하나의 누름판을 누르면 상기 제1잠금고리에 걸려진 상기 제1걸쇠가 빠져나와 잠금해제된 상기 제1접철 구조물의 지지틀이 전방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계동작부는 상기 제3접철 구조물의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 일측에 설치된 누름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3접철 구조물과 함께 상기 누름구가 하방 이동하여 하부층 구조박스의 제1잠금장치의 제2누름판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잠금장치는, 상기 제2접철 구조물 일측에 설치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잠금레버와, 상기 제2접철 구조물에 수납된 제3접철 구조물 상단 일측에 고정 결합된 제2잠금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잠금레버 일측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제2잠금레버 타측에 제2걸쇠를 형성하며, 상기 제2잠금레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제2잠금고리에 걸려진 상기 제2걸쇠가 빠져나와 잠금해제시키면 상기 제2접철 구조물이 전방으로 전개됨과 동시에 상기 제3접철 구조물이 하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접철 구조물은 고정틀과, 지지틀과, 상기 고정틀 일측과 지지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회동부재와, 상기 고정틀 타측과 지지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회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틀에는 상부층 탈출박스의 제3접철 구조물의 하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홈 내부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틀에 복수개 통공이 형성된 판 형상의 마감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1회동부재는 대피공간의 노출된 일측면에 추락 방지를 위한 울타리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부층 탈출박스의 제1 및 제2이동통로를 거쳐 이동하는 대피자가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 연결판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2회동부재는 대피공간의 노출된 타측면에 추락 방지를 위한 울타리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탈출박스의 제2접철 구조물이 전방으로 전개됨으로써 확보된 제1이동통로에 대피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 연결판 중 일부가 힌지 결합되고, 힌지 결합된 일부 연결판에 잠금바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틀에 힌지 결합된 도어와, 도어 잠금바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접철 구조물은 고정대와, 지지대와, 상기 고정대에 고정 결합되고 안내홈이 형성된 제1안내레일과, 상기 지지대에 고정 결합되고 안내홈이 형성된 제2안내레일과, 상기 제1안내레일 일측과 제2안내레일 일측을 연결하는 제3회동부재와, 상기 제1안내레일 타측과 제2안내레일 타측을 연결하는 제4회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3접철 구조물은 상기 제1안내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제1이동틀과, 상기 제2안내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제2이동틀과, 상기 제1이동틀 일측과 제2이동틀 일측을 연결하는 제5회동부재와, 상기 제1이동틀 타측과 제2이동틀 타측을 연결하는 제6회동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이동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 수평바를 구비하며, 상기 제5 및 제6회동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이동통로를 거쳐 이동하는 대피자가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 연결판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이동틀은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안내레일의 안내홈에는 상기 걸림구가 관통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박스에 진입한 대피자가 안전지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대피동선의 도중에 배치된 단순한 구조의 탈출박스는 이동통로와 사다리 기능을 하고, 대피장치는 간단하고 소형 크기로 구현할 수 있어 고층 건물에 복수개 대피장치를 설치하는 작업 인력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층의 구조박스와 탈출박스를 전개시켜 개별적으로 점검할 수 있고,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모든 대피장치에 대한 동작 상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층과 하부층의 대피장치 사이에 연계동작부를 구비하므로 대피장치들 간의 연계 동작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재사용이 용이하고, 대피장치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대피장치가 평상시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탈출박스와 하부층 구조박스 사이를 연결하는 연계동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계동작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구조박스 및 탈출박스가 모두 전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층 구조박스 및 탈출박스가 모두 전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상시 상부층 및 하부층의 대피장치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상부층과 하부층의 대피장치가 연속적으로 전개되어 지그재그의 대피동선을 형성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박스는 전개되고 탈출박스는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대피장치는 아파트, 오피스텔과 같이 고층 건물에 복수개 설치되어 화재, 지진 등 재난 발생시 고층에서 지상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대피장치는 층고가 낮은 건물 외측에 단독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대피장치의 설치 장소가 특정하게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건물 외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어떤 장소라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대피장치(1)는 건물의 안전난간대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하는 구조박스(1-1)와 탈출박스(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이식 대피장치는 해당 층의 구조박스에서 해당 층의 탈출박스를 거쳐 하부층의 구조박스로 이동하도록 설계된 대피동선을 따라 대피자가 안전지대로 이동할 수 있다.
구조박스(1-1)와 탈출박스(1-2)는 서로 분리되고,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1잠금장치가 잠금해제되어 구조박스(1-1)가 박스 형태의 대피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대피할 수 있다. 또한 제2잠금장치가 잠금해제되어 탈출박스(1-2)가 전개되어 하부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박스 형태의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조박스(1-1)와 탈출박스(1-2)에 대한 구조물은 동일하거나 비슷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는데, 예컨대 구조박스(1-1)의 크기는 한 두 명의 대피자를 수용하는 대피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상시에는 제1 및 제2잠금장치가 잠금되어 구조박스(1-1) 및 탈출박스(1-2)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물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구조박스(1-1)와 탈출박스(1-2)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구조박스(1-1)는 전후 방향(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접철 가능한 후술하는 제1접철 구조물(10)을 구비하고, 탈출박스(1-2)는 전후 방향으로 접철 가능한 후술하는 제2 및 제3접철 구조물(30)(40)을 구비한다.
구조박스(1-1)는 제1잠금장치(24)와, 제1잠금장치의 동작에 따라 대피 공간을 형성하는 제1접철 구조물(10), 및 대피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발판부(23)를 포함한다.
제1접철 구조물(10)은 건물 외벽이나 안전난간대에 고정 설치된 고정틀(11), 고정틀과 대향하여 전면에 마련되고 전방으로 전개되는 지지틀(14), 고정틀 일측과 지지틀 일측을 연결하는 제1회동부재(18), 고정틀 타측과 지지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회동부재(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실시예에서 고정틀(11)과 지지틀(14)은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하였으나, 고정틀(11)과 지지틀(14)의 형태와 크기는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제1잠금장치(24)는 고정틀(11)과 지지틀(14) 일측에 설치된 제1잠금레버(25)와 제1잠금고리(26)를 포함한다. 제1잠금레버(25)는 고정핀(25d)을 이용하여 고정틀(11)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잠금고리(26)는 지지틀(14)에 돌출 형성된다.
제1잠금레버(25) 일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누름판(25a)(25b) 중 어느 하나의 누름판을 하방으로 누르면 제1잠금레버(25) 타측에 형성된 제1걸쇠(25c)는 제1잠금고리(26)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제1누름판(25a)은 대피자가 직접 수동으로 동작시킬 때 사용하며, 제2누름판(25b)은 상부층 탈출박스의 제3접철 구조물에 설치된 후술하는 연계동작부(52)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시킬 때 사용하게 된다.
연계동작부(52)는 제3접철 구조물(40)의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봉(53)과, 가이드봉 일측(53)에 고정 설치된 누름구(54)를 구비한다.
가이드봉(53)의 누름구(54)가 하방 이동하여 하부층 구조박스(1-1)의 제1잠금장치(24)의 제2누름판(25b)을 누르면, 하부층 구조박스(1-1)가 잠금해제되어 지지틀(14)이 전방으로 전개되어 대피공간(17)을 형성하게 된다.
고정틀(11)에는 상부층 탈출박스의 제3접철 구조물(40)의 하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봉(53)을 수용하는 수용홈(55)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수용홈(55) 상단에는 볼베어링(56)을 설치하고, 하단에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스프링 등의 완충부재(57)를 설치할 수 있다.
제1회동부재(18)는 대피공간(17)의 노출된 일측면에 추락 방지를 위한 울타리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 연결판(19)을 구비한다. 제2회동부재(20)는 대피공간(17)의 노출된 타측면에 추락 방지를 위한 울타리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 연결판(21)(21a)을 구비한다. 제1회동부재(18)의 복수개 연결판(19)은 대피자가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연결판은 서로 맞대어 접철 결합되는 한 쌍의 사각판으로 구현할 수 있고, 사각판 일측과 타측은 대응 부분에 힌지 결합되며, 사각판에 관통홈을 형성한다.
구조박스(1-1)의 대피공간으로 진입한 대피자는 인접 설치된 탈출박스(1-2)의 제2잠금장치(27)를 잠금해제시켜 탈출박스(1-2)의 제2 및 제3접철 구조물(30)(40)를 전개시킨다.
제2접철 구조물(30)은 고정대(31), 지지대(33), 고정대에 고정 결합되고 안내홈이 형성된 제1안내레일(32)과, 지지대(33)에 고정 결합되고 안내홈이 형성된 제2안내레일(34)과, 제1안내레일 일측과 제2안내레일 일측을 연결하는 제3회동부재(35)와, 제1안내레일 타측과 제2안내레일 타측을 연결하는 제4회동부재(37)를 구비한다. 제3 및 제4 회동부재(35)(37)는 상단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맞대어 접철 결합되는 한 쌍의 사각판으로 구현할 수 있고, 사각판 일측과 타측은 대응 부분에 힌지 결합되며, 사각판에 관통홈을 형성한다.
제3접철 구조물(40)은 제1안내레일(32)의 안내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제1이동틀(41)과, 제2안내레일(34)의 안내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제2이동틀(44)과, 제1이동틀 일측과 제2이동틀 일측을 연결하는 제5회동부재(47)와, 제1이동틀 타측과 제2이동틀 타측을 연결하는 제6회동부재(49)와, 제1 및 제2 이동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 수평바(43)(46)를 구비한다.
제5 및 제6회동부재(47)(49)는 제2 이동통로(51)를 거쳐 이동하는 대피자가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 연결판(48)(50)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5 및 제6 회동부재(47)(49)의 연결판(48)(50)은 서로 맞대어 접철 결합되는 한 쌍의 사각판으로 구현할 수 있고, 사각판 일측과 타측은 대응 부분에 힌지 결합되며, 사각판에 관통홈을 형성한다. 즉, 복수개 연결판(48)(50)이 제2 이동통로(39)(51)의 노출된 일측면에 추락 방지를 위한 울타리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이동틀(41)(44) 측면에 걸림구(42)(45)를 돌출 형성한다. 이 걸림구(42)(45)가 제1 및 제2안내레일(32)(34)의 안내홈에 관통 형성된 슬릿(32a)(34a)을 따라 이동하며, 하단에 걸려짐으로써 제1 및 제2이동틀(41)(44)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잠금장치(27)는 제2접철 구조물(30)의 고정대(31)에 설치된 받침대(28), 받침대(28)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잠금레버(29), 제3접철 구조물(40)의 제2이동틀(44) 상단 일측에 고정 결합된 제2잠금고리(29b)를 구비한다. 제2잠금레버(29)를 회동시키면 제2걸쇠(29a)가 제2잠금고리(29b)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제2잠금고리(29b)에 걸려진 제2걸쇠(29a)가 빠져나와 잠금해제시키면 제2접철 구조물(30)이 전방으로 전개됨과 동시에 제3접철 구조물(40)의 제1 및 제2이동틀(41)(42)이 제1 및 제2 안내레일(32)(34)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여 하방 이동하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부층 구조박스(1-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하부층 구조박스(1-1)에 대해 설명한다. 제2회동부재(20)의 연결판(21)은 상단에 설치되어 고정틀(11)과 지지틀(14)을 연결하며, 제2회동부재(20)의 연결판(21a)은 2열로 구성되고, 일측만이 지지틀(14)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는 잠금바(22)에 의해 상단의 연결판(21)에 구속되어 있다. 대피공간(17)으로 진입한 대피자는 잠금바(22)를 잠금해제하여 연결판(21a)을 개방하며, 다음으로 제1이동통로(39)에 연장하여 형성된 제2이동통로(51)를 따라 아래층 구조박스(1-1)의 대피공간(17)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5 및 제6회동부재(47)(49)를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다.
발판부(23)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대피공간(17)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각 플레이트가 고정틀(11)과 지지틀(14) 하단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다. 발판부(23)는 제1 및 제2회동부재(18)(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아래에 위치하며, 제1잠금장치(24)가 잠금해제되어 지지틀(14)과 함께 전개되어 평평한 바닥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대피자는 발판부(23)의 플레이트를 디딤판으로 사용하여 대피공간(17)으로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다.
지지틀(10)과 지지대(33)에 판 형상의 마감재(15)를 각각 설치한다. 마감재(15)는 최외측에 설치되고 복수개 통공(16)을 형성함으로써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함은 물론 그 외관으로부터 심미감을 느낄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 상부층 및 하부층의 대피장치가 접혀진 경우, 접혀진 탈출박스(1-2) 내부에 제2 및 제3접철 구조물이 수납되어 있다.
지진, 화재 등의 재난 발생된 비상시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잠금장치(24)를 잠금해제시켜 전개된 구조박스(1-1)의 대피공간(17)으로 진입하고, 다음으로 제2잠금장치(27)를 잠금해제시키면 탈출박스(1-2)가 전개됨에 따라 연계동작부(52)에 의해 하부층 구조박스(1-1)가 자동적으로 전개된다. 대피자는 제2 및 제3접철 구조물(30)(4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및 제2이동통로(39)(51)를 거쳐 자동적으로 전개된 하부층의 구조박스(1-1)의 대피공간(17)으로 이동한다. 이후 하부층 탈출박스(1-2)의 제2잠금장치(27)를 잠금해제시켜 하부층 탈출박스(1-2)를 전개시킴으로써 지그재그의 대피동선을 따라 지상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건물 내부의 대피자가 수동으로 제1잠금장치(24)의 제1누름판(25a)을 눌러 구조박스(1-1)를 단독으로 동작시키면 대피공간(17)을 확보할 수 있고, 대피자는 일단 대피공간(17)으로 진입하여 구조 요청하여 외부 구조대의 도움을 받아서 안전지대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개량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대피장치 1-1 : 구조박스
1-2 : 탈출박스 10 : 제1접철 구조물
18 : 제1회동부재 20 : 제2회동부재
30 : 제2접철 구조물 31 : 고정대
32 : 제1안내레일 33 : 지지대
34 : 제2안내레일 35 : 제3회동부재
37 : 제4회동부재 39 : 제1이동통로
40 : 제3접철 구조물 41 : 제1이동틀
44 : 제2이동틀 47 : 제5회동부재
49 : 제6회동부재 51 : 제2이동통로
52 : 연계동작부 53 : 가이드봉
55 : 수용홈 57 : 완충부재

Claims (9)

  1. 고층 건물의 각 층에 구조박스와 탈출박스를 나란하게 설치하고, 대피자는 해당 층의 구조박스에서 해당 층의 탈출박스를 거쳐 하부층의 구조박스로 이동하도록 설계된 대피동선을 따라 대피자가 안전지대로 이동할 수 있는 대피장치로서,
    상기 구조박스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하는 제1잠금장치와, 상기 제1잠금장치의 동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고 박스 형태의 대피 공간을 형성하는 제1접철 구조물과, 상기 제1접철 구조물에 설치되고 대피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발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탈출박스는,
    상기 제1잠금장치와 독립적으로 수동으로 동작하는 제2잠금장치와, 상기 제2잠금장치의 동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고 제1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제2접철 구조물과, 상기 제2접철 구조물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제2잠금장치의 잠금해제시 상기 제2접철 구조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이동통로를 연장하는 제2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제3접철 구조물과, 상기 제3접철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이동통로에 연통되는 새로운 대피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제3접철 구조물의 하방 이동에 따라 하부층 구조박스의 제1잠금장치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연계동작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접철 구조물은 고정틀과, 지지틀과, 상기 고정틀 일측과 지지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회동부재와, 상기 고정틀 타측과 지지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회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틀에는 상부층 탈출박스의 제3접철 구조물의 하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홈 내부에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제1접철 구조물의 고정틀에 고정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잠금레버와, 상기 제1접철 구조물의 지지틀에 고정 결합된 제1잠금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잠금레버 일측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제1잠금장치의 동작을 각각 유발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누름판을 형성하고, 상기 제1잠금레버 타측에 제1걸쇠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누름판 중 어느 하나의 누름판을 누르면 상기 제1잠금고리에 걸려진 상기 제1걸쇠가 빠져나와 잠금해제된 상기 제1접철 구조물의 지지틀이 전방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동작부는 상기 제3접철 구조물의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 일측에 설치된 누름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3접철 구조물과 함께 상기 누름구가 하방 이동하여 하부층 구조박스의 제1잠금장치의 제2누름판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장치는,
    상기 제2접철 구조물 일측에 설치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잠금레버와, 상기 제2접철 구조물에 수납된 제3접철 구조물 상단 일측에 고정 결합된 제2잠금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잠금레버 일측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제2잠금레버 타측에 제2걸쇠를 형성하며,
    상기 제2잠금레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제2잠금고리에 걸려진 상기 제2걸쇠가 빠져나와 잠금해제시키면 상기 제2접철 구조물이 전방으로 전개됨과 동시에 상기 제3접철 구조물이 하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에 복수개 통공이 형성된 판 형상의 마감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1회동부재는 대피공간의 노출된 일측면에 추락 방지를 위한 울타리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부층 탈출박스의 제1 및 제2이동통로를 거쳐 이동하는 대피자가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 연결판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2회동부재는 대피공간의 노출된 타측면에 추락 방지를 위한 울타리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탈출박스의 제2접철 구조물이 전방으로 전개됨으로써 확보된 제1이동통로에 대피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 연결판 중 일부가 힌지 결합되고, 힌지 결합된 일부 연결판에 잠금바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에 힌지 결합된 도어와, 도어 잠금바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철 구조물은 고정대와, 지지대와, 상기 고정대에 고정 결합되고 안내홈이 형성된 제1안내레일과, 상기 지지대에 고정 결합되고 안내홈이 형성된 제2안내레일과, 상기 제1안내레일 일측과 제2안내레일 일측을 연결하는 제3회동부재와, 상기 제1안내레일 타측과 제2안내레일 타측을 연결하는 제4회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3접철 구조물은 상기 제1안내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제1이동틀과, 상기 제2안내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제2이동틀과, 상기 제1이동틀 일측과 제2이동틀 일측을 연결하는 제5회동부재와, 상기 제1이동틀 타측과 제2이동틀 타측을 연결하는 제6회동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이동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 수평바를 구비하며,
    상기 제5 및 제6회동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이동통로를 거쳐 이동하는 대피자가 사다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 연결판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이동틀은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안내레일의 안내홈에는 상기 걸림구가 관통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장치.
KR1020180076491A 2018-07-02 2018-07-02 접이식 대피장치 KR102085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491A KR102085587B1 (ko) 2018-07-02 2018-07-02 접이식 대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491A KR102085587B1 (ko) 2018-07-02 2018-07-02 접이식 대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562A KR20200003562A (ko) 2020-01-10
KR102085587B1 true KR102085587B1 (ko) 2020-03-06

Family

ID=6915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491A KR102085587B1 (ko) 2018-07-02 2018-07-02 접이식 대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5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88757A1 (en) * 2020-03-31 2021-10-06 Mentor T&C Co., Ltd.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8988B (zh) * 2022-03-15 2022-09-20 西南大学 一种高楼层智能折叠逃生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609B1 (ko) * 2016-07-27 2017-02-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740261B1 (ko) * 2016-10-13 2017-05-29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
KR101805060B1 (ko) 2017-04-26 2017-12-14 윤현지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60B1 (ko) 2009-06-25 2011-12-28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922174B1 (ko) * 2016-07-08 2018-11-26 주식회사 디딤돌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609B1 (ko) * 2016-07-27 2017-02-2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740261B1 (ko) * 2016-10-13 2017-05-29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
KR101805060B1 (ko) 2017-04-26 2017-12-14 윤현지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88757A1 (en) * 2020-03-31 2021-10-06 Mentor T&C Co., Ltd.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562A (ko)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8702B (zh) 一体型折叠式安全栏杆以及室外避难楼梯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90354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1055294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2141719B1 (ko)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CN110799250B (zh) 建筑物中的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2085587B1 (ko) 접이식 대피장치
KR101805060B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40117030A (ko)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대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290693B1 (ko)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0725381B1 (ko)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922173B1 (ko) 화재 피난 장치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0915305B1 (ko) 방열천이 장착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