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868B1 - 비상탈출용 완강기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868B1
KR102095868B1 KR1020190021016A KR20190021016A KR102095868B1 KR 102095868 B1 KR102095868 B1 KR 102095868B1 KR 1020190021016 A KR1020190021016 A KR 1020190021016A KR 20190021016 A KR20190021016 A KR 20190021016A KR 102095868 B1 KR102095868 B1 KR 102095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winding
descending
descende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스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스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스비씨
Priority to KR102019002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완강기에 있어서, 케이스 내측에는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제1권취부(4)와, 상기 제1권취부(4)의 상부에는 제1권취부(4)에서 풀린 와이어로프가 다시 감겨져 제동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제2권취부(5)를 구성하고, 상기 제1,제2권취부(4)(5)의 양측에는 완강기(100)의 하강에 의한 와이어로프의 풀림시 제2권취부(5)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제동력으로 제2권취부(5)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완강기(100)의 하강속도를 제어하는 감속장치(10)를 구성하며. 케이스의 상부에는 완강기(100)를 이용한 하강시에 탈출자의 조작에 의해 제2권취부(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완강기(100)의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작동레버(40)를 구성하여, 완강기(100)의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위급상황시 탈출자가 당황하기 않고 완강기(100)를 간편하게 조작하여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탈출자가 완강기(100)를 사용함에 있어 하강중 속도조절이 용이하고, 하강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상황에 대응하여 하강중 속도조절, 정지 등의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완강기를 사용함에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며, 완강기(100)를 사용한 후 풀어진 와이어로프를 다시 감을 수 있고 감겨진 와이어로프가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상탈출용 완강기{DESCENDING 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주로 고층건물에서의 화재발생시 비상탈출용으로 사용하는 완강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다세대주택 그리고 일반상업용 건물 등 모든 건물들이 고층화추세에 있으나 비상탈출수단의 미비로 화재시 인명사고가 급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건물의 화재시 인화성이 강한 각종 내부장식재의 연소시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되어 엘리베이터나 비상계단을 통한 대피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또 유독가스 발생시에는 대부분 구조의 손길이 미치기 전에 화를 당하게 되므로 여타 다른 위험상황에 비해 조난자의 능동적인 대처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조난자의 능동적인 대처방안으로서는 건물외부로 탈출을 시도하는 것으로서, 탈출시 완강기를 이용하면 된다 하겠으나, 기존의 완강기는 거의 대부분 단조로운 1차 감속기를 이용하였으나 사용이 복잡한 구조로서, 긴급시에 인명구조용으로 다소 미흡하여 안전성이나 위급상황에 따른 하강속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없어 사용상 위험이 따르게 되며, 구성이 단조로운 관계로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요할 뿐 아니라 분리형 이여서 부피가 크고 50%감속기에 로프가 좁은 공간을 통과하면서 일어나는 마찰식 감속 50%로 작동되는 것임에 따라 일반인들조차 취급하는데 힘이 들고 사용상 부담감이 더해질 수밖에 없어 실사용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존 제품은 각각 설치장소를 실측하여 맞춤제작하여야 재난상황시 사용이 가능하지만 3m를 층고로 계산하여 제품을 생산하여도 재난 발생시 막상 사용하려면 하강높이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특허 제10-0501233호, '비상탈출용 완강기'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완강기의 구조가 간편하여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하강하면서 탈출자에 의한 속도조절이 용이하여 안전하게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완강기의 기능을 개선하여 위급상황시 안전하게 지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완강기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0501233호, '비상탈출용 완강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응급상황시 탈출자가 지상으로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도록 안전성이 개선되고 자동권취로 시간과 인력소비를 막고 빠른 시간 내에 재사용이 가능한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20층 이상의 고층건물의 탈출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완강기의 사용 후 와이어가 자동으로 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빠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강기의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상탈출용 완강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완강기에 있어서, 케이스 내측에는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제1권취부(4)와, 상기 제1권취부(4)의 상부에는 제1권취부(4)에서 풀린 와이어로프가 다시 감겨져 제동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제2권취부(5)를 구성하고, 상기 제1,제2권취부(4)(5)의 양측에는 완강기(100)의 하강에 의한 와이어로프의 풀림시 제2권취부(5)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제동력으로 제2권취부(5)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완강기(100)의 하강속도를 제어하는 감속장치(10)를 구성하며. 케이스의 상부에는 완강기(100)를 이용한 하강시에 탈출자의 조작에 의해 제2권취부(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완강기(100)의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작동레버(4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완강기의 구조는 과학적이나 사용방법은 간단히 함으로써 위급상황시 탈출자가 당황하기 않고 완강기를 간편하게 조작하여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출자가 완강기를 사용함에 있어 하강중 속도조절이 용이하고, 하강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상황에 대응하여 하강중 속도조절, 정지 등의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완강기를 사용함에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완강기를 사용한 후 풀어진 와이어로프를 다시 감을 수 있고 감겨진 와이어가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20층 이상의 고층건물에 설치되어 재난상황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감속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상세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핸들 상세구성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권취부의 자동권치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강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4는 이의 단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완강기(100)는 케이스 내측에는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제1권취부(4)와, 상기 제1권취부(4)의 하부에는 제1권취부(4)에서 풀린 와이어로프가 다시감겨져 제동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제2권취부(5)를 구성하고, 상기 제1,제2권취부(4)(5)의 양측에는 완강기(100)의 하강에 의한 와이어로프의 풀림시 제2권취부(5)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제동력으로 제2권취부(5)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완강기(100)의 하강속도를 제어하는 감속장치(10)가 구성되며, 케이스의 상부에는 완강기(100)를 이용한 하강시에 탈출자의 조작에 의해 감속장치(5)를 제어하여 제2권취부(5)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완강기(100)의 하강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작동레버(40)가 구성된다.
상기 제1권취부(4)는 비상탈출용 완강기(100) 사용을 위한 와이어로프가 감겨져 있으며, 감겨진 와이어로프는 강선을 여러 가닥으로 꼬아 완강기(100) 사용시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권취부(4)의 상부에는 완강기(100)를 이용하여 하강하면서 풀려지는 와이어로프가 다시 감기는 제2권취부(5)를 설치하게 되며,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제2권취부(5)의 회전에 의해 완강기(100)가 자유낙하하지 못하도록 제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제2권취부(5)의 회전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하는 구성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감속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하면서 서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권취부(5)는 제1권취부(4)에서 풀린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권취롤러(6)와, 상기 권취롤러(6)의 측면에 고정설치되어 권취롤러(6)와 함께 회전하는 제1기어(8)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에서와 같이 완강기(100)의 사용시 탈출자의 무게가 제1권취부(4)에 모두 가해져 와이어로프가 끊어지거나 와이어로프에 많은 무게가 실림에 따라 제1권취부(4)에 감길 경우 와이어로프가 엉키거나 슬립이 발생하여 추락사고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무게를 분산시키는 것이다.
즉, 와이어로프에 가해지는 힘을 제1권취부(4)와 제2권취부(5)로 분산시킴으로써 완강기(100)의 사용시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제1권취부(4)에서 풀린 와이어로프는 제2권취부(5)의 권취롤러(6)에 감겨짐에 따라 권취롤러(6)의 회전과 함께 제1기어(8)가 회전하면서 이와 함께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30)가 회전하여 감속장치(10)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권취롤러(6)에는 와이어로프가 다수 회전하여 감겨지게 되며, 이는 금속과 금속의 마찰에 의한 미끄럼이 발생하여 하강시 와이어로프가 슬립이 발생하여 미끄러지면서 급격히 하강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감속장치(10)는 제2권취부(5)의 제1기어(8)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동력이 발생하는 제1제동부(12)와, 완강기(100)를 사용하는 탈출자가 하강속도의 조절을 위해 작동레버(40)를 조작하여 제동력이 발생하는 제2제동부(22)와, 상기 제1,제2제동부(12)(22)와 감속회전축(32)에 의해 연결되어 상부에 설치된 제1기어(8)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제동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30)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많은 양의 와이어로프가 감겨져 있는 제1권취부(4)가 완강기(10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그 하방에 제2권취부(5)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로프는 완강기(100)에 감겨진 상태에서 주로 제1권취부(4)에 감겨 보관되며, 이때 많은 양의 와이어로프가 제1권취부(4)에 감겨지면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집중되어 보관 및 운반시 불편하게 된다.
이를 위해 와이어로프가 많이 감겨있는 제1권취부(4)가 완강기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와이어로프가 풀리면서 제동력이 발생하게 되는 제2권취부(5)는 하부쪽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완강기(100)의 무게중심이 가운데로 오도록 하여 안정감을 갖게되어 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제1,제2제동부(12)(22)를 통해 제동력이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감속장치(10)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6은 제1,제2제동부(12)(22)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제1제동부(12)의 구성을 상세 설명하면, 다수의 격벽에 의해 공간부(16)를 형성하는 브레이크 패드휠(14)과, 상기 공간부(16)에 위치하는 제동패드(18)와, 상시 제동패드(18)와의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휠(14)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마찰밴드(20)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동패드(18)와 마찰밴드(20)의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휠(14)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브레이크 패드휠(14)과 함께 회전하는 제2기어(30)에 의해 제1기어(8)를 감속시켜 결과적으로 권취롤러(6)가 천천히 회전하도록 하여 제2권취부(5)를 통해 풀려지는 와이어로프가 천천히 풀어지도록 하여 완강기(100)의 하강시 자유낙하하지 않고 서서히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브레이크 패드휠(14)의 감속구성을 설명하면, 제2권취부(5)의 권취롤러(6)에 감긴 와이어로프가 상부로 인출되면서 제1기어(8)와 맞물린 제2기어(30)가 증속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며, 감속회전축(32)에 의해 제2기어(30)와 고정된 브레이크 패드휠(14)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력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휠(14)의 공간부(16)에 구비된 제동패드(18)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제동패드(18) 외면에 설치된 마찰밴드(20)와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한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휠(14)의 회전속도가 감속된다.
감속된 브레이크 패드휠(14)의 회전속도는 다시 제2기어(30)를 통해 제1기어(8)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제2권취부(5)가 천천히 회전하도록 하며, 그에 따라 제2권취부(5)에 감긴 와이어로프가 천천히 풀리면서 완강기(100)가 서서히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1제동부(12)에 의해 와이어로프가 서서히 풀리도록 하여 완강기(100)가 천천히 내려오도록 함과 함께 완강기(100)의 탈출자가 스스로 하강속도를 조절하거나 잠시 멈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2제동부(22)를 구성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제동부(22)는 제2기어(30)와 감속회전축(32)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24)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24)의 외부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브레이크 라이닝(26)과,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26)과의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24)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브레이크슈(28)로 구성한다.
완강기(100)의 하강시 탈출자가 작동레버(40)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제동부(12)에 의해 천천히 하강하게 되며, 탈출자가 작동레버(40)를 당기게 되면 하강속도가 더 느려지도록 하거나 정지시키게 된다.
이를 설명하면, 탈출자가 작동레버(40)를 당기게 되면 작동바(42)가 당겨지면서 브레이크슈(28)와 링크연결된 연결핀(44)이 당겨지면서 브레이크슈(28)와 브레이크 라이닝(26)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면서 브레이크 라이닝(26)과 일체로 형성된 브레이크 드럼(24)의 회전을 제동하게 된다.
제동력이 발생한 브레이크 드럼(24)의 회전은 감속회전축(32)을 통해 제2기어(30)를 회전시키며, 제2기어(30)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기어(8)를 감속시킴으로써 제1권취부(4)의 회전이 감속되어 완강기(100)가 천천히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응급상황에 따라서는 탈출자가 작동레버(40)를 서서히 당겨 손의 힘에 의해 설 수 있도록 하여 완강기(100)의 하강을 멈추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상기 작동레버(40)는 탈출자가 한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도시하였으나 제동력을 높이거나 손에 힘이 없는 탈출자를 위해 양손으로 잡고 동시에 조작하여 완강기(100)의 하강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완강기(100)의 타고 지상으로 내려온 후에는 제1권취부(4)에 설치된 핸들(46)로 제1권취부(4)를 회전시켜 와이어로프를 다시 감아 완강기(100)를 재사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핸들(46)의 사용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핸들(46)은 제1권취부(4)와 연결되어 핸들(46)을 회전시켜 제1권취부(4)에 와이어로프가 감기도록 하는 회전축(54)과, 핸들(46)을 돌림으로써 상기 회전축(54)이 회전하도록 하여 와이어로프가 감기도록 하고, 회전축(54)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여 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56)와, 와이어로프를 감지 않는 경우 회전축(54)과 걸림부(5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주는 덮개(62)와, 사용자가 잡고 핸들(46)을 돌릴 수 있는 손잡이(64)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54)은 핸들(46)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제1권취부(4)와 연결되어 회전축(54)이 회전함에 따라 제1권취부(4)가 회전하면서 와이어로프가 감기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54)을 회전시키기 위해 핸들(46) 내에 걸림부(56)를 설치하여 회전축(54)이 제1권취부(4)와 연결된 상태에서 핸들(46)을 돌리면 걸림부(56)의 걸림편이 회전축(54)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림편은 일측은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어 와이어로프를 감기 위해 돌리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에 제1권취부(4)에 감겨진 와이어로프가 풀리지 않도록 걸림편이 걸림홈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즉, 역방향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여 핸들(46)을 역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걸림부(56)가 회전축(54)의 걸림홈에 걸리지 않아 와이어로프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56)의 타측인 걸림편의 반대측에는 스프링(58)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58)이 지지부재(60)에 의해 수축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60)는 나사체결에 의해 핸들(46)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스프링(58)이 수축되도록 지지하는 상태임에 따라 걸림부(56)가 걸림방향으로 밀린 상태가 되어 핸들(46)의 회전시 걸림턱이 회전축(54)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권취부(4)에 와이어로프가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핸들(46)이 접혀져 있는 상태이며, 완강기(100)의 사용 후 와이어로프를 감는 경우에는 도 8에서와 같이 덮개(62)와, 덮개(62) 내측에 수용된 손잡이(64)를 차례대로 펴서 와이어로프를 감게 된다.
즉, 핸들(46)의 미사용시에는 외부로 과하게 돌출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완강기(100) 사용시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와이어로프를 감을 때에는 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완강기(100)를 이용한 하강시 설치된 핸들(46)이 역회전 방지구조에 의해 회전하지 않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권취부(4)를 모터에 의해 회전시켜 자동으로 와이어로프가 감기도록 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완강기(100)는 20층 이상의 고층건물에 설치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것임에 따라 1회 사용 후 빠른 시간 내에 와이어로프를 다시 감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완강기(100) 1회 사용 후 수동으로 와이어로프를 감게 되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재난 상황과 같이 1분 1초가 급박한 상황에서는 이러한 시간을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게 된다.
이를 위해 12V, DC 모터를 사용하여 제1권취부(4)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로프가 빠른시간에 감기도록 함으로써 위급상황시 빠른시간 내에 재사용도 가능하면서 와이어로프를 용이하게 감을 수 있도록 한다.
완강기(100)의 내측, 바람직하게는 완강기(100)에는 발전부(80)가 설치되고, 완강기(100) 내측에는 상기 발전부(8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82)가 설치되며, 완강기(100)의 사용 후 제1권취부(4)를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로프가 자동을 감겨지도록 하는 회전모터(88)가 설치된다.
상기 발전부(80)는 완강기(100)의 사용에 따라 회전하는 제1권취부(4)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게 되며, 발전부(8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충전부(82)에 충전하여 회전모터(88)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충전부(82)는 발전부(80)에 의한 전력충전과 함께 필요시 220v 상용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상용전원공급부(8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충전부(82)에 의한 완충시 제1권취부(4)를 회전시켜 와이어로프를 감는 횟수가 3~4회 정도 될 수 있는 용량의 충전부(82)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발전부(80)에 의한 전력생산은 충전부(82)의 충전상태를 확인한 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충전부(82)가 완충상태에서는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충전부(82)의 충전상태가 30%이하인 경우에는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82)에는 현재 충전부(82)의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충전상태표시부(86)가 설치되며, 충전부(82)의 현재 충전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상용전원공급부(84)에 의해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모터(88)는 제1권취부(4)의 일측에 설치되어 충전부(82)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제1권취부(4)를 모터 회전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핸들에 의해 수동으로 와이어로프를 감는 것에 비해 힘이 덜 들고 빠른 시간 내에 와이어로프를 되감아서 완강기(100)의 재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약자나 어린이가 완강기(100)를 이용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승강기(70)를 설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겁이 많은 어린이들은 아파트와 같은 높은 층에서 완강기(100)를 이용할 경우 신속하게 내려가지 못하거나 겁에 질려 아예 내려가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해 완강기(100)의 하부 고리에 설치할 수 있는 승강기(70)를 별도로 구비하고 베란다에서 승강기(70)에 탑승한 후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기(7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접혀져 있는 상태가 되며, 탈출상황시에는 접혀진 우산을 펴는 것과 같이 넓게 펴 내부에 노약자나 어린이가 탑승가능하도록 한다.
승강기(70)의 바닥에는 다수의 힘살이 형성된 바닥판(72)을 형성하여 소정의 무게를 견디도록 하며, 측면에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접었다 펴기가 용이하도록 하며, 승강기(70) 내부에는 탑승자가 잡을 수 있도록 안전봉(74)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승강기(70)의 하부에는 하강시 지면에 닿는 충격을 완하시키기 위한 안전스프링(76)이 설치되어 탑승자가 지상에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전스프링(76)은 승강기(70의 상부인 완강기(100)와 승강기(70)사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완강기(100)와 승강기(70) 사이에 설치되는 안전스프링은 급작스러운 하강에 따라 와이어로프에 많은 힘이 가해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스프링을 통해 1차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완강기(100)에 별도의 제어기(미도시)를 설치하고 완강기(100)에 매달려 탈출하거나 승강기(70)에 탑승하여 내려가는 경우 탑승자가 소지한 리모컨에 의해 완강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는 완강기(100)는 건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로프를 타고 내려오거나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승강기(70) 내에 탑승하여 하강하는 경우 리모컨에 의한 작동으로 완강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와이어로프를 타고 하강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사람이 탈출하는 경우 마지막에 하강하는 사람은 완강기(100)의 작동시켜줄 사람이 없어 스스로 완강기(100)의 작동을 제어하여야 함에 따라 리모컨을 소지한 상태로 하강하면서 완강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완강기(100)의 작동시 자동으로 인근 소방서에 응급상황을 신고할 수 있는 IOT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완강기(100)는 집안의 무선AP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후 완강기(100)의 작동시 이를 감지한 작동신호를 무선AP로 전송하며, 무선AP에서는 미리 설정된 응급구조신호를 인근 소방서 등에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서 응급상황에서 사용자가 신고를 할 필요 없는 것이다.
응급상황에서 사용자는 탈출을 서두르게 되어 이를 신고할 여력이 없을 것이며, 본인은 탈출할 수 있으나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주택의 경우 아래, 위집은 화재와 응급상황을 인지하지 못하여 더 큰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응급상황을 인지하고 탈출하기 위해 완강기(100)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신고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집안에 감시카메라나 화재감지센서와 같은 센싱부를 설치하고 화재나 연기의 발생시 센싱정보를 무선AP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 전용앱으로 전송하여 화재상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함께 소방서에는 자동으로 화재신고가 접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50은 와이어로프가 인입,인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롤러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a)(2b)-- 케이스 (4)-- 제1권취부
(5)-- 제2권취부 (6)-- 권취롤러
(8)-- 제1기어 (10)-- 감속장치
(12)-- 제1제동부 (14)-- 브레이크 패드휠
(16)-- 안착공간부 (18)-- 제동패드
(20)-- 마찰밴드 (22)-- 제2제동부
(24)-- 브레이크 드럼 (26)-- 브레이크 라이닝
(28)-- 브레이크슈 (30)-- 제2기어
(32)-- 감속회전축 (34)-- 연동회전축
(40)-- 작동레버 (42)-- 작동바
(44)-- 연결핀 (46)-- 핸들
(50)-- 안내롤러 (52)-- 보조롤러
(54)-- 회전축 (56)-- 걸림부
(58)-- 스프링 (60)-- 지지부재
(62)-- 덮개 (64)-- 손잡이
(70)-- 승강기 (72)-- 바닥판
(74)-- 안전봉 (76)-- 안전스프링
(80)-- 발전부 (82)-- 충전부
(84)-- 상용전원공급부 (86)-- 충전상태표시부
(88)-- 회전모터
(100)-- 완강기

Claims (8)

  1. 비상탈출용 완강기에 있어서,
    케이스 내측에는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제1권취부(4)와, 상기 제1권취부(4)의 하부에는 제1권취부(4)에서 풀린 와이어로프가 다시 감겨져 제동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제2권취부(5)가 구성되고,
    상기 제1,제2권취부(4)(5)의 양측에는 완강기(100)의 하강에 의한 와이어로프의 풀림시 제2권취부(5)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제동력으로 제2권취부(5)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완강기(100)의 하강속도를 제어하는 감속장치(10)가 구성되되,
    상기 감속장치(10)는 제2권취부(5)의 제1기어(8)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동력이 발생하는 제1제동부(12)와, 완강기(100)를 사용하는 탈출자가 하강속도의 조절을 위해 작동레버(40)를 조작하여 제동력이 발생하는 제2제동부(22)와, 상기 제1,제2제동부(12)(22)와 감속회전축(32)에 의해 연결되어 상부에 설치된 제1기어(8)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제동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30)로 구성되며,
    케이스의 상부에는 완강기(100)를 이용한 하강시에 탈출자의 조작에 의해 감속장치(5)를 제어하여 제2권취부(5)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완강기(100)의 하강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작동레버(40)와,
    완강기(100)의 사용시 와이어로프가 풀어지면서 회전하는 감속회전축(32)에 발전부(80)와, 완강기(100) 내측에는 상기 발전부(8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82)와, 발전부(80)에 의한 전력충전과 함께 필요시 220v 상용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상용전원공급부(84)와, 현재 충전부(82)의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충전상태표시부(86)와, 완강기(100)의 사용 후 제1권취부(4)를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로프가 자동을 감겨지도록 하는 회전모터(88)가 설치되며,
    완강기(100)에는 노약자와 어린이가 탑승한 상태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7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완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권취부(5)는 제1권취부(4)에서 풀린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권취롤러(6)와, 상기 권취롤러(6)의 측면에 고정설치되어 권취롤러(6)와 함께 회전하는 제1기어(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완강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동부(12)는 다수의 격벽에 의해 공간부(16)를 형성하는 브레이크 패드휠(14)과, 상기 공간부(16)에 위치하는 제동패드(18)와, 상시 제동패드(18)와의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휠(14)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마찰밴드(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완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동부(22)는 제2기어(30)와 감속회전축(32)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24)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24)의 외부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브레이크 라이닝(26)과,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26)과의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24)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브레이크슈(2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완강기.
  6.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2a)(2b) 외측에는 완강기(100)의 하강에 의해 풀려진 와이어로프를 수동을 감기 위한 핸들(46)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완강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완강기(100)는 집안의 무선AP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완강기
KR1020190021016A 2019-02-22 2019-02-22 비상탈출용 완강기 KR102095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16A KR102095868B1 (ko) 2019-02-22 2019-02-22 비상탈출용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16A KR102095868B1 (ko) 2019-02-22 2019-02-22 비상탈출용 완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868B1 true KR102095868B1 (ko) 2020-04-01

Family

ID=7027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016A KR102095868B1 (ko) 2019-02-22 2019-02-22 비상탈출용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8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578B1 (ko) 2020-06-29 2021-04-15 주식회사 미래디앤에스 완강기 보관함
KR102303988B1 (ko) 2021-02-01 2021-09-27 (주)이룸이앤씨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13A (ko) * 2003-12-09 2005-06-14 장영준 비상탈출용 완강기
KR100501233B1 (ko) 2004-03-20 2005-07-18 장영준 비상탈출용 완강기
KR20050108001A (ko) * 2004-05-11 2005-11-16 엄문숙 축전지를 이용하는 자동 완강 장치
KR100851027B1 (ko) * 2007-08-02 2008-08-12 왕종문 비상탈출용 완강기
KR20090131590A (ko) * 2008-06-18 2009-12-29 (주)왕동 연속 하강구조를 갖는 완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13A (ko) * 2003-12-09 2005-06-14 장영준 비상탈출용 완강기
KR100501233B1 (ko) 2004-03-20 2005-07-18 장영준 비상탈출용 완강기
KR20050108001A (ko) * 2004-05-11 2005-11-16 엄문숙 축전지를 이용하는 자동 완강 장치
KR100851027B1 (ko) * 2007-08-02 2008-08-12 왕종문 비상탈출용 완강기
KR20090131590A (ko) * 2008-06-18 2009-12-29 (주)왕동 연속 하강구조를 갖는 완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578B1 (ko) 2020-06-29 2021-04-15 주식회사 미래디앤에스 완강기 보관함
KR102303988B1 (ko) 2021-02-01 2021-09-27 (주)이룸이앤씨 건축물 화재시 이용하는 비상탈출 완강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209B1 (ko)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DK3030325T3 (en) Device for evacuation of persons
US6814185B1 (en) Descent controller with safety brake
KR102095868B1 (ko) 비상탈출용 완강기
US4448284A (en) People rescue device
US4503933A (en) Building evacuation device
KR101977952B1 (ko) 비상탈출용 완강기
JP2005506890A (ja) 建物、ボーリングプラットフォーム、船舶等のような建築物から人を救出するための装置
CN212439743U (zh) 一种无障碍逃生器
KR200190542Y1 (ko) 구조(救助)용 기구
KR102004974B1 (ko) 재난경보시스템을 구비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RU2304991C1 (ru) 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JPH11267230A (ja) 避難用の緩降具
KR200207854Y1 (ko) 휴대형 비상 하강기
CN210933484U (zh) 一种高层火灾速降自救器
CN106730441A (zh) 一种力平衡联动抱闸式制动高楼缓降紧急救生器
CN117180651A (zh) 一种往复式灾难救生装置
JPH0663168A (ja) 安全緩降装置
JP2008154696A (ja) 避難装置
RU41628U1 (ru) С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RU241273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WO1985002125A1 (en) Escape apparatus
KR20050056013A (ko) 비상탈출용 완강기
JPH0349266B2 (ko)
JPH022711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