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721B1 -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721B1
KR101064721B1 KR1020090120910A KR20090120910A KR101064721B1 KR 101064721 B1 KR101064721 B1 KR 101064721B1 KR 1020090120910 A KR1020090120910 A KR 1020090120910A KR 20090120910 A KR20090120910 A KR 20090120910A KR 101064721 B1 KR101064721 B1 KR 101064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ever
evacuation
hou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358A (ko
Inventor
강신욱
천영기
Original Assignee
(주)안용
천영기
강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안용, 천영기, 강신욱 filed Critical (주)안용
Priority to KR1020090120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7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피난용 도어를 손쉽게 개폐 조작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 간의 연동구조를 임의로 해제 및 복귀시킬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한 후, 아래층에서 간편하게 상부 덮개만을 독립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등의 확산 및 2차 오염의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등 아래층 주민에게 끼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고층 건물, 화재, 피난, 대피, 도어, 상부 덮개, 하부 덮개

Description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Fire evacuation do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피난용 도어를 손쉽게 개폐 조작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의 증가와 대지의 효율적 이용가치를 위하여 사람의 주거건물을 비롯한 모든 건물이 대형화 고층으로 건설되고 있는 추세이다.
경제가 급속히 발전하면서 건물 및 주거환경의 내부 가구나 내장재들이 점점 고급화되고 화려해지면서 인화성과 유독성이 강한 소재가 많이 사용되고, 그 결과 화재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는 반면, 화재시 인명을 구출하는 종래의 장비들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고층 건물 등에서의 안전 수단에 대한 법적 규제가 강화되고, 이와 관련한 설비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화재나 기타의 재난시 대표적인 수단은 비상구와 비상 탈출을 위 한 완강기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의 설치 또한 법으로 엄격하게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비상구의 경우 층별 방화문이 설치되어 있으나, 신속한 대처가 없이는 화재시 화염의 통로가 되어 그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마땅한 탈출 수단이 비상계단에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완강기의 경우 건물의 베란다나 외벽에 설치되어 밧줄을 이용한 비상 대피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짧은 시간의 지체가 큰 인명 손실을 가져오는 상황에서는 그 사용자체가 위험을 초래하기도 하며, 많은 수의 인원을 빠른 시간에 대피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층간을 이동하는 수단은 비상구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구를 사용하지 못할 상황에서는 비상구로서의 무의미함을 알 수 있다.
보통 아파트나 고층 건물에서 화재시 등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출입구를 통한 대피가 이루어지지만, 이러한 출입구를 통한 대피가 여의치 못한 상황에서는 베란다 등을 통한 탈출이 시도된다.
특히, 베란다측을 통한 탈출은 구조대와 고가 사다리 등과 같은 특수 인력 및 장비를 통해서만 가능하므로 급박한 대피 상황에서는 신속한 탈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2∼3층 이상의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피자가 불길이나 연기 등을 피해 무작정 뛰어내리거나 또는 대피하지 못하여 많은 인명피해가 속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비상대피시설에 대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아파트 등과 같은 고층 건물의 바닥에 매립 설치되어 화재 등과 위급상황시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피난용 도어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피난용 도어는 상부 덮개를 열면 하부 덮개가 연동되면서 동시에 열려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 상부 덮개를 닫으면 역시 이와 연동하여 하부 덮개가 동시에 닫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피난용 도어는 윗층과 아래층에서 두 사람의 협동작업에 의해서만 복귀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 화재시에 윗층 주민이 탈출한 후에도 개방된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를 닫을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화재 연기가 유입되면서 큰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화재 진압을 위해 뿌려진 물이 개방된 피난구를 통해 아래층으로 흘러 내려가서 2차 오염의 피해를 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 간의 연동구조를 임의로 해제 및 복귀시킬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한 후, 아래층에서 간편하게 상부 덮개만을 독립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등의 확산 및 2차 오염의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등 아래층 주민에게 끼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는 피난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서로 연동되면서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개폐하는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 상기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의 연동을 위한 제1암, 제2암, 제3암 및 제4암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2암에는 경사면을 갖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암의 접촉부와의 간섭을 통해 제2암과 제3암 간의 결속을 해제시켜주는 레버 및 이 레버의 복귀를 위한 레버복귀용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 조작에 따른 제2암과 제3암의 결속 해제를 통해 아래층에서 간편하게 상부 덮개만을 독립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레버에는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와이어를 마련하여, 아래층으 로 대피한 후 와이어를 사용하여 손쉽게 레버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암에 있는 접촉부에는 경사면의 하단 끝 구간에서 연이어 형성되는 호를 마련하여, 레버가 호에 접촉함과 동시에 제2암이 앞쪽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상부 덮개가 자동으로 닫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는 아래층에서 간단한 레버조작을 통해 상부 덮개만을 독립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화재시의 화염이나 연기 등이 아래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화재 진압시 뿌려진 물로 인한 2차 오염의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버의 간단한 복귀조작을 통해 피난용 도어를 초기상태로 손쉽게 원상복원시킬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이 재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도어의 원상복원 작업 또한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는 화재 등의 위급상황에서 윗층의 주민이 아래층으로 긴급 대피한 후, 아래층에서 손쉽게 상부 덮개를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염이나 연기 등의 위험 및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하여, 화재 등의 위급상황에서 피난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층과 층 간에 설치되는 대략 사각박스 형태의 하우징(10)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힌지구조로 설치되어 개폐가능한 상부 덮개(11)와 하부 덮개(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 덮개(11)는 윗쪽으로 젖혀서 여는 구조이며, 상기 하부 덮개(12)는 상부 덮개(11)와 연동되어 아래쪽으로 젖혀지면서 열려지는 구조이다.
즉, 상기 상부 덮개(11)를 열면 이와 동시에 하부 덮개(12)도 자동으로 열려지게 되며, 이러한 덮개 연동은 4개의 암이 상호 연계적으로 동작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제1암(13)과 제2암(14)은 각각의 한쪽이 상부 덮개(11)의 안쪽면과 하우징(10)의 벽면에 각각의 암연결용 핀(27a,27c)에 의해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암연결용 핀(27b)에 의해 꺽임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3암(15)과 제4암(16)의 경우에도 각각의 한쪽이 하우징(10)의 벽면과 하부 덮개(12)의 안쪽면에 각각의 암연결용 핀(27c,27e)에 의해 고정되고, 다른 한쪽 또한 암연결용 핀(27d)에 의해 꺽임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암(14)과 제3암(15)은 하우징(10)의 벽면에 함께 중첩된 상 태로 하나의 암연결용 핀(27c)에 의해 고정되며, 이때 서로는 제2암(14)에 있는 암결속용 플랜지(24)에 의해 걸려지는 형태로 함께 결속되어 연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암(13)과의 연동에 의해 제2암(14)이 암연결용 핀(27c)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때의 제2암(14)이 갖는 암결속용 플랜지(24)가 제3암(15)과 간섭되면서 이 제3암(15)을 밀어내게 되고, 결국 제3암(15)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덮개(11)와 하부 덮개(12)측에 연결되는 암결속용 핀(27a,27e)의 한쪽은 암 브라켓(26)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덮개(11)를 닫게 되면(혹은 열게 되면), 제1암(13) 내지 제4암(16) 간의 연계적인 동작에 의해 하부 덮개(12)가 자동으로 닫혀지게(혹은 열려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부 덮개(12)는 그대로 두고 상부 덮개(11)만 아래층에서 닫을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벽면 소정의 위치, 예를 들면 상부 덮개(11)와 하부 덮개(12)가 설치되어 있는 벽면 위치에는 레버 브라켓(25)에 의해 양단 지지되는 레버(19)가 상하부 덮개 간의 경계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레버(19)는 양단 지지점을 중심하여 위아래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레버(19)는 양단부가 일정길이 90°절곡되어 있는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의 90°절곡된 양단부가 후술하는 제2암(14)의 접촉부(18)와 접촉간섭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19)의 양단 지지점에는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레버(19)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켜주는 레버복귀용 스프링(20)이 설치된다.
즉, 상기 레버복귀용 스프링(20)은 일단이 하우징(10)측에 고정되는 동시에 레버 몸체를 감싸면서 연장된 후에 다른 일단이 레버 몸체측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인위적으로 레버(19)를 젖혔던 외력이 없어지면 레버복귀용 스프링(20)에 의해 레버(19)는 원래의 상태인 하우징(10)의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레버의 복귀를 위한 스프링 설치구조는 위와 같은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하우징 벽면과 레버의 일단 사이에 스프링을 연결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덮개(11)를 닫기 위해 레버(19)를 아래로 당기는 조작은 주민이 직접 레버(19)를 잡고 당길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레버(19)에 와이어(21)를 연결 설치하여 레버 당김 조작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레버(19)의 일측, 예를 들면 90°절곡된 단부 일측에 와이어(21)를 연결하고, 이 와이어(21)를 아래로 길게 늘어 뜨림으로써, 아래층에서 힘들이지 않고 와이어(21)를 당기는 것만으로 손쉽게 레버(19)를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21)의 경우, 핀(22)을 이용하여 레버(19)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결합시킴으로써, 필요시 핀 제거와 함께 레버측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핀(22)은 레버(19)의 90°절곡된 단부에 대해 90°방향으로, 레 버 몸체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제2암(14)의 접촉부(18)와 간섭을 일으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버(19)와의 접촉 간섭을 통해 상부 덮개(11)만을 닫을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하여 제2암(14)에는 접촉부(18)가 마련된다.
즉, 상기 상부 덮개(11)만의 닫힘작동은 레버(19)와 제2암(14) 간의 접촉에 의한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암(14)에는 경사면(17)과 호(28)를 갖는 접촉부(18)가 돌출 형성되고, 이때의 경사면(17)은 암 본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레버(19)의 90°절곡된 단부와 접촉되는 부분이며, 호(28)는 암 본체와 나란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레버(19)에 있는 핀(22)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특히, 상기 접촉부(18)에 구비되는 호(28)의 경우, 경사면(17)이 끝나는 하단 끝 구간에서부터 계속 연이어서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제2암(14)의 옆쪽 이동 동작과 앞쪽 젖힘 동작이 연이어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암(14)의 하우징(10)측 지지부위, 즉 암연결용 핀(27c)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에는 핀에 감긴 상태로 하우징 벽면과 암 한쪽면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암결속용 스프링(23)이 장착되며, 이에 따라 암결속용 스프링(23)에 의해 탄력지지를 받는 제2암(14)은 항상 제3암(15)측과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고, 결국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2암(14)과 제3암(15)이 암결속용 플랜지(24)에 의해 항상 연동가능한 상태로 결속될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에서 레버 조작에 따른 제2암과 제3암의 간섭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a 내지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21)의 당김 조작에 의해 레버(19)가 아래쪽으로 회전되어 그 90°절곡된 단부가 앞쪽으로 젖혀지게 되면, 제2암(14)에 있는 접촉부(18)의 경사면(17)과 레버(19)가 간섭을 일으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암(14)은 도면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한쪽 옆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렇게 제2암(14)이 한쪽 옆으로 밀려나게 되면, 제3암(15)과의 결속이 해제되고, 계속해서 레버(19)가 좀더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때에는 레버(19)에 있는 핀(22)이 접촉부(18)의 호(28)와 간섭을 일으키면서 제2암(14)을 앞쪽으로 밀어주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2암(14)과 제1암(13)의 암연결용 핀(27b) 결합부위가 살짝 꺽이면서 결국 상부 덮개(11)가 자중에 의해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레버(19)와 제2암(14) 간의 접촉에 의해 하부 덮개(12)측 암들과의 연계가 끊어지면서 하부 덮개(12)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상부 덮개(11)만 손쉽게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에서 상부 덮개만의 독립적인 차폐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 발생 등 위급한 상황에서 윗층 주민이 아래층으로 대피하기 위하여 상부 덮개(11)를 열게 되면, 접혀져 있던 제1 암(13) 내지 제4암(16)이 각각의 암연결용 핀(27a,27b,27c,27d,27e)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연동되어 펴지게 되므로서, 상부 덮개(11)와 하부 덮개(12)가 동시에 열려지게 되고, 이때의 개방된 하우징(10)의 공간을 통해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주민이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한 후, 상부 덮개(11)를 닫기 위해 와이어(21)를 당기게 되면, 레버(19)가 회전되면서 아래쪽으로 젖혀지게 되고, 계속해서 이때의 레버(19)가 제2암(14)을 한쪽 옆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앞쪽으로 살짝 밀어주게 되므로서, 제1암(13)과 제2암(14)의 관절부위, 즉 암연결용 핀(27b)가 꺽이게 되고, 결국 상부 덮개(11)는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닫히게 된다.
즉, 주민이 아래층에서 와이어만 간단히 당겨주면, 하부 덮개(12)는 그대로 두고 상부 덮개(11)만 신속히 닫을 수 있고, 결국 윗층으로부터의 화염이나 연기, 그리고 화재진압에 따른 물이 아래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재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 탈출한 후에 아래층에서 간편하게 상부 덮개만 독립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으므로, 아래층 주민에게 끼치는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a,3b,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에서 레버 조작에 따른 제2암과 제3암의 간섭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4a,4b,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에서 상부 덮개만의 독립적인 차폐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상부 덮개
12 : 하부 덮개 13 : 제1암
14 : 제2암 15 : 제3암
16 : 제4암 17 : 경사면
18 : 접촉부 19 : 레버
20 : 레버복귀용 스프링 21 : 와이어
22 : 핀 23 : 암결속용 스프링
24 : 암결속용 플랜지 25 : 레버 브라켓
26 : 암 브라켓 27a,27b,27c,27d,27e : 암연결용 핀
28 : 호(弧)

Claims (6)

  1. 피난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0), 서로 연동되면서 하우징(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개폐하는 상부 덮개(11) 및 하부 덮개(12)와, 상기 상부 덮개(11)와 하부 덮개(12)의 연동을 위한 제1암(13), 제2암(14), 제3암(15) 및 제4암(16)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2암(14)에는 경사면(17)을 갖는 접촉부(18)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암(14)의 접촉부(18)와의 간섭을 통해 제2암(14)과 제3암(15) 간의 결속을 해제시켜주는 레버(19) 및 이 레버(19)의 복귀를 위한 레버복귀용 스프링(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 조작에 따른 제2암과 제3암의 결속 해제를 통해 아래층에서 간편하게 상부 덮개만을 독립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19)는 당김 조작의 편의를 위해 레버측에 연결되어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와이어(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1)는 핀(22)에 의해 레버(19)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필요시 핀 제거와 함께 레버측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19)의 복귀를 위한 레버복귀용 스프링(20)은 일단이 하우징(10)측에 고정되고 레버 몸체를 감싼 후에 다른 일단은 레버 몸체측에 고정되는 형태, 또는 일단은 하우징(10)측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길게 연장되어 레버 몸체측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암(14)의 힌지부위에는 레버와의 간섭 해제 후 및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2암(14)을 제3암(15)측으로 밀어서 결속시켜주는 암결속용 스프링(2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암(14)의 접촉부(18)는 경사면(17)의 하단 끝 구간에서 연이어 형성되는 호(28)를 포함하며, 이 호와 레버와의 접촉에 의해 제2암이 앞쪽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KR1020090120910A 2009-12-08 2009-12-08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KR101064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910A KR101064721B1 (ko) 2009-12-08 2009-12-08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910A KR101064721B1 (ko) 2009-12-08 2009-12-08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358A KR20110064358A (ko) 2011-06-15
KR101064721B1 true KR101064721B1 (ko) 2011-09-14

Family

ID=4439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910A KR101064721B1 (ko) 2009-12-08 2009-12-08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969B1 (ko) * 2012-11-21 2015-03-05 주식회사 한진레이저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7955A (ja) 2003-07-09 2005-02-03 Minoru Oota 無人開口避難装置
KR100787812B1 (ko) 2007-01-04 2007-12-21 정원규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KR20090096594A (ko) * 2009-08-25 2009-09-11 김문찬 고층건물 피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7955A (ja) 2003-07-09 2005-02-03 Minoru Oota 無人開口避難装置
KR100787812B1 (ko) 2007-01-04 2007-12-21 정원규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KR20090096594A (ko) * 2009-08-25 2009-09-11 김문찬 고층건물 피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969B1 (ko) * 2012-11-21 2015-03-05 주식회사 한진레이저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358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0725267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US9248321B2 (en) Fire evacuation installation
KR102141719B1 (ko)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KR101024420B1 (ko) 고층 건물의 피난장치
CN102711922B (zh) 火灾避难逃离装置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2096210B1 (ko)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비상대피장치
KR101064721B1 (ko)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KR20170138948A (ko) 화재 대피장치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1637979B1 (ko) 방화겸용 롤스크린
KR101017078B1 (ko) 피난 사다리 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10019857A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66319B1 (ko)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KR10113097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100870141B1 (ko) 피신용 곤돌라
KR101793211B1 (ko) 주택용 소방 완강기
KR101151032B1 (ko) 상부도어의 개별 닫힘이 가능한 피난 사다리 장치
KR20140065239A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