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578A - 비상탈출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578A
KR20210007578A KR1020190084291A KR20190084291A KR20210007578A KR 20210007578 A KR20210007578 A KR 20210007578A KR 1020190084291 A KR1020190084291 A KR 1020190084291A KR 20190084291 A KR20190084291 A KR 20190084291A KR 20210007578 A KR20210007578 A KR 20210007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ving
handrail
rail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3776B1 (ko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이솔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이솔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이솔루텍
Priority to KR1020190084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7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면서 비상탈출이 필요할 때, 간단하게 설치하여 비상탈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난간벽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난간지지대에서 난간벽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이동지지부가 난간벽의 다른 일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고정지지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지지부 간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지지대에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지지부의 이동을 간단하게 제한할 수 있어 설치 시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상탈출용 클램프{Clamp for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면서 비상탈출이 필요할 때, 간단하게 설치하여 비상탈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난간벽(Parapet wall)과 구조물의 일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난간벽의 두께 등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벽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일단에 구성된 지지패드를 통해 지지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아파트, 호텔, 병원 등과 같은 고층건물에서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화재 위치가 현관출입문 부근이나 현관출입문 측으로 가는 길목일 경우에는 대피할 곳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대피할 곳이 없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창문이나 베란다를 통해 탈출을 시도해야 하지만, 고층인 경우에는 로프와 같은 탈출장비가 없이 맨몸으로 뛰어 내리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의 경우 높이에 따라 사망하거나 중상을 입게 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비상탈출장치로 많이 쓰이는 완강수단 즉, 완강기는 고층건물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계단이나 승강기를 사용하기가 곤란한 경우에 창문이나 베란다 등의 외부로 통하는 부근에 설치되어 대피자의 자중에 의해 하강로프장치로 서서히 내려오는 안전피난기구이다. 즉, 완강기는 화재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출입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대피하지 못할 때 창문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대피자를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별도의 조작 없이 가슴에 안전벨트를 조이고 하강하면 자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고층건물의 하부로 하강 피난할 수 있는 것이다.
완강기는,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완강기와 릴을 들고 창문 또는 베란다로 이동하여 건물에 고정된 거치대에 완강기의 클램프를 고정시키고, 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안전벨트를 몸에 걸고 릴을 건물 밖으로 던져 릴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가 풀어지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베란다 또는 창문을 통하여 건물 밖으로 내려가면 완강기에 의해 로프가 서서히 풀리므로 안전벨트를 통해 로프에 매달린 대피자는 천천히 하강하여 안전하게 지상에 착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완강기는 한 공간에 복수의 대피자가 존재하는 경우 한 명의 대피자가 탈출을 완료한 후 다시 다른 대피자가 상기 완강수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완강수단의 하강 완료 후 안전벨트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나머지 다른 대피자들의 연속적이고 신속한 탈출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완강기 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은 건물일 경우, 다른 방법으로 구조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슬라이드형 인명 구조대와 같은 것은, 고가(高價)일 뿐만 아니라 지상에서 최소 2명 이상의 보조 인원이 필요하며 건물이 너무 높을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6413호 ' 비상 탈출장치용 보조기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면서 비상탈출이 필요할 때,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난간벽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난간지지대에서 난간벽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이동지지부가 난간벽의 다른 일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고정지지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지지부 간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지지대에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지지부의 이동을 간단하게 제한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벽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의 지지바에 지지날이 형성됨으로써, 클램프가 어긋나더라도 난간벽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난간벽의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에도 해당 지지날을 통해 돌출부를 지지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클램프는, 난간벽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난간지지대, 상기 난간벽의 일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난간지지대의 일측에 구성된 이동지지부 및 상기 난간벽의 다른 일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난간지지대의 다른 일측에 구성된 고정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간지지대는, 상기 난간벽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밀림방지날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지지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일단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난간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지지바 및 상기 이동지지바의 일단에 구성되며, 상기 난간벽의 측면을 지지하는 이동지지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락킹부가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회동축이 편항된 캠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난간지지대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락킹구가 구성되고, 상기 이동몸체는, 상기 밀림방지날과 대응하는 고정날이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락킹구가 상기 난간지지대의 상부면을 가압하면, 상기 고정날과 상기 밀림방지날이 결합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몸체는, 하부 일측에 상기 이동지지바의 회전 각도를 수직으로 제한하는 수직제한턱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바는, 비상탈출용 클램프가 상기 난간벽에서 어긋난 경우, 상기 난간벽의 모서리를 지지하기 위한 밀림지지날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패드부는, 상기 난간벽의 일측 측면과 밀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이동지지패드 및 상기 이동지지패드를 가압하여 밀착력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패드가압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패드가압구는, 상기 이동지지패드와 일측이 연결된 가압패드 및 상기 가압패드와 일측이 연결되고, 회동에 따라 상기 가압패드를 전진 및 후진시켜 고정하는 나비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난간지지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전 각도가 수직으로 제한되도록 상기 난간지지대의 하부와 접촉되는 수직지지면을 포함하는 고정지지바, 상기 고정지지바의 일단에 구성되며, 상기 난간벽의 일측 측면과 밀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정지지패드 및 탈출용로프가 연결되는 비너부를 포함하는 고정지지패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면서 비상탈출이 필요할 때,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난간벽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난간지지대에서 난간벽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이동지지부가 난간벽의 다른 일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고정지지부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지지부 간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난간벽의 두께 등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난간벽 두께에 의해 클램프 설치가 불가하여 탈출이 불가능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탈출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지지대에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지지부의 이동을 간단하게 제한할 수 있어 설치 시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벽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의 지지바에 지지날이 형성됨으로써, 클램프가 어긋나더라도 난간벽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탈출 시 클램프가 어긋나는 위급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지지날을 통해 대피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난간벽의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에도 해당 지지날을 통해 돌출부를 지지할 수 있어 더욱 견고하게 대피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와, 유치창을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는 타격부가 구성되어 탈출망치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소방 분야 및 소방 장비 분야, 특히 비상탈출기구 분야 및 소방대원이 휴대하는 개인장비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탈출용 클램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의 이동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이동지지부의 이동 및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의 고정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용 클램프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탈출용 클램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A)는, 건물의 난간 구조물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난간지지대(100)와, 난간지지대(100)의 일측에 구성된 이동지지부(200)와, 난간지지대(100)의 다른 일측에 구성된 고정지지부(3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난간 구조물이 난간벽(W)(Parapet wall)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펜스 형태의 난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상세히 후술할 본 발명의 난간지지대(100), 이동지지부(200) 및 고정지지부(300)가 지지할 수 있는 난간 구조물이라면 다양한 곳에 설치가 가능하다.
난간지지대(100)는, 난간벽(W)의 상부면, 즉, 난간벽(W)의 최상면에 걸쳐져 대피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막대형태로 형성된다.
난간지지대(100)는, 가볍고 강도가 좋은 두랄루민(Duralumin)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가벼우면서 강도가 좋은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난간지지대(100)는, 일측에 걸이홀(102)이 형성되어 휴대하지 않을시 보관장소에 걸어져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이홀(102)은 난간지지대(100)의 이동지지부(200)측 및 고정지지부(300)측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난간지지대(100)는, 난간벽(W)과 마주하는 일측에 밀림방지날(1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피자의 하중에 의한 난간지지대(100)의 밀림을 방지하여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밀림방지날(101)은, 난간지지대(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고정지지부(300)를 향해 일정 각도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대피자의 하중에 대항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난간지지대(100)는, 난간지지대(100)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지지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지지부(200)가 위치되는 일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이탈방지턱(110)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동지지부(200)는, 난간벽(W)의 일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난간지지대(100)에서 고정지지부(300)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지지부(300)는, 난간벽(W)의 다른 일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동지지부(200)와 고정지지부(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A)는 회동 가능한 구성들을 난간지지대(100)측으로 접어 놓을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도 2와 같이 회동 가능한 구성들을 펼친 후 난간벽(W)에 설치가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A)의 이동지지부(200)는, 난간지지대(100)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몸체(210)와, 이동몸체(210)의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지지바(230) 및 난간벽(W)의 일측 측면을 지지하는 이동지지패드부(240)를 포함한다.
이동지지부(200)의 이동몸체(210)는, 난간지지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난간지지대(10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동지지부(200)의 이동지지바(230)는, 이동몸체(210)의 하부 일측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동몸체(210)는 이동지지바(230)가 결합되는 이동지지바회동축(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지지부(200)는, 이동지지바(230)와 이동지지패드부(240)를 통해 난간벽(W)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동지지바(230)는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지지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몸체(210)에서의 회전 각도가 수직으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지지바(230)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A)가 난간벽(W)에 설치된 상태에서 어긋난 경우, 난간벽(W)의 모서리를 지지하기 위한 밀림지지날(2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벤딩된 형태의 이동지지바(230)에 형성된 밀림지지날은 난간벽(W)의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에도 해당 난간벽(W)의 돌출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탈출 시 클램프가 어긋나는 위급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밀림지지날(231)을 통해 대피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난간벽(W)의 측면에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된 경우에도 해당 밀림지지날(231)을 통해 돌출부를 지지할 수 있어 더욱 견고하게 대피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지지부(200)의 이동지지패드부(240)는, 난간벽(W)의 측면에 밀착되어 난간벽(W)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지지바(230)의 일단에 구성된다. 이동지지패드부(240)의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지지부(200)는, 이동몸체(210)가 난간지지대(100)의 한 위치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락킹부(220)를 포함한다.
락킹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지지바(23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몸체(210)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동몸체(210)는 락킹부(220)가 결합되는 락킹부회동축(213)이 형성될 수 있다. 락킹부(220)의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의 이동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이동지지부의 이동 및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지지부(200)와 난간지지대(100)의 일부만을 도시한 것으로, 도 3 및 도 4를 통해 이동지지부(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지지부(200)의 락킹부(220)는, 대피자가 손으로 조작하기 수월하도록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락킹부(220)의 일측은 회동축이 편항된 캠형상으로 형성되어 락킹구(221)가 형성된다.
또한, 이동몸체(210)는, 난간지지대(100)의 밀림방지날(101)에 결합되어 이동몸체(210)의 이동이 제한되는 고정날(214)이 도 3의 (c)와 같이 형성되며, 고정날(214)은 밀림방지날(101)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220)는 락킹구(221)를 통해 난간지지대(10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이동몸체(210)의 고정날(214)이 난간지지대(100)의 밀림방지날(10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락킹부(220)를 조작하여 난간지지대(100)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락킹구(221)의 위치를 도 3의 (b)와 같이 변경하게 되면, 이동몸체(210)는, 락킹부(220)와 난간지지대(100)와의 간격 h만큼 난간지지대(100)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락킹부(220)로 인한 이동 제한이 해지된 이동몸체(210)는, 도 3의 (c)와 같이 고정날(214)을 밀림방지날(101)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고, 분리된 이동몸체(210)는 도 4와 같이 난간지지대(100)에서 고정지지부(300)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동지지부(200)와 고정지지부(300)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락킹부(220)는 락킹구(221)를 통해 이동몸체(2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락킹부(22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난간지지대(100)의 어느 한 위치에서 이동몸체(210), 즉, 이동지지부(20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A)를 난간벽(W)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난간지지대(100)의 밀림방지날(101)을 난간벽(W)의 상부면에 지지시킨 후, 이동지지부(200)의 락킹부(220)를 회동시켜 락킹구(221)의 가압을 해지하고, 밀림방지날(101)로부터 고정날(214)이 분리된 이동몸체(210)를 난간벽(W)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동지지바(230)는 수직으로 회동시켜 이동지지패드부(240)가 난간벽(W)의 일측 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동몸체(210)는, 이동지지바(230)의 회전 각도를 수직으로 제한하기 위한 수직제한턱(211)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다.
이동지지패드부(240)는, 난간벽(W)의 일측 측면과 밀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이동지지패드(241), 이동지지패드(241)를 난간벽(W)측으로 가압하는 지지패드가압구를 포함한다.
지지패드가압구는 이동지지바(230)의 일단과 연결되는 이동지지패드몸체(미부호)의 일측면에 구성된다.
지지패드가압구는, 이동지지패드(241)몸체의 내부에 구성되며, 일측이 이동지지패드(241)와 연결된 가압패드(242), 가압패드(242)와 일측이 연결되고, 가압패드(242)를 가압하여 밀착력을 제공하는 나비볼트(243)를 포함한다.
나비볼트(243)의 일단은 가압패드(242)의 내부에 삽입되어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나비볼트(243)가 가압패드(24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가압패드(242)는 나비볼트(243)의 회동에 따라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며, 나비볼트(243)에 의해 전진되는 경우, 이동지지패드(241)를 가압하여 이동지지패드(241)에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지패드가압구는 나비볼트(243)를 일 예로 설명한 것으로, 가압패드(242)를 가압하여 이동지지패드(241)에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동지지부(200)를 이동시켜 이동지지패드부(240)를 난간벽(W)의 일측 측면에 밀착시킨 후, 락킹부(220)를 회동시켜 고정날(214)과 밀림방지날(101)을 결합시킴으로써 이동지지부(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동지지패드(241)는 나비볼트(243)와 가압패드(242)를 통해 난간벽(W)과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락킹부(220)의 조작을 통해 이동지지부(200)를 난간지지대(100)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이 가능하고, 이동지지바(230) 및 고정지지바(310)를 난간지지대(100)측으로 회동시켜 부피를 최소화 시킴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설치시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의 고정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지지부(300)는, 난간지지대(1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지지바(310)와, 난간벽(W)의 일측 측면을 지지하는 고정지지패드부(320)를 포함한다.
고정지지부(300)의 고정지지바(310)는, 고정지지패드부(320)를 통해 난간벽(W)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지지바(310)는, 난간벽(W)의 모서리를 지지하기 위한 밀림지지날(3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벤딩된 형태의 고정지지바(310)에 형성된 밀림지지날(311)은 난간벽(W)의 측면에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된 경우에도 해당 난간벽(W)의 돌출부를 지지할 수 있다.
난간지지대(100)는, 고정지지바(310)가 결합되는 고정지지바회동축(10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지지바(310)는, 난간지지대(100)의 고정지지바회동축(103)에 결합되는 회동결합홀(312)이 형성된다.
고정지지바(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난간지지대(100)의 일측에서 회동이 가능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각도는 수직으로 제한되어 대피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고정지지바(310)는 난간지지대(100)의 하부와 접촉되어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하기 위한 수직지지면(313)이 형성된다.
고정지지바(310)는, 상부의 일단에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지지대삽입홈(미부호)이 구성되고, 수직지지면(313)은 지지대삽입홈의 저면에 해당된다.
지지대삽입홈과 수직지지면(313)이 형성된 고정지지바(310)는, 도 2와 같이 수직으로 회동시 난간지지대(100)에 지지된다.
고정지지패드부(320)는, 고정지지바(310)의 일단에 구성되는 것으로, 난간벽(W)의 일측 측면과 밀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정지지패드(321), 난간벽(W)가 연결되는 비너부(322)를 포함한다.
고정지지패드(321)는, 고정지지바(310)의 일단과 연결되는 고정지지패드(321)몸체의 일측면에 구성된다.
비너부(322)는, 탈출용로프(R)가 연결되는 비너홀(322')이 형성되며, 비너홀(322')가 형성된 비너부(322)에는, 탈출용로프(R) 또는 탈출용로프(R)가 묶인 카라비너(B)가 연결될 수 있다.
고정지지패드(321)와 상술한 이동지지패드(241)는, 마찰력이 큰 고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대피자의 하중에 의해 비상탈출용 클램프(A)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지지패드(321)와 이동지지패드(2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벽(W)에 밀착이 잘되도록,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하고, 비상탈출이 필요할 경우, 쉽게 난간벽(W)에 설치가 가능하며, 일측에 연결된 탈출용로프(R)를 통해 건물 밖으로 대피하는 대피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의 (a)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A)의 사용방법의 일 예를 정리하면, 이동지지바(230)와 고정지지바(310)를 수직으로 회동시키고, 난간벽(W)의 상부에 난간지지대(100)를 위치시킨다. 이후, 락킹부(220)를 회동시켜 난간지지대(100)의 가압을 해지하고, 이동지지패드(241)가 난간벽(W)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락킹부(220), 이동몸체(210) 및 이동지지바(230) 중 어느 하나를 손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락킹부(220)를 통해 이동몸체(210)의 이동을 고정시키고, 이동지지패드부(240)의 나비볼트(243)를 회동시켜 이동지지패드(241)를 가압하여 이동지지부(200)가 더욱 견고하게 난간벽(W)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대피자는 고정지지패드부(320)의 비너부(322)에 탈출용로프(R)를 연결하고, 건물 밖으로 탈출할 수 있다.
난간벽(W)의 두께가 도 6의 (a)에 비해 얇은 경우에는, 도 6의 (b)와 같이 이동지지바(230)와 고정지지바(310)를 수직으로 회동시키고, 난간벽(W)의 상부에 난간지지대(100)를 위치시킨다. 이후, 락킹부(220)를 회동시켜 난간지지대(100)의 가압을 해지하여 락킹부(220), 이동몸체(210) 및 회전지지바 중 어느 하나를 손으로 밀어 이동지지패드(241)가 난간벽(W)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이동시키고, 락킹부(220)를 통해 이동몸체(210)의 이동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이동지지패드부(240)의 나비볼트(243)를 회동시켜 이동지지패드(241)를 가압하여 이동지지부(200)가 더욱 견고하게 난간벽(W)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대피자는 고정지지패드부(320)의 비너부(322)에 탈출용로프(R)가 연결된 카라비너(B)를 결합하고, 건물 밖으로 탈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A)의 사용방법은 구성의 조작 순서에 있어 상술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구성의 조작 순서들은 상술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난간벽(W)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난간지지대(100)에서 난간벽(W)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이동지지부(200)가 난간벽(W)의 다른 일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고정지지부(300)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지지부 간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난간벽(W)의 두께 등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난간벽(W) 두께에 의해 클램프 설치가 불가하여 탈출이 불가능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벽(W)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각 지지부(200, 300)의 지지바(230, 310)에 지지날(231, 311)이 형성됨으로써, 클램프(A)가 어긋나더라도 난간벽(W)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탈출 시 클램프(A)가 어긋나는 위급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지지날(231, 311)을 통해 대피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A)는, 화재현장에서 필요시 유리창을 파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의 건물들은 유리창과 난간벽(W)이 일체로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유리창의 파손 없이 본 발명을 설치하여 탈출하기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망치도구 없이 유리창을 파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A)는 락킹부(220)의 일단에 형성된 타격부(430), 고정지지바(3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파지부(410), 난간지지대(10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파지부(420)로 구성된 유리파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격부(430)는 일측이 뾰족하도록 형성되며, 강화유리등을 파손하기 위해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파지부(410)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위치되며, 제2 파지부(4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되어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유리창의 파손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락킹부(220)가 수직으로 되도록 회동시키고, 손으로 제1 파지부(410) 및 제2 파지부(420)를 파지하여 파손하고자 하는 유리창을 타격부(430)로 가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410, 420)와, 유치창을 타격하여 파괴할 수 있는 타격부(430)가 구성되어 탈출망치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클램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비상탈출용 클램프
100: 난간지지대 101: 밀림방지날
102: 걸이홀 103: 고정지지바회동축
110: 이탈방지턱
200: 이동방지부 210: 이동몸체
211: 수직제한턱 212: 이동지지바회동축
213: 락킹부회동축 214: 고정날
220: 락킹부 221: 락킹구
230: 이동지지바 231, 311: 밀림지지날
240: 이동지지패드부 241: 이동지지패드
242: 가압패드 243: 나비볼트
300: 고정지지부 310: 고정지지바
312: 회동결합홀 313: 수직지지면
320: 고정지지패드부 321: 고정지지패드
322: 비너부 322': 비너홀
410: 제1 파지부 420: 제2 파지부
430: 타격부

Claims (10)

  1. 난간벽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난간지지대;
    상기 난간벽의 일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난간지지대의 일측에 구성된 이동지지부; 및
    상기 난간벽의 다른 일측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난간지지대의 다른 일측에 구성된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용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지대는,
    상기 난간벽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밀림방지날;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난간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지지바; 및
    상기 이동지지바의 일단에 구성되며, 상기 난간벽의 측면을 지지하는 이동지지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클램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락킹부가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클램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회동축이 편항된 캠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난간지지대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락킹구;가 구성되고,
    상기 이동몸체는,
    상기 밀림방지날과 대응하는 고정날;이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락킹구가 상기 난간지지대의 상부면을 가압하면, 상기 고정날과 상기 밀림방지날이 결합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클램프.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는,
    하부 일측에 상기 이동지지바의 회전 각도를 수직으로 제한하는 수직제한턱;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클램프.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바는,
    비상탈출용 클램프가 상기 난간벽에서 어긋난 경우, 상기 난간벽의 모서리를 지지하기 위한 밀림지지날;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클램프.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패드부는,
    상기 난간벽의 일측 측면과 밀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이동지지패드; 및
    상기 이동지지패드를 가압하여 밀착력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패드가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클램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가압구는,
    상기 이동지지패드와 일측이 연결된 가압패드; 및
    상기 가압패드와 일측이 연결되고, 회동에 따라 상기 가압패드를 전진 및 후진시켜 고정하는 나비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클램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난간지지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전 각도가 수직으로 제한되도록 상기 난간지지대의 하부와 접촉되는 수직지지면을 포함하는 고정지지바;
    상기 고정지지바의 일단에 구성되며, 상기 난간벽의 일측 측면과 밀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정지지패드; 및 탈출용로프가 연결되는 비너부;를 포함하는 고정지지패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클램프.
KR1020190084291A 2019-07-12 2019-07-12 비상탈출용 클램프 KR102283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291A KR102283776B1 (ko) 2019-07-12 2019-07-12 비상탈출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291A KR102283776B1 (ko) 2019-07-12 2019-07-12 비상탈출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578A true KR20210007578A (ko) 2021-01-20
KR102283776B1 KR102283776B1 (ko) 2021-07-30

Family

ID=7430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291A KR102283776B1 (ko) 2019-07-12 2019-07-12 비상탈출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988B1 (ko) * 2021-02-01 2021-09-27 (주)이룸이앤씨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593A (ja) * 2001-09-18 2003-03-25 Tsutsunaka Sheet Bosui Kk 安全ロープ固定装置
CN201572453U (zh) * 2009-09-29 2010-09-08 侯圣春 卡角救生架
KR101276189B1 (ko) * 2012-09-06 2013-06-18 강민구 달비계용 로프 고정 장치
KR101386989B1 (ko) * 2013-07-08 2014-04-18 권성환 일체형 클램프
KR101426413B1 (ko) 2013-02-20 2014-08-07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비상 탈출장치용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593A (ja) * 2001-09-18 2003-03-25 Tsutsunaka Sheet Bosui Kk 安全ロープ固定装置
CN201572453U (zh) * 2009-09-29 2010-09-08 侯圣春 卡角救生架
KR101276189B1 (ko) * 2012-09-06 2013-06-18 강민구 달비계용 로프 고정 장치
KR101426413B1 (ko) 2013-02-20 2014-08-07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비상 탈출장치용 보조기구
KR101386989B1 (ko) * 2013-07-08 2014-04-18 권성환 일체형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988B1 (ko) * 2021-02-01 2021-09-27 (주)이룸이앤씨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776B1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9147B2 (ja) 建築物での火災・災難避難施設
US20100326768A1 (en) Fall-arrest ladder system
DK3030325T3 (en) Device for evacuation of persons
US5535848A (en) Escape chute
KR100965536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20210007578A (ko) 비상탈출용 클램프
US10619417B2 (en) Pass-through cable grab system
KR102433190B1 (ko) 가변형 지주를 구비하는 자가 구동 비상탈출 장치
KR100794179B1 (ko)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
US6994182B2 (en) Escape device for building
US6286625B1 (en) Rope climbing device
KR101281182B1 (ko) 비상탈출장치
KR100613879B1 (ko) 난간 대피장치
KR20200129324A (ko) 발판의 추락 방지를 제공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102169897B1 (ko) 재난 대피장치
KR101024097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
KR102169896B1 (ko) 안전 대피장치
CN211007383U (zh) 一种新型的逃生栏杆装置
KR20200096053A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1105685B1 (ko) 화재 피난용 하강기구
KR100953410B1 (ko) 중저층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CN111622662B (zh) 一种建筑用的安全爬梯
JP2017209570A (ja) 避難器具
KR102169898B1 (ko) 안전 비상탈출장치
JP5722292B2 (ja) 高層建物用避難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