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519B1 - 완강기 - Google Patents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519B1
KR101197519B1 KR1020110040985A KR20110040985A KR101197519B1 KR 101197519 B1 KR101197519 B1 KR 101197519B1 KR 1020110040985 A KR1020110040985 A KR 1020110040985A KR 20110040985 A KR20110040985 A KR 20110040985A KR 101197519 B1 KR101197519 B1 KR 101197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ail
inn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brake pa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682A (ko
Inventor
박장수
Original Assignee
(주)케이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피엠 filed Critical (주)케이피엠
Priority to KR1020110040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51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는, 건물의 외벽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되, 정면은 개구되며, 내부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되는 고정레일부(100);와, 상기 고정레일부(100)의 정면 개구로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맞닿아 회전되는 롤러(211)가 양측에 구비되는 헤드부(210):와, 이 헤드부(210)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레일부(10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되, 정면이 개구되며, 배면에는 상기 고정레일부(100)의 내주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브레이크 패드(221)가 설치되는 몸체(220);와, 이 몸체(220)의 내주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몸체(220)의 정면 개구로 출입되며, 연결고리와 결합되는 결합봉(231)이 구비된 걸림부(230):와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242)가 구비되되, 상기 걸림부(230)의 내주면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패드(221)와 고정레일부(100)의 내주면이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221)가 고정레일부(100)의 내주면과 이격시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241)가 타측에 구비되는 속도조절레버(240):로 구성되는 하강부(2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레일부가 건물의 외벽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하강부가 고정레일부와 롤러를 매개로 하강되므로 조난자를 고열에 의한 로프의 절단으로 인한 추락위험, 화상 및 호흡곤란 등의 재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완강기{A DESCENDING DEVICE FOR ESCAPE}
본 발명은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정레일부가 건물의 외벽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하강부가 고정레일부와 롤러를 매개로 하강되므로 조난자를 고열에 의한 로프의 절단으로 인한 추락위험, 화상 및 호흡곤란 등의 재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완강기(緩降機)는 고층의 건물에서 화재 또는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조난자를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시키는 비상탈출용 장치로서, 조난자가 급박한 상황을 피하여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지상으로 대피시키는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완강기는 건물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장치에 로프를 설치하고 설치된 로프에 조난자가 매달려 지상으로 안전하게 하강하도록 한다.
그러나,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조난자의 하층으로부터 발생되는 강한 화재열과 유독가스는 건축물의 베란다 및 발코니를 통하여 상층부로 분출되기 때문에, 종래의 로프를 이용한 완강기 로프는 강한 열을 이겨내지 못하고 끊어지는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열과 유독가스에 의하여 조난자가 지상으로 하강하는 동안 화상 또는 유독가스에 의한 호흡곤란 등의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완강기는 조난자를 지상으로 대피시킬 경우 여러명의 조난자를 동시에 대피시키기 어렵울 뿐만 아니라 화재시 당황한 조난자가 지상으로 탈출하기 위해 완강기의 낙하속도를 조절하기 쉽지 않아 추락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레일부가 건물의 외벽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하강부가 고정레일부와 롤러를 매개로 하강되므로 조난자를 고열에 의한 로프의 절단으로 인한 추락위험, 화상 및 호흡곤란 등의 재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완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화재시 조난자가 하강부의 낙하속도를 제어하기 용이하도록 속도조절레버가 구비되어 조난자를 추락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완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는, 건물의 외벽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되, 정면은 개구되며, 내부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되는 고정레일부(100);와, 상기 고정레일부(100)의 정면 개구로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맞닿아 회전되는 롤러(211)가 양측에 구비되는 헤드부(210):와, 이 헤드부(210)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레일부(10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되, 정면이 개구되며, 배면에는 상기 고정레일부(100)의 내주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브레이크 패드(221)가 설치되는 몸체(220);와, 이 몸체(220)의 내주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몸체(220)의 정면 개구로 출입되며, 연결고리와 결합되는 결합봉(231)이 구비된 걸림부(230):와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242)가 구비되되, 상기 걸림부(230)의 내주면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패드(221)와 고정레일부(100)의 내주면이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221)가 고정레일부(100)의 내주면과 이격시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241)가 타측에 구비되는 속도조절레버(240):로 구성되는 하강부(2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부(100)는 정면이 개구된 C형강으로 제작되며, 상기 몸체(220)의 배면에 설치되어 고정레일부(10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자석(222);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220)와 걸림부(230), 상기 걸림부(230)와 속도조절레버(240)의 힌지결합은 1개의 힌지축(250)으로 체결되되, 상기 힌지축(250)은 상기 몸체(220)와 걸림부(230)가 힌지결합되는 제1결합부(251)와 상기 걸림부(230)와 속도조절레버(240)가 힌지결합되는 제2결합부(2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레일부가 건물의 외벽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하강부가 고정레일부와 롤러를 매개로 하강되므로 조난자를 고열에 의한 로프의 절단으로 인한 추락위험, 화상 및 호흡곤란 등의 재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재시 조난자가 하강부의 낙하속도를 제어하기 용이하도록 속도조절레버가 구비되어 조난자를 추락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를 고정레일부에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가 고정레일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의 정면도 및 A-A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고정레일부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가 고정레일부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가 고정레일부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가 고정레일부를 따라 하강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를 고정레일부에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가 고정레일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의 정면도 및 A-A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고정레일부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가 고정레일부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가 고정레일부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완강기의 하강부가 고정레일부를 따라 하강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는, 고정레일부(100)와 하강부(200)가 포함되며, 가이드레일(110), 절곡부(111), 헤드부(210), 롤러(211), 몸체(220), 브레이크 슬롯(221), 걸림부(230), 결합통공(231), 속도조절레버(240), 브레이크 패드(241), 힌지축(250), 제1결합부(251) 및 제2결합부(25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일부(100)는 건물의 외벽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고정레일부(100)는 아파트의 경우 발코니와 발코니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 건물의 경우 창문과 창문 사이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레일부(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이 개구된 C자 형상으로 형성된 C형강일 수도 있는데, 이러한 고정레일부(100)는 정면의 개구를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111)가 연장형성되며, 이 절곡부(111)의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10)이 구비되고, 이 절곡부(111)는 후술할 롤러(2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고정레일부(100) 내부의 양측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레일부(100)는 건물의 외벽에 상하로 설치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과 하층에 각각 연속되게 설치되는 것이 좋을 것이며, 부식이 방지되도록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강부(200)는 사용자가 고정레일부(100)를 따라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의 부재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하강부(200)는 헤드부(210), 몸체(220), 걸림부(230), 속도조절레버(240) 및 힌지축(250)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210)는 조난시 고정레일부(100)의 개구로 최초 삽입되어 하강부(200)와 고정레일부(10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헤드부(210)의 양측에는 롤러(21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롤러(211)는 롤러축(212)을 매개로 헤드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220)는 헤드부(210)의 하부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몸체(220)는 정면이 개구되며, 고정레일부(10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데, 상기 헤드부(210)가 삽입된 후 고정레일부(100)의 내부에 삽입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220)의 배면에는 도 1,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패드(221)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브레이크 패드(221)는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 패드(221)는 후술할 속도조절레버(240)의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221)를 고정레일부(100)의 내벽과 선택적으로 접촉되게 하며, 고정레일부(100)의 내주면과 마찰되면서 하강부(200)의 낙하속도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몸체(220)의 배면에는 자석(22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자석(222)은 상술한 브레이크 패드(221)와 더불어 하강부(200)가 고정레일부(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자석(222) 또한 속도조절레버(240)에 의해 고정레일부(100)의 내벽과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걸림부(230)는 몸체(220)의 내주면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몸체(220) 정면에 형성된 개구로 출입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걸림부(230)의 단부에는 연결고리(미도시)가 결합되는 결합봉(231)이 형성된다.
상기 속도조절레버(240)는 걸림부(230)의 내주면에 힌지결합되어 하강부(200)의 하강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의 부재로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부를 기준점으로 하여 절곡형성되며,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242)가 구비되며, 측단부에는 가이드롤러(2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속도조절레버(240)의 가이드롤러(24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고정레일부(100)의 내주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데, 사용자의 외력이 손잡이(242)에 강하게 작용할 경우 가이드롤러(241)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221)와 자석(222)이 고정레일부로(100)부터 이격된다.
이때, 가이드롤러(240)에 의해 이격되는 브레이크 패드(221)와 자석(222)은 하부의 일부만 이격된다. 이에 따라, 하강부(200)의 급격한 하강, 즉, 하강부(200)가 자유낙하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 패드(221)와 자석(222)이 이격되면 가이드롤러(241)에 의해 하강부(200)는 고정레일부(100)를 따라 하강되며, 이렇게 하강되는 모습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몸체(220)와 걸림부(230)의 힌지결합부와, 걸림부(230)와 속도조절레버(240)의 힌지결합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힌지축(250)에 의해 체결되는데, 상기 힌지축(250)은 몸체(220)와 걸림부(230)가 체결되는 제1결합부(251)와 걸림부(230)와 속도조절레버(240)가 체결되는 제2결합부(252)로 구성되어 걸림부(230)와 속도조절레버(240)는 동시 혹은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완강기의 고정부와 고정레일부를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고정레일부(100)는 건물의 외벽에 상하로 설치된 상태이다.
먼저, 조난자는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비상구로 탈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화재로 인하여 비상구로 향하는 탈출로가 확보되지 못 한경우라 판단되면, 몸에 벨트(미도시)를 착용한 상태로 하강부(200)를 들고 고정레일부(100)로 접근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부(200)를 일측으로 90도 회전시켜 롤러(211)를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한 상태로 헤드부(210)를 고정레일부(100)의 개구로 삽입한다.
이후, 하강부(200)를 타측으로 90도 회전시켜 도 5와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11)를 수평한 상태로 전환시킨 후, 걸림부(230)를 회전시켜 몸체(220)의 개구로 꺼낸다.
상기와 같이 걸림부(230)를 잡아당겨 회전시키면, 걸림부(230)의 내주면에 힌지결합된 속도조절레버(240)도 동시에 꺼내지며, 사용자는 벨트에 구비된 연결고리를 결합봉(231)에 결합한 후 속도조절레버(240)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로 본 발명에 올라탄 후 하측으로 가압하면서 자석과 브레이크 패드가 고정레일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조절하여 지상까지 안전하게 내려온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일부의 하단이 지면으로부터 약 1미터 정도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하강부가 고정레일부로부터 이탈이 용이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하는 순서의 역순으로 작동시켜 하강부(200)를 고정레일부(100)로부터 분리하거나 연결고리를 결합봉(231)으로부터 탈거한 후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고정레일부 110-가이드레일
111-절곡부
200-하강부 210-헤드부
211-롤러 220-몸체
221-브레이크 슬롯 230-걸림부
231-결합봉 240-속도조절레버
241-브레이크 패드 250-힌지축
251-제1결합부 252-제2결합부
253-롤러축

Claims (3)

  1. 건물의 외벽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되, 정면은 개구되며, 내부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되는 고정레일부(100);와
    상기 고정레일부(100)의 정면 개구로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맞닿아 회전되는 롤러(211)가 양측에 구비되는 헤드부(210):와, 이 헤드부(210)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레일부(10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되, 정면이 개구되며, 배면에는 상기 고정레일부(100)의 내주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브레이크 패드(221)가 설치되는 몸체(220);와, 이 몸체(220)의 내주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몸체(220)의 정면 개구로 출입되며, 연결고리와 결합되는 결합봉(231)이 구비된 걸림부(230):와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242)가 구비되되, 상기 걸림부(230)의 내주면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패드(221)와 고정레일부(100)의 내주면이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221)가 고정레일부(100)의 내주면과 이격시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241)가 타측에 구비되는 속도조절레버(240):로 구성되는 하강부(2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부(100)는 정면이 개구된 C형강으로 제작되며,
    상기 몸체(220)의 배면에 설치되어 고정레일부(10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자석(222);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220)와 걸림부(230), 상기 걸림부(230)와 속도조절레버(240)의 힌지결합은 1개의 힌지축(250)으로 체결되되, 상기 힌지축(250)은 상기 몸체(220)와 걸림부(230)가 힌지결합되는 제1결합부(251)와 상기 걸림부(230)와 속도조절레버(240)가 힌지결합되는 제2결합부(2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KR1020110040985A 2011-04-29 2011-04-29 완강기 KR101197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985A KR101197519B1 (ko) 2011-04-29 2011-04-29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985A KR101197519B1 (ko) 2011-04-29 2011-04-29 완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682A KR20120122682A (ko) 2012-11-07
KR101197519B1 true KR101197519B1 (ko) 2012-11-09

Family

ID=4750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985A KR101197519B1 (ko) 2011-04-29 2011-04-29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3435A (zh) * 2016-05-30 2016-08-10 宋浩源 一种多功能智能自动缓降保护器
KR102605802B1 (ko) * 2023-08-24 2023-11-24 김인태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9939A1 (en) 2001-10-31 2003-05-01 Xiaoling Wang Easy and safe descending device
KR101040209B1 (ko) 2009-08-20 2011-06-09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9939A1 (en) 2001-10-31 2003-05-01 Xiaoling Wang Easy and safe descending device
KR101040209B1 (ko) 2009-08-20 2011-06-09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682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67956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ersonal high altitude rappel escape safety device
KR102005895B1 (ko) 비상탈출 장치를 구비한 안전 대피 건물
CN210131264U (zh) 一种高楼逃生装置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0937336B1 (ko) 화재 도피 수단이 구비된 안전 난간대
KR101976476B1 (ko)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KR100860286B1 (ko) 개인용 라펠 탈출 안전장치
KR100522151B1 (ko) 비상 탈출장치
KR101197519B1 (ko) 완강기
US20040118635A1 (en) Apparatus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high building in emergency
CN206319824U (zh) 高楼户外救人布筒梯
US6817443B1 (en) High rise emergency escape apparatus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043604B1 (ko)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KR20090089943A (ko)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US85344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ly lowering user from structure
RU17979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из зданий в аварийных ситуациях
CN206979851U (zh) 高楼救人布道软滑梯
KR20100007575U (ko) 비상탈출장치
CN1820805B (zh) 高楼逃生救生系统
US20030070874A1 (e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TW201922315A (zh) 自由落體式之高樓逃生裝置
KR20100137716A (ko) 비상 탈출용 완강기
CN109865211B (zh) 自由落体式高楼逃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