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789B1 - 절첩식 구난 사다리 - Google Patents

절첩식 구난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789B1
KR101153789B1 KR1020100007077A KR20100007077A KR101153789B1 KR 101153789 B1 KR101153789 B1 KR 101153789B1 KR 1020100007077 A KR1020100007077 A KR 1020100007077A KR 20100007077 A KR20100007077 A KR 20100007077A KR 101153789 B1 KR101153789 B1 KR 101153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bar
hole
balco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588A (ko
Inventor
류순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텍
Priority to KR1020100007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7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 내부에 화재 발생 시 위층 베란다와 아래층 베란다 사이에 구난 사다리를 놓아 줄 수 있는 절첩식 구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위층 베란다 또는 위층 발코니의 바닥을 관통하여 위층과 아래층을 연통할 수 있는 관통홀과, 상기 위층 베란다 또는 위층 발코니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과 마주보고 있는 관통홀의 둘레면 또는 관통홀의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어 관통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상부 덮개,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외벽과 내벽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상기 공간부 내에 힌지 결합 되어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상기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직교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는 2개 이상의 구난 손잡이, 및 상기 상부 덮개를 관통한 관통 막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통 막대의 상단에서 관통 막대의 직교 방향으로 굽어진 열림 손잡이와, 상기 관통 막대의 하단에서 관통 막대의 직교 방향으로 굽어진 누름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덮개와 관통홀 사이에 연결된 힌지와 서로 마주보고 있는 관통홀의 둘레면은 외벽과, 상기 외벽과 일정 간극을 두고 떨어진 내벽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간극에는 간극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진 수직판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는 외벽을 관통하여 관통홀의 내측으로 뻗어나온 피동판이 장착된다. 또,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는 외벽을 관통하여 관통홀의 내측으로 뻗어나온 걸림판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는 걸림판이 뻗어나온 반대 방향으로 경사판이 뻗어나와 있으며 상기 경사판의 선단에는 빗면이 갖추어지며, 상기 간극에는 수직판의 직교 방향으로 눕혀진 수평판이 장착된다. 또, 상기 수평판의 하부에는 간극과 공간부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는 경계벽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판에는 수평판으로부터 뻗어나와 경계벽을 관통한 다음 아래층 방향으로 뻗어나옴과 동시에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좌측 벽과 구난 손잡이의 사이 또는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우측 벽과 구난 손잡이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수직바가 장착될 수 있다. 또, 상기 수직바에는 수직바로부터 뻗어나와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진 구난 손잡이의 상단을 수직바에 붙들어 고정할 수 있는 걸림 후크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구난 사다리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열림 손잡이를 90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판과 경사판이 관통홀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경사판에 갖추어진 빗면이 수평판의 밑바닥을 들어올려 하부 덮개가 열림과 동시에 수평판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판이 상승함에 따라 수직바를 통해 수평판과 연결된 걸림 후크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구난 손잡이는 걸림 후크로부터 벗어나 베란다의 내측 방향으로 선회되어 아래층 베란다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에 구난 사다리를 놓아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구난 사다리는 위층 베란다에 갖추어진 상부 덮개를 개방하기만 하면 아래층 베란다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에 구난 사다리를 놓아줄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시 위층 거주자가 상기 구난 사다리를 통해 아래층 베란다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구난 사다리{A rescue ladder using folding method}
본 발명은 고층 건물 내부에 화재 발생시 위층 베란다와 아래층 베란다 사이에 구난 사다리를 놓아 줄 수 있는 절첩식 구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층 베란다와 아래층 베란다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설치된 고층 건물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덮고 있는 상부 덮개를 개방하기만 하면, 아래층 베란다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 상에 밀착되어 있던 2개 이상의 구난 손잡이가 아래층 베란다의 내측 방향으로 90도 선회하여 구난 사다리로 변형될 수 있는 절첩식 구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건축물 내부의 거주 공간을 확대함과 더불어 좁은 부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건축 구조물이 점차 고층화되고 있는바, 상기와 같은 고층화된 건축물에는 통상적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주출입문이 갖추어지고, 상기 주출입문의 반대편으로는 베란다가 설치되며, 상기 베란다에는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고층화된 건축물은 좁은 부지 안에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높은 빌딩 내부에서 주위 경관을 바라볼 수 있으며, 한 건물 내부에 여러 편의 시설을 갖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제시한 고층화된 건축물은 좁은 부지 위로 치솟은 건축물 내부에 여러 사람이 거주하는 관계로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은 단점이 있었고, 한번 화재가 발생 되었을 경우에는 대형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최초 화재 발생시 주출입문과 비상구가 개방되어 있다면, 상기 주출입문과 비상구를 거쳐 탈출을 시도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비상구와 주출입문이 불길로 봉쇄되면, 고층 건물 내부에 갇힌 거주자는 상기 고층 건물 내부에 갇힌 상태로 죽음을 기다리거나 궁여지책으로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를 뛰어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베란다의 외벽에 완강기를 설치하여 화재로부터 몸을 피하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완강기는 조작이 어려워 어린이나 노인이 조작하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화재가 발생 된 상태에서 하나의 로프에 온몸을 맡겨야 한다는 부담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시한 화재 도피 수단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화재 도피시 추락 위험에 대한 부담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면서, 위층 거주자가 안전하게 아래층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구난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층 베란다 또는 위층 발코니의 바닥을 관통하여 위층과 아래층을 연통할 수 있는 관통홀과, 상기 위층 베란다 또는 위층 발코니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과 마주보고 있는 관통홀의 둘레면 또는 관통홀의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어 관통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상부 덮개,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상기 공간부 내에 힌지 결합 되어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상기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직교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는 2개 이상의 구난 손잡이, 및 상기 상부 덮개를 관통한 관통 막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통 막대의 상단에서 관통 막대의 직교 방향으로 굽어진 열림 손잡이와, 상기 관통 막대의 하단에서 관통 막대의 직교 방향으로 굽어진 누름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덮개와 관통홀 사이에 연결된 힌지와 서로 마주보고 있는 관통홀의 둘레면은 외벽과, 상기 외벽과 일정 간극을 사이에 두고 떨어진 내벽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간극에는 간극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진 수직판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는 외벽을 관통하여 관통홀의 내측으로 뻗어나온 피동판이 장착된다.
또,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는 외벽을 관통하여 관통홀의 내측으로 뻗어나온 걸림판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는 걸림판이 뻗어나온 반대 방향으로 경사판이 뻗어나와 있으며 상기 경사판의 선단에는 빗면이 갖추어지며, 상기 간극에는 수직판의 직교 방향으로 눕혀진 수평판이 장착된다.
또, 상기 수평판의 하부에는 간극과 공간부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는 경계벽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판에는 수평판으로부터 뻗어나와 경계벽을 관통한 다음 아래층 방향으로 뻗어나옴과 동시에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좌측 벽과 구난 손잡이의 사이 또는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우측 벽과 구난 손잡이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수직바가 장착될 수 있다.
또, 상기 수직바에는 수직바로부터 뻗어나와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진 구난 손잡이의 상단을 수직바에 붙들어 고정할 수 있는 걸림 후크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구난 사다리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열림 손잡이를 90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판과 경사판이 관통홀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부 덮개가 열리게 되고, 경사판에 갖추어진 빗면이 수평판의 밑바닥을 들어올려 수평판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판이 상승함에 따라 수직바를 통해 수평판과 연결된 걸림 후크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구난 손잡이는 걸림 후크로부터 벗어나 베란다의 내측 방향으로 선회되어 아래층 베란다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에 구난 사다리를 놓아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구난 사다리는 위층 베란다에 갖추어진 상부 덮개를 개방하기만 하면 아래층 베란다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에 구난 사다리를 놓아 줄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시 위층 거주자가 상기 구난 사다리를 통해 아래층 베란다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면 1은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위층 베란다에 갖추어진 관통홀에 상부 덮개가 씌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2는 관통홀에 힌지 결합된 상?하부 덮개를 설명함과 더불어, 상부 덮개가 개방되었을 때, 하부 덮개가 열리고 아래층 베란다에 구비된 구난 손잡이가 베란다의 내측 방향으로 눕혀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3a 내지 도면 3b는 열림 손잡이가 회전되었을 때, 걸림 후크가 상승됨과 동시에 구난 손잡이가 90도 선회되고, 동시에 하부 덮개가 아래층 방향으로 선회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4a 내지 도면 4d는 열림 손잡이가 회전되었을 때, 걸림 후크가 상승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5a 내지 도면 5d는 화재가 발생되어 열림 손잡이가 90도 회전되었을 때, 하부 덮개가 개방됨과 더불어 구난 손잡이가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직교 방향으로 눕혀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구난 사다리는 도면 1 내지 도면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층 베란다 또는 위층 발코니의 바닥을 관통하여 위층과 아래층을 연통할 수 있는 관통홀(1)과, 상기 위층 베란다 또는 위층 발코니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과 마주보고 있는 관통홀(1)의 둘레면 또는 관통홀(1)의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어 관통홀(1)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상부 덮개(3),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외벽(13)과 내벽(17)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4), 상기 공간부(4) 내에 힌지 결합되어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상기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직교 방향으로 꺽어질 수 있는 2개 이상의 구난 손잡이(5), 및 상기 상부 덮개(3)를 관통한 관통 막대(7)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3a 내지 도면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 막대(7)의 상단에서 관통 막대(7)의 직교 방향으로 굽어진 열림 손잡이(9)와, 상기 관통 막대(7)의 하단에서 관통 막대(7)의 직교 방향으로 굽어진 누름 막대(11)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덮개(3)와 관통홀(1) 사이에 연결된 힌지와 서로 마주보고 있는 관통홀(1)의 둘레면은 도면 3a 내지 도면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13)과, 상기 외벽(13)과 일정 간극(15)을 사이에 두고 떨어진 내벽(17)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간극(15)에는 간극(15)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진 수직판(19)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판(19)의 상단에는 외벽(13)을 관통하여 관통홀(1)의 내측으로 뻗어나온 피동판(21)이 장착된다.
또, 상기 수직판(19)의 하단에는 외벽(13)을 관통하여 관통홀(1)의 내측으로 뻗어나온 걸림판(23)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판(19)의 하단에는 걸림판(23)이 뻗어나온 반대 방향으로 경사판(25)이 뻗어나와 있으며 상기 경사판(25)의 선단에는 빗면이 갖추어지며, 상기 간극(15)에는 수직판(19)의 직교 방향으로 눕혀진 수평판(27)이 장착된다.
또, 상기 수평판(27)의 하부에는 간극(15)과 공간부(4)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는 경계벽(6)이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평판(27)에는 수평판(27)으로부터 뻗어나와 경계벽(6)을 관통한 다음, 아래층 방향으로 뻗어나옴과 동시에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좌측 벽과 구난 손잡이(5)의 사이 또는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우측 벽과 구난 손잡이(5)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수직바(29)가 장착될 수 있다.
또, 상기 수직바(29)에는 수직바(29)로부터 뻗어나와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진 구난 손잡이(5)의 상단을 수직바(29)에 붙들어 고정할 수 있는 'ㄱ' 형상의 걸림 후크(31)가 장착될 수 있다.
또, 상기 걸림판(23)과 마주보고 있는 관통홀(1)의 둘레면 또는 관통홀(1)의 가장자리에는 도면 3a 내지 도면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덮개(33)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하부 덮개(33)의 상단면에는 걸림판(23)과 맞물릴 수 있는 'ㄷ'자 형상의 록크 기구(35)가 갖추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상부 덮개(3)의 하부에 배치된 관통 막대(7)의 둘레면에는 도면 4a 내지 도면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막대(7)의 둘레면으로부터 관통 막대(7)의 바깥 방향으로 뻗어나온 걸림 돌기(37)가 장착되고, 상기 관통홀(1)의 외벽(13)을 바라보는 수평판(27)의 일측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빠짐홀(39)이 갖추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 막대(7)에 장착된 걸림 돌기(37)는 관통 막대(7)를 경계로 상기 열림 손잡이(9) 또는 누름 막대(11)와 마주보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걸림 돌기(37)에는 도면 4a 내지 도면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걸림 돌기(37)와 맞닿은 상태에서 수평판(27)의 직교 방향으로 곧게 세워진 연결바(41)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41)의 타단에는 연결바(41)의 직교 방향으로 굽어져 수평판(27)의 상단면과 맞닿을 수 있는 상승 저지 막대(43)가 설치된다.
따라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아래층 베란다에서 걸림 후크(31)를 들어올리면, 도면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판(27)의 상단면이 상승 저지 막대(43)에 걸쳐 상승하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구난 손잡이(5)가 걸림 후크(31)를 벗어나지 못해 아래층 베란다의 내측 방향으로 선회 될 수 없다.
반면, 화재가 발생 되어 상기 열림 손잡이(9)를 90도 회전시키면, 도면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림 손잡이(9)와 일체로 연결된 누름 막대(11)가 피동판(21)을 누르게 되고, 상기 피동판(21)과 일체로 결합된 경사판(25)이 수평판(27)의 밑바닥을 들어올려 수평판(27)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승 저지 막대(43)는 수평판(27)의 상단면을 누르고 있어 경사판(25)과 상승 저지 막대(43) 사이에 있는 수평판(27)이 도면 4b 내지 도면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면 형태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경사판(25)과 상승 저지 막대(43) 사이에 배치된 수평판(27)이 빗면 형태로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바(41)의 상단이 걸림 돌기(37)에 의해 밀려남에 따라 상기 상승 저지 막대(43)가 도면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판(27)에 형성된 빗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빠짐홀(39)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판(25)은 수평판(27)의 상단면을 누르고 있던 상승 저지 막대(43)가 사라짐에 따라 수평판(27)을 어떠한 방해 요인 없이 들어올릴 수 있고, 동시에 도면 3a 내지 도면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판(27)과 일체로 연결된 수직바(29)와 걸림 후크(31)를 들어올려 상기 구난 손잡이(5)가 수직바(29)의 직교 방향으로 선회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구난 사다리가 동작되는 과정을 도면 5a 내지 도면 5d와 이전에 설명한 도면 1 내지 도면 4d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본 발명에 갖추어진 구난 손잡이(5)는 도면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바(29)로부터 뻗어나온 걸림 후크(31)에 걸려 아래층 베란다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져 아래층 베란다 또는 발코니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에 밀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갖추어진 상부 덮개(3)는 도면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홀(1)을 폐쇄하고 있고, 상기 하부 덮개(33)에 갖추어진 'ㄷ'자 형태의 록크 기구(35)는 걸림판(23)과 맞물려 상기 하부 덮개(33)가 아래층 방향으로 축 선회 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화재가 발생 되어 위층 거주자가 베란다 또는 발코니를 통해 아래층 베란다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상기 위층 거주자는 도면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덮개(3)에 장착된 열림 손잡이(9)를 90도 방향으로 회전시켜 관통 막대(7)와 연결된 누름 막대(11)와 걸림 돌기(37)를 90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누름 막대(11)가 90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누름 막대(11)와 맞닿고 있던 피동판(21)이 누름 막대(11)에 밀려 내벽(17) 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누름 막대(11)와 수직판(19)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걸림판(23)과 경사판(25)이 내벽(17)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판(23)은 록크 기구(35)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상기 하부 덮개(33)는 록크 기구(35)가 걸림판(23)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도면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층 방향으로 축 선회 되어 관통홀(1)의 하부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판(25)은 내벽(17)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경사판(25)의 선단에 갖추어진 빗면을 이용하여 수평판(27)의 밑바닥을 파고 들어가 상기 수평판(27)을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갖추어진 상승 저지 막대(43)는 상기 걸림 돌기(37)가 90도 회전되어 연결바(41)의 일단을 수평 방향으로 밀어냄에 따라 상기 연결바(41)를 따라 수평판(27)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상기 수평판(27)에 갖추어진 빠짐홀(39)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승 저지 막대(43)는 더 이상 상기 수평판(27)의 상승을 저지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경사판(25)은 빗면을 이용하여 수평판(27)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판(27)이 상승함에 따라 수평판(27)과 일체로 결합된 수직바(29)가 수평판(27)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수직바(29)에 연결된 걸림 후크(31) 또한 수직바(29)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난 손잡이(5)는 걸림 후크(31)가 상승함에 따라 걸림 후크(31)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동시에 상기 구난 손잡이(5)는 도면 5c 내지 도면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난 손잡이(5)에 연결된 힌지에 의해 수직바(29)의 직교 방향으로 축 선회 되게 된다.
따라서, 위층 거주자는 상기 열림 손잡이(9)를 잡아 올려 상부 덮개(3)를 개방하고, 관통홀(1)을 통해 아래층 베란다로 이동한 다음 베란다의 내측 방향으로 눕혀진 구난 손잡이(5)를 잡고 안전하게 아래층 베란다로 이동하여 화재를 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구난 사다리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열림 손잡이(9)를 90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판(23)과 경사판(25)이 관통홀(1)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경사판(25)에 갖추어진 빗면이 수평판(27)의 밑바닥을 들어올려 하부 덮개(33)가 열림과 동시에 수평판(27)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판(27)이 상승함에 따라 수직바(29)를 통해 수평판(27)과 연결된 걸림 후크(31)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구난 손잡이(5)는 걸림 후크(31)로부터 벗어나 베란다의 내측 방향으로 선회되어 아래층 베란다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에 구난 사다리를 놓아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구난 사다리는 상부 덮개(3)에 갖추어진 열림 손잡이(9)를 90도 꺽어 주기만 하면 아래층 베란다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에 구난 사다리를 놓아 줄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시 위층 거주자가 상기 구난 사다리를 통해 아래층 베란다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1. 관통홀 3. 상부 덮개
4. 공간부 5. 구난 손잡이
6. 경계벽 7. 관통 막대
9. 열림 손잡이 11. 누름 막대
13. 외벽 15. 간극
17. 내벽 19. 수직판
21. 피동판 23. 걸림판
25. 경사판 27. 수평판
29. 수직바 31. 걸림 후크
33. 하부 덮개 35. 록크 기구
37. 걸림 돌기 39. 빠짐홀
41. 연결바 43. 상승 저지 막대

Claims (3)

  1. 위층 베란다 또는 위층 발코니의 바닥을 관통하여 위층과 아래층을 연통할 수 있는 관통홀(1);
    위층 베란다 또는 위층 발코니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과 마주보고 있는 관통홀(1)의 둘레면 또는 관통홀(1)의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어 관통홀(1)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상부 덮개(3);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외벽(13)과 내벽(17)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4);
    상기 공간부(4) 내에 힌지 결합되어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상기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직교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는 구난 손잡이(5);
    상기 상부 덮개(3)를 관통한 관통 막대(7);
    상기 관통 막대(7)의 상단에서 관통 막대(7)의 직교 방향으로 굽어진 열림 손잡이(9);
    상기 관통 막대(7)의 하단에서 관통 막대(7)의 직교 방향으로 굽어진 누름 막대(11)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덮개(3)와 관통홀(1) 사이에 연결된 힌지와 서로 마주보고 있는 관통홀(1)의 둘레면은 외벽(13)과, 상기 외벽과 일정 간극(15)을 두고 떨어진 내벽(17)을 구비하며,
    상기 간극(15)에는 간극(15)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진 수직판(19)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판(19)의 상단에는 외벽(13)을 관통하여 관통홀(1)의 내측으로 뻗어나온 피동판(21)이 장착되며,
    상기 수직판(19)의 하단에는 외벽(13)을 관통하여 관통홀(1)의 내측으로 뻗어나온 걸림판(23)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판(19)의 하단에는 걸림판(23)이 뻗어나온 반대 방향으로 경사판(25)이 뻗어나와 있으며 상기 경사판(25)의 선단에는 빗면이 갖추어지고,
    상기 간극(15)에는 수직판(19)의 직교 방향으로 눕혀진 수평판(27)이 장착되고,
    상기 수평판(27)의 하부에는 간극(15)과 공간부(4)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는 경계벽(6)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판(27)에는 수평판(27)으로부터 뻗어나와 경계벽(6)을 관통한 다음, 아래층 방향으로 뻗어나옴과 동시에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좌측 벽과 구난 손잡이(5)의 사이 또는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우측 벽과 구난 손잡이(5)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수직바(29)가 장착되며,
    상기 수직바(29)에는 수직바(29)로부터 뻗어나와 아래층 베란다 또는 아래층 발코니의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진 구난 손잡이(5)의 상단을 수직바(29)에 붙들어 고정할 수 있는 'ㄱ' 형상의 걸림 후크(3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구난 사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23)과 마주보고 있는 관통홀(1)의 둘레면 또는 관통홀(1)의 가장자리에는 하부 덮개(33)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부 덮개(33)의 상단면에는 걸림판(23)과 맞물릴 수 있는 'ㄷ'자 형상의 록크 기구(35)가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구난 사다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3)의 하부에 배치된 관통 막대(7)의 둘레면에는 관통 막대(7)의 둘레면으로부터 관통 막대(7)의 바깥 방향으로 뻗어나온 걸림 돌기(37)가 장착되고,
    상기 관통홀(1)의 외벽(13)을 바라보는 수평판(27)의 일측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빠짐홀(39)이 갖추어지며,
    상기 걸림 돌기(37)에는 일단이 상기 걸림 돌기(37)와 맞닿은 상태에서 수평판(27)의 직교 방향으로 곧게 세워진 연결바(41)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41)의 타단에는 연결바(41)의 직교 방향으로 굽어져 수평판(27)의 상단면과 맞닿을 수 있는 상승 저지 막대(4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구난 사다리.
KR1020100007077A 2010-01-26 2010-01-26 절첩식 구난 사다리 KR101153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077A KR101153789B1 (ko) 2010-01-26 2010-01-26 절첩식 구난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077A KR101153789B1 (ko) 2010-01-26 2010-01-26 절첩식 구난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588A KR20110087588A (ko) 2011-08-03
KR101153789B1 true KR101153789B1 (ko) 2012-06-13

Family

ID=4492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077A KR101153789B1 (ko) 2010-01-26 2010-01-26 절첩식 구난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7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659A1 (ko) * 2014-11-18 2016-05-26 성백수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8522B (zh) * 2017-11-25 2020-04-14 深圳市山月园园艺有限公司 带逃生系统的仿真树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513Y1 (ko) 2001-09-21 2002-02-21 한용수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100725267B1 (ko) 2006-04-19 2007-06-04 (주)관동건업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513Y1 (ko) 2001-09-21 2002-02-21 한용수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100725267B1 (ko) 2006-04-19 2007-06-04 (주)관동건업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659A1 (ko) * 2014-11-18 2016-05-26 성백수 선박의 비상탈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588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0937336B1 (ko)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KR101080808B1 (ko)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200450122Y1 (ko) 베란다용 비상탈출 장치
KR101153789B1 (ko) 절첩식 구난 사다리
KR101153786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161561B1 (ko)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464759Y1 (ko)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KR10221858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KR101536408B1 (ko)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
KR101011239B1 (ko) 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화재 피난 장치
KR100481693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101141292B1 (ko) 화재 발생시 구난 사다리로 변형되는 안전 난간대
KR101045024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20110083820A (ko)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1141299B1 (ko) 화재 대피용 구난 사다리
KR101213125B1 (ko) 수직구 내에서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출입장치
KR102602687B1 (ko) 하향식 피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