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179B1 -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179B1
KR100794179B1 KR1020050113589A KR20050113589A KR100794179B1 KR 100794179 B1 KR100794179 B1 KR 100794179B1 KR 1020050113589 A KR1020050113589 A KR 1020050113589A KR 20050113589 A KR20050113589 A KR 20050113589A KR 100794179 B1 KR100794179 B1 KR 100794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all
lower frame
upper fram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176A (ko
Inventor
김원구
Original Assignee
김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구 filed Critical 김원구
Priority to KR102005011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179B1/ko
Publication of KR20070055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engthwise adjustable, e.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82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traction cable inside post or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건축물에 외벽에 밀착되고 유사시에 펼쳐져서 피구조인이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공간이 확보되는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는 비상구가 개방될 수 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건축물의 외벽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비상구가 개방될 수 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건축물의 외벽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에 연동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연동시키는 수직바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비상구의 개방과 함께 동시에 펼쳐지므로,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비상구, 발코니, 프레임,

Description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 { A emergency balcony for building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비상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 건축물 2 : 주출입구
3 : 비상구 11 : 외벽
12 : 비상구 13 : 홀더
14 : 회동축 삽입구 21 : 하부 프레임
22 : 정지부 23 : 회동축
24 : 완충 부재 25 : 발판
31 : 상부 프레임 32 : 정지부
33 : 회동축 34 : 완충부재
35 : 후크 36 : 이탈방지부
41 : 수직바 42 : 역회전 방지부
43 : 연결바 51 : 로프
본 발명은 비상구의 외측에 구비되는 발코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건축물에 외벽에 밀착되고 유사시에 펼쳐져서 피구조인이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공간이 확보되는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에 관한 것이다.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에서는 통상적으로 사람이 출입하는 주출입구(2) 외에, 화재와 같은 유사시 건출물의 외부로 대피할 수 있는 통로인 비상구가 반드시 마련되도록 법제화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의 비상구는 건축물의 구조, 규모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를 지니고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1)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비상구(3)만 마련되고, 피구조인이 대피할 수 있는 비상계단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비상구(3)에서는 건축물의 내부에 화재 등으로 인하여 피구조인이 건축물(1)의 외부로 대피하려면, 고가사다리차와 같은 구조수단이 도착하여 설치될 때까지 피구조인이 대기한 후, 구조수단을 통하여 건축물에서 대피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상구(3)에서는 구조수단이 도착 및 설치될 때까지, 피구조인은 건축물(1)의 내부에서 대기하여야 하므로, 화재와 같이 급박한 상황에서 신속히 건축물에서 대피하지 못하여 인명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평상시에도 비상구(3)가 개방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개방된 비상구 (3)를 통하여 인명이 추락하는 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부에 비상구와 연계된 비상계단이 없더라도, 피구조인이 구조수단에 의해서 건축물의 외부로 대피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대기할 수 있는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는 비상구가 개방될 수 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건축물의 외벽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비상구가 개방될 수 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건축물의 외벽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에 연동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연동시키는 수직바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벽에 소정의 간격으로 회동축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상기 회동축 삽입구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회동축이 마련되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외벽에서 선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는 회동축과 인접하여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선회각도를 제한하는 정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정지부의 측면에는 각각 완충부재가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을 파지하여 외벽에 고정시키는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부에는 구조수단을 설치할 수 있는 후크와, 상기 후크에서 구조수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과 건축물의 외벽을 관통하는 로프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1)의 외벽으로 비상구(12)의 하단에 인접하여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21)과, 건축물(1)의 외벽에 회동가능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31)과,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상부 프레임(31)을 연동시키는 수직바(41)를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하부 프레임(21)은 대기중인 피구조인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도록 봉재(棒材) 또는 파이프를 가공하여 형성된다. 하부 프레임(21)은 봉재 또는 파이프를 가공하여 상기 비상구(12)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고, 비상구(12)의 개폐시 건축물(1) 내부의 피구조인이 대기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의 둘레를 갖도록 한다. 또한, 외벽에 상기 건축물(1)의 외벽(11)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21)을 건축물(1)의 외벽(11)에 회동가능하게 구비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 프레임(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동축(23)을 마련하고, 상기 회동축(23)이 삽입되는 회동축 삽입구(14)를 외벽(11)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하여, 상기 회동축 삽입구(14)의 내부에 회동축(23)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하부 프레임(21)이 외벽(11)에 회동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21)이 외벽(11)에 대하여 회동할 때, 소정의 각도 즉, 외벽(11) 및 비상구(12)와 수직 이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동축 삽입구(14)와 인접한 하부 프레임(21)의 일측을 연장하여 절곡한 정지부(22)를 마련한다. 하부 프레임(21)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정지부(22)에 의해서, 상기 하부 프레임(21)이 외벽(11)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정지부(22)는 외벽(11)과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고, 하부 프레임(21)이 외벽(11)에서 회동하여 펼쳐진 상태에서는 정지부(22)는 외벽(11)에 맞닿아 더이상 하부 프레임(21)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정지부(22)에는 측면에 완충부재(24)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21)의 회전으로 정지부(22)가 외벽(11)에 닿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켜, 하부 프레임(21)이 외벽(11)과 수직하게 되는 순간에 정지부(22)가 외벽(11)과 순간적으로 닿아 외벽(11)이 파손되거나 정지부(22)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21)에는 대기중인 피구조인이 대기할 수 있도록 하부 프레임(21)과 수직하게 촘촘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발판(24)을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발판(24)에 의해 피구조인이 대기하도록 한다.
상부 프레임(31)은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건축물(1) 외벽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부 프레임(31)도 상기 비상구(12)의 폭에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갖도록 봉재 또는 파이프를 가공하여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31)은 하부 프레임(21)과 유사한 형태를 갖지만, 비상구(12)에 접하는 쪽은 개방되어 있고, 둘레를 제외한 내부는 비상구(12)가 개폐되고 피구조인이 대기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봉재 또는 파이프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31)은 내부에 비상구(12)가 개방될 수 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상부 프레임(31)은 하부 프레임(21)과 연동되므로 하부 프레임(21)과 상부 프레임(31)은 폭과 길이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프레임(21)이 피구조인의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상부 프레임(31)은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그 상방에 구비됨으로써 피구조인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31)도 하부 프레임(21)과 마찬가지로, 상부 프레임(31)의 일측에 돌출되어 외벽(11)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건출물(1)의 외벽(11)에 구비된 회동축 삽입구(14)에 삽입되는 회동축(33)과, 상부 프레임(31)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부(32) 및 상기 정지부(32)와 외벽(11)의 접촉시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부재(34)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부 프레임(31)의 일측에는 후크(35)와 이탈방지부(36)를 형성하여, 완강기와 같은 구조수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부 프레임(31)의 일측에서 돌출되도록 후크(35)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35)에 이탈방지부(36)를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구조수단을 설치할 수 있지만, 후크(35)로부터 구조수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상부 프레임(31)이 연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하부 프레임(21)과 상부 프레임(31)을 연결하는 수직바(41)를 구비한다. 상단과 하단이 하부 프레임(21)과 상부 프레임(3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수직바(41)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수직바(41)에 의해서 하부 프레임(21)과 하부 프레임(21)이 연동되도록 한다.
이때, 수직바(41)의 하단은 소정의 길이만큼 지면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역회전 방지부(42)를 구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가 작동시, 수직바(41)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수직바(41)들이 작동시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수직바(41)들을 연결하는 연결바(43)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부 프레임(31)과 하부 프레임(21)을 평상시에 외벽(11)과 밀착시키기 위해서 상기 상부 프레임(31) 또는 하부 프레임(21)을 파지하는 홀더(13)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홀더(13)가 상부 프레임(31)을 파지하도록 하여, 사용시 외벽(11)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건축물(1)의 외벽(11)에 하부 프레임(21)과 하부 프레임(21)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화재 등으로 인하여 건축물(1) 내부의 피구조인이 외부로 대피해야 하는 경우, 건축물(1)의 내부에서 외부로 비상구(12)를 개방시킨다.
비상구(12)가 개방되면, 비상구(12)는 상부 프레임(31)을 밀게 된다. 상부 프레임(31)이 비상구(12)에 의해서 밀리면, 상부 프레임(31)은 외벽(11)의 홀더(13)에서 이탈된다.
상부 프레임(31)이 외벽에서 이탈되면, 상부 프레임(31)과 하부 프레임(21)은 외벽(11)에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중력에 의해서 상부 프레임(31)과 하부 프레임(21)이 외벽(11)과 평행한 상태에서 외벽(11)과 수직한 상태로 즉, 지면과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선회한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31)이 비상구(12)에 밀려서 선회하기 시작할 때, 수직바(41)의 하부에 형성된 역회전 방지부(42)에 의해서 상부 프레임(31)과 하부 프레임(21)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프레임(31)이 비상구(12)에 밀려서 하부 프레임(21)보다 먼저 선회하기 시작하면, 경우에 따라서 상부 프레임(31)에 연결된 수직바(41)가 회전하여 수직바(41)의 하단이 하부 프레임(21)은 비상구(12)측으로 압박하여 하부 프레임(21)이 상부 프레임(31)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직바(41)하단의 역회전 방지부(42)가 하부 프레임(21)에 구비된 발판(25)의 외측에 위치하여 수직바(41)가 회전하지 못하게 하므로, 하부 프레임(21)이 상부 프레임(31)과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중력에 의해서 선회하는 상부 프레임(31)과 하부 프레임(21)은 외벽(11)과 수직한 상태가 되면, 하부 프레임(21)과 상부 프레임(31)에 형성된 정지부(22, 32) 에 의해서 더 이상 선회하지 못하고, 외벽(11)과는 수직한 상태 즉, 지면과 평행한 상태가 된다.
이때, 정지부(22, 32)의 후면에는 각각 완충 부재(24, 34)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정지부(22, 32)가 건축물(1)의 외벽(11)에 닿는 순간의 충격을 흡수하므로, 정지부(22, 32)가 외벽(11)에 닿는 충격량을 흡수하여 부드럽게 상부 프레임(31)과 하부 프레임(21)이 외벽(11)과 수직한 상태로 정지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1)과 하부 프레임(21)이 외벽에서 분리되어 펼쳐진 상태(도 3 참조)에서는 상부 프레임(31)과 하부 프레임(21)에 의해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비상구(12)를 통하여 건축물(1) 내부의 피구조인은 발판(25)이 마련된 하부 프레임(21) 상에서 구조수단이 도착 및 설치될 때까지 대기한다. 상부 프레임(31)과 하부 프레임(21)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31)과 하부 프레임(21)에 의해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31)과 하부 프레임(21)을 연결하는 수직바(41)에 의해서 피구조인은 구조될 때까지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으로부터 피구조인은 본 발명의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에서 대기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1) 내부의 긴급상황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 프레임(31)에 후크(35)가 마련되어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완강기와 같은 대피수단이 본 발명의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의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를 비상시 외의 상황 예를 들어, 환기, 청소 등의 목적으로 개방하는 경우에도, 비상구(12)를 통하여 인명이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의 제2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을 위해 펼쳐진 본 발명의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를 당겨서 다시 건축물(1)의 외벽(11)에 밀착시키기 위해서 로프(5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일단이 상부 프레임(31)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건축물(1)의 외벽(11)을 관통하여 건축물(1)의 내부에 위치하는 로프(51)를 마련하여, 상기 로프(51)를 이용하여 펼쳐진 본 발명의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가 외벽으로 선회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31)이 홀더(13)에 파지되도록 함으로써,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가 건축물(1)의 외벽(1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는 건축물의 비상구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창문 등과 같이 외부로 개방된 부분에 설치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에 따르면, 비상구의 개방과 함께 동시에 펼쳐지므로,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대피할 수 있는 공간 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와 같은 비상시 건축물의 내부로부터 대피하여 구조될 때까지 건축물의 외부에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도 비상구를 개방하더라도, 개방된 비상구를 통하여 인명이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비상구가 개방될 수 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건축물의 외벽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
    비상구가 개방될 수 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건축물의 외벽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에 연동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동시키는 수직바를 포함하며,
    건축물의 외벽에 소정의 간격으로 회동축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상기 회동축 삽입구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회동축이 마련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회동축과 인접하여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선회각도를 제한하는 정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정지부의 측면에는 각각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건축물의 외벽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을 파지하여 외벽에 고정시키는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부에는 구조수단을 설치할 수 있는 후크와,
    상기 후크에서 구조수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과 건축물의 외벽을 관통하는 로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
KR1020050113589A 2005-11-25 2005-11-25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 KR100794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589A KR100794179B1 (ko) 2005-11-25 2005-11-25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589A KR100794179B1 (ko) 2005-11-25 2005-11-25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176A KR20070055176A (ko) 2007-05-30
KR100794179B1 true KR100794179B1 (ko) 2008-01-11

Family

ID=3827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589A KR100794179B1 (ko) 2005-11-25 2005-11-25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1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11B1 (ko) 2009-04-29 2009-07-07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23639B1 (ko) 2009-06-01 2009-10-23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43592B1 (ko) 2009-06-22 2011-06-22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43924B1 (ko) 2009-06-29 2011-06-29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셔터형 안전 난간대
KR101080808B1 (ko) 2009-07-03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101191757B1 (ko) 2010-10-01 2012-10-16 (주)아이 에스 피 엘 초고층 건축물 초고층 아파트 화재 무동력 다수인 피난설비(무동력 접이식 수납형 피난데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2460A (zh) * 2020-08-26 2021-01-22 上海三一筑工建设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预制阳台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24B1 (en) * 1993-07-15 1996-07-18 Daewoo Electronics Co Ltd Balustrades safe system
KR20040069307A (ko) * 2004-07-12 2004-08-05 김원구 화재시 대피용 난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24B1 (en) * 1993-07-15 1996-07-18 Daewoo Electronics Co Ltd Balustrades safe system
KR20040069307A (ko) * 2004-07-12 2004-08-05 김원구 화재시 대피용 난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11B1 (ko) 2009-04-29 2009-07-07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23639B1 (ko) 2009-06-01 2009-10-23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43592B1 (ko) 2009-06-22 2011-06-22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43924B1 (ko) 2009-06-29 2011-06-29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셔터형 안전 난간대
KR101080808B1 (ko) 2009-07-03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101191757B1 (ko) 2010-10-01 2012-10-16 (주)아이 에스 피 엘 초고층 건축물 초고층 아파트 화재 무동력 다수인 피난설비(무동력 접이식 수납형 피난데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176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179B1 (ko) 건축물용 비상 발코니
KR101755263B1 (ko) 고층 건축물 소방 화재 진압 장치
KR100640021B1 (ko) 대피용 구조물
KR20110006763A (ko) 화재시 방열천이 덮어주는 베란다 난간대
CN110770404B (zh) 凸阳台护栏兼用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US3575263A (en) Folding fire escape ladder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611406B1 (ko) 조립식 비상탈출 계단
KR101647013B1 (ko)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FR2918897A3 (fr) Systeme permettant l'evacuation des personnes, par les fenetres des etages superieurs d'une habitation, en cas d'incendie
KR101322422B1 (ko) 완강기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KR200420856Y1 (ko) 비상사다리
KR20120028526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80075583A (ko)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안전난간
KR20080010578A (ko) 안전 방범창
KR100596209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건축용 난간 구조
KR200467632Y1 (ko) 안전난간 탈부착 결합구
KR100784482B1 (ko) 비상용 탈출 사다리 장치
KR200344447Y1 (ko) 고층 건물 비상 탈출장치에서의 원심력을 이용한 일정속도 유지장치
JP4874858B2 (ja) 外装装置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20110083818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2612618B1 (ko) 접이식 비상대피장치
KR200341256Y1 (ko)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