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358B1 - 질식 소화포 - Google Patents

질식 소화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358B1
KR102171358B1 KR1020200038239A KR20200038239A KR102171358B1 KR 102171358 B1 KR102171358 B1 KR 102171358B1 KR 1020200038239 A KR1020200038239 A KR 1020200038239A KR 20200038239 A KR20200038239 A KR 20200038239A KR 102171358 B1 KR102171358 B1 KR 102171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rear end
fire
gea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근
Original Assignee
고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정근 filed Critical 고정근
Priority to KR102020003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6Fire-blank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5/00Composition of materials for coverings or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포로 질식시키고,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화재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회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질식 소화포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화재가 발생된 차량에 도포되어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질식 소화포{CHOKING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질식 소화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포로 질식시키고,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화재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회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질식 소화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화작업에 사용된 기구로는 소화가스 또는 포말이 살포되는 일반 소화기로서 일회 사용후는 소화제를 재충전하여야 하고 취급 방법이 누가나 알수 있게 상식화되지 않으므로서 활용빈도가 낮아 비상시 원활한 소화작업을 할 수 없었던 결함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0-0000178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575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자동차에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포로 질식시키고,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화재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회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질식 소화포를 제공한다.
일반화재·차량화재·유류화재·위험물화재 등이 발생 시 소화포의 질식으로 신속한 화재 진압 및 유독가스 발생을 감소시켜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하고 질식포 사용 후 소화기의 방사로 일반인도 빠르게 소화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질식 소화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 소화포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화재가 발생된 차량에 도포되어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포는, 기 설정된 비율의 사각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포 본체; 사용자가 상기 포 본체의 각 모서리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포 본체의 4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포 본체에 의해 도포된 차량으로 소화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포 본체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 본체는, 1300℃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실리카 원단, Al2O3 및 Na2O로 제작되며, 난연 실리콘 코팅 처리되며, 아라미드 5380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부착되고, 상기 노즐이 형성된 관통홀을 따라 아라미드 5380에 의해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포를 수납시켜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도록 전면, 후면, 두 개의 측면 및 저면으로 이루어지며,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 박스; 상기 수납 박스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후단이 상기 수납 박스의 개구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덮개; 상기 수납 박스의 이동을 위해 상기 수납 박스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바퀴; 및 상기 두 개의 측면의 각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하 이동홈을 따라 일측 및 다른 일측이 각각 안착되어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을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에 거치시키는 거치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 박스는,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을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들어올린 뒤 상기 수납 박스의 외부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리프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팅부는, 전단이 상기 전면의 상측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U"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을 거치하며, 후단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을 들어올린 뒤 상기 수납 박스의 전단으로 이동시켜 주는 "U"형 거치 바아; 및 전단이 상기 "U"형 거치 바아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덮개의 하측면 후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덮개가 상기 수납 박스의 개구부를 개방시켜 줌에 따라 상기 "U"형 거치 바아의 후단을 승강시켜 주는 지지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 박스는, 상기 리프팅부에 의하여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이 상기 수납 박스의 전단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상기 덮개를 개방시켜 주는 동시에 상기 수납 박스의 후단을 승강시켜 주는 후단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단 승강부는, 상기 수납 박스의 후단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레버; 상기 회전 레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납 박스의 후단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 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기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단을 따라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후면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기어의 후단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렉 기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렉 기어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 박스의 후단이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렉 기어가 하강함에 따라 하강하여 바닥면을 지지하는 승강 바아; 폴딩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를 구비하는 "ㄱ"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수납 박스의 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 바아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강 바아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동하면서 상기 승강 바아를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 링크; 상기 지지 링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덮개의 후단에 형성되는 절개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렉 기어의 전단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렉 기어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덮개를 개방시켜 주는 제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 박스는,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이 바닥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면까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로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납홈에 안착되는 경사 바아; 상기 경사 바아의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수납홈의 상측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기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의 상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며,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상기 "U"형 거치 바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U"형 거치 바아가 회동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 및 상기 상부 기어와 대향하는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에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경사 바아의 상측을 회동시켜 상기 경사 바아가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자동차에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포로 질식시키고,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화재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회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재진압의 신속 및 간편성을 향상시키고, 연속확대방지의 예방성을 향상시키고, 유독가스로부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환경오염의 방지성 및 화재조사 감식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 소화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소화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소화포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식 소화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수납 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리프팅부에 의한 권취롤의 배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수납 박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의 수납 박스의 더욱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 소화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 소화포(10)는, 소화포(100)를 포함한다.
소화포(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화재가 발생된 차량(C)에 도포되어 차량(C)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식 소화포(10)는, 자동차(C)에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포로 질식시키고,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화재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회수할 수다.
도 2는 도 1의 소화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화포(100)는, 포 본체(110), 손잡이(1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130)을 포함한다.
포 본체(110)는,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4:3 또는 3:2, 6M Х 8M 등)의 사각 평면 형태로 형성되며, 각 모서리에 손잡이(12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포 본체(110)는, 1300℃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실리카 원단, Al2O3 및 Na2O로 제작되며, 난연 실리콘 코팅 처리되며, 아라미드 5380에 의해 손잡이(120)가 부착되고, 노즐(130)이 형성된 관통홀을 따라 아라미드 5380에 의해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손잡이(120)는, 사용자가 포 본체(110)의 각 모서리를 파지할 수 있도록 포 본체(110)의 4 모서리 각각에 설치된다.
노즐(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 본체(110)에 의해 도포된 차량(C)으로 소화기(F)를 분사할 수 있도록 포 본체(110)를 관통하고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내열온도 1300℃_ 이상, 무게 33kg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식 소화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식 소화포(20)는, 소화포(100) 및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화포(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스(200)는,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소화포(100)의 권취롤(R)을 내부 공간에 수납시켜 보관한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200)는, 수납 박스(210), 덮개(220), 바퀴(230) 및 거치봉(240)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 박스(210)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도록 전면(211), 후면(212), 두 개의 측면(213) 및 저면(214)으로 이루어지며,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소화포(100)의 권취롤(R)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측 개구부가 덮개(220)에 의해 개폐된다.
덮개(220)는, 수납 박스(210)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후단이 수납 박스(210)의 개구부 후단, 즉 후면(212)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바퀴(230)는, 수납 박스(210)의 이동을 위해 수납 박스(210)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된다.
거치봉(240)은, 두 개의 측면(213)의 각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하 이동홈(S)을 따라 일측 및 다른 일측이 각각 안착되어 소화포(100)의 권취롤(R)을 수납 박스(210)의 내부 공간에 거치시킨다.
도 5는 도 4의 수납 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210)는, 전면(211), 후면(212), 두 개의 측면(213), 저면(214) 및 리프팅부(300)를 포함한다.
리프팅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박스(210)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 소화포(100)의 권취롤(R)을 수납 박스(2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들어올린 뒤 수납 박스(210)의 외부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리프팅부(300)는, "U"형 거치 바아(310a, b) 및 지지 바아(320)를 포함할 수 있다.
"U"형 거치 바아(310a, b)는, 전단이 전면(211)의 상측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U" 형태로 형성되어 수납 박스(210)의 내부 공간에서 소화포(100)의 권취롤(R)을 거치하며, 후단이 지지 바아(320a, b)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수납 박스(2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소화포(100)의 권취롤(R)을 들어올린 뒤 수납 박스(210)의 전단으로 이동시켜 준다.
지지 바아(320a, b)는, 전단이 "U"형 거치 바아(310a, b)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후단이 덮개(220)의 하측면(213) 후단에 고정 설치되며, 덮개(220)가 수납 박스(210)의 개구부를 개방시켜 줌에 따라 "U"형 거치 바아(310a, b)의 후단을 승강시켜 준다.
도 7은 도 4의 수납 박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210)는, 전면(211), 후면(212), 두 개의 측면(213), 저면(214), 리프팅부(300) 및 후단 승강부 (400)를 포함한다.
후단 승강부(400)는, 리프팅부(300)에 의하여 수납 박스(2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소화포(100)의 권취롤(R)이 수납 박스(210)의 전단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덮개(220)를 개방시켜 주는 동시에 수납 박스(210)의 후단을 승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후단 승강부(400)는, 회전 레버(410), 회전축(420), 제1 기어(430), 렉 기어(440), 승강 바아(450), 지지 링크(460), 탄성체(470) 및 제2 기어(48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레버(410)는, 수납 박스(210)의 후단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한 뒤 회전됨에 따라 또는 별도로 구비된 모터 등의 구동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따라 회전함에 따라 연결 설치된 회전축(420)을 회전시켜 준다.
회전축(420)은, 회전 레버(410)에 연결 설치되어 수납 박스(210)의 후단 내측에 안착되며, 회전 레버(41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제1 기어(430)를 회전시켜 준다.
제1 기어(430)는, 회전축(4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회전축(42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여 렉 기어(440)를 승강 또는 회전시켜 준다.
렉 기어(4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단을 따라 기어산을 형성하며, 후면(212)의 내측에서 제1 기어(430)의 후단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기어(430)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승강 바아(45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동시에 제2 기어(480)를 회전시켜 준다.
승강 바아(45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렉 기어(440)의 하측에 설치되며, 수납 박스(210)의 후단이 승강될 수 있도록 렉 기어(440)가 하강함에 따라 하강하여 바닥면을 지지하면서 수납 박스(210)의 후단을 들어올려 준다.
지지 링크(460a, b)는, 폴딩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를 구비하는 "ㄱ"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이 수납 박스(210)의 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승강 바아(45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승강 바아(450)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동하면서 승강 바아(450)를 지지한다.
탄성체(470a, b)는, 지지 링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 링크(460a, b)가 펼쳐질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지지 링크(460a, b)가 펼쳐지도록 한다.
제2 기어(480)는, 덮개(220)의 후단에 형성되는 절개홈(L)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렉 기어(440)의 전단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렉 기어(440)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되어 덮개(220)를 개방시켜 준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의 수납 박스의 더욱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더욱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210)는, 전면(211), 후면(212), 두 개의 측면(213), 저면(214), 리프팅부(300), 후단 승강부(400) 및 경사로부(500)를 포함한다.
경사로부(500)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박스(2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소화포(100)의 권취롤(R)이 바닥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면까지 경사면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로부(500)는, 경사 바아(510), 상부 기어(520), 구동축(530) 및 구동 기어(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 바아(510), 상부 기어(520) 및 구동 기어(5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510a, 510b)(520a, 520b)(540a, 540b)로 형성되거나, 한 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경사 바아(510a, 510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면(21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납홈(A1, A2)에 안착되며, 각 상측에 상부 기어(520a, 520b)가 형성된다.
상부 기어(520a, 520b)는, 경사 바아(510a, 510b)의 각 상측에 구동 기어(540a, 540b)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설치되며, 일측 및 다른 일측이 각 수납홈(A1, A2)의 상측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구동 기어(540a, 540b)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경사 바아(510a, 510b)를 회동시켜 준다.
구동축(53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면(211)의 상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며,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이 "U"형 거치 바아(310)의 전단에 설치되어 "U"형 거치 바아(310)가 회동함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구동 기어(540a, 540b)는, 상부 기어(520)와 대향하는 구동축(53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부 기어(52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구동축(530)에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여 경사 바아(510)의 상측을 회동시켜 경사 바아(510)가 수납홈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사로부(500)는, "U"형 거치 바아(310)가 소화포(100)의 권취롤(R)을 들어올려 주기 위해 전단이 회동하는 경에 "U"형 거치 바아(310)의 전단에 설치되어 "U"형 거치 바아(310)의 전단이 회동함에 따라 구동축(530)이 회전되고, 구동축(530)에 설치되는 구동 기어(540)가 회전되고, 구동 기어(54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 상부 기어(520)가 회전하면서 경사 바아(510)를 회동시켜 소화포(100)의 권취롤(R)이 굴러가기 위한 경사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질식 소화포
100: 소화포
200: 케이스
300: 리프팅부
400: 후단 승강부
500: 경사로부

Claims (2)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화재가 발생된 차량에 도포되어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포;를 포함하되,
    상기 소화포는,
    기 설정된 비율의 사각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포 본체;
    사용자가 상기 포 본체의 각 모서리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포 본체의 4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포 본체에 의해 도포된 차량으로 소화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포 본체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포 본체는,
    1300℃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실리카 원단, Al2O3 및 Na2O로 제작되며, 난연 실리콘 코팅 처리되며, 아라미드 5380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부착되고, 상기 노즐이 형성된 관통홀을 따라 아라미드 5380에 의해 마감 처리되며,
    상기 소화포를 수납시켜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도록 전면, 후면, 두 개의 측면 및 저면으로 이루어지며,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 박스;
    상기 수납 박스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후단이 상기 수납 박스의 개구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덮개;
    상기 수납 박스의 이동을 위해 상기 수납 박스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바퀴; 및
    상기 두 개의 측면의 각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하 이동홈을 따라 일측 및 다른 일측이 각각 안착되어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을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에 거치시키는 거치봉;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 박스는,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을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들어올린 뒤 상기 수납 박스의 외부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리프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부는,
    전단이 상기 전면의 상측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U"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을 거치하며, 후단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을 들어올린 뒤 상기 수납 박스의 전단으로 이동시켜 주는 "U"형 거치 바아; 및
    전단이 상기 "U"형 거치 바아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덮개의 하측면 후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덮개가 상기 수납 박스의 개구부를 개방시켜 줌에 따라 상기 "U"형 거치 바아의 후단을 승강시켜 주는 지지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박스는,
    상기 리프팅부에 의하여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이 상기 수납 박스의 전단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상기 덮개를 개방시켜 주는 동시에 상기 수납 박스의 후단을 승강시켜 주는 후단 승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단 승강부는,
    상기 수납 박스의 후단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레버;
    상기 회전 레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수납 박스의 후단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 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기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단을 따라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후면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기어의 후단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렉 기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렉 기어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 박스의 후단이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렉 기어가 하강함에 따라 하강하여 바닥면을 지지하는 승강 바아;
    폴딩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를 구비하는 "ㄱ"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수납 박스의 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 바아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강 바아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동하면서 상기 승강 바아를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 링크;
    상기 지지 링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덮개의 후단에 형성되는 절개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렉 기어의 전단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렉 기어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덮개를 개방시켜 주는 제2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박스는,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기 소화포의 권취롤이 바닥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면까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로부;를 더 포함하는, 질식 소화포.
  2. 삭제
KR1020200038239A 2020-03-30 2020-03-30 질식 소화포 KR102171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39A KR102171358B1 (ko) 2020-03-30 2020-03-30 질식 소화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39A KR102171358B1 (ko) 2020-03-30 2020-03-30 질식 소화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358B1 true KR102171358B1 (ko) 2020-10-28

Family

ID=7301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239A KR102171358B1 (ko) 2020-03-30 2020-03-30 질식 소화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35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3558A (zh) * 2021-01-21 2021-05-28 深圳惠安天下电气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自动灭火的微型灭火装置
KR102416107B1 (ko) * 2021-07-23 2022-07-06 (주)테크원팩토리 차량용 화재진압 장치
KR102452851B1 (ko) * 2022-02-08 2022-10-11 서울특별시 차량 화재 진압을 위한 폴딩형 소방 장비
WO2022231280A1 (ko) * 2021-04-26 2022-11-03 경기도 전기자동차의 화재 진압을 위한 수조
KR102470858B1 (ko) 2021-08-27 2022-11-25 서한나 살수 구조를 갖는 질식 소화덮개
KR20220162197A (ko)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화재 진압포
KR102491008B1 (ko) * 2021-08-20 2023-01-27 황인숙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장치
KR20230060613A (ko) * 2021-10-27 2023-05-08 (주)신우하이테크 질식소화포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71393A (ko) 2021-11-16 2023-05-23 이호진 방수겸용 질식 소화포
KR102591755B1 (ko) * 2023-04-11 2023-10-20 주식회사 월드세이프 질식포를 이용한 볼라드 장착식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178U (ko) 1988-06-10 1990-01-07 신석균 다목적 손 발 소제구
KR100745170B1 (ko) * 2007-02-13 2007-08-01 주식회사 진흥기공 내열, 내한성 복합 섬유사를 이용한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5750A (ko) 2015-08-31 2017-03-08 이지현 휴대용 화재 진압 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178U (ko) 1988-06-10 1990-01-07 신석균 다목적 손 발 소제구
KR100745170B1 (ko) * 2007-02-13 2007-08-01 주식회사 진흥기공 내열, 내한성 복합 섬유사를 이용한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5750A (ko) 2015-08-31 2017-03-08 이지현 휴대용 화재 진압 매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3558A (zh) * 2021-01-21 2021-05-28 深圳惠安天下电气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自动灭火的微型灭火装置
WO2022231280A1 (ko) * 2021-04-26 2022-11-03 경기도 전기자동차의 화재 진압을 위한 수조
KR20220162197A (ko) 2021-05-31 2022-12-08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화재 진압포
KR102416107B1 (ko) * 2021-07-23 2022-07-06 (주)테크원팩토리 차량용 화재진압 장치
KR102491008B1 (ko) * 2021-08-20 2023-01-27 황인숙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장치
KR102470858B1 (ko) 2021-08-27 2022-11-25 서한나 살수 구조를 갖는 질식 소화덮개
KR20230060613A (ko) * 2021-10-27 2023-05-08 (주)신우하이테크 질식소화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2545730B1 (ko) 2021-10-27 2023-07-03 주식회사 민테크 질식소화포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71393A (ko) 2021-11-16 2023-05-23 이호진 방수겸용 질식 소화포
KR102452851B1 (ko) * 2022-02-08 2022-10-11 서울특별시 차량 화재 진압을 위한 폴딩형 소방 장비
KR102591755B1 (ko) * 2023-04-11 2023-10-20 주식회사 월드세이프 질식포를 이용한 볼라드 장착식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358B1 (ko) 질식 소화포
US3687185A (en) Fire fighting apparatus
WO2022134748A1 (zh) 锂电池防爆箱装置
US4919228A (en) Rescue system for tall buildings
US20080245538A1 (en) Automatic Stove Top Fire Extinguisher
KR20080022480A (ko) 방화구획용 스크린 셔터 장치
CN114319996B (zh) 一种防火应急智能化骨灰盒存放架
CN111467709B (zh) 一种应急防火墙及其扩展臂和底座
JP2008132347A (ja) 防火用スクリーンシャッター
JP4725424B2 (ja) 防火引き戸
CN111467708B (zh) 一种应急防火墙搭建方法
JP4117214B2 (ja) 防火用スクリーンシャッター
CN114173506A (zh) 一种用于高压变频器的隔爆防护装置
JP2018110753A (ja) 消火栓装置
US1295372A (en) Motion-picture-film container.
KR200387981Y1 (ko) 고소 비상탈출용 바스켓
JP3896681B2 (ja) ピッキングフォークリフト
CN115487436B (zh) 一种火灾救援装置
CN220343915U (zh) 一种景区安全中控平台
CN212235708U (zh) 一种移动灭火装置
KR102622154B1 (ko) 질식 소화기능을 갖는 화재 방지시스템
JP7353645B2 (ja) スクリーン装置及び該スクリーン装置用安全器具
KR102591755B1 (ko) 질식포를 이용한 볼라드 장착식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장치
JPH10234877A (ja) 防災シャッター装置
JP2018028198A (ja) 避難用はし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