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422B1 -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 Google Patents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422B1
KR101322422B1 KR1020130036309A KR20130036309A KR101322422B1 KR 101322422 B1 KR101322422 B1 KR 101322422B1 KR 1020130036309 A KR1020130036309 A KR 1020130036309A KR 20130036309 A KR20130036309 A KR 20130036309A KR 101322422 B1 KR101322422 B1 KR 101322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railing
balcony
pinion gear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수
Original Assignee
(주)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03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강대피가 불가피한 위급상황이 발생시 대피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난간 자체와 함께 아래층 세대로 완강(緩降)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 공포심을 최소화한 안전한 대피를 신속하게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양측에는 롤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탑승대피공간부와 완강기가 구비된 난간; 상기 난간의 상기 롤러를 연결하여 발코니가 위치한 벽체에서 승,하강할 수 있게 하고, 완강기 로프의 후크를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된 난간설치바; 및 상기 난간의 상기 탑승대피공간부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 탑승대피공간부 후면으로 거치판을 출몰시켜 발코니 전면부에 난간을 거치 또는 거치 해제할 수 있는 완강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Railing for apartment Houses with automatic descending life line}
본 발명은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강대피가 불가피한 위급상황이 발생시 대피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난간 자체와 함께 아래층 세대로 완강(緩降)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 공포심을 최소화한 안전한 대피를 신속하게 도모할 수 있게 한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발코니에는 난간을 설치하여 추락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있으며, 화재나 강도의 침입 등과 같은 위급상황 시와 같이 현관문으로의 탈출이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하여 발코니 측벽에 완강기를 설치하여 난간을 넘어 탈출하도록 배려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공동주택용 난간에 설치된 완강기는 벽면에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완강로프를 난간 바깥으로 인출해야되는 불편이 있었으며, 탈출시 높은 난간이 장애물로 작용하여 탈출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발을 난간의 상부레일에 잘못 디딜 경우 추락위험이 있었다.
또한, 완강로프가 난간에 걸려서 미끄러지기 때문에 완강로프가 마찰에 의해 손상되어 끊어지거나 완강기가 벽면으로부터 기울어져 떨어질 염려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종래의 공개된 기술 중 하나를 일 예(대한민국 특허출원10-2005-0085070호)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발코니난간 중앙에 형성한 탈출구 좌우측에 위치한 난간동자에 완강기를 설치하며, 상·하부레일에 상하로 관통된 직선안내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탈출구에 위치하여 좌우로 절첩이 자유로운 아코디언난간동자의 상하단을 상기 직선안내장공에 끼워서 하단을 하부레일의 바닥면에서 구르는 구름롤러로 지지하고, 상기 아코디언난간동자의 좌우측 양단에 직선안내장공을 통해 각각 상하측으로 돌출하는 고리를 설치하여 너트에 의해 좌우측 난간지주에 수평하게 설치된 아이볼트에 걸어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안은 난간의 중간에 개폐가 자유로운 탈출구를 만들고, 난간에 완강기를 설치 구비하여, 대피가 요구되는 위급상황에서는 발코니 난간을 넘지 않고도 완강기를 이용한 하강 대피를 이룰 수 있게 한 것이다.
하지만, 위급 대피 상황에 직면한 사람들 모두를 의도한 것처럼 신속하게 하강 대피시킬 수는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완강기를 이용을 하강 대피는, 대부분의 사람에게 큰 공포심을 유발시켜 사용을 망설이게 한다.
그러므로 발코니 난간을 안 넘고도 이용가능하게 구조를 개선하였다고 하나, 이 역시 이용에 있어 공포심을 유발시키는 것은 별반 차이가 없으므로, 대부분의 사람을 의도한 것처럼 신속히 대피시킬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1) 대한민국 특허출원10-2005-00850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강대피가 불가피한 위급상황이 발생시 대피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난간 자체와 함께 아래층 세대로 완강(緩降)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 공포심을 최소화한 안전한 대피를 신속하게 도모할 수 있게 한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은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1)양측에는 롤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탑승대피공간부와 완강기가 구비된 난간;
상기 난간의 상기 롤러를 연결하여 발코니가 위치한 벽체에서 승,하강할 수 있게 하고, 완강기 로프의 후크를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된 난간설치바 ; 및
상기 난간의 상기 탑승대피공간부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 탑승대피공간부 후면으로 거치판을 출몰시켜 발코니 전면부에 난간을 거치 또는 거치 해제할 수 있는 완강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탑승대피공간부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거치판의 출몰이 가능하게 후방이 개구된 출몰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몰공간부의 저면에는 상기 완강레버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거치판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 피니언기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 피니언기어의 전,후에는 가이드 피니언기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의 저면에는 상기 동력전달 피니언기어 및 가이드 피니언기어와 치합이 이루어지는 랙기어와, 구름롤러가 하부로 노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강대피가 불가피한 위급상황이 발생시 대피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난간 자체와 함께 아래층 세대로 완강(緩降)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 공포심을 최소화한 안전한 대피를 신속하게 도모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탑승대피공간부는 발코니의 서비스 면적을 확장 제공하여 줄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의 구성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의 요부 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의 요부 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측에는 롤러(110)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탑승대피공간부(120)와 완강기(130)가 구비된 난간(100)과, 상기 난간(100)의 상기 롤러(220)를 연결하여 발코니(10)가 위치한 벽체(12)에서 승,하강할 수 있게 가이드 하고, 완강기 로프(132)의 후크(134)를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고리(210)가 형성된 난간설치바(200) 및 상기 난간(100)의 상기 탑승대피공간부(120)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 탑승대피공간부(120) 후면으로 거치판(310)을 출몰시켜 발코니(10) 전면부에 난간(100)을 거치 또는 거치 해제할 수 있는 완강레버(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탑승대피공간부(120)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거치판(310)의 출몰이 가능하게 후방이 개구된 출몰공간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몰공간부(122)의 저면에는 상기 완강레버(30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거치판(310)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 피니언기어(32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 피니언기어(320)의 전,후에는 가이드 피니언기어(33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판(310)의 저면에는 상기 동력전달 피니언기어(320) 및 가이드 피니언기어(330)와 치합 되는 랙기어(312)와, 구름롤러(314)가 하부로 노출 형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40"은 완충고무이고, "220"은 앙카고정판이며, "230"은 타 난간설치바(200)의 앙카고정판(220)을 삽입 연결할 수 있는 연결절개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인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는 평상시에는 발코니(10)의 양측 벽체(12) 면에 앙카 고정된 난간설치바(200) 사이로 승,하강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난간(100)을, 발코니(10) 전면에 위치 고정시켜 일반적인 난간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즉, 발코니(10) 전면에 난간(100)을 위치시킨 후 완강레버(300)를 회동시켜 탑승대피공간부(120)의 저면 후방에 설치된 거치판(310)을 후방으로 돌출시키면, 돌출된 거치판(310)에 의해 난간(100)은 발코니(10) 전면에 거치 되고, 이렇게 발코니(10) 전면에 위치 거치 된 난간(100)은 일반적인 난간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난간(100)은 상기 탑승대피공간부(120)를 통해 발코니 서비스 공간을 확장시켜 주는 추가 기능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하강 대피가 불가피한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발코니 전면에 고정 위치되어 있던 난간(100)의 탑승대피공간부(120)에 대피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아래층 세대로 대피를 이룰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즉, 난간(100) 양측에 설치된 완강기(130) 로프(132)에 연결된 후크(134)를 당겨 난간설치바(200)에 돌출 형성된 고리(210)에 걸고, 대피자가 상기 탑승대피공간부(120)에 탑승한 상태에서 일측 면에 노출 위치된 완강레버(300)를 회동시키면, 탑승대피공간부(120)의 저면 후방에 설치된 거치판(310)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발코니(10)에 거치 되어 있던 난간(100)의 거치 상태가 해제되고, 거치 상태가 해제된 난간(100)은 완강기(130)에 의해 아래층 세대의 난간(100')이 위치한 상부 지점까지 천천히 하향 이동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완강기(130)의 로프(132)는 하향 이동하는 난간(100)을 아래층 세대의 난간 상부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시키는 게 바람직하다.
이유는, 난간(100)을 이용하여 아래층 세대로 하강 대피한 이후, 또다시 하강 대피가 불가피한 경우가 발생시에는 대피자가 위치한 현세대 발코니(10')에 위치한 또 다른 난간(100')을 이용하여 하강 대피를 하여야 하는데, 이때 타고 내려온 난간(100)이 함께 하강하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완강레버(300)에는 평상시 역회전이 방지되게 하는 역회전방지장치(미도시하였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역회전을 위해서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사전 조치 등이 뒤따를 수 있게 하여야만 의도하지 않은 완강레버(300)의 역회전에 의해 난간(100)의 거치 상태가 해제되어 추락할 우려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10,10' : 발코니 12 : 벽체
100,100' : 난간 110 : 롤러
120 : 탑승대피공간 122 : 출몰공간부
130 : 완강기
132 : 로프 134 : 후크(hook)
140 : 완충고무
200 : 난간설치바 210 : 고리
220 : 앙카고정판 230 : 연결설치홈
300 : 완강레버 310 : 거치판
312 : 랙기어 314 : 구름롤러
320 : 동력전달 피니언기어 330 : 가이드 피니언기어

Claims (3)

  1. 양측에는 롤러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탑승대피공간부와 완강기가 구비된 난간;
    상기 난간의 상기 롤러를 연결하여 발코니가 위치한 벽체에서 승,하강할 수 있게 하고, 완강기 로프의 후크를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된 난간설치바; 및
    상기 난간의 상기 탑승대피공간부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 탑승대피공간부 후면으로 거치판을 출몰시켜 발코니 전면부에 난간을 거치 또는 거치 해제할 수 있는 완강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대피공간부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거치판의 출몰이 가능하게 후방이 개구된 출몰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몰공간부의 저면에는 상기 완강레버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거치판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 피니언기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 피니언기어의 전,후에는 가이드 피니언기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의 저면에는 상기 동력전달 피니언기어 및 가이드 피니언기어와 치합이 이루어지는 랙기어와, 거치시 발코니턱 상면에 위치되는 구름롤러가 하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1020130036309A 2013-04-03 2013-04-03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101322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309A KR101322422B1 (ko) 2013-04-03 2013-04-03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309A KR101322422B1 (ko) 2013-04-03 2013-04-03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422B1 true KR101322422B1 (ko) 2013-10-28

Family

ID=4963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309A KR101322422B1 (ko) 2013-04-03 2013-04-03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4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354B1 (ko) * 2016-02-04 2016-08-16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KR101871371B1 (ko) * 2018-01-10 2018-06-26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경사로를 갖는 건축용 계단장치
KR102218584B1 (ko) * 2020-07-27 2021-02-22 (주)명인건축사사무소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683Y1 (ko) 2006-02-14 2006-04-21 윤삼걸 승합차용 보조발판장치
US20080053750A1 (en) 2006-08-31 2008-03-06 Chung-En Tseng Transport equipment
KR100923639B1 (ko) 2009-06-01 2009-10-23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10043157A (ko) * 2009-10-21 2011-04-27 박성래 접이식 다리 구조가 구성된 인명구조용 탭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683Y1 (ko) 2006-02-14 2006-04-21 윤삼걸 승합차용 보조발판장치
US20080053750A1 (en) 2006-08-31 2008-03-06 Chung-En Tseng Transport equipment
KR100923639B1 (ko) 2009-06-01 2009-10-23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10043157A (ko) * 2009-10-21 2011-04-27 박성래 접이식 다리 구조가 구성된 인명구조용 탭 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354B1 (ko) * 2016-02-04 2016-08-16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KR101871371B1 (ko) * 2018-01-10 2018-06-26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경사로를 갖는 건축용 계단장치
KR102218584B1 (ko) * 2020-07-27 2021-02-22 (주)명인건축사사무소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RU25585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арийной эвакуации
KR100738812B1 (ko) 발코니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
KR101322422B1 (ko)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100522151B1 (ko) 비상 탈출장치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754103B1 (ko) 완강 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1161561B1 (ko)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1348181B1 (ko) 대피 보조 난간을 일체로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20100137127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JP6125302B2 (ja) 避難装置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JP2010275112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
KR10164835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KR102169897B1 (ko) 재난 대피장치
KR102169896B1 (ko) 안전 대피장치
KR102169895B1 (ko) 안전 피난장치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CN110725491B (zh) 一种逃生栏杆装置
RU88274U1 (ru)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KR10057947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KR101011239B1 (ko) 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화재 피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