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988B1 -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988B1
KR102303988B1 KR1020210014131A KR20210014131A KR102303988B1 KR 102303988 B1 KR102303988 B1 KR 102303988B1 KR 1020210014131 A KR1020210014131 A KR 1020210014131A KR 20210014131 A KR20210014131 A KR 20210014131A KR 102303988 B1 KR102303988 B1 KR 102303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ushion
belt cover
sides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연희
Original Assignee
(주)이룸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룸이앤씨 filed Critical (주)이룸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01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49Fastening of other buckle elements to the main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62B3/005Rescue tools with forcing 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의 선단에 완강기본체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완강기본체에는 사용자의 몸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연결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완강기본체로부터 인출되어 단부가 상기 고정수단에 연결되는 로프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하고, 일면은 상기 완강기본체의 일면에 고정되면서 다른 일면은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트 커버; 상기 벨트 커버의 내부에서 압축 보관되고, 상기 벨트 커버에 연결되는 X자형 등받이와 그 하부의 쿠션부가 자충식 튜브로 이루어지면서 전개에 의해 의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시트형 쿠션; 상기 시트형 쿠션에서 양측의 상기 등받이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각 타단은 하부의 쿠션부에 고정되는 어깨걸이; 상기 쿠션부의 정면 중간에 고정되면서 양측의 어깨걸이에 고정되는 버클이 동시에 연결되는 3웨이 버클 홀더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descending structure for emergency escape used in the event of a fire in a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출 시 보다 쉽고 빠르면서 안전성과 함께 편안함을 갖고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다세대주택 그리고 일반상업용 건물 등과 같은 각종 고층건물에서는 화재가 발생 시 인명사고로 연결되는 사례가 많다.
건물의 화재시 인화성이 강한 각종 내부장식재의 연소에 의해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나 비상계단을 통한 대피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유독가스의 발생 시에는 구조의 손길이 미치기 전에 화를 당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여타 다른 위험상황에 비해 조난자의 능동적인 대처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러한 조난자의 능동적인 대처방얀으로는 건물 외부로의 탈출을 시도하는 것이며, 각 층별 비상탈출을 위하여 각 층에는 완강기(緩降機)가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탈출 시 이용하게 되는 완강기는 대체로 단조로운 1차 감속기를 이용하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긴급 시에는 인명구조용으로 다소 미흡하여 안전성이나 위급상황에 따른 하강속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없어 사용상 위험이 따르며, 분리형이므로 부피가 크고 감속기에 로프가 좁은 공간을 통과하면서 일어나는 마찰식 감속 작동에 의해 일반인조차 취급에 힘이 들고 사용 상 부담감이 더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등록특허 제2095868호(2020.03.26.)의 비상탈출용 완강기는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제1권취부와, 제1권취부로부터 풀린 와이어로프가 감겨져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권취부와, 제2권취부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하강속도를 제어하는 감속장치로서 구성되되 제1제동부와 제2제동부 및 감속회전축에 의해 제동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와, 완강기의 하강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작동레버와, 와이어로프가 풀어지면서 회전하는 발전부 및 노약자와 어린이가 탑승한 상태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가 설치되는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즉, 1회 사용 후 DC 모터를 사용하여 제1권취부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빠른 시간 내에 와이어로프를 다시 감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완강기는 착용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착용하기 불안한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특허 제2095868호(2020.03.2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누구나 쉽고 빠르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안전하면서도 편안한 착용이 가능한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는, 건축물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의 선단에 완강기본체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완강기본체에는 사용자의 몸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연결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완강기본체로부터 인출되어 단부가 상기 고정수단에 연결되는 로프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하고, 일면은 상기 완강기본체의 일면에 고정되면서 다른 일면은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트 커버; 상기 벨트 커버의 내부에서 압축 보관되고, 상기 벨트 커버에 연결되는 X자형 등받이와 그 하부의 쿠션부가 자충식 튜브로 이루어지면서 전개에 의해 의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시트형 쿠션; 상기 시트형 쿠션에서 양측의 상기 등받이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각 타단은 하부의 쿠션부에 고정되는 어깨걸이; 상기 쿠션부의 정면 중간에 고정되면서 양측의 어깨걸이에 고정되는 버클이 동시에 연결되는 3웨이 버클 홀더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는 회전에 의해 유리벽을 깰 수 있도록 일측으로 일정 길이로서 돌출되는 타격봉이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로프의 단부에는 상단이 고정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등받이와 상기 어깨걸이가 고정되는 쿠션부의 양측에 동시에 고정되는 로프 연결띠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에 의해서 완강기본체에 결합된 벨트 커버를 일정 강도로 타격을 가하여 내부에서 압축 내장되어 있는 시트형 쿠션을 인출시키게 되면 매우 빠르게 공기가 채워지면서 의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시트형 쿠션에 누구나 안전하게 착석한 후 어깨걸이를 버클 체결에 의해 고정되게 함으로써 화재와 같은 응급 상황 시 신속하게 탈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의 시트형 쿠션을 전개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에서 로프 연결띠를 이용하여 로프와 시트형 쿠션을 연결한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에서 3웨이 버클 홀더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에 의한 사용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를 예시한 구조도로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벨트 커버(10)와 시트형 쿠션(20)과 어깨걸이(30) 및 3웨이 버클 홀더(4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완강기는 건축물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1)의 선단에 완강기본체(2)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에서 완강기본체(2)에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완강기본체(2)에는 일면에 벨트 커버(10)가 고정되도록 하면서 벨트 커버(10)는 완강기본체(2)측에 일면이 고정되도록 하고, 다른 일면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벨트 커버(10)는 완강기본체(2)로부터 인출되는 로프(3)의 일단부와 함께 이 로프(3)의 단부에 연결되는 고정수단(미도시)이 동시에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완강기본체(2)에 벨트 커버(10)는 접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게 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게 할 수도 있으나, 완강기본체(2)에 결합되는 결합면과 대응되는 면은 별도의 록킹수단을 간단히 조작하여 분리되게 하거나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을 가하여 분리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타격에 의해 개방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을 이용하여 일정 이상의 타격이 가해지게 되면 그 충격에 의해서 록킹수단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완강기본체(2)에 고정설치되는 벨트 커버(10)의 내부에는 완강기본체(2)로부터 인출되어 삽입되는 로프(3)의 일단에 고정되면서 압축 보관되도록 시트형 쿠션(20)이 구비되도록 한다.
시트형 쿠션(20)은 불연성 성분이 포함된 고무 또는 신축성을 갖는 수지로서 이루어지거나 이러한 소재의 외부에 불연성 성분이 피복되게 함으로써 화재에 강한 소재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트형 쿠션(20)은 자충식 튜브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압축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제거되도록 한 후 접어 최소의 사이즈로서 벨트 커버(10)에 수용되도록 한다.
시트형 쿠션(20)은 도 2에서와 같이 압축에 의해 접혀진 상태에서는 일정 두께로서 압축되어 있게 되나 벨트 커버(10)의 개방에 의해 또는 개방된 벨트 커버(10)로부터 인출시켜 전개시키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로프(3)가 연결되는 부위는 X자 형상의 등받이(21)를 이루고, 이 등받이(21)의 하부는 의자형상의 쿠션부(22)를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시트형 쿠션(20)은 자충식 튜브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개 시 내부로 자동으로 빠르게 에어가 충전되면서 등받이(21)와 함께 하부의 쿠션부(22)를 최대한 부풀어오르게 하여 의자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비상탈출을 위해 시트형 쿠션(20)을 전개시키게 되면 에어가 충전되는 의자가 형성되므로 누구나 쉽게 앉을 수가 있으므로 어린 아이부터 노인에 이르는 어떠한 사람도 안전하게 앉을 수가 있도록 한다.
특히, 벨트 커버(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로프(3)의 단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단이 고정 연결되도록 하면서 하단은 등받이(21)와 함께 쿠션부(22)의 양측에 고정되는 로프 연결띠(4)가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시트형 쿠션(20)에는 양측의 등받이(21)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은 등받이(21) 하부의 쿠션부(22) 양측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어깨걸이(30)가 고정되도록 한다.
어깨걸이(30)는 시트형 쿠션(20)의 양측에서 각각 일단은 등받이(21)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쿠션부(22)의 양측에 연결되도록 하여 시트형 쿠션(20)에 착석한 상태에서 양측 어깨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양측의 어깨걸이(30)에는 각각 버클(31)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쿠션부(32)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정면의 중간에 3웨이 버클 홀더(40)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어깨걸이(30)와 3웨이 버클 홀더(40)의 형성 구조는 차일드 시트에 형성되는 벨트의 연결구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양측의 어깨걸이(30)에 각각 형성되는 버클(31)은 각각 쿠션부(32)의 중간에 형성되는 3웨이 버클 홀더(40)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양측의 어깨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어깨걸이(30)에는 어깨와 함께 양발도 각각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완강기본체(2)가 연결되는 지지대(1)의 단부에는 일측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게 유리창 등을 부술 수 있도록 타격봉(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는 건축물의 외부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 건축물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면서 지지대(1)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지지대(1)에는 완강기본체(2)가 연결되며, 완강기본체(2)의 내부에는 일정 길이의 로프(3)가 권선되는 권선 휠과 이 권선 휠에 연결되어 권선 휠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동수단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권선 휠로부터 로프(3)가 인출되도록 홀이 형성된다.
완강기본체(2)로부터 인출되는 로프(3)는 완강기본체(2)의 일측에 연결되는 벨트 커버(10)에 삽입되며, 이 로프(3)는 벨트 커버(10)의 내부에서 압축된 상태로 시트형 쿠션(20)에 연결된다.
이러한 벨트 커버(10)는 별도의 록킹수단을 간단히 조작하여 분리되게 할 수도 있고,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을 가하여 분리되게 할 수도 있다.
벨트 커버(10)가 개방되면 내부에 압착되어 시트형 쿠션(2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자동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시트형 쿠션(20)을 인위적으로 꺼내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시트형 쿠션(20)을 펼쳐 전개시키게 되면 시트형 쿠션(20)은 자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매우 빠른 속도로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서 도 6과 같은 의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등받이(21)에 기대어 쿠션부(22)에 걸터 앉은 후 어깨걸이(30)를 이용하여 양측의 어깨가 걸려지도록 한 후 양측 어깨걸이(30)에 연결되어 있는 버클(31)을 쿠션부(22)에 고정된 3웨이 버클 홀더(40)에 결합시켜 고정하도록 한다.
이렇게 버클 체결이 이루어지면 시트형 쿠션(20)에 착석한 사용자는 양측의 어깨걸이(30)를 양손으로 잡게 되면 시트형 쿠션(20)에서의 이탈이 방지될 수가 있으므로 안전한 사용을 할 수가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벨트 커버(10)로부터 분리시켜 펼쳐지도록 하기만 하면 로프(30)에 연결된 상태로 시트형 쿠션(20)이 의자의 형태를 갖게 되어 쉽고 빠르게 비상탈출을 시도할 수가 있도록 한다.
특히, 아이들이나 여성 또는 노인들도 불안감없이 안전한 사용을 할 수 있어 화재 발생 시 노약자들을 우선적으로 안전하게 대비시킬 수가 있어 보다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지지대
2 : 완강기본체
3 : 로프
4 : 로프 연결띠
5 : 타격봉
10 : 벨트 커버
20 : 시트형 쿠션
21 : 등받이 22 : 쿠션부
30 : 어깨걸이
31 : 버클
40 : 3웨이 버클 홀더

Claims (3)

  1. 건축물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의 선단에 완강기본체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완강기본체에는 사용자의 몸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연결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완강기본체로부터 인출되어 단부가 상기 고정수단에 연결되는 로프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하고, 일면은 상기 완강기본체의 일면에 고정되면서 다른 일면은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에 의해 록킹수단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트 커버;
    상기 벨트 커버의 내부에서 압축 보관되고, 상기 벨트 커버에 연결되는 X자형 등받이와 그 하부의 쿠션부가 자충식 튜브로 이루어지면서 전개에 의해 의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시트형 쿠션;
    상기 시트형 쿠션에서 양측의 상기 등받이 상부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각 타단은 하부의 쿠션부 양측에 고정되는 어깨걸이;
    상기 쿠션부의 정면 중간에 고정되면서 양측의 어깨걸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이 동시에 연결되는 3웨이 버클 홀더;
    상기 로프의 단부에 상단이 고정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등받이와 상기 어깨걸이가 고정되는 쿠션부의 양측에 동시에 고정되는 로프 연결띠;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는 상기 지지대의 회전에 의해 유리벽을 깰 수 있도록 일측으로 일정 길이로서 돌출 형성되는 타격봉;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210014131A 2021-02-01 2021-02-01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 KR102303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131A KR102303988B1 (ko) 2021-02-01 2021-02-01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131A KR102303988B1 (ko) 2021-02-01 2021-02-01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988B1 true KR102303988B1 (ko) 2021-09-27

Family

ID=7792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131A KR102303988B1 (ko) 2021-02-01 2021-02-01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328A (ko) 2022-02-07 2023-08-16 서진영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355717U (zh) * 2011-11-24 2012-08-01 山东鲁普耐特新材料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逃生用吊带座椅
KR20190131296A (ko) * 2018-05-16 2019-11-26 한세욱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KR102095868B1 (ko) 2019-02-22 2020-04-01 주식회사 에스에스비씨 비상탈출용 완강기
KR20200072873A (ko) * 2018-12-13 2020-06-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CN111450428A (zh) * 2020-05-14 2020-07-28 杭州牛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背包式缓降逃生装置
KR20210007578A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후이솔루텍 비상탈출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355717U (zh) * 2011-11-24 2012-08-01 山东鲁普耐特新材料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逃生用吊带座椅
KR20190131296A (ko) * 2018-05-16 2019-11-26 한세욱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KR20200072873A (ko) * 2018-12-13 2020-06-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KR102095868B1 (ko) 2019-02-22 2020-04-01 주식회사 에스에스비씨 비상탈출용 완강기
KR20210007578A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후이솔루텍 비상탈출용 클램프
CN111450428A (zh) * 2020-05-14 2020-07-28 杭州牛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背包式缓降逃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328A (ko) 2022-02-07 2023-08-16 서진영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988B1 (ko)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
KR20200112017A (ko) 완강기용 공압식 조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상탈출방법
JP4413256B2 (ja) 非常脱出装置
CN111084938B (zh) 一种高楼逃生用充气背包和方法
KR20120077503A (ko) 기구(氣球)가 부착된 비상탈출용 낙하산
JPH07308394A (ja) 高所離脱用安全避難装置
JP2005506890A (ja) 建物、ボーリングプラットフォーム、船舶等のような建築物から人を救出するための装置
JPWO2003039678A1 (ja) 脱出装置
JP2003190305A (ja) 高所からの脱出装置
CN212416703U (zh) 一种背包式缓降逃生装置
KR200338199Y1 (ko) 고층 건물, 고층 아파트 화재 인명 피난 기구
KR101769567B1 (ko) 재난 재해용 들것
KR20200122019A (ko) 비상 탈출용 슬라이딩 시스템
CN111450428A (zh) 一种背包式缓降逃生装置
CN106563213A (zh) 高层救生跳伞
TWI790166B (zh) 高樓逃生裝置
KR20100137716A (ko) 비상 탈출용 완강기
JP6256294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7339823U (zh) 一种高楼逃生沙发
RU74810U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аучок"
KR200493565Y1 (ko) 비상탈출 장비보관용 기능성 가방
CN109865211B (zh) 自由落体式高楼逃生装置
KR101240881B1 (ko) 낙하 구명 배낭
GB2174901A (en) Fire escape equipment
KR200166468Y1 (ko) 구출망을갖는비상대피용완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