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244B1 -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 Google Patents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244B1
KR102181244B1 KR1020180160932A KR20180160932A KR102181244B1 KR 102181244 B1 KR102181244 B1 KR 102181244B1 KR 1020180160932 A KR1020180160932 A KR 1020180160932A KR 20180160932 A KR20180160932 A KR 20180160932A KR 102181244 B1 KR102181244 B1 KR 102181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escape means
bottom plate
opened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873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0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2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은, 사용자가 탑승하여 소정의 높이의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해 구비된 바스켓부; 및 상기 바스켓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부에서 탈출할 수 있는 탈출수단이 보관된 탈출수단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부는, 바닥에 배치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부의 바닥판에는 상기 바닥판의 일부가 개방되는 하부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탈출수단 보관부에 보관된 탈출수단이 상기 바스켓부의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탈출수단이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방용 바스켓의 하부에 바스켓에서 탈출할 수 있는 하부 도어가 배치되고, 하부 도어가 개방되면, 바스켓의 하부로 바스켓에서 탈출할 수 있는 탈출 수단이 개방되어, 사용자가 소방용 바스켓에서 빠르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FIRE BASKET HAVING EXIT}
본 발명은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진압을 위해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소방 바스켓에서 빠르게 탈출할 수 있는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소방용 사다리 소방차나 붐대가 구비된 소방차에는 사다리의 끝단이나 붐대의 끝단에 바스켓이 구비된다. 이러한 바스켓은 내부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바닥판과 바닥판을 둘러싸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측판이 설치된다.
그에 따라 소방관이 바스켓 내에 탑승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높은 위치에서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조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바스켓에 측판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이 쉽게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측판의 일부가 개방되는 것만으로 위험한 상황에서 바스켓을 빠르게 벗어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화재에 의한 불길이 바스켓에 인접하게 접근한 경우나 바스켓에 연결된 사다리나 붐대가 화재로 인해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바스켓에 탑승한 사람의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바스켓에는 이러한 위험에 대해 대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6659호 (2007.01.0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9359호 (2009.06.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위치에 위치한 소방용 바스켓에 탑승한 사용자가 빠르게 바스켓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은, 사용자가 탑승하여 소정의 높이의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해 구비된 바스켓부; 및 상기 바스켓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부에서 탈출할 수 있는 탈출수단이 보관된 탈출수단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부는, 바닥에 배치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부의 바닥판에는 상기 바닥판의 일부가 개방되는 하부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탈출수단 보관부에 보관된 탈출수단이 상기 바스켓부의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탈출수단이 펼쳐질 수 있다.
상기 탈출수단은, 줄사다리, 튜브, 하나 이상의 완강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튜브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둘러싸는 천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은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을 둘러싸도록 공기가 주입되는 팽창형 튜브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완강기는,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완강기는 서로 와이어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에 다수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출수단 보관부는, 상기 바스켓부의 측판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개방부가 상기 고정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탈출수단 보관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는 서로 소정의 각도로 일체로 결합된 제1 및 제2 개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방판은 상기 고정부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제2 개방판은 일단이 상기 제1 개방판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제2 개방판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방판과 평행하게 배치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판과 하부 도어의 사이에 끼워지는 회전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은, 사용자가 탑승하여 소정의 높이의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해 구비된 바스켓부; 및 상기 바스켓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부에서 탈출할 수 있는 탈출수단이 보관된 탈출수단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부는, 바닥에 배치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부의 바닥판에는 상기 바닥판의 일부가 개방되는 하부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탈출수단 보관부은, 상기 바스켓부의 측판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개방부가 상기 고정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탈출수단 보관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는 서로 소정의 각도로 일체로 결합된 제1 및 제2 개방판; 상기 제2 개방판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방판과 평행하게 배치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판과 하부 도어의 사이에 끼워지는 회전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방판은 상기 고정부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개방판은 일단이 상기 제1 개방판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방용 바스켓의 하부에 바스켓에서 탈출할 수 있는 하부 도어가 배치되고, 하부 도어가 개방되면, 바스켓의 하부로 바스켓에서 탈출할 수 있는 탈출 수단이 개방되어, 사용자가 소방용 바스켓에서 빠르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소방용 바스켓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도어를 개방하면, 자동으로 탈출 수단이 바스켓의 하부에 개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탈출 수단을 즉시 이용하여 지상으로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B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에서 줄사다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에서 튜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에서 완강기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에서 완강기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B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100)은, 바스켓부(110), 탈출수단 보관부(120) 및 줄사다리(130)를 포함한다.
바스켓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0a)과 바닥판(110a)을 둘러싸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측판(11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측판(110b)의 일부는 개폐될 수 있는 문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스켓부(110)는 바닥판(110a)에 하부 도어(112)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도어(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바닥판(110a)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도어(112)는 바닥판(110a)과 하나 이상의 제1 힌지(H1)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바닥판(110a)에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제1 힌지(H1)는 바닥판(110a)의 가장자리 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부 도어(112)는 바닥판(110a)의 내측에서 들어 올려 하부 도어(112)와 바닥판(110a)을 둘러싸는 측판(110b)이 서로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14)는 하부 도어(112)의 상부에 배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도어(112)를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탈출수단 보관부(120)은, 바스켓부(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탈출수단 보관부(120)은 하부 도어(1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탈출수단 보관부(120)은, 사용자에 의해 하부 도어(112)가 개방되면, 자동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된 탈출수단이 개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탈출수단 보관부(120)은, 고정부(122) 및 개방부(124)를 포함한다.
고정부(122)는 바스켓부(110)의 일 측의 측판(110b)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측판(110b)에서 연장된 판의 양측에 별도의 판이 각각 구비된다. 즉, 고정부(122)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ㄷ'자 형상은 바스켓부(110)의 측판(110b)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대향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개방부(124)는 두 개의 판인 제1 개방판(124a) 및 제2 개방판(124b)이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제1 개방판(124a) 및 제2 개방판(124b)이 대략 90도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개방부(124)는 측면의 형상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24)는 'ㄷ'자 형상의 고정부(122)의 개방된 두 개의 면을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개방부(124)는 제2 힌지(H2)에 의해 고정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힌지(H2)는 고정부(122)의 하단에 배치되어 고정부(122)를 형성하는 판 중 바스켓의 측판(110b)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판의 하부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힌지(H2)는 제1 개방판(124a)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개방부(124)는 제2 힌지(H2)에 의해 고정부(122)에서 회전할 수 있게 고정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방판(124b)의 끝단에 지지부(126) 및 회전 걸림부(128)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26)는 제2 개방판(124b)의 끝단에 배치되고, 제1 개방판(124a)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개방판(124b)의 끝단은 하부 도어(112)가 형성되지 않은 바닥판(110a)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지지부(126)는 제2 개방판(124b)의 끝단에서 하부 도어(112)까지 이격된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126)의 끝단에 회전 걸림부(128)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6)와 회전 걸림부(128)는 제3 힌지(H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걸림부(128)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또는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회전 걸림부(128)가 'ㄱ'자 또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바스켓의 바닥판(110a)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기 위함이다. 즉, 회전 걸림부(128)는 절곡된 한 면이 바스켓의 바닥판(110a)의 두께에 대응되고, 다른 한 면은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회전 걸리부의 한 면이 바닥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 도어(112)가 폐쇄되면, 하부 도어(112)의 끝단이 회전 걸림부(128)가 지지부(126)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부 도어(112)와 바닥판(110a)의 사이에 회전 걸림부(128)가 끼워짐에 따라 회전 걸림부(128)의 한 면이 바닥부에 접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도어(112)가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면, 하부 도어(112)와 바닥판(110a) 사이에 끼워진 회전 걸림부(128)는 개방부(124)의 무게에 의해 지지부(126)에서 회전되며, 그에 따라 개방부(124)는 고정부(122)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부(124)에 의해 탈출수단 보관부(120)이 폐쇄되어 있던 것이 개방될 수 있다. 이렇게 탈출수단 보관부(120)이 개방되면, 내부에 보관된 탈출수단인 줄사다리(130)가 바스켓부(110)의 하부로 개방되어 펼쳐질 수 있다.
줄사다리(130)는 탈출수단 중의 하나로, 탈출수단 보관부(120)에 보관된다. 이때, 줄사다리(130)는 탈출수단 보관부(120)에 수용되어 보관되고, 일단이 바닥판(110a)의 하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개방부(124)가 고정부(122)에서 회전되어 탈출수단 보관부(120)이 개방되면, 줄사다리(130)는 바닥판(110a)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에서 줄사다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탈출수단 보관부(120)이 개방됨에 따라 탈출수단이 줄사다리(130)가 바스켓의 하부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이때, 줄사다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의 바닥부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바닥부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그러므로 바스켓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는 바닥부의 하부 방향을 펼쳐진 줄사다리(130)를 이용하여 지상으로 탈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탈출수단 보관부(120)을 개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바닥부에 형성된 하부 도어(112)만 상부로 들어 올리는 동작만으로 탈출수단 보관부(120)에 보관된 탈출수단인 줄사다리(130)를 펼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바스켓에서 빠르게 탈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에서 튜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방 바스켓(100)은, 바스켓부(110), 탈출수단 보관부(120) 및 튜브(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탈출수단 보관부(120)에 보관된 탈출수단은 튜브(140)일 수 있다. 튜브(140)는 탈출수단 보관부(120)에 보관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지는 경우,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튜브(140)는 천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중공을 감싸는 외주면에 공기가 채워지는 팽창형 튜브(140)일 수 있다. 팽창형 튜브(140)는 탈출수단 보관부(120)에 보관되는 동안 공기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일 수 있으며, 개방부(124)가 고정부(122)에서 개방되면, 그에 따라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서 팽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탈출수단 보관부(120)에는 팽창형 튜브(14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천으로 형성된 튜브(140)의 경우에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크기가 사람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천은 소정의 신축성이 있는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천으로 형성된 튜브(140)를 통해 탈출할 때, 크기가 작은 중공을 통과하는 동안 천과의 마찰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바스켓에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에서 완강기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방 바스켓(100)은, 바스켓부(110), 탈출수단 보관부(120) 및 완강기(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탈출수단 보관부(120)에 보관된 탈출수단은 완강기(150)일 수 있다. 완강기(150)는 내부에 와이어(152) 및 도르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부 도어(112)를 개방하면, 개방부(124)가 회전하고, 바닥부의 하면에 설치된 완강기(150)를 이용하여 바스켓에서 탈출할 수 있다.
이때, 완강기(150)는 와이어(152)를 사용자의 몸에 묶은 상태에서 바스켓에서 나오면, 완강기(150)에 포함된 도르래가 회전하면서 사용자는 일정한 속도로 바스켓에서 탈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에서 완강기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방 바스켓(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방 바스켓(100)은, 바스켓부(110), 탈출수단 보관부(120) 및 두 개의 완강기(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1 및 제3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탈출수단 보관부(120)에 보관된 탈출수단은 두 개의 완강기(150)일 수 있다. 두 개의 완강기(150)는 하나의 와이어(152)에 의해 연결되며, 하나의 와이어(152)가 두 개의 완강기(150)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완강기(150)를 연결하는 와이어(152)에는 다수의 고리(154)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리(1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원 형상을 가지는 고리(15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람이 고리(154)에 손이나 발을 건 상태에서, 회전하는 와이어(152)와 함께 바스켓에서 탈출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완강기(150)는 각각 바스켓의 바닥부 하면에 배치되되,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완강기(150) 사이에 하부 도어(112)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하부 도어(112)를 개방하면, 개방부(124)가 고정부(122)에서 회전하여 두 개의 완강기(150)를 연결하는 와이어(152)가 하부 방향으로 펼쳐진다. 그리고 두 개의 완강기(150)가 하부 도어(11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두 개의 완강기(150)를 회전하는 와이어(152)를 이용하여 바스켓에서 탈출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두 개의 완강기(150)는,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부 도어(112)와 별개로 바닥판(110a)의 하면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완강기(150)가 바닥판(110a)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측 단면을 도시하는 경우에 하나만 도시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두 개의 완강기(150)를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152)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바스켓에서 지상으로 탈출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소방 바스켓
110: 바스켓부
110a: 바닥판
110b: 측판
112: 하부 도어
114: 손잡이
120: 탈출수단 보관부
122: 고정부
124: 개방부
124a: 제1 개방판
124b: 제2 개방판
126: 지지부
128: 회전 걸림부
130: 줄사다리
140: 튜브
150: 완강기
152: 와이어
154: 고리
H1: 제1 힌지
H2: 제2 힌지
H3: 제3 힌지

Claims (10)

  1. 사용자가 탑승하여 소정의 높이의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해 구비된 바스켓부; 및
    상기 바스켓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부에서 탈출할 수 있는 탈출수단이 보관된 탈출수단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부는, 바닥에 배치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부의 바닥판에는 상기 바닥판의 일부가 개방되는 하부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탈출수단 보관부에 보관된 탈출수단이 상기 바스켓부의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탈출수단이 펼쳐지며,
    상기 탈출수단 보관부는,
    상기 바스켓부의 측판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개방부가 상기 고정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탈출수단 보관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부는 서로 소정의 각도로 일체로 결합된 제1 및 제2 개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방판은 상기 고정부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제2 개방판은 일단이 상기 제1 개방판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접하며,
    상기 제2 개방판의 타단에는 상기 제1 개방판과 평행하게 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는 회전 걸림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걸림부는 상기 바닥판과 하부 도어의 사이에 끼워지는 소방 바스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출수단은, 줄사다리, 튜브, 하나 이상의 완강기 중 어느 하나인 소방 바스켓.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둘러싸는 천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은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된 소방 바스켓.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을 둘러싸도록 공기가 주입되는 팽창형 튜브인 소방 바스켓.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강기는,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완강기는 서로 와이어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에 다수의 고리가 형성된 소방 바스켓.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60932A 2018-12-13 2018-12-13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KR102181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932A KR102181244B1 (ko) 2018-12-13 2018-12-13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932A KR102181244B1 (ko) 2018-12-13 2018-12-13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873A KR20200072873A (ko) 2020-06-23
KR102181244B1 true KR102181244B1 (ko) 2020-11-20

Family

ID=7113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932A KR102181244B1 (ko) 2018-12-13 2018-12-13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2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988B1 (ko) * 2021-02-01 2021-09-27 (주)이룸이앤씨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756B2 (ja) * 1998-02-27 2000-08-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伝送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387981Y1 (ko) * 2005-04-12 2005-06-28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고소 비상탈출용 바스켓
KR101074642B1 (ko) * 2009-08-19 2011-10-19 주식회사 광림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280Y2 (ko) * 1980-04-30 1988-04-01
JP3082756U (ja) * 2001-06-18 2001-12-26 勝 内山 救助袋
KR100666659B1 (ko) 2005-04-12 2007-01-10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소방차용 바스켓
KR20090059359A (ko) 2007-12-06 2009-06-11 전진씨에스엠 주식회사 소방차용 다기능 바스켓
CN102026684A (zh) * 2007-12-27 2011-04-20 Ah发明股份公司 用于使人员从建筑物中撤离的装置
KR101536408B1 (ko) * 2013-08-30 2015-07-15 주식회사 사람과안전 피난구의 상하부덮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756B2 (ja) * 1998-02-27 2000-08-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伝送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387981Y1 (ko) * 2005-04-12 2005-06-28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고소 비상탈출용 바스켓
KR101074642B1 (ko) * 2009-08-19 2011-10-19 주식회사 광림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873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358B1 (ko) 질식 소화포
KR102181244B1 (ko)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KR101184248B1 (ko) 체인스토퍼가 구비된 페어리더
KR101230005B1 (ko) 해치형 구조대
KR102076672B1 (ko)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JPH09511410A (ja) 落下防止安全装置
KR101933376B1 (ko)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KR101054379B1 (ko) 인명구조용 굴절붐과 인명구조용 고가 사다리가 일체로 구비된 소방차
US3922866A (en) Workmen{3 s cage for excavation work
KR102244548B1 (ko) 소화용수 제거기능이 향상된 소방함용 소방 호스릴
KR102203052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대피시스템
KR101693801B1 (ko) 네트 어드벤처 놀이시설물
KR20110127349A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074642B1 (ko)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US318299A (en) samper
JP2012254783A (ja) 津波用シェルター
US652645A (en) Life-saving net.
KR20170089488A (ko) 완강기 보관함
KR101496969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N210131263U (zh) 高空逃生装置
KR200387981Y1 (ko) 고소 비상탈출용 바스켓
KR101153789B1 (ko) 절첩식 구난 사다리
KR101197519B1 (ko) 완강기
KR102664927B1 (ko) 신속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탑재장치
KR102597979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진압 및 확산방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