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331A - 환자용 호이스트/리프트를 위한 비상 정지(로크아웃)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용 호이스트/리프트를 위한 비상 정지(로크아웃)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331A
KR20140043331A KR1020137025777A KR20137025777A KR20140043331A KR 20140043331 A KR20140043331 A KR 20140043331A KR 1020137025777 A KR1020137025777 A KR 1020137025777A KR 20137025777 A KR20137025777 A KR 20137025777A KR 20140043331 A KR20140043331 A KR 20140043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witch member
hoist assembly
elongate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포쉐
스테판 르브런
서지 랑
앙드레 트레파니에
올리비에 쿠스토-보이스클레어
Original Assignee
알조훈트레이흐 마고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조훈트레이흐 마고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조훈트레이흐 마고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43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5Cables, chain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ollision prevention
    • A61G2203/72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ollision prevention for automatic deactivation, e.g. deactivation of actuators or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2Rai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1Flexible harnesses or s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61Yo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환자용 호이스트를 위한 스위칭 장치, 예를 들어 이동 장애를 갖는 환자를 리프팅하고 이송하기 위한 천장 장착형 호이스트는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며, 스위칭 부재는 스위치 부재가 환자에 인접하게 바닥에 서있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도달 가능하도록 호이스트로부터 내려온다. 스위치는 스위치 부재를 제1 유형의 이동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스위치 부재를 축을 따라 당김으로써, 호이스트를 부동 상태로 하도록 오퍼레이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호이스트 부재는 오직 스위치 부재가 제1 유형과 다른 제2 유형의 이동에 따라 이동될 때에만, 예를 들어 스위치 부재를 축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스위치 부재에 의해 재-가동 상태로 될 수 있다. 부동화 및 가동화 이동의 상이한 사용은 호이스트가 부동 상태로 될 때 돌발적인 재-가동화를 저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는 비상 목적을 위해 부동화가 수행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환자용 호이스트/리프트를 위한 비상 정지(로크아웃) 시스템{EMERGENCY STOP (LOCKOUT) SYSTEM FOR PATIENT HOISTS/LIFTS}
본 명세서는 이동 장애가 있는 환자를 리프팅(lifting)하기 위한 환자용 호이스트(patient hoist), 특히 천장-장착형 트랙을 따라 진행하는 환자용 호이스트에 관한 발명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구체적으로 이러한 환자용 호이스트를 위한 비상 정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자용 리프트라고도 하는 환자용 호이스트는 장애가 있거나 또는 이와 달리 이동에 문제가 있는 환자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며 이송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두 개의 통상적인 유형의 환자용 호이스트는 지주 장착형 호이스트(stanchion-mounted hoist) 및 천장 호이스트(ceiling hoist)이다. 지주 장착형 호이스트는 바퀴 달린 기부를 갖는 지주의 상단부에 위치된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종종 가지며, 그에 의해서 호이스트 어셈블리는 상이한 위치로 바퀴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리프팅 부재(예를 들어, 환자용 멜빵(patient harness)을 구비하는 스프레더 바, 슬링(sling), 또는 멜빵 또는 슬링을 구비하는 스프레더 바)는 호이스트 어셈블리 내에 위치된 전동식 스풀(motorized spool)에 감거나 그로부터 풀 수 있는 끈, 케이블, 또는 다른 유연한 긴 재료로 호이스트 어셈블리로부터 내려온다. 따라서, 예를 들어, 호이스트는 환자의 상부에 또는 환자에 인접하게 호이스트 어셈블리 및 리프팅 부재를 위치시키도록 바퀴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리프팅 부재는 환자를 수용하도록 하강될 수 있고, 그런 다음 호이스트 어셈블리는 리프팅 부재 및 환자를 상승시킬 수 있어서 리프팅 부재 및 환자는 하강되어 위치될 다른 곳으로(예를 들어, 욕조로) 바퀴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천장 호이스트는 유사하지만 천장 장착형 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갖는 경향이 있어서 호이스트 어셈블리는 장소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침대와 욕실 사이에서 트랙을 옮겨 다닐 수 있다.
지주 장착형 호이스트용 제어부는 지주 상에 그리고/또는 지주 장착형 호이스트 어셈블리 상에 존재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천장 호이스트용 제어부는 벽 장착형 제어부 상에 그리고/또는 천장 장착형 호이스트 어셈블리 상에 존재하는 경향이 있다. 환자의 간병인이 환자의 근처에 서있는 동안에는 벽 장착형 제어부가 그의 또는 그녀의 용이하게 닿을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천장 호이스트인 경우에 벽 장착형 제어부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천장 장착형 호이스트 어셈블리 상에 장착된 제어부는 너무 높아서 (도달될 수 있다 하더라도) 편리하게 도달할 수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부를 조정하기 위해 사다리 또는 의자를 가져올 필요가 있을 수 있고, 간병인이 사다리/의자를 위치시킬 필요가 있는 영역 내에서 호이스트 어셈블리 하부에 환자가 매달려 있으면 곤란해질 수 있다. 손이 미치지 않는 제어부는 리프팅 동작이 시급하게 종료될 필요가 있을 때 예를 들어 리프팅이 환자에게 고통을 야기한다면 또는 리프팅 중에 환자가 떨어질 위험이 발생한다면 특별한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천장 호이스트는 때때로 호이스트 옆에 또는 아래에 서있는 간병인에 의해 편리하게 도달될 수 있는 비상 정지 또는 "로크아웃(lockout)"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유형의 통상적인 스위치는 전등용 당김식 코드(pull-cord)와 유사하며 호이스트 어셈블리로부터 내려오는 유연한 코드를 갖는다. 코드의 첫 번째 당김은 호이스트를 부동(disable) 상태로 하며, 즉 리프팅 부재의 리프팅 또는 하강을 중단시키며/시키거나 임의의 연결된 천장 장착형 트랙을 따르는 호이스트 어셈블리의 이동, 트랙에 대한 호이스트 어셈블리(또는 호이스트 어셈블리의 일부분)의 기울임 등과 같은 다른 이동을 중단시킨다. 그런 다음, 코드의 두 번째 당김은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재-가동(re-enable) 상태로 하며, 즉 호이스트 어셈블리에 대한 리프팅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며/하거나 다른 이동을 허용한다. 이들 유형의 스위치의 단점은 간병인의 실수(예를 들어, 비상 정지 상황 중에 코드에 간병인의 손이 "튀는(bouncing)" 것)와 같은 일로 인해, 코드 주변의 물품에 있는 코드가 걸리는 것으로 인해, 또는 다른 요인으로 인해, 호이스트 작동 및 작동 해제를 위해 동일한 유형의 이동(당김(pull) 및 해제(release))을 사용하는 것이 작동 해제가 발생한 후에 잘못된 작동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비상 스위치도 유사하게 유연한 코드 또는 끈을 당김과 동시에 호이스트 동작이 부동 상태로 되게 하지만, 그런 다음 호이스트 동작을 재-가동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호이스트 어셈블리 상에 위치된 제2 스위치를 작동시켜야 한다. 제1 (가동) 스위치(코드)가 호이스트 어셈블리 상에서 제2 (가동) 스위치와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장치는 호이스트 어셈블리의 돌발적인 재-가동화를 저지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에 편리하게 도달하는데 있어서의 곤란함으로 인해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재-가동 상태로 하는 것은 불편하며 많은 시간을 소모한다. 그러므로, 호이스트 하부의 그리고/또는 호이스트에 인접한 영역에 바닥으로부터 손쉽게 도달 가능하며 돌발적인 재-가동화를 방지하면서 이들 영역으로부터 호이스트의 부동화 및 재-가동화를 허용하는 환자용 호이스트를 위한 이용 가능한 비상 정지 또는 "로크아웃" 스위치를 갖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뒤에 제시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시키는 환자용 호이스트(및 환자용 호이스트를 위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들의 특징 중 일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이하의 간단한 "발명의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얻게 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제공된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의 검토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데,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의 이러한 "발명의 내용" 섹션 다음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섹션에서 간단하게 검토된다. 다음의 논의가 단지 요약이므로, 바람직한 형태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제시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본 명세서의 뒤에 제시된 특허청구범위는 배타적 권리가 보장된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들을 정의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절한 예시적인 환자용 호이스트는 호이스트 어셈블리(10), 호이스트 어셈블리로부터 내려오는 리프팅 부재(14), 및 호이스트 어셈블리(10)로부터 연장되는 스위치 부재(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이한 형태들은 도 1a 및 도 1b의 것과 유사하지만 후술된 바와 같은 상이점을 갖는 스위치 장치를 주로 포함한다. 호이스트 어셈블리(10)는 수직 방향으로 측정된 높이를 가지며, 호이스트 어셈블리(10)는 동작 중에 가동 상태 및 부동 상태를 보여준다. 환자용 호이스트의 대체로 정상적인 동작 상태인 가동 상태에서, 호이스트 어셈블리(10)는 리프팅 부재(14)를 호이스트 어셈블리(10)에 더 가까이 위치된 상승 위치와 호이스트 어셈블리(1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의 범위는 호이스트 어셈블리(10)의 높이보다 크다. 부동 상태에서, 호이스트 어셈블리(10)는 리프팅 부재(14)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부동 상태는 환자용 호이스트에 대한 비상 정지 또는 "로크아웃"을 정의한다.
스위치 부재(20)는 호이스트 어셈블리(10)로부터 호이스트 어셈블리(10) 아래에 위치된 스위치 부재 동작 단부(22)로 내려오며, 바람직하게는 (환자를 위한 간병인인) 오퍼레이터가 바닥에 서 있으면서 스위치 부재 동작 단부(22)에 손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크기가 설정된다. 스위치 부재(20)의 크기의 특성을 상이한 방식으로 나타내기 위해, 스위치 부재(20)의 수직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호이스트 어셈블리(10)의 높이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같거나 크며, 따라서 동작 단부(22)는 리프팅 부재(14)의 상승 위치보다 낮고 리프팅 부재(14)의 하강 위치보다 높게 위치된다(즉, 리프팅 부재(14)의 이동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스위치 부재(20)의 길이보다 크다). 스위치 부재(20)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의해 스위치 부재(20)가 그 길이를 따라 비틀림 및 당기는 힘/미는 힘(pulling/pushing forces)을 손쉽게 전달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스위치 부재가 그의 단부들 중 하나로부터 실질적인 휘어짐 없이 캔틸레버로 될 수 있다.
환자용 호이스트는 제1 유형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 부재(20)를 이동시킴으로써 호이스트 어셈블리(10)가 부동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며, 그 이후에 호이스트 어셈블리(10)는 스위치 부재(20)가 제1 유형과 상이한 제2 유형의 이동에 따라 이동될 때에만 스위치 부재(20)에 의해 가동 상태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이동이 배향(sense)(예를 들어, 회전 또는 축)에 의해 그리고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또는 두 개의 대향하는 축 방향 중 하나의 축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것으로 여겨지면, 호이스트 어셈블리(10)는 스위치 부재(20)를 세장형 스위치 부재(20)의 길이를 따라 축 배향으로 또는 세장형 스위치 부재(20)의 길이에 대하여 회전 배향으로 지향된 제1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가동 상태 또는 부동 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위치된다. 그 이후에, 호이스트 어셈블리(10)는 스위치 부재(20)를 제1 방향과 상이하게 지향된 제2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가동 상태 및 부동 상태 중 나머지 하나의 상태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스위치 부재(20)가 충분한 길이를 가지면, 비상 상황에서 호이스트 어셈블리(10)를 부동 상태로 하기 위해 간병인은 바닥으로부터 스위치 부재(20)를 작동시킬 수 있다(또는 환자가 슬링 등으로부터 스위치 부재(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간병인은 벽 장착형 오버라이드 제어부(override control)로 걸어갈 필요 없이 또는 이와 달리 환자를 떠날 필요 없이 스위치 부재(20)를 사용하여 호이스트 어셈블리(10)를 재-가동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재-가동화는 부동화하는 이동과 상이하면서 돌발적으로 촉발시키기 쉽지 않은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술된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스위치 어셈블리(200)의 제1 예가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되며, 세장형 스위치 부재(220)가 풀-푸시(pull-push) 작용을 사용하여 (호이스트 어셈블리(10)와 같은)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부동 상태 및 가동 상태로 한다. 여기에서, 스위치 부재(220)는 (도 2b 내지 도 2d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따라 내부 통로(228)를 갖는 세장형 외부 스위치 부재(226), 및 외부 스위치 부재(226)의 내부 통로(228) 내에 삽통식으로 끼워 맞춰진 길이의 적어도 상당한 부분을 갖는 세장형 내부 스위치 부재(236)를 포함한다. 내부 스위치 부재(236)는 세장형 스위치 부재(220)의 길이를 따라 축 배향으로 외부 스위치 부재(226)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스위치(290) 둘레에 위치된 스위치 인클로저(27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스위치 작동 부재(250)에 링크된다. 스위치 작동 부재(250)는 스위치(290)와 맞물리며, 호이스트 어셈블리(10)를 가동 상태 또는 부동 상태로 위치시키도록 스위치(29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외부 스위치 부재(226)는 스위치 부재 동작 단부(222) 옆에 연장된 돌기(230)를 갖는 외주연부를 갖는 반면, 내부 스위치 부재(236)는 돌기(230) 옆에 외부 스위치 부재(226)로부터 돌출된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238)를 갖는다. 돌출형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238)와 외부 스위치 부재(226)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도 2b와 도 2c 사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스위치 부재(226)가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238) 쪽으로 압박될 때 내부 스위치 부재(236)가 외부 스위치 부재(226)와 함께 이동하지만, (도 2c와 도 2d 사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스위치 부재(226)가 대향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내부 스위치 부재(236)가 외부 스위치 부재(226)를 뒤따를 필요가 없다. 스프링(294)은 외부 스위치 부재(226)가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23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방식으로 외부 스위치 부재(226)를 스위치 인클로저(270)에 대하여 스위치 작동 부재(250) 쪽으로 바이어스한다(도 2b에서 스프링(294)은 압축 해제되며/완전히 연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스위치 부재(220)를 (예를 들어, 도 2b와 도 2c 사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스위치 부재(226)의 돌기(230)를 파지하고 그 돌기(230)를 하방으로 당김으로써) 스위치 부재(220)의 길이를 따라 축 배향으로 지향된 제1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호이스트 어셈블리(10)를 부동 상태에 위치시킨다. 이렇게 수행될 때, 내부 스위치 부재(236)는 외부 스위치 부재(226)와 함께 이동하며, 따라서 스위치 작동 부재(250)는 호이스트 어셈블리(10)가 부동 상태에 위치되도록 스위치(290) 상에 작용한다. 도 2b에서 돌기(230)가 해제될 때,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94)은 외부 스위치 부재(226)를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238)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외부 스위치 부재(226)를 상방으로 압박한다. 그 이후에, 호이스트 어셈블리(10)는, 예를 들어, 도 2d의 스위치 부재(220)를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 부재(220)의 내부 스위치 부재(236)를 상방으로 푸시함으로써 (이는 돌기(230)를 검지로 파지하면서 엄지로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238)를 푸시함으로써 가장 용이하게 수행됨) 그 길이를 따라 지향되면서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스위치 부재(220)를 축 배향으로 압박함으로써 가동 상태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어셈블리를 도 2b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시킨다.
스위치 어셈블리(300)의 제2 예가 도 3a 내지 도 3j에 예시되며, 세장형 스위치 부재(320)는 풀-비틀림(pull-twist) 작용을 사용하여 (호이스트 어셈블리(10)와 같은)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부동 상태 및 가동 상태로 하는데, 스위치 부재(320)를 스위치 부재(320)의 길이를 따라 지향된 축 배향으로 압박함으로써 호이스트 어셈블리(10)를 부동 상태로 하며(또는 정반대로 가동 상태로 하며), 스위치 부재(320)를 세장형 스위치 부재(320)의 길이에 대하여 회전식으로 지향된 제2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호이스트 어셈블리(10)를 대향 상태에 위치시킨다. 스위치 작동 부재(350)는 스위치 인클로저(370)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스위치 부재(320)와 함께 이동하도록 스위치 부재(320)에 링크된다(예를 들어, 도 3d 참조). 이러한 이동 중에, 스위치 작동 부재(350)는 호이스트 어셈블리(10)를 가동 상태(도 3b 내지 도 3d) 또는 부동 상태(도 3e 내지 도 3j)에 위치시키도록 스위치(390)와 맞물리거나 스위치(390)를 해제시킨다. 스위치 인클로저(370)는 내부에 형성된 슬롯(372)을 가지며, 스위치 작동 부재(350)는 슬롯(372) 내로 연장된 돌출형 캠 부재(352)를 갖는데, 스위치 부재(320)를 전술된 제1 (축) 방향 및 제2 (회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캠 부재(352)를 슬롯(372)을 따라 구동시킨다. 슬롯(372)은 대향하는 슬롯 단부(374 및 376) 및 이들 사이의 슬롯 중간부(378)를 갖는데, 슬롯(372)은 슬롯 중간부(378)가 슬롯 단부(374 및 376)보다 스위치 부재 동작 단부(322)에 더 가까이 위치되도록 경사지거나 만곡된 상태에 있다(특히 도 3b, 도 3e, 및 도 3h 참조). 따라서, 스위치 부재(320)가 스위치 부재(320)의 길이를 따라 지향된 축 배향으로 압박될 때, 스위치 캠 부재(352)는 슬롯(372)의 형상/지향으로 인해 축 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제1 슬롯 단부(374)로부터 슬롯(372)을 따라 이동한다(도 3b 내지 도 3d와 도 3e 내지 도 3g를 비교). 동시에, 도 3e 내지 도 3g에서 스위치(390)가 호이스트 어셈블리(10)를 부동 상태에 위치시키도록 맞물린 상태에서 스위치 작동 부재(350)가 스위치(390)에 대해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은 스위치 작동 부재(350)를 스위치 인클로저(370)에 대하여 바이어스하는 스프링(394)(도 3d, 도 3g, 및 도 3j)에 의해 저지된다. 스위치 부재(320)가 해제될 때, 스프링(394)은 스위치 부재(320)를 상방으로 압박하며(도 3h 내지 도 3j), 슬롯(372)의 형상/지향은 캠 부재(352)를 캠 부재(352)가 유지되는 제3 슬롯 단부(376) 쪽으로 더 압박하는 상태이다(스위치는 스위치 작동 부재(350)에 의해 여전히 맞물린 상태이다). 그런 다음, 호이스트 어셈블리(10)를 부동 상태에서 가동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스위치 부재(320)를 세장형 스위치 부재(320)의 길이에 대하여 지향된 제2 방향으로 회전 배향으로 압박하여, 스프링(394)을 이겨내고 도 3h 및 도 3i의 위치로부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위치 쪽으로 슬롯(372)을 따라 스위치 캠 부재(35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스위치 작동 부재(350)를 스위치(390)로부터 맞물림 해제시키며 호이스트를 다시 가동 상태로 위치시킨다.
스위치 어셈블리(400)의 제3 예가 도 4a 내지 도 4c에 예시되는데, 세장형 스위치 부재(420)는 축 및 비-축(off-axial) 이동을 이용하여 호이스트 어셈블리(40)(호이스트 어셈블리(40)의 단지 일부분만이 도시됨)를 부동 상태 및 가동 상태로 하는데, 스위치 부재(420)를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스위치 부재(420)의 길이를 따라 축 배향으로 지향된 제1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호이스트 어셈블리(40)를 부동 상태에 위치시키며, 그 다음에 (예를 들어, 그 길이에 수직인 스위치 부재(420) 상에 힘을 가함으로써) 세장형 스위치 부재(420)를 세장형 스위치 부재(420)의 길이를 따라 지향되지도 않으면서 세장형 스위치 부재(420)에 평행하게 지향되지도 않은 제2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호이스트 어셈블리(40)를 가동 상태에 위치시킨다. 스위치 작동 부재(450)는 호이스트 어셈블리(40)에 대하여 피봇(45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에 의해서 스위치 작동 부재(450)의 진동 단부(swinging end)(458)는 호이스트 어셈블리(40)를 가동 상태 또는 부동 상태에 위치시키도록 스위치(490)와 맞물리고 그리고 맞물림 해제되게 이동할 수 있다(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위치(490)와의 맞물림은 호이스트 어셈블리(40)를 가동 상태로 하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위치(490)와의 맞물림 해제는 호이스트 어셈블리(40)를 부동 상태로 한다). 스위치 부재(420)는 스위치 부재(420)의 스위치 부재 동작 단부(422)에 대향하는 스위치 부재 호이스트 단부(424)를 가지며, 이는 스위치 작동 부재(450)의 진동 단부(458)에 피봇식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이와 달리 링크된다. 스프링(494)은 스위치 작동 부재(450)를 호이스트 어셈블리(40)에 대하여 바이어스하며, 스위치 어셈블리(400)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재할 때 초기에 스위치(490)로부터의 스위치 작동 부재(450)의 맞물림 해제에 저항하는데, 스위치 작동 부재(450)가 스위치(490)로부터 멀리 피봇(456)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494) 상의 장력은 증가한다. 그러나, 그런 다음 스위치 작동 부재(450)가 도 4c에 도시된 위치로 추가로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494) 장력이 감소하며, 그에 의해 스위치 작동 부재(450)를 도 4b에 도시된 상태로 다시 피봇시키도록 스위치 부재(420)가 옆으로 (즉, 스위치 부재(420)의 축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당겨지지 않는 한 스위치 작동 부재(450)가 스위치(490)와 맞물리도록 뒤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에 의해 본 발명의 전술된 형태들은 의자, 사다리 등을 사용할 필요 없이 간병인이 바닥으로부터 호이스트(특히 천장 호이스트)를 부동 상태 및 재-가동 상태로 하도록 허용하며, 간병인은 돌발적인 재-가동화의 가능성이 감소되도록 유사하지 않은 가동화/부동화 이동을 사용하여 그렇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 특징, 및 목적은 연관된 도면과 함께 본 명세서의 나머지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a는 천장 장착형 트랙(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진행하기 위한 트롤리(12)를 구비하는 호이스트 어셈블리(10), 끈(strap)(16)으로 호이스트 어셈블리(10)로부터 내려가는 리프팅 부재(14)(스프레더 바), 및 호이스트 어셈블리(10)로부터 내려가는 세장형 스위치 부재(20)를 갖는 예시적인 (천장) 호이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스프레더 바(14) 상의 예시적인 환자용 슬링을 환자가 슬링 내에 위치된 상태로 (가상선/파선으로) 도시하는 도 1a의 호이스트의 정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a 및 도 1b의 호이스트와 같은) 환자용 호이스트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절한 예시적인 제1 스위치 어셈블리(200)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외부 스위치 부재(226) 및 내부 스위치 부재(236)(두 부재는 함께 도 2b 내지 도 2d의 스위치 부재(220)를 형성함), 스위치 작동 부재(250), 스위치 인클로저(270), 스위치(290), 및 스프링(294)(은 물론 이하에 논의되는 다른 부품들)을 도시하는 스위치 어셈블리(200)의 분해도(해체도)이고,
도 2b 내지 도 2d는 도 2a의 조립된 스위치 어셈블리(200)의 측단면도로서, 외부 스위치 부재(226)와 내부 스위치 부재(236) 사이의 간극을 이용하여, 가동 상태의 스위치(290)(도 2b), 스위치 부재(220)가 당겨짐에 따라 부동 상태로 전이하는 것(도 2c), 및 스위치 부재(220)가 해제될 때에 부동(이지만 재-가동 상태로 준비된) 상태로 남아있는 것(도 2d)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j는 (도 1a 내지 도 1b의 호이스트와 같은) 환자용 호이스트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절한 예시적인 제2 스위치 어셈블리(300)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스위치 부재(320), 스위치 작동 부재(350), 스위치 인클로저(370), 스위치(390), 및 스프링(394)(은 물론 이하에 논의되는 다른 부품들)을 도시하는 스위치 어셈블리(300)의 분해(해체)도이고,
도 3b 내지 도 3j는 도 2a의 조립된 스위치 어셈블리(300)의 가동 상태(도 3b 내지 도 3d)로부터 스위치 부재(320)가 당겨짐에 따라 중간 부동 상태로 전이하는 것(도 3e 내지 도 3g) 그리고 스위치 부재(320)가 해제됨에 따라 최종 부동 상태로 전이하는 것(도 3h 내지 도 3j)을 예시하며, 도 3b, 도 3e 및 도 3h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3c, 도 3f 및 도 3i는 정면도이며, 도 3d, 도 3g 및 도 3j는 (선택된 컴포넌트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수직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a 및 도 1b의 호이스트와 같은) 환자용 호이스트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절한 예시적인 제3 스위치 어셈블리(400)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스위치 부재(420), 스위치 작동 부재(450), 스위치 인클로저(470), 스위치(490), 및 스프링(494)(은 물론 이하에 논의되는 다른 부품들)을 도시하는 스위치 어셈블리(400)의 분해(해체)도이고,
도 4a는 스프링(494)이 스위치 작동 부재(450)를 스위치(490)와 맞물리게 바이어스하여 스위치 어셈블리(400)를 가동 상태에 위치시키는 것을 도시하며,
도 4b는 스위치 부재(420)가 그 축을 따라 지향된 방향으로 당겨진 후의 도 4a의 장치를 도시하는데, 스프링(494)은 스위치 작동 부재(450)를 스위치(490)와 맞물림 해제하게 바이어스하여 스위치 어셈블리(400)를 부동 상태에 위치시키는 상태에 있으며, 비-축 힘(off-axis force)(예를 들어, 스위치 부재(420)의 축에 수직으로 가해진 힘이며, 도 4c에서는 좌측으로 가해진 힘)은 스위치 어셈블리(400)를 도 4a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시킬 것이다.
전술된 논의사항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서,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들이 이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의 "풀-푸시(pull-push)" 스위치 어셈블리를 먼저 살펴보면서 도 2a는 "풀-푸시" 스위치 어셈블리의 컴포넌트 부품을 분해(해체) 형태로 예시하며, 이들 부품은 이하의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외부 스위치 부재(226)는 (도 2b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단부들 중 하나에 돌기(230)를 설치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외부 스위치 부재(226)의 대향 단부는 (도 2b 내지 도 2d에 도시된) 스위치 인클로저 하부 개구(280) 내에 삽입되며, 스프링(294)은 스위치 인클로저(270) 내에서 외부 스위치 부재(226) 둘레에 위치되고, 스프링 리테이너(232)가 스위치 인클로저(270)의 하부와 스프링 리테이너(232) 사이에 스프링(294)을 유지하도록 외부 스위치 부재(226)의 상단부 상에 설치된다. 상단부에 돌출형 걸림부(240)를 갖는(도 2a 참조) 내부 스위치 부재(236)는 스위치 작동 부재 하부 개구(262)를 통해 연장되도록 삽입되는데(도 2b 내지 도 2d 참조), 걸림부(240)는 스위치 작동 부재(250) 내의 슬롯(264) 내에서 맞물린 상태이다(도 2a). 그런 다음, 스위치 작동 부재(250)와 내부 스위치 부재(236)는 스위치 인클로저(270)의 상부 내로 삽입될 수 있는데, 내부 스위치 부재(236)는 내부 스위치 부재(236)의 하단부가 외부 스위치 부재(226) 상에서 돌기(230)로부터 연장될 때까지 스프링 리테이너(232)를 통해 그리고 외부 스위치 부재(226)의 내부 통로(228) 내에 연장된 상태이다. 그런 다음, 내부 스위치 부재(236)의 돌출형 말단부(238)는 내부 스위치 부재(236)의 하단부 상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이와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단계가 완료되면, 스위치(290)가 스위치 인클로저(270) 및 스위치 작동 부재(250)와 아직 맞물리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여러 컴포넌트들이 실질적으로 도 2d에 도시된 조립된 형태로 위치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290)는 통상적인 토글 스위치의 형태를 취한다. 주변의 스위치 너트(292)를 제거하고, 인클로저 마운트(296)를 스위치(290) 상으로 미끄러지게 한 다음, 스위치 너트(292)를 대체함으로써, 스위치(290) 둘레에 인클로저 마운트(296)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스위치 작동 부재(250) 및 스위치 부재(220)(즉, 외부 스위치 부재(226) 및 내부 스위치 부재(236))가 스위치 인클로저(270) 내부에 병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스위치 인클로저(270)는 체결구(298)에 의해 인클로저 마운트(296)에 부착될 수 있어서, 스위치(290)는 스위치 작동 부재(250) 내에 형성된 스위치 리셉터클(266) 내에 끼워 맞춰진다(도 2b 참조).
스위치 어셈블리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검토하기 위해 도 2b 내지 도 2d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b는 가동 상태에 있는 스위치(290)를 도시하는데, 즉 스위치 작동 부재(250)가 스위치(290) 상부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호이스트 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가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간병인, 환자 또는 다른 오퍼레이터가 비상 또는 다른 상황에서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부동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면, 오퍼레이터는 스위치 부재(220)를 외부 스위치 부재(226)의 외부를 따라 예를 들어 돌기(230)에서 파지하고 끌어당길 수 있다. 이러한 일이 일어날 때, 도 2c에 도시된 장치에 따라, 돌기(230)가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238)에 대항하여 작용한 상태에서, 외부 스위치 부재(226)의 스프링 리테이너(232)가 스위치 인클로저(270)의 하부에 대항하여 스프링(294)을 압축한 상태에서, 그리고 내부 스위치 부재(236)의 하방 이동이 스위치 작동 부재(250)를 걸림부(240)에서 스위치 인클로저(270) 내에서 하방으로 당긴 상태에서, 외부 스위치 부재(226)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스위치 작동 부재(250)는 스위치(290)에 대항하여 작용하여 스위치(290)를 부동 상태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그런 다음 사용자가 외부 스위치 부재(226) 및/또는 돌기(230)를 해제할 때, 스프링(294)이 자유롭게 연장되어 스프링 리테이너(232)(및 그에 따라 외부 스위치 부재(226))를 스위치 작동 부재(250)의 하부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밀며, 그에 의해 스위치 작동 부재(250)를 토글 스위치(290)를 하부에 대항하여 민다(도 2d 참조). 결과적으로, 스위치 작동 부재(250)와 스위치(290)의 하부 사이에 이전에 존재했던 간극은 외부 스위치 부재(226)의 돌기(230)와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238) 사이에 존재하도록 이동된다. 다음에, 오퍼레이터가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재-가동화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예를 들어 그의 검지들 사이에서 외부 스위치 부재(226)의 돌기(230)를 파지하면서 그의 엄지로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238)를 푸시함으로써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238)를 외부 스위치 부재(226)에 대하여 상방으로 간단하게 밀 수 있다. 이는 스위치 어셈블리(200)를 도 2b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그런 다음, 도 3a의 예시적인 스위치 어셈블리(300)를 참조하면, 여기에서 스위치(390)는 눌러지자마자 개방되는 보통은 폐쇄된 접촉 스위치의 형태를 취하고, 스위치 인클로저(370)를 또한 구비하는 인클로저 마운트(396) 상에 제공되는데, 스위치 부재(320)는 병진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위치 부재(320)는 복수의 섹션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스위치 부재 동작 단부(322)와 소켓 단부(334)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부 스위치 부재(326), 및 (소켓 단부(334) 내로 끼워 맞춰지는)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338)로부터 스프링 리테이너(332)로서 작용하는 하부 면을 갖는 스위치 작동 부재(350)로 연장되는 내부 스위치 부재(336)로서 형성될 수 있다. 캠 부재(352)가 스위치 작동 부재(350) 내에 형성된 캠 부재 개구(354) 내에 끼워 맞춰지는 핀으로서 설명되지만, 캠 부재(352)는 스위치 작동 부재(350) 상에 성형될 수 있거나 또는 이와 달리 스위치 작동 부재(350)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해체된 상태로부터 스위치 어셈블리(300)를 조립하기 위해, 스프링(394)이 스프링 리테이너(332)에 인접하도록 내부 스위치 부재(336) 둘레에 끼워 맞춰질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내부 스위치 부재(336)는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338)가 (도 3d / 도 3g / 도 3j에 도시된) 그의 스위치 인클로저 하부 개구(380)로부터 연장될 때까지 스위치 인클로저(370) 내로 하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외부 스위치 부재(326)의 소켓 단부(334)는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338) 둘레에 끼워 맞춰질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스위치 부재(320)의 길이를 구성할 수 있다. 캠 부재(352)는 캡 부재 개구(354) 내에 수용되도록 캠 인클로저 슬롯(372) 내에 삽입되며, 그에 의해 도 3b 내지 도 3j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어셈블리(300)를 완성한다.
다음으로, 스위치 어셈블리(300)의 동작을 검토하기 위해 도 3b 내지 도 3j를 참조하면, 도 3b 내지 도 3d는 가동 상태에 있는 스위치(390)를 도시한다. 스위치 부재(320)를 하방으로 당기면 캠 부재(352)가 도 3b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3e에 도시된 위치로 슬롯(372) 내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스위치 작동 부재(350)는 스위치(390)와 맞물려서 호이스트 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를 부동 상태로 되게 한다. 그런 다음, 스위치 부재(320)를 해제하면, 스프링(394)이 캠 부재(352)를 상방으로 구동하게 되며 그리고 슬롯(372)의 형상으로 인해 제3 슬롯 단부(376) 쪽으로도 또한 구동하게 된다. 이어서, 스위치 부재(320)가 사용자에 의해 비틀어져서 캠 부재(352)를 도 3h 내지 도 3j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된 위치까지 거꾸로 이동시킬 때까지, 스프링(394)의 힘은 스위치 부재(320)를 그 자리에 유지시키며, 스위치 작동 부재(350)는 스위치(390)를 부동 상태에 유지시킨다. 스프링(394)의 성질에 따라 슬롯(372) 내에서 캠 부재(352)의 이동을 스프링(394)에 의해 가해진 비틀림 힘이 돕고/돕거나 저지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그러므로, 슬롯(372)의 형상은 스프링(394)의 성질에 따라 도 3a 내지 도 3j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 심지어 슬롯(372)은 스위치 작동 부재(350)와 스위치 인클로저(370)의 상호작용에 따라 스위치 인클로저(370) 상에 존재할 필요가 없으며, 대신에 예를 들어 캠 부재(352)는 스위치 인클로저(370)의 내벽으로부터 스위치 작동 부재(350) 상의 슬롯 내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의 예시적인 스위치 어셈블리(400)는 스위치 어셈블리(400)가 설치된 호이스트 어셈블리(40)의 일부분과 함께 해체된 형태로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스위치 인클로저(470)에서 호이스트 어셈블리(40) 상에 보통은 개방된 순간 접촉 스위치(490)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강성이지만 유연한 코드 등으로서 제공될 수 있는 스위치 부재(420)가 스위치 작동 부재(450)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며, 스위치 작동 부재(450)는 결국 호이스트 어셈블리(40)에서 피봇(456)에 피봇식으로 부착되어 스위치 작동 부재(450)가 스위치(490)와 맞물리고 맞물림 해제하도록 진동할 수 있다(도 4b 및 도 4c 참조). 스프링(494)은 스위치 작동 부재(450)를 호이스트 어셈블리(40)에 대하여 바이어스하도록 그리고 그에 따라 호이스트 어셈블리(40) 상의 스위치 인클로저(470) 내의 스위치(490)에 대하여 바이어스하도록 스위치 작동 부재(450) 상의 장착 포스트(460)로부터 호이스트 어셈블리(40) 상의 장착 포스트(42)로 연장된다. 스위치 작동 부재(450)가 피봇함에 따라 스프링 장착 포스트(460)와 스프링 장착 포스트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므로, 스프링 작동 부재는 스프링 장력이 더 작은 두 위치와, 즉 도 4b에 도시된 위치 및 도 4c에 도시된 위치와, 스프링 장력이 더 큰 중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작동 부재(450)가 스위치 부재(420)에 대한 오퍼레이터의 작용에 의해 이들 위치 중 하나의 위치로부터 압박되지 않는 한 스위치 작동 부재(450)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위치 쪽으로 선택적으로 바이어스되어 그 위치 내에 유지될 것이다.
스위치 어셈블리(400)의 동작을 검토하기 위해, 스프링(494)이 스위치 작동 부재(450)를 스위치(490)에 대항하여 압박하는 상태에서 스위치 어셈블리가 도 4b에 도시된 가동 상태에 존재할 때, 사용자는 스위치 부재(420)를 하방으로 당김으로써 스위치 어셈블리를 부동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는 스프링(494)의 힘에 대항하여 스위치 작동 부재(450)를 회전시키며, 스위치 작동 부재(450)가 도 4c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스위치 작동 부재(450)는 스위치(490)와 맞물림 해제된다. 스위치 부재(420) 및 스위치 작동 부재(450)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될 때, 스위치 부재(420)에 대한 추가적인 당김은 아무런 영향이 미치지 않을 것이며, 스위치 부재(420)를 (도 4c에 지향된 바와 같이) 그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미는 것은 스위치 작동 부재(450)의 진동 단부(458)를 스위치(490)로부터 훨씬 더 멀어지게 회전 배향으로 압박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의해 스위치 어셈블리(400)를 부동 상태에 유지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스프링(494)을 이겨내서 스위치 작동 부재(450)의 진동 단부(458)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90)와 맞물리도록 거꾸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스위치 부재(420) 상에 "비-축" 힘을 가해야 하며, 예를 들어 스위치 부재(420)의 길이에 수직으로 지향된 힘 또는 스위치 작동 부재 동작 단부(422)에 가해진 모멘트(모멘트의 축은 스위치 작동 부재(450)가 피봇하는 축에 평행하게 지향된 상태임)를 가해야 한다.
전술된 본 발명의 형태들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을 이들 형태들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강조된다. 예시를 위해, 다음의 설명은 전술된 형태들에 가해질 수 있는 변형예에 대한 예시적인 리스트이다.
먼저,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호이스트 어셈블리(10)와 리프팅 부재(14)의 구성은 단지 예시적이며, 전술된 스위치 어셈블리(200, 300 및 400)는 매우 다양한 외형과 동작을 갖는 호이스트 어셈블리 및/또는 리프팅 부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스위치 어셈블리는 가동(또는 고정) 천장 호이스트보다는 가동(또는 고정) 지주 장착형 호이스트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리프팅 부재는 환자를 리프팅하기 위한 (또는 다리, 팔, 또는 환자의 다른 부분을 리프팅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프레더 바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을 갖거나 갖지 않는 단일 루프 슬링 또는 다중 루프 슬링, 해먹(hammock), 의자 등을 취할 수 있다. 호이스트 어셈블리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호이스트 어셈블리와 매우 상이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는 하나 초과의 리프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호이스트 어셈블리(10)는 자기 자신의 고유한 리프팅 부재(14)를 각각 지지하는 두 개 이상의 끈(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리프팅 부재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것은 동일한 스위치 어셈블리에 의해 동시에 가동 상태로 되고 부동 상태로 될 수 있거나 별개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의해 독립적으로 가동 상태로 되고 부동 상태로 될 수 있다.
스위치 어셈블리(200, 300 및 400) 및 그 내부의 컴포넌트들도 또한 이전에 검토된 것들과 상이한 외형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치 어셈블리(200)를 예로서 사용하여, 컴포넌트는 집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와 달리 적절한 장소에서 조합될 수 있는데, 예시를 위해 돌기(230)(도 2a)는 외부 스위치 부재(226) 상에 성형될 수 있거나 또는 이와 달리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컴포넌트는 적절한 장소에서 복수의 별개의 서브컴포넌트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위치 인클로저(270)(도 2a)는 스위치 인클로저(270)가 도 2b 내지 도 2d에서 이동하는 경로와 동일한 경로를 따라 병진 이동하도록 스위치 작동 부재(250)를 저지하기 위해 인클로저 마운트(396)를 따라 위치된 이격된 L-브래킷 또는 이격된 직사각형 루프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적절한 장소에서, 예를 들어 예시된 스위치 인클로저(270)를 완전히 제거하고 인클로저 마운트(396)에 대하여 병진 이동하도록 스위치 작동 부재(250)를 저지함으로써 (예를 들어, 인클로저 마운트(396)로부터 돌출된 플랜지가 내부로 연장되는 스위치 작동 부재(250)의 길이를 따라 슬롯을 형성함으로써) 도면 내에서 도시된 컴포넌트도 또한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로 대체될 수 있다. 컴포넌트는 또한 더 적은 또는 더 많은 구조적 특성 및/또는 기능적 특성을 갖도록 수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위치 부재(220)는 (예를 들어, 외부 스위치 부재(226) 상에 핑거 리지(finger ridge)를 위치시킴으로써) 윤곽형 핸들(contoured handle), (예를 들어, 돌기(230)를 내부 스위치 부재 말단부(238) 둘레에서 연장하는 루프로 대체함으로써) 핸들 루프(handle loop)또는 다른 쉽게 파지된 연장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스위치 부재(220)는 직선 축을 따라 연장될 필요는 없다(즉, 외부 스위치 부재(226) 및 내부 스위치 부재(23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형일 수 있다). 스위치(290)는 나이프, 리드(reed), 또는 다른 비토글(non-toggle) 스위칭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는데, 작동 시에 순간 또는 고정 상태 접속을 사용할 수 있고, 상이한 동작 원리(전기, 자기, 광학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스위치 어셈블리(200, 300 및 400)를 검토한 후에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이들 및 다양한 다른 변형예를 생각해 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고 위에서 서술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들은 (도 2a 내지 도 2d에서와 같은) 축 및 대향 축(contra-axial)(즉, 풀(pull) 및 푸시(push)) 스위치 작용, (도 3a 내지 도 3j에서와 같은) 축 및 회전 스위치 작용, 및 (도 4a 내지 도 4c에서와 같은) 축 및 비-축 스위치 작용에 기반하여 동작하지만, 호이스트-가동 상태의 스위치 이동 및 호이스트-부동 상태의 스위치 이동이 상이한 다른 유형의 스위치 작용(예를 들어, 회전 및 비-축 스위치 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대신에 아래에 제시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자 그대로 또는 등가적으로 이들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상이한 형태들을 포함한다.

Claims (30)

  1. a. 리프팅 부재;
    b. 상기 리프팅 부재에 연결된 호이스트 어셈블리; 및
    c.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로부터 스위치 부재 작동 단부로 내려오는 세장형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는
    (1)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가 상기 리프팅 부재를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에 더 가까이 위치된 상승 위치와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가동 상태, 및
    (2)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가 상기 리프팅 부재를 상기 상승 위치와 상기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없는 부동 상태를 갖고,
    상기 스위치 부재 작동 단부는 상기 상승 위치보다 낮고 상기 하강 위치보다 높으며,
    A. 상기 스위치 부재를
    I.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의 길이를 따라 축 배향으로, 또는
    II.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의 길이에 대하여 회전 배향으로
    지향된 제1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상기 가동 상태 또는 부동 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위치시키고,
    B.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하게 지향된 제2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상기 가동 상태 및 상기 부동 상태 중 나머지 하나의 상태에 위치시키는
    환자용 리프트.
  2. a. 호이스트 어셈블리; 및
    b. 세장형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는 그로부터 내려오는 리프팅 부재를 구비하고,
    (1)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가 상기 리프팅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키고 하강시킬 수 있는 가동 상태,
    (2)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가 상기 리프팅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키고 하강시킬 수 없는 부동 상태, 및
    (3) 상기 수직 방향으로 측정된 높이를 갖고,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는
    (1) 스위치 부재 작동 단부에서 종료하도록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로부터 내려오고
    (2)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의 높이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같거나 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를 가지며,
    A. 상기 스위치 부재 작동 단부를
    I.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의 길이를 따라 축 배향으로, 또는
    II.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의 길이에 대하여 지향된 방향으로 회전 배향으로
    지향된 제1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상기 가동 상태 또는 부동 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위치시키고,
    B. 상기 스위치 부재 작동 단부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상기 가동 상태 및 상기 부동 상태 중 나머지 하나의 상태에 위치시키는
    환자용 리프트.
  3. a. 수직 방향으로 측정된 높이를 갖는 호이스트 어셈블리;
    b.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에 의해 지지되는 리프팅 부재; 및
    c.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 아래에 위치된 스위치 부재 작동 단부로 연장되는 세장형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는
    (1)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가 상기 리프팅 부재를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의 높이보다 큰 이동 범위를 따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고 하강시킬 수 있는 가동 상태,
    (2)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가 상기 리프팅 부재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고 하강시킬 수 없는 부동 상태를 가지며,
    A.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를
    I.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의 길이를 따라 축 배향으로, 또는
    II.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의 길이에 대하여 회전 배향으로
    지향된 제1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상기 가동 상태 또는 부동 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위치시키고,
    B.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상기 가동 상태 및 상기 부동 상태 중 나머지 하나의 상태에 위치시키는
    환자용 리프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성이며, 그에 의해 상기 스위치 부재는 실질적인 휘어짐 없이 상기 스위치 부재의 일 단부로부터 캔틸레버로 될 수 있는
    환자용 리프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성이며, 그에 의해 상기 스위치 부재의 길이의 일 단부에 가해진 토크는 상기 스위치 부재의 길이의 대향 단부로 전달되는
    환자용 리프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부재 상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 환자 지지 슬링을 더 포함하는
    환자용 리프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를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의 길이를 따라 축 배향으로 지향된 제1 방향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부동 상태에 위치시키는
    환자용 리프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를
    a.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의 길이를 따라, 그리고
    b.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여
    지향된 제2 방향으로 축 배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가동 상태에 위치시키는
    환자용 리프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를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의 길이에 대하여 지향된 제2 방향으로 회전 배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상기 가동 상태에 위치시키는
    환자용 리프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를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의 길이를 따라 축 배향으로 지향된 제1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스위치 부재를 상기 제2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또한 회전 배향으로 압박하는 것인
    환자용 리프트.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를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의 길이를 따라 지향되지도 않고 그 길이에 평행하게 지향되지도 않은 제2 방향으로 축 배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상기 가동 상태에 위치시키는
    환자용 리프트.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는,
    a. 세장형 외부 스위치 부재 및
    b. 상기 외부 스위치 부재 내에 삽통식으로 끼워 맞춰진 세장형 내부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는
    환자용 리프트.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는,
    a. (1) 길이를 따라 내부 통로 및
    (2) 상기 스위치 부재 작동 단부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외주연부를 갖는 세장형 외부 스위치 부재; 및
    b. (1) 길이의 적어도 상당한 부분이
    (a) 상기 외부 스위치 부재의 내부 통로 내에 위치되며,
    (b)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의 길이를 따라 축 배향으로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며,
    (2) 상기 돌기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스위치 부재로부터 돌출된 말단 내부 스위치 부재 단부를 갖는 세장형 내부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는
    환자용 리프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위치 부재는 상기 말단 내부 스위치 부재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돌기를 압박하도록 바이어스되는
    환자용 리프트.
  15. 제13항에 있어서,
    a. 스위치 인클로저,
    b. 상기 스위치 인클로저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내부 스위치 부재에 링크된 스위치 작동 부재, 및
    c.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작동은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상기 가동 상태 또는 부동 상태에 위치시키는
    환자용 리프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위치 부재를 상기 스위치 인클로저에 대하여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환자용 리프트.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스위치 인클로저,
    b. 상기 스위치 부재가 상기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압박될 때 상기 스위치 인클로저 내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함께 이동 가능한 스위치 작동 부재 및
    c.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작동은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상기 가동 상태 또는 부동 상태에 위치시키는
    환자용 리프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를 상기 스위치 인클로저에 대하여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환자용 리프트.
  19. 제17항에 있어서,
    a.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 및 상기 스위치 인클로저 중 하나는 돌출된 캠 부재를 갖고,
    b.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 및 상기 스위치 인클로저 중 나머지 하나는 내부에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부재를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캠 부재를 상기 슬롯을 따라 구동시키는
    환자용 리프트.
  20. 제19항에 있어서,
    a. 상기 슬롯은 대향하는 슬롯 단부 및 이들 사이의 슬롯 중간부를 갖고,
    b. 상기 슬롯 중간부는 상기 슬롯 단부들보다 상기 스위치 부재 작동 단부에 더 가까이 위치되는
    환자용 리프트.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스위치 부재는
    a. (1) 길이를 따라 내부 통로를 가지며,
    (2)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 쪽으로 바이어스되는 세장형 외부 스위치 부재, 및
    b. (1) 상기 내부 통로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2)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와 함께 이동하도록 그에 링크되는 세장형 내부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는
    환자용 리프트.
  22. 제21항에 있어서,
    a. 상기 외부 스위치 부재는 상기 스위치 부재 작동 단부에 인접하게 연장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외주연부를 가지며,
    b. 상기 내부 스위치 부재는 상기 돌기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 스위치 부재로부터 돌출된 말단 내부 스위치 부재 단부를 갖는
    환자용 리프트.
  2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스위치 인클로저,
    b. 상기 스위치 인클로저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스위치 부재에 링크된 스위치 작동 부재, 및
    c.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에 의해 작동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부재를 상기 스위치 부재의 길이를 따라 지향된 축 배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스위치 부재를 상기 스위치 부재의 길이에 대해 또한 회전시키고,
    상기 스위치의 작동은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상기 가동 상태 또는 부동 상태에 위치시키는
    환자용 리프트.
  24. 제23항에 있어서,
    a.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 및 상기 스위치 인클로저 중 하나는 그로부터 돌출된 캠 부재를 갖고,
    b.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 및 상기 스위치 인클로저 중 나머지 하나에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부재를 상기 스위치 부재의 길이를 따라 지향된 축 배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캠 부재를 상기 슬롯을 따라 구동시키는
    환자용 리프트.
  2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기 스위치 부재 작동 단부에 대향하는 스위치 부재 호이스트 단부를 포함하며,
    b. 상기 스위치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중 한 방향을 따라 압박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 부재 호이스트 단부는 곡선 경로를 가로지르는
    환자용 리프트.
  26. 제25항에 있어서,
    a.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피봇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b. 상기 피봇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스위치 부재 호이스트 단부가 부착되어 있는 진동 단부를 갖는 스위치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환자용 리프트.
  2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1)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에 대해 피봇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2) 상기 피봇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스위치 부재가 장착된 진동 단부를 갖는 스위치 작동 부재, 및
    b.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1)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는 상기 스위치와 맞물리고 맞물림 해제되도록 상기 피봇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2)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와의 맞물림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스위치의 작동은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를 상기 가동 상태 또는 부동 상태에 위치시키는
    환자용 리프트.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의 상기 진동 단부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환자용 리프트.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를 상기 호이스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환자용 리프트.
  30. 제29항에 있어서,
    a.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는
    (1) 상기 스위치와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와
    (2) 상기 스위치와 맞물림 해제되는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피봇에 대하여 회전하며,
    b.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가 상기 맞물림 위치와 상기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피봇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 상의 장력이 증가하는
    환자용 리프트.
KR1020137025777A 2011-08-03 2012-07-09 환자용 호이스트/리프트를 위한 비상 정지(로크아웃) 시스템 KR201400433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747926A CA2747926A1 (en) 2011-08-03 2011-08-03 Emergency stop (lockout) system for patient hoists/lifts
CA2,747,926 2011-08-03
PCT/CA2012/050464 WO2013016817A1 (en) 2011-08-03 2012-07-09 Emergency stop (lockout) system for patient hoists/lif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331A true KR20140043331A (ko) 2014-04-09

Family

ID=4762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777A KR20140043331A (ko) 2011-08-03 2012-07-09 환자용 호이스트/리프트를 위한 비상 정지(로크아웃)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77885B2 (ko)
EP (1) EP2691064B1 (ko)
JP (1) JP6063938B2 (ko)
KR (1) KR20140043331A (ko)
CN (1) CN103517695B (ko)
AU (2) AU2012289705A1 (ko)
BR (1) BR112013022886A2 (ko)
CA (2) CA2747926A1 (ko)
WO (1) WO20130168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7920A1 (en) * 2014-11-17 2016-05-26 Arjohuntleigh Magog Inc. Configurable patient ceiling lift
CN105943284A (zh) * 2016-05-16 2016-09-21 东南大学 一种可作病床的病人转移装置及方法
CA3082847A1 (en) * 2017-11-15 2019-05-23 Amico Mobility Solutions Corp. Portable patient lift system
EP3754835B1 (en) * 2019-06-03 2023-07-26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witch assemblies, rail-mounted lift systems, and rail-mounted lift units having emergency stop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3224A (en) * 1964-03-03 Apparatus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invalids
US2891256A (en) * 1954-05-19 1959-06-23 Scully Vincent Apparatus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patients
US2898083A (en) * 1956-10-31 1959-08-04 Elmer R Kresl Hoist with chain takeup
DE2214530B2 (de) * 1972-03-24 1975-09-25 Demag Ag, 4100 Duisburg Elektrozug
US3852835A (en) * 1973-06-29 1974-12-10 W Whitaker Bathtub hoist and transfer device
US4202064A (en) * 1977-04-26 1980-05-13 Joergensen Gunnar I Unit for vertical and horizontal personal transport
US4125908A (en) * 1977-05-18 1978-11-21 Vail Dottie J Invalid transfer lift
US4180346A (en) * 1978-03-13 1979-12-25 Robert L. Swanson Coupling for telescoping members
US4243147A (en) * 1979-03-12 1981-01-06 Twitchell Brent L Three-dimensional lift
US4606082A (en) * 1984-07-06 1986-08-19 Kuhlman Harvey G Chair lift apparatus
US4627119A (en) * 1985-01-22 1986-12-09 Parasystems, Inc. Apparatus to assist the disabled
US4635903A (en) * 1985-07-29 1987-01-13 Columbus Mckinnon Corporation Electric hoist pendant control switch arrangement
US4944056A (en) * 1988-09-28 1990-07-31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disabled person
JP2542621Y2 (ja) 1988-11-29 1997-07-30 日本輸送機 株式会社 フォークリフトの同時操作装置及びその安全装置
JPH0348148U (ko) * 1989-09-19 1991-05-08
US5133465A (en) * 1990-01-29 1992-07-28 Whiting Corporation Bridge crane electric motor control system
GB2260195A (en) 1991-09-27 1993-04-07 Carters Capacitative proximity switch controlled apparatus
US5327592A (en) * 1993-06-07 1994-07-12 Stump Floyd V Stationary patient lift
US5511256A (en) * 1994-07-05 1996-04-30 Capaldi; Guido Patient lift mechanism
IL111636A0 (en) * 1994-11-14 1995-01-24 Rogozinski Joseph Patient lifting and support systems
US5809591A (en) * 1996-03-19 1998-09-22 Lift Aid, Inc. Patient lift mechanism
US5694654A (en) * 1996-05-01 1997-12-09 Roy; Duane L. Patient lifting and transfer system
US6170606B1 (en) * 1996-06-28 2001-01-09 Safety Dynamicon, Inc. Analog control
US6543578B1 (en) * 1996-06-28 2003-04-08 Safety Dynamicon, Inc. Analog control
JP3048148U (ja) 1997-09-09 1998-05-06 有限会社エイドマシナリー 自立組立式の介護用ホイストの1段レール縦横移動装置
JP3048148B1 (ja) * 1999-04-09 2000-06-05 株式会社ディジョンカーズ 自動車用マフラ―の出口位置決め調整装置
DK174766B1 (da) 2001-04-30 2003-10-27 Guldmann V As Fremgangsmåde til drift af et hejseapparat samt et hejseapparat.
JP2005111113A (ja) 2003-10-10 2005-04-28 Mikuni Corp 介護リフト
DK176287B1 (da) * 2003-10-31 2007-06-11 Guldmann V As Hejsearrangement
GB2474393B (en) * 2006-03-30 2011-10-26 Prism Medical Ltd Ceiling lift and ceiling lift components
CN101801324B (zh) 2007-09-13 2013-01-02 利纳克有限公司 用于治疗台、医院和护理用床的升降柱
US7669255B2 (en) * 2008-01-28 2010-03-02 Terry Raney Storable dual action hydraulic lifting device
GB2462057A (en) 2008-07-14 2010-01-27 Joerns Healthcare Ltd Adjustable width support means for a patient handling hoist
US20110225728A1 (en) 2010-03-19 2011-09-22 Lyn Thornhill Tym-lyn portable lift system
CN101862246B (zh) 2010-05-28 2012-03-21 宁波富时医疗器械有限公司 带式沐浴升降控制器
WO2012001748A1 (ja) * 2010-07-02 2012-01-05 株式会社五合 操作装置及びその操作装置を備える移動装置
US8978905B2 (en) * 2010-07-02 2015-03-17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Lift systems with continuous in-rail char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202460A1 (en) 2017-05-04
EP2691064A1 (en) 2014-02-05
EP2691064A4 (en) 2015-01-21
CN103517695A (zh) 2014-01-15
JP2014521449A (ja) 2014-08-28
CN103517695B (zh) 2018-03-27
AU2012289705A1 (en) 2013-09-26
CA2828992C (en) 2020-07-07
AU2017202460B2 (en) 2019-03-07
US20140143952A1 (en) 2014-05-29
BR112013022886A2 (pt) 2017-11-14
JP6063938B2 (ja) 2017-01-18
US9877885B2 (en) 2018-01-30
EP2691064B1 (en) 2017-08-23
CA2828992A1 (en) 2013-02-07
CA2747926A1 (en) 2013-02-03
WO2013016817A1 (en)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2498B2 (en) Lifting bar and lifting bar connector
AU2017202460B2 (en) Emergency stop (lockout) system for patient hoists/lifts
KR100856998B1 (ko) 휠체어의 발판 조작 장치
US9757304B2 (en) Safety walker
CA2514268C (en) Safety hook for patient lift
JP2006305092A (ja) 移乗支援装置
US20140259412A1 (en) Patient support
WO2003014001A8 (en)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CA2847537C (en) Lifting bar and lifting bar connector
KR101496969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JP3325701B2 (ja) 吊下装置
CN114269311A (zh) 患者支承平台的延伸部
EP3590483A1 (en) Sling bars for lifting systems
JP2005006699A (ja) 転倒防止具付き杖
JP2010037921A (ja) 引戸の開閉装置
JPS5848318Y2 (ja) つかみ装置
JP7361664B2 (ja) アシスト器具
KR200346118Y1 (ko) 환자용 침대의 이탈방지판고정장치
KR101337879B1 (ko) 의자 이송장치
JP2004194910A (ja) 昇降式リフト
JP6535644B2 (ja) ベッド装置
TWM593254U (zh) 床側護欄升降裝置
JP3067127U (ja) 長さを自由に設定できるスイッチ紐
JP2002364142A (ja) 手摺り用昇降装置
JP2017108930A (ja) 収納式移動用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