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584B1 -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 Google Patents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584B1
KR102218584B1 KR1020200093377A KR20200093377A KR102218584B1 KR 102218584 B1 KR102218584 B1 KR 102218584B1 KR 1020200093377 A KR1020200093377 A KR 1020200093377A KR 20200093377 A KR20200093377 A KR 20200093377A KR 102218584 B1 KR102218584 B1 KR 102218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tand
support
fixed
stiffene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주)명인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인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명인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9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양측벽에 각각 수평되게 고정되는 상부레일이 형성되고 상부레일 좌우측단에는 각각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고정설치되는 좌우측단수직대가 각각 형성되며 우측단수직대 좌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우측지지수직대가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고정설치되고 좌측단수직대와 우측지지수직대 사이 상하부에는 수평되게 중간상하부레일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상하부레일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수직바가 각각 수직되게 고정설치되고 우측단수직대와 우측지지수직대 중심부에는 상하로 승하강가이드통공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우측단수직대와 우측지지수직대 사이의 상부레일 전방측에는 완강기 상부의 고정고리가 고정설치되는 걸고리가 형성되는 발코니 난간몸체; 및 상부와 발코니 난간몸체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직육면체의 박스체로 상단에는 평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상기 우측지지수직대와 우측단수직대의 승하강가이드통공 외측에서 내측으로 각각 삽입관통되는 상단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승하강가이드통공을 관통한 상단지지프레임 선단에 고정볼트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어 우측지지수직대와 우측단수직대의 승하강가이드통공 내측에서 각각 걸림고정되는 좌우측승강지지판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부위에는 평면이 "ㄷ"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내측면에는 개방부를 통해 평판인 트레이가 수평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내측삽입요부를 갖는 중간부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하단 내측에는 완강기가 보관되며 완강기 상부에는 일측단이 축결합되어 회동되고 타측단부에는 손잡이장공을 갖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회동발판이 형성되고 하부 좌우측에는 완강기 사용시 걸고리에 고정된 완강기 로프 하단의 고리부가 각각 고정결합되는 좌우측고리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승강지지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작동볼트공을 갖고 작동볼트공 연장선상의 우측지지수직대 또는 우측단수직대에는 작동볼트통공을 갖으며 일측에 손잡이부를 갖고 타측에 우측지지수직대 또는 우측단수직대 전방측에서 작동볼트통공을 통해 좌우측승강지지판의 작동볼트공에 체결고정되는 작동볼트부를 갖으며 완강기 사용시 손잡이를 잡고 돌려 작동볼트부를 작동볼트공과 작동볼트통공에서 분리시키는 완강기승강틀작동볼트가 형성되는 사면보호완강기승강틀을 구비하는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비상대피할 수 있는 완강기능을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에 적용하여 평상시에는 화분 등이 올려지는 트레이로 사용하다가, 위급시에는 한 명 이상의 대피자가 올라타 삼면을 안전하게 감싸는 삼면보호승강틀과 완강기에 의해 아랫층으로 안전하게 비상 대피할 수 있어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balcony railing with a function slow-descending device}
본 발명은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대피할 수 있는 완강기능을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에 적용하여 평상시에는 화분 등이 올려지는 트레이로 사용하다가, 위급시에는 한 명 이상의 대피자가 올라타 삼면을 안전하게 감싸는 삼면보호승강틀과 완강기에 의해 아랫층으로 안전하게 비상 대피할 수 있어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는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시공되어 있는 발코니 난간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의 양단을 벽면에 고정하고, 그 사이에 난간수직바를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설치하여 발코니에서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화재와 같이 비상시 출입문을 통한 탈출이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해 발코니 측벽에 완강기를 설치하여 난간을 넘어서 탈출할 수 있도록 배려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에 설치된 완강기는 벽면에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완강로프를 발코니 난간 바깥으로 인출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고, 탈출시 높은 발코니 난간이 장애물로 작용하여 탈출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발을 발코니 난간의 상부레일에 잘못 디딜 경우 추락위험이 있었다.
또한, 완강로프가 난간에 걸려서 미끄러지기 때문에 완강로프가 마찰에 의해 손상되어 끊어지거나 완강기가 벽면으로부터 기울어져 떨어질 염려가 있었다.
이런 완강기는 상가, 호텔, 병원 등과 같은 고층 건물의 화재발생시 계단이나 승강기의 사용이 곤란한 경우 창문이나 베란다 등을 통해 안전하게 대피하기 위한 시설물로, 창문이나 베란다의 외벽에 설치된 거치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하강로프에 매달린 상태로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종래의 완강기는 고리가 체결되도록 일단부에 연결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감속기구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완강기가 상기 거치대에 지지된 상태에서 로프에 연결된 안전벨트에 사용자가 매달려 상기 감속기구에 의해 천천히 하강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종래기술의 완강기는 1회 하강에 한 명만 대피하게 되어 있어 대피자가 많은 경우 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피시 안전벨트를 이용하므로 연소자나 노약자가 사용할 때 안전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속기; 상기 조속기에 풀림이 가능하게 감겨진 로프; 및, 상기 로프의 하단에 연결되어 대피시 하강하는 안장을 포함하되,
상기 안장은, 서로 상대적인 이동을 통해 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이동 시트와, 상기 이동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이동 시트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이동 시트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2개의 이동 시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2개의 이동 시트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이동 시트는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2개의 이동 시트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로프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이동 시트의 상면에는 각각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가 특허등록 제10-1492979호(2015.02.12.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완강기는 두 명의 대피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대피자를 보호하여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보호수단이 크게 부족하여 여전히 안전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001)(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49178호(2006.02.03. 공고) (특허문헌002)(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92979호(2015.02.12.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상대피할 수 있는 완강기능을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에 적용하여 평상시에는 화분 등이 올려지는 트레이로 사용하다가, 위급시에는 한 명 이상의 대피자가 올라타 삼면을 안전하게 감싸는 삼면보호승강틀과 완강기에 의해 아랫층으로 안전하게 비상 대피할 수 있어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는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양측벽에 각각 수평되게 고정되는 상부레일이 형성되고 상부레일 좌우측단에는 각각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고정설치되는 좌우측단수직대가 각각 형성되며 우측단수직대 좌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우측지지수직대가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고정설치되고 좌측단수직대와 우측지지수직대 사이 상하부에는 수평되게 중간상하부레일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상하부레일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수직바가 각각 수직되게 고정설치되고 우측단수직대와 우측지지수직대 중심부에는 상하로 승하강가이드통공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우측단수직대와 우측지지수직대 사이의 상부레일 전방측에는 완강기 상부의 고정고리가 고정설치되는 걸고리가 형성되는 발코니 난간몸체; 및
상부와 발코니 난간몸체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직육면체의 박스체로 상단에는 평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상기 우측지지수직대와 우측단수직대의 승하강가이드통공 외측에서 내측으로 각각 삽입관통되는 상단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승하강가이드통공을 관통한 상단지지프레임 선단에 고정볼트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어 우측지지수직대와 우측단수직대의 승하강가이드통공 내측에서 각각 걸림고정되는 좌우측승강지지판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부위에는 평면이 "ㄷ"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내측면에는 개방부를 통해 평판인 트레이가 수평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내측삽입요부를 갖는 중간부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하단 내측에는 완강기가 보관되며 완강기 상부에는 일측단이 축결합되어 회동되고 타측단부에는 손잡이장공을 갖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회동발판이 형성되고 하부 좌우측에는 완강기 사용시 걸고리에 고정된 완강기 로프 하단의 고리부가 각각 고정결합되는 좌우측고리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승강지지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작동볼트공을 갖고 작동볼트공 연장선상의 우측지지수직대 또는 우측단수직대에는 작동볼트통공을 갖으며 일측에는 손잡이부를 갖고 타측에는 우측지지수직대 또는 우측단수직대 전방측에서 작동볼트통공을 통해 좌우측승강지지판의 작동볼트공에 체결고정되는 작동볼트부를 갖으며 완강기 사용시 손잡이를 잡고 돌려 작동볼트부를 작동볼트공과 작동볼트통공에서 분리시키는 완강기승강틀작동볼트가 형성되는 사면보호완강기승강틀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상대피할 수 있는 완강기능을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에 적용하여 평상시에는 화분 등이 올려지는 트레이로 사용하다가, 위급시에는 한 명 이상의 대피자가 올라타 삼면을 안전하게 감싸는 삼면보호승강틀과 완강기에 의해 아랫층으로 안전하게 비상 대피할 수 있어 안전성이 크게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의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의 삼면보호완강기승강틀이 작동되어 아랫층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1)은, 발코니 난간몸체(10)와, 발코니 난간몸체(10) 일측에 설치되어 위급시 아랫층으로 이동되는 사면보호완강기승강틀(20)로 구성된다.
상기 발코니 난간몸체(10)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양측벽에 각각 수평되게 고정되는 상부레일(11)이 형성되고, 상부레일(11) 좌우측단에는 각각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고정설치되는 좌우측단수직대(12,13)가 각각 형성되며, 우측단수직대(13) 좌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우측지지수직대(14)가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고정설치되고, 좌측단수직대(12)와 우측지지수직대(14) 사이 상하부에는 수평되게 중간상하부레일(15,16)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상하부레일(15,16)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수직바(17)가 각각 수직되게 고정설치되고, 우측단수직대(13)와 우측지지수직대(14) 중심부에는 상하로 승하강가이드통공(13a,14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우측단수직대(13)와 우측지지수직대(14) 사이의 상부레일(11) 전방측에는 완강기(30) 상부의 고정고리(31)가 고정설치되는 걸고리(11a)가 형성된다.
상기 사면보호완강기승강틀(20)은, 상부와 발코니 난간몸체(10)측이 개방된 개방부(21)를 갖는 직육면체의 박스체로, 상단에는 평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상기 우측지지수직대(14)와 우측단수직대(13)의 승하강가이드통공(14a,13a) 외측에서 내측으로 각각 삽입관통되는 상단지지프레임(22)이 형성되고, 승하강가이드통공(14a,13a)을 관통한 상단지지프레임(22) 선단에 고정볼트(23a,24a)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어 우측지지수직대(14)와 우측단수직대(13)의 승하강가이드통공(14a,13a) 내측에서 각각 걸림고정되는 좌우측승강지지판(23,24)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부위에는 평면이 "ㄷ"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내측면에는 개방부(21)를 통해 평판인 트레이(25b)가 수평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내측삽입요부(25a)를 갖는 중간부지지프레임(25)이 형성되고, 하단 내측에는 완강기(30)가 보관되며 완강기(30) 상부에는 일측단이 축결합되어 회동되고 타측단부에는 손잡이장공(26a)을 갖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회동발판(26)이 형성되고, 하부 좌우측에는 완강기(30) 사용시 걸고리(11a)에 고정된 완강기(30) 로프(32,33) 하단의 고리부(32a,33a)가 각각 고정결합되는 좌우측고리체결공(27,27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승강지지판(23,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작동볼트공(23b)을 갖고 작동볼트공(23b) 연장선상의 우측지지수직대(14) 또는 우측단수직대(13)에는 작동볼트통공(14b)을 갖으며 일측에는 손잡이부(28a)를 갖고 타측에는 우측지지수직대(14) 또는 우측단수직대(13) 전방측에서 작동볼트통공(14b)을 통해 좌우측승강지지판(23,24)의 작동볼트공(23b)에 체결고정되는 작동볼트부(28b)를 갖으며 완강기(30) 사용시 손잡이(28a)를 잡고 돌려 작동볼트부(28b)를 작동볼트공(23b)과 작동볼트통공(14b)에서 분리시키는 완강기승강틀작동볼트(2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비상대피할 수 있는 완강기능을 갖는 삼면보호완강기승강틀(20)을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몸체(10)에 적용시킨 것으로, 평상시에는 화분 등이 올려지는 트레이(25b)로 사용하다가, 위급시에는 트레이(25b)를 모두 치우고, 대피자가 먼저 회동발판(26)을 회동시켜 내측하부의 완강기(30)를 꺼낸 다음, 회동발판(26)을 원위치시키고, 완강기(30)의 고정고리(31)를 상부레일(11)의 걸고리(11a)에 걸림고정시키며, 양 로프(32,33) 하단의 고리부(32a,33a)를 삼면보호완강기승강틀(20) 하단부의 좌우측고리체결공(27,27a)에 각각 체결고정시키면 된다.
그 상태에서 대피자를 포함한 한 명 이상의 대피자가 삼면보호완강기승강틀(20) 회동발판(26) 상면에 올라타서 완강기승강틀작동볼트(28)의 손잡이(28a)를 잡고 돌려서 작동볼트부(28b)를 작동볼트공(23b)과 작동볼트통공(14a)에서 분리시키면 한면 이상의 대피자가 탑승된 삼면보호완강기승강틀(20)은 자충에 의해서 우측지지수직대(14)과 우측단수직대(13)의 승하강가이드통공(14a,13a) 상에서 하부로 서서히 하강하게 되고 이때, 한 명 이상의 대피자는 삼면보호완강기승강틀(20)의 의해 삼면이 안전하게 보호되면서 완강기(30)에 의해 아랫층으로 안전하게 비상 대피할 수 있게 되어 완강기(30)를 이용한 대피시 대피자의 안전성이 크게 확보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발코니 난간
10 : 발코니 난간몸체 11 : 상부레일
11a : 걸고리 12 : 좌측단수직대
13 : 우측단수직대 13a : 승하강가이드통공
40 : 우측지지수직대 14a : 승하강가이드통공
15,16 : 중간상하부레일 17 : 수직바
20 : 사면보호완강기승강틀 21 : 개방부
22 : 상단지지프레임 23,24 : 좌우측승강지지판
23a,24a : 고정볼트 23b : 작동볼트공
25 : 중간부지지프레임 25a : 내측삽입요부
25b : 트레이 26 : 회동발판
26a : 손잡이장공 27,27a : 좌우측고리체결공
28 : 완강기승강틀작동볼트 28a : 손잡이
28b : 작동볼트부
30 : 완강기 31 : 고정고리
32,33 : 로프 32a,33a : 고리부

Claims (1)

  1. 공동주택의 발코니 양측벽에 각각 수평되게 고정되는 상부레일(11)이 형성되고 상부레일(11) 좌우측단에는 각각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고정설치되는 좌우측단수직대(12,13)가 각각 형성되며 우측단수직대(13) 좌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우측지지수직대(14)가 하부로 수직연장되어 고정설치되고 좌측단수직대(12)와 우측지지수직대(14) 사이 상하부에는 수평되게 중간상하부레일(15,16)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상하부레일(15,16)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수직바(17)가 각각 수직되게 고정설치되고 우측단수직대(13)와 우측지지수직대(14) 중심부에는 상하로 승하강가이드통공(13a,14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우측단수직대(13)와 우측지지수직대(14) 사이의 상부레일(11) 전방측에는 완강기(30) 상부의 고정고리(31)가 고정설치되는 걸고리(11a)가 형성되는 발코니 난간몸체(10); 및
    상부와 발코니 난간몸체(10)측이 개방된 개방부(21)를 갖는 직육면체의 박스체로 상단에는 평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상기 우측지지수직대(14)와 우측단수직대(13)의 승하강가이드통공(14a,13a) 외측에서 내측으로 각각 삽입관통되는 상단지지프레임(22)이 형성되고 승하강가이드통공(14a,13a)을 관통한 상단지지프레임(22) 선단에 고정볼트(23a,24a)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어 우측지지수직대(14)와 우측단수직대(13)의 승하강가이드통공(14a,13a) 내측에서 각각 걸림고정되는 좌우측승강지지판(23,24)이 각각 형성되며 중간부위에는 평면이 "ㄷ"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내측면에는 개방부(21)를 통해 평판인 트레이(25b)가 수평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내측삽입요부(25a)를 갖는 중간부지지프레임(25)이 형성되고 하단 내측에는 완강기(30)가 보관되며 완강기(30) 상부에는 일측단이 축결합되어 회동되고 타측단부에는 손잡이장공(26a)을 갖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회동발판(26)이 형성되고 하부 좌우측에는 완강기(30) 사용시 걸고리(11a)에 고정된 완강기(30) 로프(32,33) 하단의 고리부(32a,33a)가 각각 고정결합되는 좌우측고리체결공(27,27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승강지지판(23,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작동볼트공(23b)을 갖고 작동볼트공(23b) 연장선상의 우측지지수직대(14) 또는 우측단수직대(13)에는 작동볼트통공(14b)을 갖으며 일측에는 손잡이부(28a)를 갖고 타측에는 우측지지수직대(14) 또는 우측단수직대(13) 전방측에서 작동볼트통공(14b)을 통해 좌우측승강지지판(23,24)의 작동볼트공(23b)에 체결고정되는 작동볼트부(28b)를 갖으며 완강기(30) 사용시 손잡이(28a)를 잡고 돌려 작동볼트부(28b)를 작동볼트공(23b)과 작동볼트통공(14b)에서 분리시키는 완강기승강틀작동볼트(28)가 형성되는 사면보호완강기승강틀(2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KR1020200093377A 2020-07-27 2020-07-27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KR102218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377A KR102218584B1 (ko) 2020-07-27 2020-07-27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377A KR102218584B1 (ko) 2020-07-27 2020-07-27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584B1 true KR102218584B1 (ko) 2021-02-22

Family

ID=7468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377A KR102218584B1 (ko) 2020-07-27 2020-07-27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407A (ko) * 2022-06-27 2024-01-03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비상장비를 갖춘 난간대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178B1 (ko) 2005-10-21 2006-02-0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비상탈출 발코니난간
KR20110003154A (ko) * 2009-07-03 2011-01-11 주식회사 에스엠텍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235308B1 (ko) * 2012-09-26 2013-02-20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322422B1 (ko) * 2013-04-03 2013-10-28 (주)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101348181B1 (ko) * 2013-06-21 2014-01-06 (주)중앙엔지니어링 대피 보조 난간을 일체로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101492979B1 (ko) 2014-02-28 2015-02-12 박종문 완강기
KR101648354B1 (ko) * 2016-02-04 2016-08-16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178B1 (ko) 2005-10-21 2006-02-0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비상탈출 발코니난간
KR20110003154A (ko) * 2009-07-03 2011-01-11 주식회사 에스엠텍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235308B1 (ko) * 2012-09-26 2013-02-20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322422B1 (ko) * 2013-04-03 2013-10-28 (주)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101348181B1 (ko) * 2013-06-21 2014-01-06 (주)중앙엔지니어링 대피 보조 난간을 일체로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101492979B1 (ko) 2014-02-28 2015-02-12 박종문 완강기
KR101648354B1 (ko) * 2016-02-04 2016-08-16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407A (ko) * 2022-06-27 2024-01-03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비상장비를 갖춘 난간대 및 그 시공방법
KR102622439B1 (ko) * 2022-06-27 2024-01-08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비상장비를 갖춘 난간대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139B1 (ko)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863901B1 (ko) 접이식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67634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아파트 베란다 난간구조
KR10221858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KR101080808B1 (ko)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101235308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0909447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20140117030A (ko)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대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20090089943A (ko)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KR101161561B1 (ko)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64835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KR101322422B1 (ko)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348181B1 (ko) 대피 보조 난간을 일체로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10057947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101153789B1 (ko) 절첩식 구난 사다리
KR20120007787U (ko)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KR200341256Y1 (ko)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