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097B1 -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 - Google Patents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097B1
KR101024097B1 KR1020090000224A KR20090000224A KR101024097B1 KR 101024097 B1 KR101024097 B1 KR 101024097B1 KR 1020090000224 A KR1020090000224 A KR 1020090000224A KR 20090000224 A KR20090000224 A KR 20090000224A KR 101024097 B1 KR101024097 B1 KR 101024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ok
main body
handl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0984A (ko
Inventor
권오근
Original Assignee
권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근 filed Critical 권오근
Priority to KR102009000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0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0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와 손잡이의 조작으로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완강기를 필요한 인원 수 만큼 구비하고, 일반로프가 아닌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많은 사람이 동시에 안전하게 비상탈출 할 수 있게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는 통상의 완강기에 사용하는 로프보다 견고하고, 하중을 잘견디며, 화재에 노출될시에도 위험성이 적은 와이어와 사용자가 하강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완강기를 구성함으로써 화재와 같은 긴급한 상황의 발생시에 많은 수의 사람이 동시에 안전하고도 신속하게 건물을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완강기, 빌딩용 완강기, 비상탈출용 완강기,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

Description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Obstinate uses the wire}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와 손잡이의 조작으로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완강기를 필요한 인원 수 만큼 구비하고, 일반로프가 아닌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많은 사람이 동시에 안전하게 비상탈출 할 수 있게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완강기는 아파트나 빌딩 등의 고층건물에 각 층마다 설치하여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사람을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하는 역할을 하지만, 주로 합성수지소재의 로프를 권취한 1인용으로 제작되어 한 사람이 완전히 탈출한 후 완강기를 다시 탈출지점으로 되돌린 후에야 다음 사람이 탈출할 수 있게 구성 되어있어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에 시간적 효율성이 낮을뿐만 아니라 탈출용 로프가 화재에 노출될시에는 위험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탈출하는 사람의 하중을 이용하여 낙하속도를 자동 제어하므로 임의적으로 낙하속도를 제어할 수 없어 지상가까이 도달하는 시점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화재와 같은 긴급한 상황의 발생시에 단순한 구조와 손잡이의 조작으로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완강기와 일반로프 보다 강한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통상의 완강기를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노출되는 로프의 위험성을 제거하고, 각 층에 있는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안전한게 건물을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는 전면부(10a)에 와이어(40)가 안치되는 와이어홈(11); 측단부에 고리형의 손잡이(12); 걸고리(16); 걸고리를 고정한 상태에서 걸고리를 회동할 수 있도록하는 걸고리고정핀 (13); 타단부에 고리형 보조손잡이(12a); 보조몸체(20)와 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동작할 수 있게하는 하나 이상의 경첩형 결합소재(15); 및 하단부에 벨트결합고리 (14)가 형성된 주몸체(10)와 전면부(20a)에 주몸체(10)의 와이어홈(11)과 대응하여 와이어(40)를 안치하는 와이어홈(21); 측단부에 고리형 손잡이(22); 주몸체 (10)의 걸고리(16)를 고정시키는 걸고리고정핀(23); 타단부에 주몸체(10)와 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동작할 수 있게하는 하나 이상의 경첩형 결합소재(25); 및 하단부에 벨트결합고리(24)가 형성된 보조몸체(20)의 각 경첩형 결합소재(15,25) 부위가 결합소재 고정핀(30)에 의해 결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벽면에 구비된 와이어 걸이바(60)에 걸쳐진 와이어(40)가 와이어홈 (11,21)에 결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는 통상의 완강기에 사용하는 로프보다 견고하고, 하중을 잘견디며, 화재에 노출될시에도 위험성이 적은 와이어와 사용자가 하강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완강기를 구성함으로써 많은 수의 사람이 동시에 안전하고도 신속하게 건물을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완강기에 관한 도면은 생략되었으며, 종래의 완강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와이어걸이바(60)는 종래의 형태를 사용하지만 여러 사람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제작 하는것을 전제로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완강기는 아파트나 빌딩 등의 고층건물에 각 층마다 설치하여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사람을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합성수지소재의 로프를 권취한 1인용으로 제작되어 한 사람이 완전히 탈출한 후 완강기를 다시 탈출지점으로 되돌린 후에야 다음 사람이 탈출할 수 있게 구성 되어있으나,
본 발명인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는 전면부(10a)에 수직형태의 와이어(40)가 안치되는 상부끝에서 하부끝까지 이어지는 수직형태의 와이어홈(11); 측단부에 고리형의 손잡이 (12); 걸고리(16); 걸고리를 고정한 상태에서 걸고리를 회동할 수 있도록하는 걸고리고정핀(13); 타단부에 고리형 보조손잡이(12a); 보조몸체(20)의 경첩형 결합소재(25)와 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동작할 수 있게하는 하나 이상의 경첩형 결합소재(15); 및 하단부에 벨트결합고리(14)가 형성된 주몸체(10)와 전면부(20a)에 주몸체(10)의 와이어홈(11)과 대응하여 와이어(40)를 안치하는 와이어홈 (21); 측단부에 고리형 손잡이(22); 주몸체(10)의 걸고리(16)를 고정시키는 걸고리고정핀(23); 타단부에 주몸체(10)의 경첩형 결합소재(15)와 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동작할 수 있게하는 하나 이상의 경첩형 결합소재(25); 및 하단부에 벨트결합고리(24)가 형성된 보조몸체(20)의 각 경첩형 결합소재(15,25) 부위가 결합소재 고정핀(30)에 의해 결합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며, 벽면에 구비된 와이어 걸이바(60)에 걸쳐진 와이어(40)가 와이어홈 (11,21)에 결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주몸체(10) 및 보조몸체(20)는 견고성을 위해 금속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금속재를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소재의 무게를 줄이기위해 견고성이 있는 비금속재를 사용할수도 있으며, 와이어(40)와 직접 맞닿아 마찰이 생기는 와이어홈(11,21) 부위만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주몸체(10)와 보조몸체(20)의 전면부(10a,20a)에 형성된 와이어홈 (11,21)의 반지름은 와이어(40)의 반지름보다 크되, 깊이는 와이어(40)의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한다. 예를들어 와이어홈(11,21)의 반지름이"5"라고 가정하면 와이어 (40)의 반지름은 "4"의 비율이 되며, 와이어홈(11,21)의 깊이는 "3"의 비율이 되게하여 와이어홈(11,21) 사이에 와이어(40)를 끼운 상태에서 주몸체(10)와 보조몸체 (20)가 결합소재 고정핀(30)을 중심축으로 도 2와 같이 접어졌을때 와이어(40)가 와이어홈(11,21)사이에 꽉 끼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주몸체(10)의 전면부(10a)와 보조몸체(20)의 전면부(20a)가 평면상에서 보았을때 수평이 아닌 각 손잡이(12,22)쪽이 약간 벌어진 형태가 되게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40)는 많은 사람이 동시에 완강기(1)를 사용하여도 하중을 견딜수있게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마찰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위해 합금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아파트나 빌딩 등에 필요한 수 만큼의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와 탈출용벨트 (51)를 각 층마다 구비하고, 각 층의 특정 벽면에 와이어 걸이바(60)를 구비한 후, 와이어(40)의 한쪽 끝단부는 와이어 걸이바(60)에 걸친 후, 벽면 등에 고정시키고, 타단부는 돌돌감은 상태로 와이어 걸이바(60) 인근에 배치해둔 상태에서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감겨진 와이어(40)를 건물외부로 던진 후, 각층에 구비된 탈출용벨트(51)를 착용한 후,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를 도 1과 같이 펼친상태에서 와이어(40)가 와이어홈(11)에 일치되게 한 후, 도 2와 같이 각 와이어홈(11,21) 사이에 와이어(40)가 꽉 끼게 접은 후, 주몸체(10)의 걸고리(16)를 보조몸체(20)의 걸고리고정핀(23)에 고정시켜 주몸체(10)와 보조몸체(20)가 결합소재 고정핀(30)을 중심축으로 도 1과 같이 펼쳐지지 않도록 한 후, 탈출용벨트(51)에 결합된 하나의 벨트걸고리(50)와 각 벨트결합고리(14,24)를 동시에 결합한 후, 한 손으로는 보조손잡이(12a)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각 손잡이(12,22)를 동시에 잡은 후, 건물밖으로 나가면 탈출하는 사람의 하중에 의해 완강기가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이때, 낙하속도는 걸고리(16)의 고정력에 의해 1차적으로 줄여지며, 벨트걸고리(50)에 하중이 가해지면 각 벨트결합고리(14,24)를 모으는 힘에의해 2차적으로 줄여지며, 손잡이(12,22) 의 쥐는힘에 의해 3차적인 속도가감을 할 수 있으므로 탈출하는 사람은 손잡이(12,22)의 쥐는 힘을 많이 주어 낙하속도를 줄이고, 손잡이 (12,22)의 쥐는 힘을 적게 주어 낙하속도를 높이면서 낙하속도를 조절하여 안전하게 지상으로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40)의 견고성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동시에 탈출하더라도 그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므로, 다음 탈출할 사람은 이전 탈출한 사람이 지상에 도착하는 것과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으며, 상층부에서 와이어(40)를 내려놓으면 중간층 어디서든 그 와이어(4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많은 사람이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의 펼쳐진 형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의 접혀진 형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의 작동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의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완강기 10 - 주몸체
10a, 20a - 전면부 11, 21 - 와이어홈
12, 22 - 손잡이 12a - 보조손잡이
13, 23 - 걸고리고정핀 14, 24 - 벨트결합고리
15, 25 - 경첩형결합소재 16 - 걸고리
20 - 보조몸체 30 - 결합소재고정핀
40 - 와이어 50 - 벨트걸고리
51 - 탈출용벨트 60 - 와이어걸이바

Claims (2)

  1. 전면부(10a)에 와이어(40)가 안치되게 와이어홈(11)이 형성되고, 측단부에 고리형 손잡이(12)가 설치되며, 손잡이(12)가 설치된 측단부의 타단부에 고리형 보조손잡이(12a)가 설치되며, 손잡이(12)의 내측 측단부에 걸고리고정핀(13)이 설치되어 걸고리고정핀(13)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걸고리(16)가 결합 구성되며, 일측에 하나 이상의 경첩형 결합소재(15)가 형성된 주몸체(10)와,
    전면부(20a)에 주몸체(10)의 와이어홈(11)과 대응하여 와이어(40)가 안치되게 와이어홈(21)이 형성되고, 측단부에 고리형 손잡이(22)가 설치되며, 손잡이(22)의 내측 측단부에 주몸체(10)의 걸고리(16)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고리고정핀(23)이 설치되며, 일측에 하나 이상의 경첩형 결합소재(25)가 형성된 보조몸체(20)과,
    주몸체(10)의 경첩형 결합소재(15)와 보조몸체(20)의 경첩형 결합소재(25)가 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동작할 수 있게 각 경첩형 결합소재(15,25) 부위에 결합 형성되는 결합소재 고정핀(30)으로 이루어진 공지된 통상의 완강기(1)에 있어서;
    주몸체(10)의 하단부와 보조몸체(20)의 하단부에 각각 탈출용벨트(51)를 연결한 벨트걸고리(50)가 동시에 결합되도록 한 벨트결합고리(14,24)를 하향 돌출되게 형성하여 벨트걸고리(50)에 하중이 가해지면 벨트결합고리(14,24)가 모아지면서 양측의 주몸체(10)와 보조몸체(20)에 의해서 와이어(40)를 가압하여 낙하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
  2. 제 1항에 있어서, 벽면에 구비된 와이어 걸이바(60)에 걸쳐진 와이어(40)가 와이어홈(11,21)에 결합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
KR1020090000224A 2009-01-05 2009-01-05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 KR101024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24A KR101024097B1 (ko) 2009-01-05 2009-01-05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24A KR101024097B1 (ko) 2009-01-05 2009-01-05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984A KR20100080984A (ko) 2010-07-14
KR101024097B1 true KR101024097B1 (ko) 2011-03-22

Family

ID=4264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224A KR101024097B1 (ko) 2009-01-05 2009-01-05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3921A (zh) * 2012-12-25 2014-07-02 何思妮 新型缓降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864B1 (ko) * 2012-09-05 2014-02-12 곽일호 패스트로프용 하강 덮개 및 이를 구비하는 패스트로프 장비
KR101366718B1 (ko) * 2012-11-12 2014-02-27 김민수 마찰력을 이용한 완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2339U (ja) * 1982-01-21 1983-08-01 大石 厚司 ロ−プ降下具
JPS6010655U (ja) * 1982-12-23 1985-01-24 干山 善幸 降下速度調節装置付き降下装置
US5924522A (en) 1997-05-16 1999-07-20 Ostrobrod; Meyer Cable grab
JPH11319124A (ja) 1996-12-27 1999-11-24 Komet Sa 垂直ケーブル上の落下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2339U (ja) * 1982-01-21 1983-08-01 大石 厚司 ロ−プ降下具
JPS6010655U (ja) * 1982-12-23 1985-01-24 干山 善幸 降下速度調節装置付き降下装置
JPH11319124A (ja) 1996-12-27 1999-11-24 Komet Sa 垂直ケーブル上の落下防止装置
US5924522A (en) 1997-05-16 1999-07-20 Ostrobrod; Meyer Cable grab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3921A (zh) * 2012-12-25 2014-07-02 何思妮 新型缓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984A (ko)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030325T3 (en) Device for evacuation of persons
CN201855512U (zh) 高层火灾、地震逃生装置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024097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완강기
KR100965536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CN104667441B (zh) 楼房折叠逃生箱
KR200469371Y1 (ko) 인명구조용 로프 사다리
KR20090089943A (ko)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FR2918897A3 (fr) Systeme permettant l'evacuation des personnes, par les fenetres des etages superieurs d'une habitation, en cas d'incendie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KR200464759Y1 (ko)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KR101899934B1 (ko) 비상 대피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펜스
CN106837161B (zh) 楼层上下逃生的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985319A (zh) 一种高层楼逃生装置
KR20200072873A (ko)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KR20100137716A (ko) 비상 탈출용 완강기
JP5722292B2 (ja) 高層建物用避難梯子
KR200360280Y1 (ko) 완강기
KR100873784B1 (ko) 배낭형 완강기
KR200405608Y1 (ko) 완강기
KR200303334Y1 (ko) 완강기용 로프 리일
KR200335511Y1 (ko) 완강기
KR100850017B1 (ko) 회전이 가능한 구난겸 베란다 난간
RU13872U1 (ru) 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зданий (варианты) и здание, оборудованное спасательными комплект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