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408B1 -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408B1
KR101536408B1 KR1020130104183A KR20130104183A KR101536408B1 KR 101536408 B1 KR101536408 B1 KR 101536408B1 KR 1020130104183 A KR1020130104183 A KR 1020130104183A KR 20130104183 A KR20130104183 A KR 20130104183A KR 101536408 B1 KR101536408 B1 KR 101536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d
closing
lower lid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883A (ko
Inventor
김창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람과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람과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람과안전
Priority to KR1020130104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4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8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8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winging wing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덮개를 개방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하부덮개가 동시 개방되어 대피자의 신속한 대피로를 확보하도록 한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하향전개식 신축사다리유닛 을 내장한 피난구몸체(300)와 이 피난구몸체(3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덮개(200) 및 하부를 개폐하는 하부덮개(4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는 피난구몸체 내부에 힌지 연결된 대향되는 한쌍의 링크부재(210)를 절첩하여 개폐하는 매립형 하향식 피난구(100)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링크부재(210)는 각 일측에 로프(500)로 연결하고 연장된 로프의 타측은 잠금핀(6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잠금핀(600)은 하부덮개(400) 내면의 고정브라켓(800) 및 피난구몸체(300) 내부의 걸림브라켓(900)으로 이루어진 하부덮개 개폐장치에 체결되되, 상기 상부덮개(200) 개방시 하부덮개(400) 개폐장치에 체결된 잠금핀(600)이 이탈되면서 하부덮개(400)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Up and Down Gate to Emergency Exit}
본 발명은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덮개의 개방으로 하부덮개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여 화재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며 상부덮개만을 폐쇄하여 상층세대의 화염, 연기 및 소화잔재로 인한 아래층의 2차 피해를 차단할 수 있는 고층건물의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향식 피난구는 층간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베란다의 바닥에 매립설치하는 것으로, 도 1의 종래기술을 예로 살펴보면 비상용 피난 사다리(10)는 발코니 바닥에 매설되되 중간에 빈 공간을 갖는 사각형의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상단을 개폐하도록 그 내면 양측이 프레임(20) 양측 내면과 절첩힌지(40)로서 결합되고 프레임(20)의 일측과는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되는 상부(40)로서 결합되고 프레임(20)의 일측과는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되는 하부 개폐판(7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개폐판(30)과 하부 개폐판(70)은 서로 대향되게 작동되는 하나의 절첩힌지(40)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상부 개폐판(30)을 윗방향으로 힌지회동시키게 되면 하부 개폐판(70)은 자동적으로 아랫방향을 향해 힌지회동되면서 개방이 이루어지게 하고, 사다리를 전개하도록 완강기(52)가 브래킷(90)에 고정설치되어 브래킷(90)과 반동스프링(92)에 의해 연결된 지렛대 작용에 의해 완강기(52)가 구동되고 구동조절용 발판레버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하부로 전개된 피난사다리를 감아올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덮개를 별도로 닫을 수가 없으며, 국내 아파트의 특성상 하향식피난구가 설치되는 베란다가 옥내인 점을 감안할 때 화재시 개방되어 있는 피난구 통로로 상층세대의 화염, 연기 및 소화잔재 등으로 인한 아래층 세대의 2차 피해가 우려되는 문제점과 슬라브 및 마감두께에 따라 현장마다 상이하게 요구되는 피난구 높이에 맞추어 장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래 기술의 연동장치를 새로이 설계 제작하여 설치해야만 하는 불편함과 그로 인한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따르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가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대피자가 사용을 하고자 할때 상부덮개를 먼저 개방한 후 하부덮개를 개방하기 위하여 잠금장치해지를 위한 별도의 동작이 필요하여 위난시 심리적으로 당황하게 되면 작동미숙이 생겨 신속한 대피에 장애가 되고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들의 사용시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상하부덮개의 상호연동장치를 해지 또는 탈거하여 상부덮개만을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복잡한 구조와 어려운 작동방법으로 인해 사용상 불편과 고장가능성 및 제작비 증가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등록특허 제10-1153908호('비상용 피난 사다리') 등록특허 제10-1107340호('하향식 피난 사다리') 등록실용신안 제10-1024420호('고층 건물의 피난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461829호('피난구의 하뚜껑 열림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난시 상부덮개를 개방하는 하나의 동작만으로도 하부덮개가 동시 개방되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로를 확보할 수 있고 노약자나 어린이도 사용이 편리한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종대피자가 상부덮개만을 닫을 수 있어 아래층의 2차 피해를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하향식피난구의 높이변동 시에도 덮개작동장치에 대한 별도의 수정 없이 일정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작용이성, 비용절감과 더불어 고장가능성을 제거하여 더욱 안전하게 대피로를 확보할 수 있는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 및 하부덮개 개폐장치의 조합을 통해서 제조되는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하향전개식 신축사다리유닛 을 내장한 피난구몸체(300)와 이 피난구몸체(3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덮개(200) 및 하부를 개폐하는 하부덮개(4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는 피난구몸체 내부와 힌지 연결된 대향되는 한쌍의 링크부재(210)를 절첩하여 개폐하는 매립형 하향식 피난구(100)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링크부재(210)는 각 일 측에 로프(500)로 연결하고 연장된 로프의 타측은 잠금핀(6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잠금핀(600)은 피난구몸체(300) 내측의 고정브라켓(800) 과 하부덮개(400) 내면의 걸림브라켓(900)으로 이루어진 하부덮개 개폐장치에 체결되되, 상기 상부덮개(200) 개방 시 하부덮개 개폐장치에 체결된 잠금핀(600)이 이탈되면서 하부덮개(400)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상기 하부덮개 개폐장치인 고정브라켓(800)은 적어도 두 개의 동일한 크기의 관통홀(810, 820)을 형성하여 피난구몸체(300) 내측에 볼트 결합하거나 링크부재(210) 일측에 로프(500)로 연결하고 연장된 로프(500)의 타측에 후크형 고정브라켓(810)으로 형성한 것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상기 하부덮개 개폐장치인 걸림브라켓(900)은 하나 이상의 관통홀(910)을 갖는 형상이거나 걸림턱(900a)을 형성하여 잠금핀(600)의 걸림홈(600a)과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한 형상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상기 잠금핀(600)은 탄성스프링(700)을 포함하는 안전핀타입으로 하되 걸림홈(600a)을 구비한 환형 내지는 판형중 어느 하나로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덮개(200)는 개방각도가 90~100도일 때 하부덮개(400)가 완전 개방되고 상기 하부덮개(400)는 상부덮개(200)의 개방각도가 70~80도일때 하부덮개(400)를 끌어올려 걸림브라켓(900)에 형성된 관통홀(910)에 잠금핀(600)을 꽂아 하부덮개(400)를 잠근 후 상부덮개(200)를 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덮개(200)와 하부덮개(400)는 개방방향이 상하로 동일하거나 반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는, 조작이 간단하여 노약자나 어린이 등도 쉽게 작동가능하고 상부덮개와 하부덮개가 연동되어 상부덮개를 개방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하부덮개가 개방되어 위난시 신속하게 대피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피난 사다리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구의 상하부덮개가 개방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피난구의 상하부덮개가 개방된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피난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덮개 개폐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덮개 개폐장치 확대도
도 7은 도 6b에 따른 하부덮개 개폐장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덮개 개폐장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덮개 개폐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는 고층건물의 베란다의 바닥에 매립 설치되어 위난시 층간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는 상부덮개(200)에 힌지 연결된 한쌍의 링크 부재(210), 잠금핀(600), 고정브라켓(800), 걸림브라켓(900) 및 하부덮개(400)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하향전개식 신축사다리유닛(미도시)을 내장한 피난구몸체(300)와 이 피난구몸체(3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덮개(200) 및 하부를 개폐하는 하부덮개(4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는 피난구몸체 내부와 힌지 연결된 대향되는 한쌍의 링크부재(210)를 절첩하여 개폐하는 매립형 하향식 피난구(100)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링크부재(210)는 각 일측에 로프(500)로 연결하고 연장된 로프(500)의 타측은 잠금핀(6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잠금핀(600)은 하부덮개(400) 내면의 고정브라켓(800) 및 피난구몸체(300) 내부의 걸림브라켓(900)으로 이루어진 하부덮개 개폐장치에 체결되되, 상기 상부덮개(200) 개방시 하부덮개 개폐장치에 체결된 잠금핀(600)이 이탈되면서 하부덮개(400)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덮개(200)는 피난구몸체(300) 내부와 힌지 연결된 대향되는 한쌍의 링크부재(210)에 절첩되어 있어 상기 상부덮개(200)를 개방함에 따라 링크부재(210)에 연결된 로프(500)가 당겨지면서 타측의 잠금핀(600)이 브라켓(800, 900)의 관통홀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되어 하부덮개(400)가 개방되는 원리인데, 여기서 상부덮개(200) 개방각도는 90도~100도, 바람직하게는 100도까지 완전히 개방할 때 하부덮개(400)가 개방 유지된다.
반대로 상기 하부덮개(400)는 상부덮개(200)의 개방각도가 70~80도일때 하부덮개(400)를 끌어올려 걸림브라켓(900)에 형성된 관통홀(910)에 잠금핀(600)을 꽂아 하부덮개(400)를 잠근 후 상부덮개(200)를 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덮개(200)와 하부덮개(400)는 개방방향이 상하로 동일하거나 도 3과 같이 상하부 덮개가 반대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상부덮개(200)와 하부덮개(400)의 개방방향을 반대로 구성하면 링크부재(210)와 하부덮개 개폐장치가 동일한 방향에 형성되기 때문에 대피시 자칫 로프(500)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지연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덮개 개폐과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평상시 브라켓(800, 900)에 체결된 잠금핀(600)은 위난시 상부덮개(200)가 개방됨에 따라 로프(500)가 당겨지면서 자연스럽게 브라켓(800, 900)에서 이탈되고 하부덮개(400)를 개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덮개 개폐장치인 고정브라켓(800)은 적어도 두 개의 동일한 크기의 관통홀(810, 820)으로 형성하여 피난구몸체(300) 내측에 볼트 결합하거나 링크부재(210) 일측에 로프(500)로 연결하고 연장된 로프(500)의 타측에 후크형 고정브라켓(810)으로 형성한 것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도 9 참조).
또 본 발명의 상기 하부덮개 개폐장치인 걸림브라켓(900)은 하나 이상의 관통홀(910)을 갖는 형상이거나 걸림턱(900a)을 형성하여 잠금핀(600)의 걸림홈(600a)과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한 형상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여 고정브라켓(800)과 결합 체결된다.
즉, 평상시에는 링크부재(210) 일측에 로프(500)로 연장된 잠금핀(600)을 고정브라켓(800)의 관통홀(810, 820)을 통과하여 걸림브라켓(900)의 관통홀(910)에 체결하거나, 링크부재(210) 일측에 로프(500)로 연장된 후크형 걸림브라켓(810)을 걸림브라켓(900)에 체결한다.
도 6a 및 6b와 같이 탄성스프링(700)을 포함한 잠금핀(600)이 고정브라켓(800)의 관통홀(810, 820)을 통과하여 걸림브라켓(900)의 관통홀(91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평상시 상기 잠금핀(600)이 브라켓(800, 9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전핀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7은 상기 도 6b에 도시된 환형의 안전핀타입 잠금핀(600)이 후크형 걸림브라켓(900)에 체결되어 있다가 상부덮개(200)의 개방에 따라 로프(500)가 당겨지면서 이탈되어 하부덮개(400)가 개방되며, 덮개를 닫을 경우 상부덮개(200)를 닫은 후 하부덮개(400)를 밀어 올리면 하부덮개 잠금핀(600)과 후크형 걸림브라켓이 자동으로 체결되어 폐쇄되는 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잠금핀(600)을 판형으로 구성하여 브라켓(800, 900)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는 탄성스프링(700)을 잠금핀(600) 중앙과 고정브라켓(800)의 일측에 연결하여 서로 텐션을 유지하다가, 도 7과 같은 원리로 상부덮개(200)의 개방에 따라 로프(500)가 당겨지면서 브라켓(800, 900)에서 이탈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형태를 달리하는 잠금핀(600)과 걸림브라켓(900)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도 공지의 균등물로 대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가 연동되어 있어 상부덮개의 개방만으로도 하부덮개가 동시에 개방되어 신속한 대피로가 확보되고 대피한 후 하부덮개를 조작하여 상부덮개를 폐하게 되므로 상층의 피해가 아래층으로 이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 피난구 200 : 상부덮개
300 : 피난구몸체 400 : 하부덮개
210 : 링크부재 500 : 로프
600 : 잠금핀 700 : 탄성스프링
800 : 고정브라켓 900 : 걸림브라켓
810, 820, 910 : 관통홀 600a : 걸림홈
900a : 걸턱 810 : 후크형 고정브라켓

Claims (3)

  1. 하향전개식 신축사다리유닛 을 내장한 피난구몸체(300)와 이 피난구몸체(3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덮개(200) 및 하부를 개폐하는 하부덮개(4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는 피난구몸체 내부와 힌지 연결된 대향되는 한쌍의 링크부재(210)를 절첩하여 개폐하는 매립형 하향식 피난구(100)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링크부재(210)는 각 일측에 로프(500)로 연결하고 연장된 로프(500)의 타측은 잠금핀(6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잠금핀(600)은 피난구몸체(300) 내측의 고정브라켓(800) 과 하부덮개(400) 내면의 걸림브라켓(900)으로 이루어진 하부덮개 개폐장치에 체결되되, 상기 상부덮개(200) 개방 시 하부덮개 개폐장치에 체결된 잠금핀(600)이 이탈되면서 하부덮개(400)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덮개 개폐장치인 고정브라켓(800)은 적어도 두 개의 동일한 크기의 관통홀(810, 820)을 형성하여 피난구몸체(300) 내측에 볼트 결합하거나 링크부재(210) 일측에 로프(500)로 연결하고 연장된 로프(500)의 타측에 후크형 고정브라켓(810)으로 형성한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덮개 개폐장치인 걸림브라켓(900)은 하나 이상의 관통홀(910)을 갖는 형상이거나 걸림턱(900a)을 형성하여 잠금핀(600)의 걸림홈(600a)과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600)은 탄성스프링(700)을 포함하는 안전핀타입으로 하되 걸림홈(600a)을 구비한 환형 내지는 판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200)는 개방각도가 90~100도일때 하부덮개(400)가 완전 개방되고 상기 하부덮개(400)는 상부덮개(200)의 개방각도가 70~80도일때 하부덮개(400)를 끌어올려 걸림브라켓(900)에 형성된 관통홀(910)에 잠금핀(600)을 꽂아 하부덮개(400)를 잠근 후 상부덮개(200)를 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상부덮개(200)을 닫은 후 하부덮개를 밀어올려 닫을 때 잠금핀(600)과 후크형 걸림브라켓(900)이 자동체결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덮개(200)와 하부덮개(400)는 개방방향이 상하로 동일하거나 반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
KR1020130104183A 2013-08-30 2013-08-30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 KR101536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183A KR101536408B1 (ko) 2013-08-30 2013-08-30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183A KR101536408B1 (ko) 2013-08-30 2013-08-30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883A KR20150028883A (ko) 2015-03-17
KR101536408B1 true KR101536408B1 (ko) 2015-07-15

Family

ID=5302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183A KR101536408B1 (ko) 2013-08-30 2013-08-30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64B1 (ko) * 2020-09-04 2020-12-21 주식회사 영신이엔에스 층간 탈출용 하향식 피난사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244B1 (ko) * 2018-12-13 2020-11-2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65A (ja) * 1993-07-06 1995-01-27 Toyo Tire & Rubber Co Ltd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H07236702A (ja) * 1994-03-01 1995-09-12 De-A Gaisou Kk 避難用ハ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65A (ja) * 1993-07-06 1995-01-27 Toyo Tire & Rubber Co Ltd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H07236702A (ja) * 1994-03-01 1995-09-12 De-A Gaisou Kk 避難用ハ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64B1 (ko) * 2020-09-04 2020-12-21 주식회사 영신이엔에스 층간 탈출용 하향식 피난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883A (ko) 201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CN110799250A (zh) 建筑物中的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KR101536408B1 (ko)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KR101153786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201714B1 (ko) 건축용 발코니 난간구조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8814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15378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13097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11292B1 (ko) 하향식 피난구용 피난 사다리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20200029709A (ko) 피난용 사다리장치
KR101045024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153789B1 (ko) 절첩식 구난 사다리
KR101213125B1 (ko) 수직구 내에서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출입장치
KR101011239B1 (ko) 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화재 피난 장치
KR20110083263A (ko) 화재 대피용 구난 사다리
KR101141292B1 (ko) 화재 발생시 구난 사다리로 변형되는 안전 난간대
KR10103620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09650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