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812B1 -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7812B1 KR100787812B1 KR1020070001103A KR20070001103A KR100787812B1 KR 100787812 B1 KR100787812 B1 KR 100787812B1 KR 1020070001103 A KR1020070001103 A KR 1020070001103A KR 20070001103 A KR20070001103 A KR 20070001103A KR 100787812 B1 KR100787812 B1 KR 1007878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housing
- emergency
- closing
- open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52—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52—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1/56—Rope or chain lad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10)은, 내부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건물의 상하 층 사이에 매설된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상부 면에 위치하고 측부에 힌지(31)를 구비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개폐되고, 상기 힌지(31)에는 스프링(32)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 스토퍼(34)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30) 부위 중 상기 힌지(31) 주변에 결합 홈(35)을 구비함으로, 90도로 개방이 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34)가 상기 결합 홈(35)과 체결 고정되며, 내측 면에는 1쌍으로 손잡이(36)가 형성되어 있는 제 1개폐부(30); 상기 하우징(20)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측부에 힌지(41)를 구비하여 회동 가능하게 개폐되는 제 2 개폐부(40); 상기 하우징(20)의 내측 부위 중 상기 제 1 개폐부(30)의 개방 주변 면 부위에 접지 스위치(51)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20)의 내측 부위 중 상기 제 2 개폐부(40) 주변에 신축 가능한 샤프트(53)를 구비한 마그넷 개폐기(52)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개폐부(3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접지 스위치(51)의 신호로 상기 마그넷 개폐기(52)의 작동을 통해 제 2 개폐부(40)를 개방하는 개폐 모듈(50); 상기 하우징(30) 내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2개폐부(30,40)가 개방되었을 때 하부 층을 향해 일자형으로 연장되는 체인 사다리(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개폐부에 형성된 힌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개폐부의 개방을 위한 개폐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및 제 2 개폐부의 측면도와, 식별 표시부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개폐부의 개방을 위한 실린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하우징 70: 제 1 비상표시 모듈
30: 제 1 개폐부 71,81: 비상램프
31: 힌지 72,82: 음향출력수단
34: 스토퍼 73: 개방 인지센서
36: 손잡이 83: 식별 표시부
40: 제 2 개폐부 90: 비상상태 자동인지모듈
50: 개폐모듈 91: 연기감지센서
51: 접지 스위치 92: 실린더
52: 마그넷 개폐기 93: 제어부
54: 연결부 100: 충전 모듈
60: 체인 사다리 110: 인증 모듈
본 발명은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기존 비상구와 같은 탈출구 내지 완강기 등을 이용하지 않고 바닥 면에 새로이 탈출 하우징을 형성하여 화재 내지 강도 침입 시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탈출 하우징의 개폐구가 개방 작동하도록 하여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탈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로 인한 건물 내 대형사고를 보면, 대개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은 데 이 때 불길 및 유독가스의 진행 상황을 예측하고 미리 대피할 수만 있다면 대형 참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현재의 복층 건물에서의 비상구를 살펴보면, 오히려 비상구의 개방 공간이 유독가스 내지 화염의 이동 경로가 되어 버리고 있어 위 아래층으로 신속히 대피하는데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입구 내지 실내 공간상에 제연 댐퍼 내지 방화벽이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유독가스 내지 화염의 확산을 일정 시간 지연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인명을 구할 수 있는 화재 대처 방안으로는 어느 정도 한계를 가지고 있다.
더불어, 시중에 출시되어 있거나 국내외 특허 내지 실용신안 공보에 게시되어 있는 수많은 비상탈출기의 경우 사다리 내지 완강기를 이용하여 사람이 건물 외측으로 이를 타고 내려가야 하는데 복층 건물의 높이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로프 길이의 문제 내지 공포심을 유발할 수 있다는 등으로 원활하게 사용하기 힘든 문제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 실용신안 공고 제 94-3909호 "공동 주택 비상 탈출구"는 ' 공동주택의 발코니 바닥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여기에 문을 설치하고, 개구부의 측면에는 전동시건장치를 설치하며 이 시건장치의 전원은 화재감자기와 경보기 사이의 신호선에 병렬 연결하여 화재경보기의 작동과 문의 시건장치 해제를 연동시키며, 개구부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문이 열릴 때 하층의 경보기가 작동하도록 한 공동주택의 비상 탈출구'로 이루어져 화재 등의 재난 발생 시에 신속하게 하층으로 대피, 피신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기술에 따르면, 비상구가 연기 내지 화염으로 인해 차단되었을 때 획기적인 대피 방안을 제시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문이 개방되었을 때 하층까지 사다리 와 같은 별 다른 안전 수단이 없어 하층으로 이동할 경우 낙상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려면 건물의 각 층간에 케이스를 마련하여 상하 문이 개폐될 수 있음과 더불어 케이스 내측에 사다리가 구비되어 하부 문을 개폐하였을 때 사다리가 펼쳐짐으로 사람이 안전하게 사다리를 통하여 하부 층으로 대피할 수 있는 방식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국내 특허등록 제447998호 참조)
하지만 특허등록 제 447998호와 같이 상하가 개폐되며 내부에 사다리만을 구비한 케이스를 장착하였다고 하여 화재 내지 강도 침입 시와 같은 급박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것을 상당한 수준으로 보장하는 것은 무리가 있고 사다리 역시 하부 문이 개방되었을 때 제대로 하부 층을 향해 연장이 될 수 있는 구조로 보기 어렵거나 상부 문을 지나는 지점부터 사다리가 연장되어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상 상황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문이 개방되거나 상하층에 위기 상황을 전달하고, 더불어 보다 안전하게 사람이 사다리를 딛고 대피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하부 문이 개방되었을 때 사다리가 확실하게 펼쳐질 수 있는 개량된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물의 각 층간에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의 상하부에 개방이 가능한 제 1, 2 개폐부를 설치하되, 하부의 개폐부가 개방되었을 때 보다 확실하고 안전하게 펼쳐질 수 있는 체인 사다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부의 개폐부 내측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대피하는 사람의 안전성을 보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박한 위기 상황에서 당황하여 상부의 개폐부를 개방할 여유가 없을 때 스스로 위기 상황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상하 개폐부를 개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기 상황의 감지 시에 상하 최소 2개 층에 위기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인지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사람이 장난으로 상하 개폐부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인증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10)은, 내부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건물의 상하 층 사이에 매설된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상부 면에 위치하고 측부에 힌지(31)를 구비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개폐되고, 상기 힌지(31)에는 스프링(32)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 스토퍼(34)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30) 부위 중 상기 힌지(31) 주변에 결합 홈(35)을 구비함으로, 90도로 개방이 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34)가 상기 결합 홈(35)과 체결 고정되며, 내측 면에는 1쌍으로 손잡이(36)가 형성되어 있는 제 1개폐부(30); 상기 하우징(20)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측부에 힌지(41)를 구비하여 회동 가능하게 개폐되는 제 2 개폐부(40); 상기 하우징(20)의 내측 부위 중 상기 제 1 개폐부(30)의 개방 주변 면 부위에 접지 스위치(51)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20)의 내측 부위 중 상기 제 2 개폐부(40) 주변에 신축 가능한 샤프트(53)를 구비한 마그넷 개폐기(52) 및 상기 제 2 개폐부(40)의 내측 면에 상기 샤프트(53)와 체결 가능한 연결부(54)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개폐부(3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접지 스위치(51)의 신호로 상기 마그넷 개폐기(52)의 샤프트(53)가 수축되어 상기 연결부(54)가 상기 샤프트(53)에서 결합 해제됨으로 제 2 개폐부(40)를 개방하는 개폐 모듈(50); 상기 하우징(30) 내에 위치하되, 일단이 상기 손잡이(36)에 연결되어 있고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수평 바(61)를 서로 연결하는 체인(62)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2개폐부(30,40)가 개방되었을 때 하부 층을 향해 일자형으로 연장되는 체인 사다리(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1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스템(10)은 기본적으로 건물의 각 층 사이 공간에 삽입 고정이 되는 하우징(20)을 구비하고 있되, 상기 하우징(20)의 상부에는 힌지(3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하우징(20)에서 개폐 가능한 제 1 개폐부(30)를 구비하고,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체인 사다리(60)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개폐 부(30)가 개방된 상황을 인지하는 개폐 모듈(50)에 의하여 하우징(20)의 하부에서 개방이 되는 제 2 개폐부(40)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20)은 내부 중공 구조로 이루어진 통상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물의 상하 층간 공간에 매설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건물의 각 층간 두께에 상응한 두께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20)의 상부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단턱에 의하여 상단이 하단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며 이러한 단턱 상단에 제 1 개폐부(30)가 안착되어 평상시에는 제 1개폐부(30)가 하우징(20)의 상단에 안착 고정되어 있다.
더불어 하우징(20)의 상단 측부위 중 제 1 개폐부(30)가 개방되는 부위, 즉 제 1개폐부(30)와의 접촉 부위에는 접지 스위치(51)가 구비되어 있어 제 1 개폐부(30)가 개방될 경우 이 접지 스위치(51)가 on 상태, 즉 누름 상태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러한 접지 스위치(51)의 on 상태에 의하여 후술할 개폐 모듈(50)이 제 2 개폐부(40)의 개방을 위한 작동 신호를 받게 된다.
제 1 개폐부(30)는 하우징(20)의 상부 면을 이루는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외부면에는 개방 레버 및 시건 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대피하고자 하는 사람이 시건 장치를 해제하였을 때에 개방 레버를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개방이 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하우징(20)의 측면과 힌지(31)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 힌지(31)를 중심으로 하우징(20)과의 일 접촉면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방이 된다. 특히, 제 1 개폐부(30)는 상 방향으로 개방이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제 1 개폐부(30)의 내측 면에 1쌍의 손잡이(36)를 구비하여 대피하는 사람이 이를 붙잡 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개폐부(30)에 형성된 힌지(31)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손잡이(36)는 제 1 개폐부(30)가 하우징(20)의 수평면과 90도의 각을 이루고 개방이 되었을 경우에서 대피 시 사람이 잡고 내려가기 더욱 편리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위기 상황에서 제 1 개폐부(30)가 90도로 개방된 구조를 고정 보장하기 위하여 제 1 개폐부(30)가 90도로 개방이 되었을 때의 힌지(31)에서 상응 부위에는 탄성을 지닌 스프링(32)이 내부에 구비되어 이러한 스프링(32)의 단부와 연결이 되어 있는 스토퍼(34)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상응하는 하우징(20)의 힌지(31) 주변 부위에는 결합 홈(3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토퍼(34)와 결합 홈(35)의 결합에 의하여 90도로 개방이 되었을 때 제 1 개폐부(30)는 상하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고정되어 있게 됨으로 결국 제 1 개페부(30)가 안전하게 90도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스토퍼(34) 상단 주변, 구체적으로는 힌지 부위 중 스토퍼(34) 주변 상부에는 돌출 레버(33)가 형성되어 있어, 만일 제 1개폐부(30)를 다시 덮고자 할 경우에는 돌출 레버(33)를 슬라이딩 홈을 따라 상 방향으로 밀어 스프링(32)을 압축함으로 스토퍼(34)와 결합 홈(35)의 결합 관계를 해제한 다음 제 1 개폐부(30)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 관련 구조는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후술할 제 2 개폐 부(40)에서도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어 제 2 개폐부(40) 역시 하우징(20)의 수평면에서 90도의 개방 상태를 고정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 1개폐부(30)의 내측 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좌우로 1쌍 구비된 손잡이(36)의 하단에는 체인 사다리(60)가 연결되어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에 보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사다리(60)는 하부 층에 이를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져 있되, 구체적으로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람의 발을 지지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수평 바(61)와 상기 수평 바(61)의 좌우단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체인(6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체인 사다리(60)는 접철의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보관 공간이 줄어들 수 있을 뿐 아니라 후술할 제 2 개폐부(40)가 개방이 되었을 때 중력에 의하여 상당히 자연스럽게 하부 층을 향해 낙하하면서 1자형으로 펼쳐질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제 2 개폐부(40)는 하우징(20)의 하부 면 및 하부 층의 천정 면을 이루는 것으로 제 1 개폐부(30)가 개방될 때 동시에 개방이 되어 하부 층으로 대피자가 대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개폐부(40)의 개방을 위한 개폐 모듈(5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개폐 모듈(50)은 상기 하우징(30)의 상단 측에 설치된 접지 스위치(51)의 on 상태의 신호를 감지하여 제 2 개폐부(40)를 개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공지의 마그네틱 개폐기 어셈블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인 바,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20)의 하 측면에는 신축이 가능한 샤프트(53)가 횡 방향으로 돌출된 마그넷 개폐기(52)를 구비하고 제 2 개폐부(40)의 내측 면에는 단부가 고리 형식으로 이루어진 연결부(54)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연결부(54)의 단부가 샤프트(53)에 결려 있다가 접지 스위치(51)의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에(즉, 제 1 개폐부가 개방되었을 때) 샤프트(53)가 마그넷 개폐기(52)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부(54)가 샤프트(52)로부터 미끄러져 제 2 개폐부(40)가 중력에 의하여 개방이 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물론, 상술한 개폐 모듈(50)의 구조는 공지된 방식 중 가장 일반적이며 다른 형식과 구성을 가진 마그네틱 개폐기의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제 2 개폐부(40) 역시 힌지(41)를 구비하여 힌지(41)를 중심으로 회동이 되며 제 1 개폐부(30)와 마찬가지로 힌지(41)에 스프링과 연결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힌지(41)의 대응 하측 부위인 하우징의 측부에 결합 홈을 구비하여 90도로 개방이 되었을 때 스토퍼와 결합 홈의 체결로 회동이 되지 않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즉, 제 1,2 개폐부(30,40)가 개방이 되었을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개폐부(30)에서 제 2 개폐부(30)까지 이르는 라인은 일자형을 이루며 이를 따라 체인 사다리(60) 역시 1자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대피자는 추락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손잡이(36)를 붙잡고 체인 사다리(60)의 수평 바(61)를 발로 밟으면서 하층으로 대피할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10)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및 제 2 개폐부의 측면도, 식별 표시부의 예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 2 개폐부(40)의 일정 부위의 내외 측으로는 제 1, 2 비상 표시 모듈(70,8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1 비상 표시 모듈(70)은 비상 램프(71), 음향 출력 수단(72), 개방 인지 센서(73)로 이루어져 있고, 제 2 비상 표시 모듈(80)은 선택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는 비상 램프(81), 음향 출력 수단(82) 및 제 2 비상 표시 모듈(80)의 핵심 구성인 식별 표시부(83)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비상 표시 모듈(70)은 제 2 개폐부(4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하부 층의 주민이 이 존재를 알고 있지 못하다가 제 2 개폐부(40)의 개방 시에 확인 할 수 있는 것이고, 제 2 비상 표시 모듈(80)은 하부 층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바로 상부 층 이외의 다른 층에서 위기 상황이 있음을 알리는 식별 및 경보 수단으로 이 구체적인 기능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 1 비상 표시 모듈(70)은 제 2 개폐부(40)의 개방 상태를 인지하는 개방 인지 센서(73)에 의하여 제 2 개폐부(40)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면 비상 램프(71)의 작동을 수행하고, 더불어 음향 출력수단(72)으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스템(10)의 전체적인 모듈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상기 서술한 방식과 같이 사람에 의하여 수동으로 제 1 개폐부(30)가 개방될 경우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는 데 장애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화재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제 1,2 개폐부(30,40)를 개방하는 방식을 비상상태 자동 감지 모듈(90)에 의하여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비상상태 자동 감지 모듈(90)은 연기 감지센서(91) 및 제어부(93)와 실린더(92), 위험 신호 송신부(94) 및 위험 신호 수신부(95)를 구비하고 있다.
연기 감지센서(91)는 천정에 부착되어 화재 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부(93)는 이러한 연기 감지센서(91)의 연기 감지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실린더(92)를 작동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개폐부(30)의 개방을 위한 실린더(92)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92)는 바람직하게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져 하우징(20)의 양 측부 및 제 1 개폐부(30)의 내측부에 1쌍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제어부(93)에 의하여 작동 신호가 인가될 경우 실린더(92)의 피스톤 로드(92a)가 신장함으로 제 1 개폐부(30)를 밀어 올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으로 연기 감지 센서(91)가 연기를 감지할 경우 자동으로 제 1 개폐부(30)가 개방이 되고, 제 1 개폐부(30)의 개방 시에 접지 스위치(51)의 on 상태로 인하여 제 2 개폐부(40)를 개폐모듈(50)에 의하여 개방 작동하여 제 2 개폐부(40)까지 자동으로 개방이 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4(c) 및 5를 참조하면, 위험 신호 송신부(94)는 화재 내지 강도가 침입하여 주거자에 의하여 또는 자동으로 제 1 개폐부(30)가 개방되거나 아니면 연기 감지 센서(91)의 연기 감지 신호가 발생하였을 경우 건물의 전체 층의 라인, 바람직하게는 상하 3개 층의 위험 신호 수신부(95)에 위험 신호 및 위기 상황이 발생된 호수(예를 들어, 1404호)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러한 신호를 받은 위험 신호 수신부(95)는 제어부(93)로 이러한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93)는 제 2 비상표시 모듈(80)에 형성된 식별 표시부(83)로 호수 정보를 전송하여 식별 표시부(83)에서 위기 상황이 발생된 호수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식별 표시부(83)는 LED 패널을 구비하여 위기 상황이 발생한 위치, 호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방식을 따른다.
따라서 정작 화재 내지 강도의 피해가 없는 다른 층의 거주자에게도 당해 층의 위기 상황을 전송하여 보다 신속한 주민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93)는 제 2 비상표시 모듈(80)의 비상램프(81) 및 음향 출력수단(82)으로 비상 램프 및 경보음을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모듈(100)은 자체 충전기를 구비하여 전원이 off 상태가 되어도 기존 충전한 전류를 통하여 전원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에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증 모듈(110)은 거주자 이외의 방문자 등이 장난으로 제 1 개폐부(30)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주자의 음성만 인식하여 제 1 개폐부(30)의 실린더(92)를 작동하는 음성인식수단과, 키패드를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 제 1 개폐부(30)의 실린더(92)를 작동하는 비밀번호 입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건물의 각 층간에서 특정 위치에서 1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대피자가 추락 위험이 있기 때문에 위치를 달리 하여 서로 지그재그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에 따르면,
1) 체인 사다리 및 손잡이와 스토퍼의 고정 기능에 의하여 보다 원활하고 안전하게 사다리가 펼쳐짐과 동시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람이 하부 층으로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2) 실린더를 통하여 자동으로 제 1 개폐부를 개방하여 위기 상황에서 보다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질 뿐 아니라,
3) 위기 상황이 발생된 위치를 다른 층에 알림으로 공동 대처가 가능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과 동시에,
4) 제 3자가 장난으로 개폐부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으로서,내부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건물의 상하 층 사이에 매설된 하우징;상기 하우징의 상부 면에 위치하고 측부에 힌지를 구비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개폐되고, 상기 힌지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 스토퍼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 부위 중 상기 힌지 주변에 결합 홈을 구비함으로, 90도로 개방이 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결합 홈과 체결 고정되며, 내측 면에는 1쌍으로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제 1개폐부;상기 하우징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측부에 힌지를 구비하여 회동 가능하게 개폐되는 제 2 개폐부;상기 하우징의 중 상기 제 1 개폐부의 접촉 면 부위에 접지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중 제 2 개폐부 주변 일 측부에 마그넷 개폐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개폐부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접지 스위치의 신호로 상기 마그넷 개폐기를 작동함으로 제 2 개폐부를 개방하는 개폐 모듈;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되, 일단이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고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수평 바를 서로 연결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2개폐부가 개방되었을 때 하부 층을 향해 일자형으로 연장되는 체인 사다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2 개폐부의 외측 면에 구비된 비상램프 및 음향출력수단과, 상기 제 1 개폐부의 개방 상태를 인지하는 개방 인지 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개폐부의 개방 상태를 상기 개방 인지 센서가 감지하였을 때 상기 비상램프 및 음향출력수단을 통하여 비상램프 표시 및 경보음을 출력하는 제 1 비상표시 모듈;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천정에 구비되어 화재로 인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신축이 가능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개폐부의 내측으로 연결된 1쌍의 실린더;상기 연기감지센서의 연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실린더의 작동 신호를 인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져,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신장함으로 상기 제 1 개폐부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비상상태 자동인지 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비상상태 자동인지 모듈은,위기 상황이 발생되어 특정 층에서 상기 제 1 개폐부가 개방되었을 때 특정 층의 호수 정보 신호를 다른 층으로 전송하는 위험신호 송신부 및, 상기 위험 신호 송신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위험신호 수신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제 2개폐부의 외측면에는 식별 표시부를 구비한 제 2 비상표시 모듈을 구비하여,상기 제어부가 상기 식별 표시부를 통해 위기 상황이 발생된 호수 정보를 상기 식별 표시부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자체 충전 기능을 가지는 충전 모듈;음성 인식 수단을 구비하여 거주자의 음성을 인식하였을 때 상기 제 1개폐부를 개방하는 인증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1103A KR100787812B1 (ko) | 2007-01-04 | 2007-01-04 |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1103A KR100787812B1 (ko) | 2007-01-04 | 2007-01-04 |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7812B1 true KR100787812B1 (ko) | 2007-12-21 |
Family
ID=3914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1103A KR100787812B1 (ko) | 2007-01-04 | 2007-01-04 |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7812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2837B1 (ko) | 2009-09-28 | 2010-07-28 | (주) 비엘씨 | 바닥 매립형 피난사다리 운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101011734B1 (ko) * | 2010-08-03 | 2011-01-28 | 강철 | 경계 분리판을 구비한 피난구 |
KR101064721B1 (ko) | 2009-12-08 | 2011-09-14 | (주)안용 |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
KR101173585B1 (ko) | 2009-07-06 | 2012-08-13 | 조윤성 | 층간 비상탈출장치 |
KR101176978B1 (ko) | 2010-10-14 | 2012-08-24 |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 |
KR101178798B1 (ko) | 2010-09-15 | 2012-08-31 | 주식회사 에스엠텍 |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
WO2018070811A1 (ko) * | 2016-10-13 | 2018-04-19 | 손순랑 |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
KR20220150725A (ko) * | 2021-05-04 | 2022-11-11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상대피가 용이한 공동주택 발코니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10000418B1 (ko) * | 1975-09-02 | 1981-04-29 | 히로미쯔 나가 | 실내,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건물의 탈출장치 |
-
2007
- 2007-01-04 KR KR1020070001103A patent/KR10078781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10000418B1 (ko) * | 1975-09-02 | 1981-04-29 | 히로미쯔 나가 | 실내,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건물의 탈출장치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3585B1 (ko) | 2009-07-06 | 2012-08-13 | 조윤성 | 층간 비상탈출장치 |
KR100972837B1 (ko) | 2009-09-28 | 2010-07-28 | (주) 비엘씨 | 바닥 매립형 피난사다리 운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101064721B1 (ko) | 2009-12-08 | 2011-09-14 | (주)안용 |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
KR101011734B1 (ko) * | 2010-08-03 | 2011-01-28 | 강철 | 경계 분리판을 구비한 피난구 |
KR101178798B1 (ko) | 2010-09-15 | 2012-08-31 | 주식회사 에스엠텍 |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
KR101176978B1 (ko) | 2010-10-14 | 2012-08-24 |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 |
WO2018070811A1 (ko) * | 2016-10-13 | 2018-04-19 | 손순랑 | 신축벽이 내장된 삽입식 비상대피통로 |
KR20220150725A (ko) * | 2021-05-04 | 2022-11-11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상대피가 용이한 공동주택 발코니 |
KR102587831B1 (ko) * | 2021-05-04 | 2023-10-11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비상대피가 용이한 공동주택 발코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7812B1 (ko) |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 |
US6771181B1 (en) | Crawl to the light emergency exit | |
KR101173585B1 (ko) | 층간 비상탈출장치 | |
KR100661605B1 (ko) | 아파트의 화재 비상탈출장치 | |
KR100757204B1 (ko) |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 |
KR101681032B1 (ko) |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 |
KR200453544Y1 (ko) | 화재감지기 연동형 하향식 피난구 | |
KR20090060033A (ko) | 고층건물 피난장치 | |
KR20120066222A (ko) | 화재 또는 가스 누출시 긴급 대피용 하향식 피난 사다리 장치 | |
KR101624599B1 (ko) | 사다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재난 대비 시스템 | |
KR200455288Y1 (ko) | 방화문의 도어 스토퍼 장치 | |
KR101545524B1 (ko) | 피난 장치 | |
KR100925515B1 (ko) | 안전장치를 갖춘 비상피난기구가 설치되는 세대홈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 |
KR101281126B1 (ko) | 비상탈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10019857A (ko) |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 |
KR100773455B1 (ko) | 비상용 안전 대피소 | |
KR20050026940A (ko) |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된 베란다 | |
KR101749465B1 (ko) | 화재 대피를 위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시스템 | |
KR101750700B1 (ko) | 하향식 피난대피 시설 관리 시스템 | |
KR101034714B1 (ko) |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 |
KR20090067926A (ko) | 베란다에 마련된 비상탈출시설 | |
KR101355175B1 (ko) |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 |
KR101588838B1 (ko) | 개별 세대마다 설치된 피난구실의 개폐를 관리하는 피난구실 관리 장치, 피난구실 관리 시스템 및 피난구실 관리 방법 | |
KR101128480B1 (ko) |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 |
KR20080010578A (ko) | 안전 방범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