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802B1 -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802B1
KR102605802B1 KR1020230111439A KR20230111439A KR102605802B1 KR 102605802 B1 KR102605802 B1 KR 102605802B1 KR 1020230111439 A KR1020230111439 A KR 1020230111439A KR 20230111439 A KR20230111439 A KR 20230111439A KR 102605802 B1 KR102605802 B1 KR 10260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loor panel
rail
roll axis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태
Original Assignee
김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태 filed Critical 김인태
Priority to KR102023011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B32B38/1833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 B32B38/1841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during laying up
    • B32B38/185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during laying up combined with the cutting of one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26Cantile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5Movable supporting means
    • B65H2301/41352Movable supporting means moving on linear path (including linear slot arrangement)
    • B65H2301/413523Movable supporting means moving on linear path (including linear slot arrangement) reciprocrating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지지되는 바닥판넬과, 바닥판넬의 양측에 수직 설치되는 측벽과, 양 측벽의 상단에 연결되는 가로바로 구성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측벽에 형성되며 필름 롤이 장착되는 롤축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롤축 고정부; 상기 롤축 고정부의 하부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며,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필름 롤에서 절단된 잔여 필름을 권취하여 수거하는 잔여 필름 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잔여 필름 수거부는 상기 롤축 고정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바닥판넬의 상면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롤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트리밍 샤프트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트리밍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Film lamination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remaining film}
본 발명은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롤투롤 공정을 통해 필름을 합지하고, 규격 외 남은 부위를 절단한 잔여 필름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재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는 필름을 합지하여 포장재 필름을 생산하는 장치이다.
롤 형태로 권취된 필름을 풀어주는 언와인더, 필름에 공정을 수행하는 스테이지 및 필름을 다시 롤 형태로 감아주는 리와인더를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 필름의 이송을 위한 여러 개의 이송 롤러를 구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통상 필름이 권취된 필름공급 권취롤을 운반 및 이동시켜 장착부에 장착하여야 한다.
한편 종래 대형의 필름공급 권취롤을 운반하기 위해 다수의 작업자가 힘들게 운반하여야 하므로 운반 작업이 매우 힘들고, 작업능률의 저하 및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인력으로 감당할 수 없는 대형의 필름공급 권취롤의 승강 작동 및 운반을 자동화시켜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10-2462333호 '필름 합지 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한편 필름 합지 과정은 원단 롤에서 필름을 인출하여 합지작업을 하되 작업요구에 맞도록 폭길이를 설정하여 잔여 부위를 커팅시켜 제거하게 된다.
제거된 잔여 필름, 즉 자투리 필름은 에어 블로잉으로 제거하였으나 작업장의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2462333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름 합지 공정에서 절단 후 버려지는 잔여 필름을 권취시켜 수거하여 작업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자원 재활용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지지되는 바닥판넬과, 바닥판넬의 양측에 수직 설치되는 측벽과, 양 측벽의 상단에 연결되는 가로바로 구성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측벽에 형성되며 필름 롤이 장착되는 롤축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롤축 고정부; 상기 롤축 고정부의 하부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며,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필름 롤에서 절단된 잔여 필름을 권취하여 수거하는 잔여 필름 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잔여 필름 수거부는, 상기 롤축 고정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바닥판넬의 상면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롤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트리밍 샤프트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트리밍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원을 포함하는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잔여 필름 수거부는 바닥판넬 상에서 전후진 왕복구동시키면서 잔여 필름이 트리밍 샤프트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균등권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균등권취수단은 바닥판넬의 상부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 레일과, 상기 몸체의 하부에 레일홈이 형성되며, 레일홈의 내측에는 레일에 지지되는 주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주동기어를 구동시켜 몸체를 이동시켜 레일을 따라 전후진 왕복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이동동력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왕복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설정하는 이동거리 설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거리 설정수단은, 바닥판넬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레일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에 결합되고 슬라이드봉을 타고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며 트리밍 샤프트의 단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이동동력원의 전진 또는 후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이동 속도의 완급을 조절하도록 제동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속도조절수단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레일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패드와, 상기 패드를 이동시켜 레일과 패드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기는 몸체의 하부 측면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노브가 형성된 조절축과, 패드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부에 치차가 직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치차 결합된 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축을 회전시켜 랙기어가 형성된 패드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 합지 공정에서 절단 후 버려지는 잔여 필름을 권취시켜 수거하여 작업장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자원 재활용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에서 '잔여 필름 수거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에서 '잔여 필름 수거부'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의 '균등권취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의 '속도조절수단'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에서 '잔여 필름 수거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에서 '잔여 필름 수거부'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의 '균등권취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의 '속도조절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는, 기대(100), 롤축 고정부(200), 잔여 필름 수거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대(100)는 지면에 지지되는 바닥판넬(120)과, 바닥판넬(120)의 양측에 수직 설치되는 측벽(140)과, 양 측벽(140)의 상단에 연결되는 가로바(160)로 구성된다.
롤축 고정부(200)는 상기 기대(100)의 측벽(140)에 형성되며 필름 롤(F)이 장착되는 롤축(170)의 양단부가 결합되도록 전면이 개구되어 롤축(170)이 삽입되는 끼움홈(222)이 형성된 결합부재(220)와, 결합부재(220)의 끼움홈(222)으로 인입되어 롤축(170)의 이탈을 차단하는 축핀(230)과, 상기 축핀(230)을 인입 또는 인출시키도록 결합부재(220)의 하부 외측에 장착된 실린더유닛(2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축핀(230)이 하강된 상태에서 롤축(170)이 결합부재(220)의 끼움홈(222)에 삽입된 후 축핀(230)이 상승하여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잔여 필름 수거부(400)는 상기 롤축 고정부(200)의 하부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며,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필름 롤(F)에서 절단된 잔여 필름을 권취하여 수거하게 된다.
일 예에 따르면, 잔여 필름 수거부(400)는 상기 롤축 고정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바닥판넬(120)의 상면에 형성된 몸체(420)와,
상기 몸체(420)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롤축(17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트리밍 샤프트(430)와, 상기 몸체(420)에 구비되며 상기 트리밍 샤프트(430)를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원(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리밍 샤프트(430)에는 원판(432)이 결합되어 잔여 필름이 권취되면서 몸체(420)에 밀착되어 회전동력원(440)에 협착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회전동력원(440)은 모터일 수 있고, 트리밍 샤프트(430)를 적정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잔여 필름이 권취될 수 있다.
한편 잔여 필름 수거부(400)는 바닥판넬(120) 상에서 전후진 왕복구동시키면서 잔여 필름이 트리밍 샤프트(430)의 외주면에 균일한 두께로 권취되도록 하여 일부분에 편중되어 권취되는 폐단을 막기 위해 균등권취수단(500);이 구비된다.
일 예에 따르면, 균등권취수단(500)은 바닥판넬(120)의 상부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 레일(510)과, 상기 몸체(420)의 하부에 레일홈(422)이 형성되며, 레일홈(422)의 내측에는 장볼트축(450)에 치차결합되는 주동기어(532)가 형성된 모터(534)를 구비한 이동동력원(530)을 포함하고, 상기 주동기어(532)를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몸체(420)를 이동시키게 되고, 장볼트축(450)을 따라 전후진 왕복 구동시킨다.
따라서 모터(534)가 일방향으로 구동되면 주동기어(532)가 일방향 회전되고 몸체(420)를 레일(510)을 따라서 전진 구동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모터(534)가 타방향으로 구동되면 주동기어(532)가 타방향 회전되고 몸체(420)를 레일(510)을 따라서 후진 구동하게 된다.
한편 몸체(420)의 왕복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설정하는 이동거리 설정수단(60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거리 설정수단(600)은 바닥판넬(120)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레일(51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봉(620)과, 상기 슬라이드봉(620)에 결합되고 슬라이드봉(620)을 타고 이동가능한 슬라이더(640)와, 상기 슬라이더(640)에 형성되며 트리밍 샤프트(430)의 단부를 감지하는 센서(660) 및 상기 센서(66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이동동력원의 전진 또는 후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660)는 광센서일 수 있고, 바닥판넬(120)에 형성된 발광부(662)와, 발광부(662)의 광이 유입되도록 슬라이더(640)에 형성된 수광부(664)로 구성되며, 슬라이더(640)는 슬라이드봉(620)에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에 각기 이격 배치되고, 제1 위치(P1)는 후진 구동의 한계점을 감지하며 제2 위치(P2)를 전진 구동의 한계점을 감지토록 하는 것이다.
광센서(660)는 발광부(662)의 광이 수광부(664)에 상시 조사되다가 트리밍 샤프트(430)의 단부에 인입되어 광의 진로가 차단되면 이동동력원(530)에 신호를 전달하여 역회전 구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동력원(530)의 구동에 의해 트리밍 샤프트(430)가 전진하다가 제2 위치의 센서(660)에 감지되면 다시 후진하고, 후진하다가 제1 위치의 센서(660)에 감지되면 전진하므로 트리밍 샤프트(430)는 왕복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몸체(420)의 이동 속도의 완급을 조절하도록 제동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수단(700);을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속도조절수단(700)은 상기 몸체(420)의 하부에 레일(510)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패드(720)와, 상기 패드(720)를 이동시켜 레일(510)과 패드(720)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조절기(740)를 포함한다.
조절기(740)는 몸체(420)의 하부 측면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노브(743)가 형성된 조절축(742)과,
패드(720)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부에 치차가 직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치차 결합된 랙기어(744)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축(742)을 회전시켜 랙기어(744)가 형성된 패드(72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패드(720)는 몸체(420)의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23)에 삽입되고, 패드(720)의 상면에 랙기어(744)가 형성된다.
몸체(420)의 하부 측면에 수평하게 관통형성된 결합공(421)에 조절축(742)이 나사결합되되 결합공(421)의 일부분이 패드(720)가 결합된 슬라이드홈(423)에 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조절축(742)의 나사산이 패드(720)의 랙기어(744)에 치차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조절축(742)이 정,역회전됨에 따라 패드(720)가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고, 패드(720)의 이동에 의해 레일(510)과의 밀착 강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제동력이 조절된다.
따라서 몸체(420)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려면 조절축(742)을 회전시켜 패드(720)가 전진하여 레일(510)과 밀착력이 강해지게 되어 몸체(420)의 이동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조절축(742)을 반대로 회전시키면 패드(720)가 레일(510)과의 밀착력이 느슨하게 되어 이동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잔여 필름 수거부(400)의 트리밍 샤프트(430)에 권취된 잔여 필름이 소정 두께 권취되면 트리밍 샤프트(430)를 분리하여 잔여 필름을 쉽게 제거하여 수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기대 120 : 바닥판넬
140 ; 측벽 160 ; 가로바
200 : 롤축 고정부 220 : 결합부재
230 ; 축핀 240 : 실린더유닛
400 : 잔여 필름 수거부 420 ; 몸체
440 : 회전동력원 500 : 균등권취수단
510 : 레일 520 : 주동기어
530 : 이동동력원 600 ; 이동거리 설정수단
620 : 슬라이드봉 640 : 슬라이더
660 ; 센서 700 : 속도조절수단
720 : 패드 740 : 조절기

Claims (3)

  1. 지면에 지지되는 바닥판넬과, 바닥판넬의 양측에 수직 설치되는 측벽과, 양 측벽의 상단에 연결되는 가로바로 구성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측벽에 형성되며 필름 롤이 장착되는 롤축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롤축 고정부;
    상기 롤축 고정부의 하부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며,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필름 롤에서 절단된 잔여 필름을 권취하여 수거하는 잔여 필름 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잔여 필름 수거부는
    상기 롤축 고정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바닥판넬의 상면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롤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트리밍 샤프트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트리밍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원을 포함하고,
    상기 잔여 필름 수거부는 바닥판넬 상에서 전후진 왕복구동시키면서 잔여 필름이 트리밍 샤프트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균등권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균등권취수단은
    바닥판넬의 상부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 레일과,
    상기 몸체의 하부에 레일홈이 형성되며, 레일홈의 내측에는 레일에 지지되는 주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주동기어를 구동시켜 몸체를 이동시켜 레일을 따라 전후진 왕복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이동동력원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왕복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설정하는 이동거리 설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거리 설정수단은
    바닥판넬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레일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에 결합되고 슬라이드봉을 타고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며 트리밍 샤프트의 단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이동동력원의 전진 또는 후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이동 속도의 완급을 조절하도록 제동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속도조절수단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레일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패드와,
    상기 패드를 이동시켜 레일과 패드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기는
    몸체의 하부 측면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노브가 형성된 조절축과,
    패드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부에 치차가 직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이 치차 결합된 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축을 회전시켜 랙기어가 형성된 패드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30111439A 2023-08-24 2023-08-24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 KR10260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1439A KR102605802B1 (ko) 2023-08-24 2023-08-24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1439A KR102605802B1 (ko) 2023-08-24 2023-08-24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802B1 true KR102605802B1 (ko) 2023-11-24

Family

ID=8897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1439A KR102605802B1 (ko) 2023-08-24 2023-08-24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80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6003A (ja) * 2009-01-19 2010-07-29 Yamaha Fine Technologies Co Ltd フィルム貼り合わせ装置
KR20120122682A (ko) * 2011-04-29 2012-11-07 (주)케이피엠 완강기
JP2020104899A (ja) * 2018-12-28 2020-07-09 株式会社ハナガタ フィルム包装方法とフィルム包装装置
KR102135724B1 (ko) * 2018-12-26 2020-07-21 주식회사 한화 권취장치
JP2021529003A (ja) * 2018-07-10 2021-10-28 上海現代薬物製剤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Shanghai Modern Pharmaceutical Engineering Research Center Co., Ltd. 錠剤用の連続的スキン包装及びコーティング装置、並びに方法
KR102462333B1 (ko) 2022-06-28 2022-11-01 김인태 필름 합지 장치
KR20230027892A (ko) * 2021-08-20 2023-02-28 대한철강주식회사 리코일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6003A (ja) * 2009-01-19 2010-07-29 Yamaha Fine Technologies Co Ltd フィルム貼り合わせ装置
KR20120122682A (ko) * 2011-04-29 2012-11-07 (주)케이피엠 완강기
JP2021529003A (ja) * 2018-07-10 2021-10-28 上海現代薬物製剤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Shanghai Modern Pharmaceutical Engineering Research Center Co., Ltd. 錠剤用の連続的スキン包装及びコーティング装置、並びに方法
KR102135724B1 (ko) * 2018-12-26 2020-07-21 주식회사 한화 권취장치
JP2020104899A (ja) * 2018-12-28 2020-07-09 株式会社ハナガタ フィルム包装方法とフィルム包装装置
KR20230027892A (ko) * 2021-08-20 2023-02-28 대한철강주식회사 리코일러 장치
KR102462333B1 (ko) 2022-06-28 2022-11-01 김인태 필름 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6729B2 (ja) 光学フィルムの接続装置
KR101641679B1 (ko) 롤테이프 자동절단장치
JP6313115B2 (ja) 自動積層装置における積層位置の補正方法
WO2022110439A1 (zh) 一种帘布全角度自动裁切机
TWI376740B (en) Method for cutting protective tape of semiconductor wafer and apparatus for cutting the protective tape
KR102316831B1 (ko) 연속 필름 공급장치
KR20100080793A (ko) 첨단 복합 맞춤 블랭크의 신속한 자동화 제작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692368B1 (ko) 라벨 시트 절단 장치
JP6893403B2 (ja) 繊維機械の動作方法および繊維機械
CN211307384U (zh) 一种板材贴膜放卷机构及板材贴膜机
JPH0126985B2 (ko)
KR102641768B1 (ko) 권취 유닛
CN1085607C (zh) 在行进的卷筒纸上形成接头的设备和方法
KR102605802B1 (ko) 잔여 필름의 수거가 가능한 필름 합지 장치
TW201611176A (zh) 保護帶貼附方法及保護帶貼附裝置
JP2009242028A (ja) 自動ワインダーの糸解舒補助装置、および自動ワインダー
KR102197322B1 (ko) 호이스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JP2016222435A (ja) ロール支持スタンド
KR101906820B1 (ko) 오토 릴 체인저
KR102487118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KR200348411Y1 (ko) 자동 목재절단기
KR101923601B1 (ko) 디스플레이용 리워크 장치
CN220744431U (zh) 铺纸机的玻璃定位调整装置
KR102224330B1 (ko)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한 허니컴 구조체 제조방법
CN211712241U (zh) 手动布料验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