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256Y1 -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 Google Patents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256Y1
KR200341256Y1 KR20-2003-0037194U KR20030037194U KR200341256Y1 KR 200341256 Y1 KR200341256 Y1 KR 200341256Y1 KR 20030037194 U KR20030037194 U KR 20030037194U KR 200341256 Y1 KR200341256 Y1 KR 200341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anda
planter
stand
po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봉
Original Assignee
김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봉 filed Critical 김기봉
Priority to KR20-2003-0037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는 화분거치대를 이용하여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시에 위험으로부터 피난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은, 고층 아파트의 베란다 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외측에 베란다를 벗어나도록 연장 설치되는 상,하가이드와,
상기 상,하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화분거치대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층건물이나 아파트의 발코니 난간부에서 평상시에는 화분거치대로 사용되고 비상시에는 발코니를 벗어난 곳으로 연장설치된 가이드를 타고 이동하여 화염이나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피난처를 제공함으로써 귀중한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Veranda flowerpot prop combined use fire escape}
본 고안은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는 화분거치대를 이용하여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시에 위험으로부터 신속히 피난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게되면 사람들은 그 위험상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탈출행위가 취해지게 된다. 그렇지만 자신의 생명에 위협을 느끼는 긴박한 상황하에서는 이성적 판단보다는 본능적 판단에 의해 행동을 취하게 되는데, 이때 본능적 판단에 의해 택할 수 있는 탈출통로는 문이나, 창문 또는 발코니를 들 수 있다. 이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층이 고층임에도 불구하고 창문이나 발코니를 통해 뛰어내리는 행동도 서슴치 않아 결국 추락사 당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가 있다. 즉, 고층건물이나 고층 아파트의 창문이나 발코니는 결코 비상시 탈출로가 될 수가 없으며, 이는 다시말해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에는 위험으로부터 피난하기 위한 탈출로가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결국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엄청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충분히 예측하고도 남음이 있다.
물론 화재를 대비하여 각종 소방도구들을 구비하기도 하지만 화재시 대처요령를 학습받지 않은 일반인들이 급박한 상황하에서 소방도구들을 이용하기란 더욱더 어렵다. 그러므로 화재발생시 긴급히 피난할 수 있는 다양한 피난장치가 개발되어야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이 고층 건물 또는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그 위험으로부터 긴급히 대피할 수 있는 피난장치를 제공하여 귀중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그 해결방향은 화재와 같은 긴급히 피난해야 할 상황의 발생시 본능적으로 취해질 수 있는 탈출경로에 피난장치를 설치하는데 있다. 즉, 발코니 또는 베란다의 난간부에서 평소에는 단순히 화분 받침대로 사용하다가 화재의 발생시 상기 화분거치대를 이용하여 화염 또는 유독가스로부터 긴급히 벗어나 있도록 하고 또 쉽게 구출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도록 하는 피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거치대 겸 비상 피난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거치대 겸 비상 피난장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거치대 겸 비상 피난장치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거치대 겸 비상 피난장치 구조도.
도 5는 도 4의 화분거치대 겸 비상 피난장치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거치대 겸 비상 피난장치 구조도.
도 7은 제3실시예의 화분거치대겸 비상 피난장치의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난간 20 - 화분거치대
30,30' - 상,하가이드 32,32' - 상,하이동부
34 - 수직롤러 35 - 수평걸림롤러
36 - 수직버팀대 37 - 하부수직롤러
38 - 수평지지롤러 39 - 고정 취부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층 아파트의 베란다 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외측에 베란다를 벗어나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화분거치대로 구성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거치대 겸 비상 피난장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거치대 겸 비상 피난장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거치대 겸 비상 피난장치 동작상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의하면, 발코니나 베란다의 전방의 난간(10)에 화분거치대(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화분거치대(20)는 사람이 안전하게 올라가 앉을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난간(10)의 외부에 횡으로 설치된 상하 평행한 상,하가이드(30,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가이드(30,30')는 난간(10)의 단부가 고정된 벽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그 옆쪽의 발코니와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화분거치대(20)의 하부에는 상,하가이드(30,30')에 안내를 받아 횡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특히 높은 하중이 가해지면서 바깥쪽으로 하중이 쏠리는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화분거치대(20)에 상,하이동부(32,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이동부(32)는 상부가이드(30)에 그리고 하부이동부(32')는 하부가이드(30')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때 상,하이동부(32,32')는 적어도 복수개의 롤러로 구성되는데, 상부이동부(32)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롤러(34)와,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모멘트를 버텨내기 위한 수평걸림롤러(35)로 구성되고, 하부이동부(32')는 화분거치대(20)의 하부에 수직으로 견고하게 설치되는 수직버팀대(36)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그 구성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수직롤러(37)와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하부가이드(30')에 지지되는 수평지지롤러(38)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부이동부(32)와 하부이동부(32')가 동일한 구조로 인식될 수도 있으나 다른 점은 상기 하부이동부(32')의 수평지지롤러(38)는 하부가이드(30')의 바깥쪽에서 밀착되고, 상부이동부(32)의 수평걸림롤러(35)는 상부가이드(3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는 구조가 다르다. 물론 안전성을 더욱더 확보하기 위해 상,하가이드(30,30') 사면에 별도의 롤러를 설치하거나 지지부재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화분거치대(20)에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취부구(39)가 설치된다. 즉, 양측에 걸고리를 두어 상기 발코니 난간(10)부에 걸어 횡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고정 취부구(39)는 약간의 힘을 가하여 들어올리게 되면 난간(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난간(10)부에 위치시키고 고정 취부구(39)를 난간(10)에 고정시킨 후 화분을 올려놓거나 또는 장독을 올려놓고 사용한다.
그러다가 화재가 발생하게 되어 발코니 방향으로밖에 탈출로가 없을 경우에는 신속히 화분거치대(20)로 올라앉은 후 난간(10)에 고정된 고정 취부구(39)를 상부로 회동시켜 분리시키고 손으로 상부가이드(30)을 당겨 발코니 측부로 이동한다. 만일 상,하가이드(30,30')가 옆쪽의 발코니와 연결되어 있다면 그쪽 발코니를 통해 탈출을 시도하면 되고, 만일 발코니의 측부의 외벽에 연결되어 있다면 그 외벽부로 이동하여 구조를 기다린다. 이와 같이하면 직접적인 화염 및 유독가스로부터 벗어날 수가 있다. 특히 아래층에서 동시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화염과 유독가스의 유출경로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 않게 된다. 또 이와 같이 건물의 외부로 피난해 있게 되면 구조대로부터 쉽게 발견이 되기 때문에 신속한 구조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거치대 겸 비상 피난장치 구조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화분거치대 겸 비상 피난장치 동작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거치대(20)의 하부 양측에 회동아암(42)이 설치되어 있고, 이 회동아암(42,42')의 하단은 건물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축(44,44')에 피봇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화분거치대(20)의 상부에는 화분거치대(20)를 난간에 고정하기 위한 취부구(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취부구(39)는 평상시에는 화분거치대(20)를 난간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하고 비상시에는 쉽게 난간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로는 단순한 걸고리 형태를 가져 힘을 가하여 상부로 들어 올리면 난간(10)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이다. 그 외에도 볼트나 나비너트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구조의 취부구(39)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화분거치대(20)는 비상시 사람이 올라탄 후 취부구(39)를 난간(10)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하중에 의해 회동 하강하여 베란다의 하부로 회동하게 된다. 즉, 화재가 발생한 발코니 또는 베란다로부터 벗어날 수가 있게 된다. 만일 하층의 베란다가 개방되어 있으면, 개방된 베란다를 통해 안전하게 피난을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거치대 겸 비상 피난장치 구조도이고, 도 7은 제3실시예의 화분거치대겸 비상 피난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하층에 화재로부터 안전할 경우에 가능하나 하층에도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위험하다. 이를 대비하여 상기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아암(42,42')이 수평을 이루어 상기 화분거치대(20)가 베란다로부터최대한 벗어나 있는 위치에서의 건물 벽면에 복수개의 지지대(46)를 설치하여 화분거치대(20)가 베란다의 측부로 이동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지지대(46)는 화분거치대(20)가 횡방향으로 이동했을 경우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화분거치대(20)가 베란다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지지대(46)에 걸려 더이상 회동이동하지 않고 정지해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화재의 발생시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염이나 유독가스를 포함하는 연기가 베란다를 통해 배출되고 또 배출되는 화염과 연기는 상부로 배출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화분거치대(20)는 그 화염과 연기의 배출영역으로부터 비켜서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화분거치대(20)에 피난하고 있는 사람들은 화염과 연기로부터 벗어나 있게 되므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 않고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층건물이나 아파트의 발코니 난간부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화분거치대로 사용되고 비상시에는 발코니를 벗어난 곳으로 연장설치된 가이드를 타고 이동하여 화염이나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피난처를 제공하므로 귀중한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고층 아파트의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는 화분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화분거치대와 난간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화분거치대를 베란다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이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난간의 외측에 베란다를 벗어나도록 연장 설치되는 복열로 평행하게 구성된 상,하가이드와,
    상기 화분거치대 하부에 설치되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롤러와,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모멘트를 지지하기 위한 수평걸림롤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가이드에 지지되는 상부이동부와,
    상기 화분거치대의 하부에 수직으로 견고하게 설치되는 수직버팀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가이드에 지지되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수직롤러와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하부가이드에 지지되는 수평지지롤러가 구비되는 하부이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화분거치대의 하부 양측과, 상기 화분거치대 하부의 건물벽에 설치된 축에 그 양단이 각각 피봇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아암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수평을 이루어 상기 화분거치대가 베란다로부터 최대한 벗어나 있는 위치에서의 건물 벽면에 상기 화분거치대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지지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거치대의 상부에는 난간에 탄성결합되는 취부걸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KR20-2003-0037194U 2003-11-28 2003-11-28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KR200341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194U KR200341256Y1 (ko) 2003-11-28 2003-11-28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194U KR200341256Y1 (ko) 2003-11-28 2003-11-28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256Y1 true KR200341256Y1 (ko) 2004-02-11

Family

ID=4942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194U KR200341256Y1 (ko) 2003-11-28 2003-11-28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2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017B1 (ko) * 2007-03-14 2008-08-04 김홍림 회전이 가능한 구난겸 베란다 난간
KR20180002520A (ko) * 2016-06-29 2018-01-08 유길용 화재 피난 장치
KR20180000876U (ko) * 2016-09-21 2018-03-29 심주호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베란다 창문을 통해 유입되는 아래층 담배연기 등의 생활악취 차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017B1 (ko) * 2007-03-14 2008-08-04 김홍림 회전이 가능한 구난겸 베란다 난간
KR20180002520A (ko) * 2016-06-29 2018-01-08 유길용 화재 피난 장치
KR20180000876U (ko) * 2016-09-21 2018-03-29 심주호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베란다 창문을 통해 유입되는 아래층 담배연기 등의 생활악취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0909447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080808B1 (ko)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2075935B1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KR200341256Y1 (ko)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715373B1 (ko) 화재 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KR10221858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KR20110087572A (ko)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200464759Y1 (ko)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KR20100137131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15305B1 (ko) 방열천이 장착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10090411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230007700A (ko)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KR20110083820A (ko)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20130017592A (ko) 방화용 대피 사다리
JP5814596B2 (ja) 仮設足場の昇降装置
KR101141292B1 (ko) 화재 발생시 구난 사다리로 변형되는 안전 난간대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20160137877A (ko) 공동주택의 화재 피난장치
KR101710468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