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173B1 - 화재 피난 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피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173B1
KR101922173B1 KR1020170080444A KR20170080444A KR101922173B1 KR 101922173 B1 KR101922173 B1 KR 101922173B1 KR 1020170080444 A KR1020170080444 A KR 1020170080444A KR 20170080444 A KR20170080444 A KR 20170080444A KR 101922173 B1 KR101922173 B1 KR 101922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vacuation
fire
box
evacua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520A (ko
Inventor
한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딤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딤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딤돌
Publication of KR2018000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대피할 수 있는 화재 피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기집과 옆집의 경계부 외측에 베란다 난간대 형태로 설치되어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대피자가 잠금장치를 해제하면 프레임 형상의 피난박스와 발판이 외부로 돌출되어 펼쳐짐에 따라 형성된 대피공간 및 이동통로를 통해 대피자가 옆집으로 이동하여 대피할 수 있는 바, 화염이나 유독 가스로부터 안전한 대피공간 및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재 피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화재 피난 장치{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본 발명은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대피할 수 있는 화재 피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기집과 옆집의 경계부 외측에 베란다 난간대 형태로 설치되어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대피자가 잠금장치를 해제하면 프레임 형상의 피난박스와 발판이 외부로 돌출되어 펼쳐짐에 따라 대피공간 및 이동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통로를 이용하여 옆집으로 이동하여 대피할 수 있는 바, 화염이나 유독 가스로부터 안전한 대피공간 및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재 피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베란다(veranda)는 외부를 전망하고, 화초를 기르거나 옷을 말리기 위해 건조대를 설치하는 장소로 이용되는 생활공간이다.
상기 베란다에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는데 난간은 창문을 열어 놓았을 때 거주자가 베란다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건물로부터 추락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베란다의 일측벽에는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 부수고 옆집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량 칸막이(경계벽)가 설치되어 있으나, 실제 대부분의 아파트에서는 경량 칸막이의 주변에 수납장을 만들어 저장 용도로 사용하거나, 적재물을 적치하여 화재 등의 비상시에 원래의 용도로 사용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건물 또는 공동 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베란다로 임시 대피한 대피자들의 피난이 지연되어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재 대피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대피자가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화재가 아래층에서 발생하여 위층으로 화염이나 유독 가스가 치솟아 오르는 경우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기술문헌 1]에는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는 박스형 구조물을 이용하여 화재시 비상구나 기타 대피 수단으로 피난을 하지 못한 경우 구조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내부에서 기다리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장치는 층간 또는 이웃집으로 이동하여 대피하는 수단이 아니라, 단순히 박스형 대피공간으로서 내부에 사람이 들어가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공간이 협소하여 다수의 사람이 대피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장치의 구성도 복잡하여 노약자나 여성의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실제 아파트 화재의 대부분은 화염에 의한 피해 보다 매연에 의한 질식 사고의 비율이 높은 바, 화재에 의한 유독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단시간에 위층으로 유독 가스가 전이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하여 동일층의 이웃집으로 누구나 손쉽게 이동할 수 있고, 소형 경량으로 설치가 용이한 대피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10-0998240 (등록일: 2010. 11. 2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시 층간 이동에 의한 대피가 불가능한 경우, 대피자가 잠금장치를 해제하거나 미는 동작만으로 베란다 외측에 설치된 피난박스와 발판이 동시에 펼쳐져 동일층의 이웃집 베란다와 연결됨으로써, 대피자가 안전하게 이웃집으로 대피할 수 있는 화재 피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복잡한 장치로 구성되거나 자동화된 장치로 구성하여 장치의 규모가 커지고 설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구성하여 설치를 위한 비용이 저렴하고, 대피자가 수동으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화재 피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는, 아파트, 사무용 빌딩 등과 같은 건축구조물을 이용하는 복수 세대들이 소유하고 출입 통제되는 독립된 공간들을 격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건축구조물 외측에 형성된 경계부에 베란다 난간대 형태로 설치되고,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비상시에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건축구조물의 내부에 은닉된 접이식 회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대피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화재 피난 장치를 상기 건축구조물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피난박스 및 상기 건축구조물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하고, 비상시에 상기 경계부에 의해 단절된 대피동선을 복구하여 안전한 대피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진 이동하는 상기 피난박스의 바닥면으로 기능하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난박스는 일측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세대에 걸쳐 베란다 난간대 형태로 설치되는 제1프레임, 일측면이 서로 다른 세대의 상기 베란다 일측에 각각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요홈과 대면하도록 타측면에 요홈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형성된 요홈의 사이를 연결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접이식 회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부재가 접혀 있다가 펼쳐짐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은 일단부가 상기 피난박스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슬라이딩 부재로서, 상기 피난박스의 하단부에서 상기 건물의 벽체 내부로 관통되어 설치되는 포켓의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피난박스가 펼쳐질 때 상기 포켓으로부터 슬라이딩 돌출되어 상기 피난박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접철이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부가 회동결합 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요홈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축을 포함하고,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요홈에 접철되어 있다가,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펼쳐짐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제2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난박스는 상기 제2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출입구로 하여 상기 건물의 벽체 내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포켓 및 일단부가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포켓의 내부에 수용되는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포켓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돌출됨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난박스는 상기 제1프레임의 펼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세대의 베란다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일세대의 잠금장치가 해제되는 경우 타세대의 잠금장치도 연동하여 해제됨으로써, 상기 프레임과 발판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난박스와 발판은 상기 경계부를 중심으로 상기 경계부를 제외한 서로 다른 세대의 베란다 일측에 분리되어 설치되되, 상기 피난박스와 발판이 동시에 펼쳐진 후, 일세대의 상기 발판이 타세대의 발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피난박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는 대피자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동작만으로 자기집과 이웃집의 경계부 외측에 베란다 난간대 형태로 설치된 피난박스와 발판이 동시에 펼쳐짐에 따라 동일층의 이웃집 베란다와 연결되는 대피공간 및 이동통로가 형성됨으로써, 대피자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웃집으로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는 종래 복잡한 장치로 구성된 화재 피난 장치와 비교하여,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대피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설치를 위한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를 베란다에 설치한 평상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a)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가 비상시에 펼쳐진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b),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의 펼침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베란다 경계벽의 구조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를 베란다에 설치한 상태에서 비상시 펼쳐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를 베란다에 설치한 상태에서 비상시 펼침이 완료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를 이용하여 비상시 대피하는 동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를 베란다에 설치한 평상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a)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가 비상시에 펼쳐진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b)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의 펼침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베란다 경계벽의 구조에 따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100)는 아파트, 사무용 빌딩 등과 같은 건축구조물을 이용하는 복수 세대들이 소유하고 출입 통제되는 독립된 공간들을 격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건축구조물 외측에 형성된 경계부(400)에 베란다 난간대(210, 310) 형태로 설치되고, 화재나 지진 등과 같은 비상시에 잠금장치(50)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건축구조물의 내부에 은닉된 접이식 회동부재(20)의 작동에 의해 대피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화재 피난 장치를 상기 건축구조물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피난박스(10) 및 상기 건축구조물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비상시에 상기 경계부(400)에 의해 단절된 대피동선을 복구하여 안전한 대피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진 이동하는 상기 피난박스(10)의 바닥면으로 기능하는 발판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100)는 건물 베란다 난간대(210, 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아파트 베란다의 경계벽(400)을 사이에 두고 일측은 자기집(200)의 베란다에 설치되고 타측은 옆집(300)의 베란다에 설치된 후, 비상시에 외부로 돌출 펼쳐져 대피공간 및 이동통로를 형성함으로써, 대피자가 자기집(200)의 베란다에서 옆집(300)의 베란다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100)는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건축구조물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람이 대피하거나 이동할 수 있는 대피공간을 형성하는 피난박스(10)와, 상기 피난박스(10)의 내부로 대피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피난박스(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발판(3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난박스(10)는 강재 등 견고하고 내연성이 있는 소재를 이용한 프레임(frame) 형태의 구조물로서, 일측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400)에 베란다 난간대(210, 310) 형태로 배치되는 제1프레임(10a), 일측면이 자기집(200)과 옆집(300)의 베란다 난간대(210, 310)에 각각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프레임(10a)의 요홈과 대면하도록 타측면에 요홈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10b), 상기 제1프레임(10a)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일측이 공지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1, 12) 및 상기 수평프레임(11, 12)의 타측에 결합되는 경계벽부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프레임(10a)과 수평프레임(11, 12) 또는 상기 경계벽부재(13)와 수평프레임(11, 12)이 공지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중지지 능력의 향상을 위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육면체, 원통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진 프레임 구조물로서, 세로 방향의 일측면에 요홈(G)이 형성되어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요홈(G)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의 요홈(G)이 서로 밀착 접촉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후술하는 회동부재(20)가 내장될 수 있는 바, 평상시에는 상기 회동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10a)의 일측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수평프레임(11, 12)의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1, 12)의 타측은 상기 경계벽(400)과 동일한 넓이 및 색상으로 제작된 사각 패널(panel) 형태를 가진 경계벽부재(13)의 일측과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1, 12)에는 하부 수평프레임(11)과 상부 수평프레임(12)을 서로 연결하여 대피자의 안전을 고려함과 동시에 아파트 베란다의 구조와 동일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보조프레임(1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경계벽부재(13)를 중심으로 자기집(200)의 반대편 즉, 옆집(300)에는 상술한 제1프레임(10a), 제2프레임(10b) 및 수평프레임(11, 12)이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 경계벽부재(13)의 일측에 설치된 피난박스를 대상으로 구조를 설명하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칭되는 부재의 경우 별도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10b)은 상기 제1프레임(10a)과 달리, 일측면이 베란다의 난간대(210, 31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난박스(10)는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파트 베란다 난간대(210, 310)에 결합되어 설치되되, 상기 제1프레임(10a)만이 돌출되고 베란다 난간대(210, 310)와 형상이나 색상이 차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바, 평상시에는 외부에서 볼 때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을 정도로 은닉되어 미관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피난박스(10)와 발판(30a)이 외부로 돌출되어 펼쳐짐에 따라, 대피자가 자기집(200)의 베란다에서 상기 피난박스(10)의 내부로 진입하여 옆집(300)의 베란다로 이동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재 등의 비상시에 상기 피난박스(10)를 외부로 돌출되도록 펼치기 위하여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회동부재(20)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재(20)는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의 양측 내부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고정축(20a), 상기 고정축(20a)에 연결되는 지지부재(20b) 및 상기 지지부재(20b)가 양측에 연결되어 회동함으로써 접힘과 펼침 동작을 진행하는 회동축(20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20)는 상기 피난박스(10)를 충분히 지지하고 원활히 펼쳐지도록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의 양측 상단부에서 하부까지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피난박스(10)는 상기 회동축(20c)을 중심으로 양측에 연결되는 상기 지지부재(20b)가 접철되는 영역에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등의 탄성부재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회동부재(20)가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활히 펼쳐질 수 있고, 완충력을 구비한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피난박스(10)가 급격히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지지부재(20b)가 접철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회동축(20c)의 내부에 펼침 동작이 가능한 탄성부재가 내장되거나, 상기 회동부재(20)와 별도로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의 사이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피난박스(10)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동부재(20)와 더불어 상기 피난박스(10)의 전개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부(40)는 건물 하단부의 콘크리트 슬라브(concrete slab, S)를 타공하고 그 내부 공간에 설치되므로, 상기 회동부재(20)와 마찬가지로 평상시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비상시에만 대피자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40)는 상기 피난박스(10)의 양측 하단부에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제1프레임(10a)의 하단부 내측에 고정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40a)와 상기 슬라이딩부재(40a)의 타측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포켓(4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0a)는 직육면체, 원통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서랍을 개폐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상기 포켓(40b)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프레임(10b)의 하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40a)의 단면과 동일한 모양으로 미세한 유격을 가지도록 관통공(10c)이 형성되어, 상기 피난박스(10)가 펼쳐질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40a)가 상기 포켓(40b)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공(10c)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포켓(40b)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40a)의 타측과 상기 포켓(40b)의 내부 말단부 사이에는 강성 스프링 등 공지의 탄성 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피난박스(10)가 상기 회동부재(20)의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질 때, 보다 원활한 펼침 동작을 위해 탄성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비상시에 상기 슬라이딩부재(40a)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40a)의 길이는 상기 피난박스(10)가 외부로 펼쳐지는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피난박스(10)가 외부로 완전히 펼쳐진 경우에도 상기 슬라이딩부재(40a)의 타측 일부는 여전히 상기 포켓(40b)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를 통해, 상기 포켓(40b)의 내부에 여전히 삽입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딩부재(40a)가 지지대 역할을 함으로써, 다수의 대피자가 피난하는 등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피난박스(10)의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4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펼쳐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슬라이딩부(40)의 구성을 생략하고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 사이에 상술한 회동부재(20)의 설치 개수를 늘려 전체를 접이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10)의 펼침 동작을 위해 상기 회동부재(20)를 접이식 또는 접철식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힌지고정식, 회동식 또는 승강식 등 상기 제1프레임(10a)이 상기 제2프레임(10b)으로부터 이격되어 돌출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판부(30)는 대피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 강화플라스틱 등 견고한 내연성, 불연성 소재로 형성된 플레이트 형태의 발판(30a)과, 상기 슬라이딩부(40)의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비되는 발판포켓(3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판(30a)은 상기 피난박스(10)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비상시 대피자가 상기 피난박스(10)의 내부로 진입할 때 디딤판 및 이동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발판포켓(30b)은 상기 슬라이딩부(40)의 양측 포켓(40b)의 사이에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발판포켓(30b)의 내부에 상기 발판(30a)이 삽입되어 있다가 비상시에 상기 슬라이딩부재(40a)와 함께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기 발판(30a)의 전개 방식은 상술한 슬라이딩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피난박스(10)의 내측면에 접이식 또는 회동식으로 구비되었다가 비상시에 상기 피난박스(10)와 동시에 펼쳐지는 방식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례로, 상기 발판(30a)은 이웃하는 각 세대(200, 300)의 베란다 일측에 분리되어 접이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경계벽(400)에 해당하는 영역이 빈 공간으로 구비되되, 상기 피난박스(10)가 펼쳐질 때 이웃하는 각 세대(200, 300)의 발판도 함께 펼쳐진 후, 펼쳐진 양측 발판 사이의 빈 공간을 상기 발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별도의 슬라이딩 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은 상기 회동부재(20) 및 슬라이딩부(40)에 의해 건물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구비되되, 평상시에는 잠금장치(50)를 이용하여 서로 밀착하여 접촉되도록 유지되고, 비상시에 대피자가 상기 잠금장치(50)를 해제하는 경우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잠금장치(50)는 평상시에 상기 피난박스(10)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 비상시에 대피자가 상기 잠금장치(50)를 해제하면 후술하는 회동부재(20)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피난박스(10)가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잠금장치(5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의 개폐수단 및 연동수단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비상시에 작동의 오류가 발생하여 상기 피난박스(10)가 전개되지 않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작이 단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일례로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걸쇠 또는 고리형 결합부재를 이용할 수 있고, 이를 대피자가 수동으로 탈착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장치(50)는 자기집(200)과 옆집(300)의 피난박스에 각각(50a, 50b) 설치되므로, 비상시에 상기 피난박스(10)가 펼쳐지도록 하기 위해서 일측의 잠금장치(50a)를 해제하면 타측의 잠금장치(50b)도 동시에 해제되도록 공지의 연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잠금장치(50a, 50b)가 연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옆집(300)의 잠금장치(50b)가 연동하여 해제되는 동작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대피자가 자기집(200)의 베란다에서 옆집(300)의 잠금장치(50b)를 직접 해제할 수 있도록 자기집(200)의 베란다 일측에 옆집(300)의 상기 잠금장치(50b)를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수단(예를 들어, 갈고리를 구비한 와이어부재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5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대피자는 자기집(200)의 잠금장치(50a)에 구비된 해제버튼을 눌러서 잠금을 해제함과 동시에, 옆집(300)의 잠금장치(50b)도 연동하여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피난박스(10)를 외부로 전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잠금장치(50)의 정상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대피자는 자기집(200)의 잠금장치(50a)에 구비된 고리를 잡아 당겨 상기 잠금장치(50a)를 탈착한 후, 상기 와이어부재 등을 이용하여 옆집(300)의 잠금장치(50b)를 수동으로 탈착하여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피난박스(10)를 전개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비상시에 대피자가 자기집(200)의 베란다에 나가서 상기 잠금장치(50a)를 해제하면, 상기 피난박스(10)가 전개됨과 동시에 상기 발판(30a)이 상기 피난박스(10)의 내부 바닥면에 펼쳐져 디딤판을 형성하므로, 대피자는 상기 피난박스(10)의 내부로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난박스(10)를 경량 칸막이(400a)가 설치되어 폭이 좁은 경계벽(4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이웃 간 벽체(400b)가 형성되어 폭이 넓은 경우에도 상기 피난박스(10)의 폭을 조절하여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난박스(10)와 발판(30a)의 펼침 구조가 단순하므로, 아파트의 구조 또는 연식에 따라 상기 경계벽(400)의 형태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상기 피난박스(10)의 치수 또는 위치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피난박스(10)가 펼쳐질 때 상기 피난박스(10)의 하부에 비상사다리가 함께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비상사다리는 아래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난박스(10)를 이용하여 자기집(200)에서 옆집(300)의 베란다로 이동하여 대피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옆집(300)에 화재가 발생하여 대피가 불가능한 상황에 대비하여 아래층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100)에서 대피자가 상기 피난박스(10)를 펼치고 대피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를 베란다에 설치한 상태에서 비상시 펼쳐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를 베란다에 설치한 상태에서 비상시 펼침이 완료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를 이용하여 비상시 대피하는 동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100)는 평상시에 자기집(200)과 옆집(300)의 베란다 경계벽(400)을 사이에 두고 베란다 난간대(210, 310)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되거나 상기 베란다 난간대(210, 310)와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S10: 잠금장치 해제단계)
S10 단계에서는 비상시 대피자가 자기집(200)의 베란다로 나와서 상기 피난박스(10)와 발판(30a)의 잠금장치(50a)를 해제한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아파트에서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자기집(200)에 머무르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대피자는 베란다로 나와서 상기 피난박스(10)의 일측에 구비된 잠금장치(50a)의 해제버튼을 누른다.
이 때, 자기집(200)에 설치된 상기 잠금장치(50a)가 해제되면 상기 수평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된 연동장치(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옆집(300)의 잠금장치(50b)도 해제된다.
만일, 상기 잠금장치(50a)의 해제버튼이 고장이나 파손 등으로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대피자는 상기 잠금장치(50a)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를 당겨 수동으로 탈착시킴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10a)과 제2프레임(10b)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후, 상술한 와이어부재 등 옆집(300)의 잠금장치(50b)를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수단을 이용하여 옆집(300)의 잠금장치(50b)도 해제함으로서, 상기 피난박스(10)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S20: 피난박스 및 발판 전개 단계)
S10 단계가 완료되어 상기 잠금장치(50)가 해제되면, 상기 피난박스(10)와 발판(30a)이 펼쳐진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피난박스(10)의 상기 회동부재(20)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딩부(40)의 포켓(40b)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강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난박스(10)가 건물의 외부로 펼쳐진다.
또한, 상기 피난박스(10)가 펼쳐짐과 동시에 상기 발판(30a)도 함께 펼쳐져 상기 피난박스(10)의 바닥면에 디딤판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피난박스(10)를 펼치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부재(20)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 및 슬라이딩부(40)에 구비된 강성 스프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대피자는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상기 피난박스(10)를 외부로 밀어서 수동으로 전개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대피자는 상기 발판(30a)을 딛고 상기 피난박스(10)의 내부로 진입하여 대피한다.
(S30: 옆집으로 이동하여 대피하는 단계)
S20 단계가 완료되어 상기 피난박스(10)와 발판(30a)이 펼쳐지면, 대피자는 상기 발판(30a)에 의해 상기 피난박스(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이동통로를 이용하여 옆집(300)의 베란다로 대피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피난박스(10)와 발판(30a)의 펼침이 완료된 경우, 대피자는 자기집(200)의 베란다에서 상기 피난박스(10)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발판(30a)을 딛고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즉, 대피자는 상기 피난박스(10)가 펼쳐짐에 따라 자기집(200)의 베란다와 옆집(300)의 베란다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상기 발판(30a)의 이동통로를 이용하여 옆집(300)의 베란다로 대피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옆집으로 계속 이동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세대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으며, 자기집과 옆집 모두에 화재가 발생하여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상기 피난박스(10)가 대피공간이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피난박스(10)의 내부에 진입하여 구조를 기다릴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피난 장치는 대피자가 화재 등으로 아래층으로 대피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옆집으로 이동하여 대피할 수 있는 바, 종래 상하층의 이동에 의한 대피 장치에 비해 다양한 대피경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더욱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대피자가 상기 피난장치의 잠금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해제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은닉되어 있던 상기 피난박스와 발판이 동시에 펼쳐짐으로써, 신속하게 상기 피난박스의 내부로 진입하여 대피할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시 구조를 요청하기 위한 장소와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복잡한 장치로 구성된 화재 대피 장치와 비교하여, 장치의 구성이 단순하고 소형이므로 설치 및 유지를 위한 비용이 저렴하고 대피자가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개량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화재 피난 장치 10: 피난박스
20: 회동부재 30: 발판부
40: 슬라이딩부 50: 잠금장치
200: 자기집 300: 옆집
400: 경계벽

Claims (7)

  1. 건축구조물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대피공간을 형성하는 피난박스(10)와 상기 피난박스의 내부로 대피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피난박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발판부(30);를 포함하되,
    상기 피난박스(10)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공간들을 격리시키는 경계부(400)의 좌우측 수평 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제1 베란다 난간대(210)와 제2 베란다 난간대(310)의 단절된 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피난박스(10)는 상기 제1 베란다 난간대(210)의 단부에 제1 프레임 구조물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베란다 난간대(310)의 단부에 제2 프레임 구조물이 결합되며, 상기 제1 프레임 구조물의 일측과 상기 제2 프레임 구조물의 일측 사이를 제1 및 제2 수평 프레임(11, 12)으로 연결하여 베란다 난간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수평 프레임(11)과 제2 수평 프레임(12)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보조프레임(14)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구조물은 각각 일체로 결합된 제1 및 제2 프레임(10a)(10b)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평 프레임(11)은 상기 제1 프레임 구조물의 제1 프레임(10a) 상단과 상기 제2 프레임 구조물의 제1 프레임(10a)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2 수평 프레임(12)은 상기 제1 프레임 구조물의 제1 프레임(10a) 하단과 상기 제2 프레임 구조물의 제1 프레임(10a)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1 프레임(10a)과 제2 프레임(10b)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회동부재(20)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부재(20)는 상기 제1 프레임(10a)과 제2 프레임(10b)의 양측 내부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고정축(20a), 상기 고정축(20a)에 연결되는 지지부재(20b), 및 상기 지지부재(20b)가 양측에 연결되어 회동함으로서 접철하는 회동축(20c)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구조물의 제1 프레임(10a) 하단 내측에 슬라이딩부재(40a)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40a)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구조물의 제2 프레임(10b) 하단에 형성된 관통공(10c)과 포켓(40b) 내부를 출입하며,
    상기 발판부(30)는 발판(30a)과 발판 포켓(30b)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40a)가 포켓(40b)으로 출입하는 동작과 함께 상기 발판(30a)이 발판 포켓(40b) 내부를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프레임(11, 12)의 중도에는 상기 경계부(400) 전면 부분에 대응하여 사각 패널의 경계벽부재(1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피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80444A 2016-06-29 2017-06-26 화재 피난 장치 KR101922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81791 2016-06-29
KR1020160081791 2016-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20A KR20180002520A (ko) 2018-01-08
KR101922173B1 true KR101922173B1 (ko) 2019-02-13

Family

ID=6100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444A KR101922173B1 (ko) 2016-06-29 2017-06-26 화재 피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578B1 (ko) 2019-02-08 2020-05-1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명구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763B1 (ko) 2011-03-25 2011-05-25 (주) 크로텍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612265B1 (ko) * 2015-09-15 2016-04-14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건축용 안전 난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54818A0 (en) * 2003-03-09 2003-10-31 Beth El Zikhron Ya Aqov Ind Lt A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deploying a soft shelter for protection against nbc warfare
KR200341256Y1 (ko) * 2003-11-28 2004-02-11 김기봉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KR101082185B1 (ko) * 2009-08-21 2011-11-09 박종덕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101216204B1 (ko) * 2010-08-31 2012-12-28 진재효 다층건축물의 매입형 비상탈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763B1 (ko) 2011-03-25 2011-05-25 (주) 크로텍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612265B1 (ko) * 2015-09-15 2016-04-14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건축용 안전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20A (ko) 201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261B1 (ko)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US11828070B2 (en)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903545B1 (ko)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
KR102096210B1 (ko)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US51039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fire escape for a multi-story building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KR101922173B1 (ko) 화재 피난 장치
KR101805060B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2085587B1 (ko) 접이식 대피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JP2004324283A (ja) 避難用梯子
KR100725381B1 (ko)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100870141B1 (ko) 피신용 곤돌라
KR101570343B1 (ko) 건물용 화재피난장치
KR102612618B1 (ko)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