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969B1 -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969B1
KR101496969B1 KR1020120132524A KR20120132524A KR101496969B1 KR 101496969 B1 KR101496969 B1 KR 101496969B1 KR 1020120132524 A KR1020120132524 A KR 1020120132524A KR 20120132524 A KR20120132524 A KR 20120132524A KR 101496969 B1 KR101496969 B1 KR 101496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nk
main body
rota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239A (ko
Inventor
박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레이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레이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레이저
Priority to KR1020120132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96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링크장치의 구조 및 작동방식을 개선하여 상부덮개가 원치않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충분히 안전한 지점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손쉽게 상부덮개를 닫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안정적이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용 비상탈출장치{The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for building}
본 발명은 비상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상부덮개를 열고 본체를 통해 아래층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부덮개가 원치않게 스스로 닫히지 않도록 하여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상부덮개를 닫을 때 손쉽게 닫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신속한 피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의 발코니 등에는 비상탈출구가 의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탈출구는 각관 형태의 본체 상부면에 상부덮개와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본체 내측면에는 절첩사다리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해당 층의 바닥과 아래층의 천정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에 본체를 삽입시킨 상태로 설치되고, 비상 탈출 시 사용자가 상부덮개를 열어 본체 상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절첩사다리를 아래로 펼친 뒤 본체 내부로 들어가 사다리를 이용해 아래층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사다리를 통해 아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부덮개를 닫아 화염 등이 아래층으로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는데, 상부덮개는 안정적인 회동을 돕기위한 링크를 통해 본체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링크구조는 기본적으로 두개의 링크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하나의 링크프레임의 일단부는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링크프레임의 일단부는 상부덮개에 연결되어 있으며, 각 링크프레임의 타 단부가 상호 회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덮개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두개의 링크프레임이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절첩된 구조가 되고, 상부덮개를 여는 과정에서 두개의 링크프레임이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부덮개가 완전히 열려진 상태에서는 두개의 링크프레임이 직선 형태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기존에는 사용자가 본체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부덮개가 스스로 닫혀지는 것을 막기 위해, 두개의 링크가 직선상태에서 더 회동하여 약간 뒤쪽으로 꺽여진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링크프레임이 상부덮개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구조는 사용자가 본체 안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덮개를 닫기 위해서는 직접 손으로 각 링크프레임 간 연결부위를 앞쪽으로 당겨 링크프레임의 지지력을 해제하는 등의 방법을 취해야 하는데,
이 경우 덮개가 닫혀 각 링크프레임이 절첩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링크프레임 사이에 끼임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매우 크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사용자가 직접 링크프레임을 직접 조작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를 따라 충분히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고 본체의 입구 부근에 위치한 상태여야 하기 때문에, 링크프레임의 지지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부덮개가 빠른속도로 닫혀질 경우 상부덮개가 사용자의 머리에 부딪혀 2차적인 안전사고 발생위험도 크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으로 직접 링크프레임을 조작하지 않고 별도의 장치를 이용해 링크프레임이 작동되도록 해야하는데, 그에 따른 필요장치의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작도 쉽지 않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48128호(2012.05.15)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링크장치의 구조 및 작동방식을 개선하여 상부덮개가 원치않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충분히 안전한 지점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손쉽게 상부덮개를 닫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안정적이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건물용 비상 피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위 과제를 해결함에 있어 링크장치의 구조를 최대한 간소화 시키면서도 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작동구조가 간소해 유지 보수 등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건물용 비상 피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있고 후단부가 본체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개폐 가능한 상부덮개, 상기 상부덮개의 측부 테두리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링크부, 상단부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사다리, 상기 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닫힘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본체 중 상기 닫힘방지부재가 형성된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중심축, 하단부가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되 회동 과정에서 상기 닫힘방지부재의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회동 되며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상단부가 상기 상부덮개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프레임, 상기 링크프레임의 일측면과 마주한 상태로 위치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회동 과정에서 상기 링크프레임과 접촉되어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회동유도부, 상기 회동유도부와 상기 링크프레임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양단부가 각각 제1링크프레임과 회동유도부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링크프레임이 상기 닫힘장지유도부재의 형성구간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압축되어 있고 링크프레임이 회동되는 과정에서 닫힘방지부재의 일측 단부를 벗어남과 동시에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유도부는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프레임, 상기 회동프레임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회동프레임과 함께 회동가능하고 회동과정에서 상기 링크프레임과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는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회동과정에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링크프레임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링크프레임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중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회동프레임 쪽 방향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유도부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프레임과 접촉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자동복귀 유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복귀 유도부재는 상기 회동프레임이 회동하여 상기 링크부재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인장됨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유도부는 상단부가 상기 회동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프레임은 상기 작동와이어를 아래로 당김에 따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상부덮개를 여는 과정에서 링크프레임이 회동하여 닫힘방지부재에 의해 걸린 상태가 됨으로, 반대방향으로의 회동이 차단됨에 따라 상부덮개가 원치않게 닫히는 현상이 방지되고,
이 상태에서 단순히 회동유도부를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링크프레임과 닫힘방지부재 간의 걸림 구조가 해제됨과 동시에 링크프레임의 회동을 유도함으로써, 아주 간단한 구조 및 방식으로 링크프레임의 회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 비해 매우 간소한 구조만으로 링크의 회동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손과 링크프레임 간의 접촉이 필요 없으므로 그에 따른 안전사고 등도 방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접촉부재에 경사면을 형성시킴에 따라, 링크프레임이 회동유도부의 회동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중심축 길이방향으로의 직선이동 및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회동이 동시에 유도됨으로, 각 작동에 필요한 구조를 별도로 구현할 필요가없어 제작 및 구조가 간소해 지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회동유도부의 회동 후 자동복귀 유도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됨으로 이후 상부덮개의 반복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작동와이어가 회동유도부에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가 사다리를 이용해 충분히 아래로 내려간 상태에서 작동와이어를 잡아당겨 상부덮개를 닫을 수 있음으로, 사용자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단순히 링크프레임의 전후 회동과정에서 링크프레임의 회동 제어가 이루어짐으로 기존에 비해 링크프레임의 회동 제어구조가 간소해짐으로 제작이 간소해지고, 제작단가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링크부의 확대 분해사시도
도3은 링크부의 확대 결합사시도
도4는 상부덮개가 닫혀진 상태의 측단면 개략도
도5는 도4 상태의 일부 확대 정단면 개략도
도6은 상부덮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 개략도
도7은 도7 상태의 일부 확대 정단면 개략도
도8은 회동유도부에 의해 제1프레임과 닫힘방지 부재 간의 걸림 해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 개략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건물용 비상 탈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상부덮개(200), 링크프레임(500) 및 사다리(8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의 지지체 역할 및 피난자의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 링 형태이고, 건물 해당 층 바닥에 형성된 통공(미도시)에 삽입되며, 둘레면이 통공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둘레면에는 건물 통공(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플레이트(110)가 설치되고 내부 후측면에는 후설 할 윈치부(810) 등의 설치 된다.
참고로 상기 본체(100)의 형상은 반드시 사각링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원형링 구조 등 피난자의 통과가 용이한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형 구현이 가능하다.
삭제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상부덮개(200)는 본체(100)의 통로 개폐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개(200)는 본체(100)의 상부면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본체(100)의 상부면 후측 테두리에 힌지(210)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상부덮개(200)는 본체(100) 상부면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부면이 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보행 등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덮개(200)의 두께 및 지면과의 높이 차는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상부덮개(200)는 금속 등의 강성 재질을 사용하여 파손의 우려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 시 열전도율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상부덮개(200)를 손으로 잡아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상기 상부덮개(200)까지 설치된 본체(100)에 설치되는 닫힘방지부재(300)는 링크프레임(500)의 회동 차단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각 블록 형태이고, 본체(100)의 일 측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닫힘방지부재(300)의 전후 길이는 링크프레임(500)의 전후 회동거리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닫힘방지부재(300)는 링크프레임(500)의 회동 경로를 따라 호(Arc)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링크프레임(500)의 회동 과정에서 일 측이 닫힘방지부재(300)의 단부에 정확히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닫힘방지부재(300)가 형성되는 본체(100)의 면에 형성되는 중심축(400)은 링크프레임(500)와 탄성부재(600) 및 회동유도부(700)의 설치기능과 더불어 링크프레임(500)의 회동 기준점 역할은 물론 회동 제어에 필요한 직선이동 경로 역할을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중심축(400)은 단순 봉 형태이고 일단부가 본체(100)의 내측면 중 닫힘방지부재(300)의 아래 지점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중심축(400)은 본체(100)의 내측면 중 상호 마주보는 면에 대칭 형태로 형성된다.
삭제
참고로 도면에서 상기 중심축(400)은 원형 봉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봉 형태 등 링크프레임(500)과 회동유도부(700)와의 결합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힌다.
삭제
상기 중심축(400)까지 설치된 본체(100)에 설치되는 링크프레임(500)은 상부덮개(200)의 원활한 개폐유도기능 및 지지체 역할과 함께 제1피난 과정에서 상부덮개(200)가 원치 않게 닫히는 현상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링크프레임(500)은 제1프레임(510)과 제2프레임(520)으로 분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프레임(510)은 링크프레임(500) 중 중심축(400)과의 연결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프레임 형태이고 하단부가 중심축(400)에 의해 관통 되어진 형태로 중심축(400)과 연결되어 중심축(400)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기 제1프레임(510)은 두 개가 구비되어 양 중심축(400)에 상호 대칭 형태로 연결 설치된다.
이때 양 제1프레임(510) 중 닫힘방지부재(300) 쪽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510)은 하단부가 중심축(400)의 중간 부근에 위치되어 중심축(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닫힘방지부재(300) 쪽을 향해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510)은 닫힘방지부재(300)를 향하는 면이 닫힘방지부재(300)의 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회동하고 [도 6]과 같이 후측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닫힘방지부재(300)의 후단부를 벗어난 지점까지 회동이 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프레임(510)의 전측 테두리에는 제1프레임(510)의 후측 회동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걸림편(512)이 상단부까지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510)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프레임(520)과의 링크결합을 위한 링크축(514)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510)과 함께 링크프레임(500)을 구성하는 제2프레임(520)은 제1프레임(510)과 상부덮개(200)를 연결하는 역할 및 제1프레임(510)과 더불어 상부덮개(200)의 회동 시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1프레임(510)과 마찬가지로 일정두께를 갖는 프레임 형태이고 하단부가 각 제1프레임(510)의 상단 링크축(514)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프레임(510)과 제2프레임(520)은 링크축(514)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각 제2프레임(520)은 하단부의 전측테두리가 제1프레임(510)의 걸림편(512) 후측에 위치되어 각 제1프레임(510)이 후측을 향해 회동하는 과정에서 각 걸림편(512)과 각 제2프레임(520)의 전측 테두리 간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제1프레임(510)과 연결된 각 제2프레임(520)은 상단부가 상부덮개(200)의 하부면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별도의 연결바(522)를 통해 각 제2프레임(520)의 상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각 제2프레임(520)은 연결바(522)에 의해 상호 동시에 회동 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삭제
상기 링크프레임(500)이 설치된 중심축(400)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00)는 링크프레임(500)과 닫힘방지부재(300) 간의 걸림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탄성부재(600)는 일반적인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400)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00)는 중심축(400) 중 제1프레임(510)을 사이에 두고 본체(100)와 대칭되는 지점에 위치되고, 탄성력이 제1프레임(510)을 향해 작용 되도록 위치된다.
삭제
상기 탄성부재(600)가 설치된 중심축(400)에 연결되는 회동유도부(700)는 제1프레임(510)이 닫힘방지부재(300)에 걸려 회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510)과 닫힘방지부재(300)의 걸림을 해제시킴과 동시에 제1프레임(510)을 회동시켜 최종적으로 상부덮개(200)의 자동닫힘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유도부(700)는 회동프레임(710)과 작동와이어(720), 접촉부재(730) 및 자동복귀 유도부재(740)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프레임(710)은 후설 할 접촉부재(730)와 제1프레임(510) 간의 접촉 및 해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정두께를 가지는 바 형상으로 중간지점이 중심축(4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프레임(710)은 중심축(400)을 중심으로 하여 시소 형태로 양방향 회동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회동프레임(710)은 중심축 중 탄성부재(600)를 사이에 두고 제1프레임(510)과 대칭되는 지점에 위치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600)는 제1프레임(510)과 회동프레임(71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제1프레임(510) 및 회동프레임(710)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600)는 제1프레임(510)이 닫힘방지부재(300)의 형성 구간에 위치하였을 때에는 압축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510)이 후측으로 회동하여 닫힘방지부재(300)의 후단부를 벗어남과 동시에 탄성력이 발생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참고로 상기 탄성부재(600)는 코일스프링로 한정되지 않고, 위 설명과 같이 제1프레임(510)과 회동프레임(71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510)의 회동 시 제1프레임(510)을 본체 쪽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회동프레임(710)의 전측 단부에는 작동와이어(720)가 연결되는데, 작동와이어(720)는 근거리에서 사용자가 회동프레임(71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와이어 형태이고 상단부가 작동와이어(720)의 전측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아래를 향해 늘어져 있는 상태로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후술하는 사다리를 타고 아래로 내려온 상태에서 상기 작동와이어(720)를 아래로 당기면 회동프레임(710)이 전측을 향해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상기 작동와이어(720)를 생략하고 사용자가 회동프레임(710)을 직접 잡아 회동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작동와이어(720)가 연결된 회동프레임(710)에는 접촉부재(730)가 연결된다.
상기 접촉부재(730)는 회동프레임(710)의 회동과정에서 제1프레임(510)과 접촉되어 제1프레임(510)을 강제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이고 하단부가 회동프레임(710)의 후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위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위치된다.
이러한 상기 접촉부재(730)는 상단부가 제1프레임(510)의 후측테두리와 접촉 가능하도록 위치되어 회동프레임(710)의 회동과정에서 함께 회동하면서 제1프레임(510)의 후측테두리와 접촉되어 제1프레임(510)을 앞쪽으로 밀어내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730)의 상단부, 즉 제1프레임(510)과 접촉되는 지점에는 경사면(732)이 형성됨에 따라 회동프레임(710)의 회동에 의해 접촉부재(730)가 제1프레임(510)을 앞쪽으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제1프레임(510)이 경사면(73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중심축(400)의 길이방향, 즉 회동프레임(710)쪽을 향해 직선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설치된 상기 접촉부재(730)와 함께 회동유도부(700)를 구성하는 자동복귀 유도부재(740)는 회동프레임(710)이 앞쪽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자동 복귀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코일 스프링 형태이고 전단부가 회동프레임(710)의 후측단부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본체의 후측 내측면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복귀 유도부재(740)는 작동와이어(720)에 의해 회동프레임(710)이 앞쪽으로 회동 되는 과정에서 인장됨과 동시에 반대쪽으로 탄성력이 작용됨에 따라 작동와이어(720)를 놓음과 동시에 회동프레임(710)이 반대쪽으로 자동 회동 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상기 자동복귀 유도부재(740)는 코일스프링으로 한정되지 않고 고무줄 등 회동프레임(710)을 자동으로 회동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적용이 가능하다.
삭제
상기 회동유도부(700)까지 설치된 본체(100)에 설치되는 사다리(800)는 사용자가 본체(100)를 통과해 아래층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단부가 본체의 후측 내측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100) 하부 향해 배열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사다리(800)는 자체적으로 상하 절첩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길이가 줄어든 상태에서 사용 시에는 아래를 향해 인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상기 사다리(800)는 절첩구조 외에 항시 본체(100) 하부로 늘어져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본체를 통과해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조라면 봉이나 와이어 형태 등으로도 변형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사다리를 절첩구조로 적용하였을 경우, 본체(100)에는 사다리의 자동 길이조절을 위한 윈치부(810)가 설치된다.
상기 윈치부(8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윈치 형태로 구현되고 와이어(820)를 통해 구동부와 사다리(800)가 연결되어 와이어(820)의 풀림과 감김 과정에서 사다리의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다.
삭제
상기 사다리(800)까지 설치된 본체(100)에 연결되는 하부덮개(900)는 본체(100)의 하부개폐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부덮개(200)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일단부가 본체(100)의 하단 일측 테두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렇게 상기 하부덮개(900)가 설치됨에 따라 본체(100) 내부의 구조가 아래층에 노출되지 않음은 물론, 상부덮개와 더불어 화염 등의 차단 기능을 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상부덮개(200)만으로 화염의 차단이 충분히 가능하고 본체 내부의 노출 여부에 구애받지 않는다면 하부덮개(9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평상시에는 [도 4]와 같이 상부덮개(200)가 본체(100) 상부를 덮고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링크프레임(500)의 제1프레임(510)과 제2프레임(520)은 링크축(51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꺾여진 상태가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프레임(510)은 중심축(400)을 중심으로 앞쪽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회동되어 있고 상기 제2프레임(520)은 상단부가 아래로 하강하여 상부덮개(200)와 수평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510)은 닫힘방지부재(300)의 형성구간, 즉 상기 닫힘방지부재(300) 중 제1프레임(510)을 향하는 면 상에 위치되는데,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 상태에서는 [도 4]와 같이 탄성부재(600)가 압축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회동프레임(710)은 상부덮개(200)와 수평에 가까운 상태이고 접촉부재(730)는 제1프레임(510)의 후측 테두리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이다.
만약 해당 층에서 화염 등이 발생하여 아래층으로 피난해야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상부덮개(200)를 들어올려 상기 본체(100) 상부를 개방시킨 뒤 상기 본체(100) 안으로 들어가 사다리(800)를 이용해 아래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개방을 위해 상부덮개(200)를 위쪽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상부덮개(200)가 들어 올려짐에 따라 제2프레임(520)도 함께 들어 올려지고, 이로 인해 상기 제1프레임(510)은 중심축(400)을 중심으로 후측으로 회동 되어 [도 6]과 같이 제1, 2프레임(510)(520)이 거의 일직선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510)의 걸림편(512)이 제2프레임(520)의 전측 테두리에 걸쳐짐에 따라 제1프레임(510)은 더 이상 후측으로 회동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제1프레임(510)의 후측회동 과정에서 탄성부재(600)는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고, 제1프레임(510)의 걸림편(512)이 제2프레임(520)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1프레임(510)은 닫힘방지부재(300)의 후단부를 벗어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프레임(510)의 후단부를 벗어남에 따라 제1프레임(510)에 의한 탄성부재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탄성부재(600)는 탄성력에 의해 제1프레임(510)을 본체 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프레임(510)은 [도 7]처럼 중심축(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를 향해 직선이동되어 전측 테두리가 닫힘방지부재(300)의 후단부에 걸린 상태가 됨에 따라 앞쪽을 향한 회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제1프레임(510)은 닫힘방지부재(300)에 의해 앞쪽으로의 회동이 차단되고 걸림편(512)에 의해 뒤쪽으로의 회동이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부덮개(200)는 닫혀지지 않고 열려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피난자는 윈치부(810)를 이용해 사다리를 아래로 펼친 뒤 본체(100) 안으로 들어가 사다리를 통해 아래층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사다리(800)의 하단 부근까지 내려온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회동유도부(700)의 작동와이어(720)를 아래로 당기면 회동프레임(710)이 중심축(400)을 회동하여 전측은 아래로 회동되고 후측은 위쪽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되고, 후측이 들어 올려짐에 따라 자동복귀 유도부재(740)는 인장된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회동프레임(710)의 접촉부재(730)의 상단부가 제1프레임(510)의 후측 테두리에 접촉됨에 따라 접촉부재(730)가 제2프레임(520)을 앞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하지만 이때 제1프레임(510)은 닫힘방지부재(300)에 걸려 앞쪽으로의 회동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제2프레임(520)은 앞쪽으로 회동하지 않고 접촉부재(730)의 경사면(732)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중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동프레임(710)쪽을 향해 직선이동 된다.
이렇게 제1프레임(510)이 회동프레임(710)을 향해 직선이동됨에 따라 탄성부재(600)는 다시 압축되고, 직선이동에 의해 회동프레임(710)의 전측테두리와 닫힘방지부재(300) 간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 과정에서 접촉부재(730)가 제1프레임(510)을 앞쪽으로 밀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1프레임(510)은 닫힘방지부재(300)와의 걸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중심축을 중심으로 앞쪽을 향해 회동 된다.
이로 인해 제2프레임(520)도 회동하여, 결국 상부덮개(200) 회동하여 본체(100) 상부를 덮개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단순히 회동프레임(710)의 회동 작동에 의해 제1프레임(510)과 닫힘방지부재(300) 간의 걸림이 해제되어 제1프레임(510)의 회동에 의한 상부덮개의 회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제1링크프레임(500)을 직접 만지지 않고 충분히 아래로 내려간 상태에서 상부덮개를 닫을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전한 피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닫힘 과정에서 상부덮개가 사용자 머리에 부딪히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회동프레임(710)만의 회동을 통해 제1프레임(510)의 회동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제1회동프레임(710)의 회동재개 구조가 훨씬 간소하게 구현될 수 있어, 제작이 손쉽고 제작 단가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렇게 상부덮개(200)가 닫힌 상태에서 작동와이어(720)를 놓으면 인장되어 있던 자동복귀 유도부재(74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프레임(710)이 반대로 회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링크프레임(500)의 회동 과정에서 닫힘방지부재에 의한 링크프레임(500)의 회동차단 및 회동프레임의 회동에 의한 링크프레임(500)의 회동 재개를 통해 상부덮개의 닫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링크프레임의 회동제어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본체
110 : 결합플레이트 200 : 상부덮개
210 : 힌지 300 : 닫힘방지부재
400 : 중심축 500 : 링크프레임
510 : 제1프레임 512 : 걸림편
314 : 링크축 520 : 제2프레임
522 : 연결바 600 : 탄성부재
700 : 회동유도부 710 : 회동프레임
720 : 작동와이어 730 : 접촉부재
732 : 경사면 740 : 자동복귀 유도부재
800 : 사다리 810 : 윈치부
820 : 와이어 900 : 하부덮개

Claims (6)

  1.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외부 둘레에는 건물 통공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플레이트가 설치되며, 내부 후측면에는 윈치부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후단부가 상기 본체의 힌지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개폐되는 상부덮개;
    상기 본체와 상부덮개의 측부 테두리를 연결하는 링크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윈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윈치부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길이조절되는 사다리;
    상기 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닫힘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닫힘방지부재가 형성된 본체의 내측면에 돌출장착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 제1프레임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상부덮개에는 제2프레임의 상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상단부와 제2프레임의 하단부는 링크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작동시 상기 제1프레임은 닫힘방지부재의 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회동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링크축을 따라 연동작동하는 링크프레임;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고 회동작동되는 회동프레임, 상기 회동프레임의 일단부에 돌출형성되면서 회동프레임의 작동에 따라 연동작동되어 상기 링크프레임과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접촉부재, 상기 본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회동프레임 또는 접촉부재에 연결되는 자동복귀 유도부재, 상기 회동프레임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작동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작동와이어의 작동에 따라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프레임이 회동작동하고 일단부에 위치한 접촉부재는 연동작동하면서 경사면이 링크프레임과 접촉되어 상기 링크프레임을 회동시키는 회동유도부;
    상기 회동유도부와 링크프레임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각각 제1프레임과 회동유도부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건물용 비상 대피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링크프레임이 닫힘방지부재의 형성구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압축되고 상기 링크프레임이 닫힘방지부재의 일측 단부를 벗어남과 동시에 팽창되는
    건물용 비상대피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132524A 2012-11-21 2012-11-21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1496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524A KR101496969B1 (ko) 2012-11-21 2012-11-21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524A KR101496969B1 (ko) 2012-11-21 2012-11-21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239A KR20140065239A (ko) 2014-05-29
KR101496969B1 true KR101496969B1 (ko) 2015-03-05

Family

ID=5089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524A KR101496969B1 (ko) 2012-11-21 2012-11-21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9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856A (ko) * 2021-07-16 2023-01-26 황찬환 하향식 피난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1007B2 (ja) 2014-08-20 2020-04-15 日産化学株式会社 過酸化水素の安定化剤を含有するエポキシ化合物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289A (ko) * 2009-09-11 2010-10-27 김문찬 해치형 피난장치
KR20110064358A (ko) * 2009-12-08 2011-06-15 (주)안용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KR20120053139A (ko) * 2010-11-17 2012-05-25 에스제이테크윈(주)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289A (ko) * 2009-09-11 2010-10-27 김문찬 해치형 피난장치
KR20110064358A (ko) * 2009-12-08 2011-06-15 (주)안용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KR101064721B1 (ko) * 2009-12-08 2011-09-14 (주)안용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KR20120053139A (ko) * 2010-11-17 2012-05-25 에스제이테크윈(주)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856A (ko) * 2021-07-16 2023-01-26 황찬환 하향식 피난구
KR102602687B1 (ko) * 2021-07-16 2023-12-13 주식회사 전진소방안전 하향식 피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239A (ko)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6511B2 (ja) 避難装置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757466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KR101065487B1 (ko) 피난용 사다리
KR101496969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1230005B1 (ko) 해치형 구조대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US20090025295A1 (en) Protection System for Motorized Pedestrian Access Passageways
US4916862A (en) Ceiling access panel
KR101326440B1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140043331A (ko) 환자용 호이스트/리프트를 위한 비상 정지(로크아웃) 시스템
KR100655858B1 (ko) 비상대피를 위한 다층건물의 창문구조
KR20130006134A (ko) 피난자에 대응하여 동작이 가능한 윈치 및 그를 갖는 피난용 사다리
JP4298415B2 (ja) 無人開口避難装置
KR101114554B1 (ko) 침수방지용 건축물의 실내개폐문
JP2010264082A (ja) 袖扉連動防火防煙シャッター装置
KR101355074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JP4788337B2 (ja) エレベータ用防火防煙シャッター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JP2010037921A (ja) 引戸の開閉装置
KR101793211B1 (ko) 주택용 소방 완강기
JP3885687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6497946B2 (ja) 折戸装置
KR101114552B1 (ko)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건축물의 창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