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376B1 -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 Google Patents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376B1
KR101933376B1 KR1020180099052A KR20180099052A KR101933376B1 KR 101933376 B1 KR101933376 B1 KR 101933376B1 KR 1020180099052 A KR1020180099052 A KR 1020180099052A KR 20180099052 A KR20180099052 A KR 20180099052A KR 101933376 B1 KR101933376 B1 KR 101933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bucket
structural
boom
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시열
Original Assignee
류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시열 filed Critical 류시열
Priority to KR1020180099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절첩식 사다리(신축붐)에 탑승함을 설치하고 동시에 붐대의 선단(先端)에 구조용 버켓을 설치하며, 버켓에 활송장치(escape chute)를 연결 설치하여 화재가 발생한 고층건물에 갇혀 있는 다수의 피구조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상까지 탈출시킬 수 있는,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사다리는, 아우트리거(outrigger)가 구비된 차량(10)에서 섀시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절첩 가능한 붐대(21)에 의해 길이가 조정되는 신축붐(20)과, 붐대(21) 상을 슬라이딩 하게 되는 탑승함(23)과, 피구조자를 탈출시키기 위한 구조용 버켓(30)과,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전복방지 콘트롤러(50)를 구비하고, 구조용 버켓(30)에서 지상까지 연결되어 피구조자가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활송장치(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Life-saving ladder using boarding chute and chute}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명구조용 사다리의 선단(先端)에 설치된 구조용 버켓에 활송장치(escape chute)를 설치하여 고층에 갇힌 다수의 피구조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상까지 탈출시킬 수 있는,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학교, 병원 및 컨벤션센터 등과 같은 고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고층건물의 특성상 화재가 상층부로 급격하게 번지게 되므로 고온의 화염과 연기로 인해 비상통로나 비상계단을 찾기 어려워서 고립되어 질식되기 때문에 재산상의 피해는 물론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비상통로나 비상계단 대신 구조사다리나 완강기에 의한 구조, 소방구조대에 의한 구조 및 옥상에서의 헬리콥터에 의한 구조 등을 통해 건물 외부로 탈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소방차에 장착된 고가사다리 혹은 굴절붐의 끝에는 사람이 탈 수 있는 버켓을 장착하여 소방대원이 탑승하여 화재진압 활동을 수행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만일 고가사다리를 이용하여 건물에 갇힌 사람을 구조할 때는, 사다리 상을 슬라이딩하는 탑승함은 공간이 좁기 때문에 소방대원이 탑승한 상태에서 피구조자 1명이 동승하여 탑승함을 타고 내려오게 되므로, 상부에 있는 피구조자는 탑승함이 다시 올라올 때까지 방치된 채로 불안과 공포 속에서 기다려야 하는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고가사다리차 또는 굴절식 고가사다리차는 원래 화재진압용으로 제작된 것이지 인명구조용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명 구조작업이 매우 어렵고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인명구조용 사다리에 관한 기술을 예로 들어 보면, 특허등록 제1010521호 "인명구조용 차량 탑재형 사다리 구조체"는 다단으로 펼쳐서 신장 가능한 사다리를 설치하고, 사다리의 경사도에 따라 각 사다리에 설치된 계단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또, 특허등록 제1054379호 "인명구조용 굴절붐과 인명구조용 고가 사다리가 일체로 구비된 소방차"는 다단으로 펼쳐지는 사다리와 인명구조용 굴절붐을 일체로 설치하여 신장과 절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기술이고, 특허등록 제1226947호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는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발판 부위를 접었다 펼 수 있도록 한 사다리이다.
그런데 상기 특허를 포함하여 지금까지 출현한 인명구조용 사다리는 고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건물에 갇힌 다수의 피구조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상까지 탈출시킬 수 있는 장비가 아니라 소수의 인원만을 구조할 수 있고, 구조한 피구조자를 지상까지 탈출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피구조자가 사다리를 걸어서 내려와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명구조용 절첩식 사다리(신축붐)에 탑승함을 설치하고 붐대의 선단(先端)에 구조용 버켓도 설치하여, 버켓에 활송(滑送)장치(escape chute)를 연결 설치하여 화재가 발생한 고층건물에 갇혀 있는 다수의 피구조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상까지 탈출시킬 수 있는,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는,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조절실린더가 구비되고, 방향 조절이 가능하며, 절첩 가능한 붐대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신축붐; 상기 붐대 상을 슬라이딩하게 되며, 바닥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수평조절실린더를 구비한 탑승함; 상방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버켓과, 신축붐의 길이와 방향 및 버켓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고, 버켓을 수평상태로 유지해 주는 수평유지실린더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붐의 최선단(最先端)에 위치한 붐대의 선단(先端)에 결합 설치되어, 피구조자를 탈출시키기 위한 구조용 버켓; 상기 신축붐의 길이와 각도 및 고도, 탑승함과 구조용 버켓의 위치와 상태를 인식하고 연산하여 사다리가 전복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전복방지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구조용 버켓에 설치된 조작부와 전복방지 콘트롤러는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구조용 버켓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는 탈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탈출구에는 피구조자를 지상으로 탈출시키는 활송장치(escape chute)의 일단(一端)이 체결 결합되어 활송장치가 지상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활송장치는, 직물 재질의 베로우즈(bellows)형 호스(hose) 형상인 구조용 슈트(chute); 상기 구조용 슈트가 구조용 버켓의 탈출구에 거치되도록 슈트의 일단(一端)에 고정 결합된 슈트거치대; 상기 구조용 슈트의 타단에 설치된 연장용 지퍼; 상기 구조용 슈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링 형상의 안전고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활송장치는 연장용 슈트를 더 구비하며, 연장용 슈트는, 직물 재질의 베로우즈형 호스 형상인 연장슈트; 상기 연장슈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연장용 지퍼; 상기 연장슈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링 형상의 안전고리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조용 슈트와 연장슈트의 단부에 설치된 연장용 지퍼를 서로 체결하여 활송장치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붐대의 하단부분에 보조지지대가 더 설치되며, 보조지지대는, 상단이 상기 붐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면거치용 파이프; 일단이 상기 붐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거치용 파이프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파이프; 상기 한 쌍의 지면거치용 파이프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는 연결파이프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연결파이프의 중간에는 후크(hook) 형상의 걸쇠가 설치되어, 구조용 슈트 또는 연장슈트에 설치된 안전고리를 걸쇠에 걸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신축붐과 구조용 버켓의 연결구조는, 상기 신축붐의 최선단(最先端)에 위치한 붐대의 선단(先端)에 고정 결합 되는 고정연결대; 상기 고정연결대와 힌지 결합되어, 힌지 결합된 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부재; 일단(一端)이 상기 고정연결대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재와 힌지 결합 설치되어, 구조용 버켓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회동시키는 수평유지실린더; 상기 회동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회동부; 일단이 상기 제1회동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보조아암; 상기 보조아암의 타단 상부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구조용 버켓의 하부가 설치되는 제2회동부를 구비하여 신축붐과 구조용 버켓이 연결되어, 구조용 버켓에 구비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구조용 버켓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복방지 콘트롤러는, 상기 신축붐의 길이와 경사 각도 및 선회 각도, 아우트리거의 인출 및 착지, 데릭(derric)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인명구조용 사다리의 현재 상태 및 각종 데이터를 모니터에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고, 제어 명령을 하게 되는 콘트롤부; 상기 콘트롤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인명구조용 사다리의 작동을 실행하게 하는 유압 솔레노이드밸브; 미리 설정해 둔 안전 작동범위의 한계에 이르면 청각 및 시각적으로 경보를 발하게 되는 경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사다리는, 아우트리거(outrigger)가 설치된 차량에 다단으로 펼쳐지는 신축붐(접철식 사다리)이 설치되고, 붐대의 선단(先端)에 탑승함이 설치되어 있어서 피구조자가 소수일 경우에는 탑승함에 피구조자를 탐승시켜 지상으로 탈출시키고, 화재 등으로 인해 고층건물에 갇혀 있는 피구조자가 다수일 경우에는 탑승함으로 피구조자를 탈출시킴과 동시에 신축붐의 선단에 설치된 구조용 버켓에 장비 조작과 피구조자를 인도할 구조요원이 탑승한 상태에서 버켓과 지상 사이에 설치된 활송(滑送)장치를 통해 피구조자를 순차적으로 지상까지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시킬 수 있으며, 신축붐의 하단부분에 설치된 지면거치용 파이프가 안전받침대 역할을 함과 동시에 활송장치의 끝부분이 붐대와 지면거치용 파이프 사이에 설치된 고정용 파이프에 연결되어 활송장치를 통해 지상에 도달한 피구조자가 지면에 도달하면서 충격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구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사다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구조용 버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활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붐대에 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활송장치의 끝부분을 잡아주는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복방지를 위한 컨트롤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사다리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인명구조용 절첩식 사다리(신축붐)에 탑승함을 설치함과 동시에 구조용 버켓과 활송장치를 설치하여 다수의 피구조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상까지 탈출시킬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사다리는, 아우트리거(outrigger)가 구비된 차량(10)에서 섀시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 등으로 고층건물에 갇혀 있는 피구조자를 탈출시키기 위한 장비인데, 절첩 가능한 붐대(21)에 의해 길이가 조정되는 신축붐(20)과, 붐대(21) 상을 슬라이딩 하게 되는 탑승함(23)과, 피구조자를 탈출시키기 위한 구조용 버켓(30)과,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전복방지 콘트롤러(50)를 구비하고, 구조용 버켓(30)에서 지상까지 연결되어 피구조자가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활송장치(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신축붐(20)은 일단(一端)이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회전테이블(11)에 설치되어 방향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절첩 가능한 붐대(21)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하부에는 경사조절실린더(22)가 설치되어 있어서 붐대(21)를 지지하면서 경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탑승함(23)은 하부에 로울러가 장착되어 있어서 붐대(21)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피구조자를 탈출시키게 되는데, 피구조자의 수가 적을 때는 탑승함(23)을 이용하여 탈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붐대(21)의 경사 각도에 따라 탑승함(23)의 바닥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에는 수평조절실린더(231)가 설치되어 있고, 수평조절실린더(231)를 설치하지 않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형상을 설치해도 된다. 탑승함(23)은 상방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일부 측면을 개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탑승함(23)은 드럼에 감겨진 강철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상승 및 하강작동을 하게 되며, 탑승함(23)은 구조용 버켓(30)에 있는 구조요원의 지시에 의해 지상에서 조작하여 작동하며 탑승함(23)이 붐대(21)의 상단부에 도달시 센서의 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정지되게 된다.
구조용 버켓(30)은 신축붐(20)의 최선단(最先端)에 위치한 붐대의 선단(先端)에 결합 설치되어, 피구조자를 탈출시키기 위한 구성인데, 피구조자의 수가 많을 때는 구조용 버켓(30)을 이용하여 탈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용 버켓(30)은 상방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버켓(31)과, 신축붐(20)의 길이와 방향 및 버켓(31)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311)가 구비되고, 버켓(31)을 수평상태로 유지해 주는 수평유지실린더(34)가 구비되어 있으며, 버켓(31)의 일부 측면은 개방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붐(20)과 구조용 버켓(30)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신축붐(20)의 최선단(最先端)에 위치한 붐대(31)의 선단(先端)에는 고정연결대(32)가 고정 결합 되어 있고, 구조용 버켓(30)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재(33)는 고정연결대(32)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 결합된 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구조용 버켓(3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회동시키는 수평유지실린더(34)는 일단(一端)이 고정연결대(32)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회동부재(33)와 힌지 결합 설치된다(도 2 참조).
구조용 버켓(3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조를 살펴보면, 회동부재(33)의 상단부에 제1회동부(36)가 설치되고, 보조아암(35)의 일단이 제1회동부(36)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보조아암(35)의 타단 상부에는 제2회동부(37)가 설치되고, 제2회동부(37)의 상부에는 구조용 버켓의 버켓(31) 하부가 설치되어 구성되며, 구조용 버켓(30)에 구비된 조작부(311)의 조작에 의해 구조용 버켓(30)이 붐대(21)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에서 죄우로 회전하게 된다(도 2 참조). 제1 및 제2회동부(36, 37)는 턴테이블과 같은 방식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인데,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조용 버켓(30)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는 탈출구(312)를 형성하고, 탈출구(312)에는 피구조자를 지상으로 탈출시키는 활송장치(escape chute)(40)의 일단(一端)을 체결 결합시켜 활송장치(40)가 지상까지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출구(312)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탈출구(312)를 폐쇄시키기 위해 커버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구조용 버켓(30)으로는 다수의 피구조자를 탈출시키기 때문에 구조요원이 탑승하여 조작부(311)를 조작하고 피구조자들이 질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송(滑送)장치(escape chute)(40)는, 직물 재질로 베로우즈(bellows)형 호스(hose) 형상으로 제작된 구조용 슈트(chute)(41)인데, 구조용 슈트(41)가 구조용 버켓의 탈출구(312)에 거치되도록 구조용 슈트(41)의 일단(一端)에는 슈트거치대(42)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구조용 슈트(41)의 타단에는 연장용 지퍼(43)가 설치되어 있다. 피구조자가 호스 형상의 슈트를 타고 내려오면 가속되므로 지면 가까이에서는 상당한 속도에 이르게 되어, 그대로 지면에 충돌하면 피구조자가 부상을 당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슈트는 안전고리(45)를 슈트에 설치해서 슈트의 끝부분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슈트는 직물 재질이므로 가볍고, 벨로우즈 형상이므로 보관이 용이하며, 현장 사정에 따라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며, 벨로우즈 형상이므로 피구조자가 타고 내려오면서 양 발로 호스 형상의 내부를 외측으로 밀면서 내려오면 낙하속도도 줄일 수 있게 된다.
활송장치(40)는 피구조자를 구조할 곳의 높이가 높을 경우 슈트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구조용 슈트(41)에 연장용 슈트를 더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용 슈트는 구조용 슈트(41)와 같이 직물 재질로 베로우즈형 호스 형상으로 제작된 연장슈트(46)인데, 연장슈트(46)의 양단(兩端)에는 구조용 슈트(41)와 연결하기 위한 연장용 지퍼(43, 4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연장된 슈트를 보다 안전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구조용 슈트(41)와 연장슈트(46)에 제1 및 제2체결수단(44, 44')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체결수단은 고리와 끈을 사용해도 되고, 벨크로와 같은 수단, 또는 양측을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다(도 3 참조).
피구조자는 호스 형상의 슈트를 타고 탈출을 하기 때문에 지상에 도달할 때 지면과 충돌하여 부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부상방지를 위해 지면에 매트리스를 깔아야 했는데, 매트리스를 준비하는 등 많은 불편이 있으므로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구조용 슈트(41) 및 연장슈트(46)의 길이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된 다수의 안전고리(45)를 등간격으로 설치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후술하는 고정파이프(243)에 설치된 후크(hook) 형상의 걸쇠(242a)에 안전고리(45)를 걸어두면 슈트의 단부(端部)가 지면에서 약간 이격되어 있게 되므로 피구조자가 지면에 충돌하지 않게 되므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용 슈트(41)와 연장슈트(46)는 하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 길이를 절개해 둠으로써, 피구조자가 지상으로 탈출한 후에는 슈트의 절개된 부분을 벌리고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개된 부분은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4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부재(47)는 벨크로 또는 지퍼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중 하나가 보조지지대(24)를 설치한다는 것인데, 보조지지대(24)는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붐대(21)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므로 피구조자가 탈출구(312)를 통해 활송장치(40)로 뛰어 내릴 때 붐대(21)에 가해지는 동하중을 감쇄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피구조자가 슈트를 이용하여 탈출할 때 슈트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피구조자가 자유낙하하게 되지 않도록 슈트가 어느 정도 경사를 갖고 설치되면서 슈트의 끝부분이 지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피구조자가 지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지면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보호장치 기능을 한다(도 4, 5 참조).
보조지지대(24)는 신축붐(20)을 펼쳤을 때 경사지도록 설치된 붐대(21)의 하단부분에 설치되게 되며, 보조지지대(24)는 지면거치용 파이프(241)와 연결파이프(242) 및 고정파이프(243)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지면거치용 파이프(241)는 상단이 붐대(21)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붐대(21)를 중심으로 양 쪽에 배치되도록 한 쌍이 설치된다. 한 쌍의 지면거치용 파이프(241) 사이에는 연결파이프(242)가 설치되어 한 쌍의 지면거치용 파이프(241)를 서로 연결하게 되며, 연결파이프(242)의 중간에는 후크(hook) 형상의 걸쇠(242a)가 설치되고, 걸쇠(242a)에는 슈트에 설치된 안전고리(45)가 끼워지게 된다. 또한, 고정파이프(243)는 일단이 붐대(21)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거치용 파이프(241)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며, 지면거치용 파이프(241)와 같이 한 쌍이 설치되게 된다.
신축붐(20)의 길이와 각도 및 고도, 탑승함(23)과 구조용 버켓(30)의 위치와 상태를 인식하고 연산하여 인명구조용 사다리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전복방지 콘트롤러(50)가 구비되는데, 전복방지 콘트롤러(50)는 차량(10)의 섀시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상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전복방지 콘트롤러(50)는 센서부, 디스플레이부, 콘트롤부, 유압 솔레노이드밸브 및 경보부 등을 구비하게 되며, 구조용 버켓(30)에 설치된 조작부(311)와 전복방지 콘트롤러(50)는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리모콘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다.
센서부는 신축붐(20)의 길이와 경사 각도 및 선회 각도, 아우트리거 각각의 인출 및 착지 여부, 데릭(derric) 압력, 각 실린더의 작동 상태 및 압력, 붐대 등에 걸리는 부하 등을 감지하게 되며, 디스플레이부는 인명구조용 사다리의 현재 상태 및 각종 데이터를 모니터에 표시해 주게 된다. 콘트롤부는 센서부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고, 경보부와 각 동작부에 제어 명령을 하게 된다. 또한, 콘트롤부는 콘트롤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인명구조용 사다리의 작동을 실행하면서 안전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유압을 차단하거나 공급하여 제어하게 되며, 경보부는 미리 설정해 둔 안전 작동범위의 한계에 이르면 청각 및 시각적으로 경보를 발하게 된다.
아우트리거가 바닥에 착지하지 않으면 어떤 구성도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되고, 아우트리거의 측방향으로의 인출거리에 따라 신축붐(20)의 경사각도 등이 제어되어 작업범위가 달라지게 된다. 또한, 콘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신축붐(20)이 움직이기 시작한 후에는 아우트리거는 더이상 작동되지 않고 지면에 압착 착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비상정지밸브가 구비되어 있어서, 비상상황 발생시에는 전체 시스템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차량 11 : 회전테이블
20 : 신축붐 21 : 붐대
22 : 경사조절실린더 23 : 탑승함
231 : 수평조절실린더 24 : 보조지지대
241 : 지면거치용 파이프 242 : 연결파이프
243 : 고정파이프
30 : 구조용 버켓 31 : 버켓
311 : 조작부 312 : 탈출구
32 : 고정연결대 33 : 회동부재
34 : 수평유지실린더 35 : 보조아암
36 : 제1회동부 37 : 제2회동부
40 : 활송장치 41 : 구조용 슈트(chute)
42 : 슈트거치대 43, 43' : 연장용 지퍼
44, 44' : 제1 및 제2체결수단 45 : 안전고리
46 : 연장슈트 47 : 결합부재
50 : 전복방지 콘트롤러

Claims (8)

  1. 아우트리거가 구비된 차량에 설치되어, 고층건물에 갇혀 있는 피구조자를 탈출시키기 위한 인명구조용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인명구조용 사다리는,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조절실린더가 구비되고, 방향 조절이 가능하며, 절첩 가능한 붐대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신축붐;
    상기 붐대 상을 슬라이딩하게 되며, 바닥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수평조절실린더를 구비한 탑승함;
    상방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버켓과, 신축붐의 길이와 방향 및 버켓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고, 버켓을 수평상태로 유지해 주는 수평유지실린더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붐의 최선단(最先端)에 위치한 붐대의 선단(先端)에 결합 설치되어, 피구조자를 탈출시키기 위한 구조용 버켓;
    상기 신축붐의 길이와 각도 및 고도, 탑승함과 구조용 버켓의 위치와 상태를 인식하고 연산하여 사다리가 전복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전복방지 콘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조용 버켓에 설치된 조작부와 전복방지 콘트롤러는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조용 버켓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는 탈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탈출구에는 피구조자를 지상으로 탈출시키는 활송장치(escape chute)의 일단(一端)이 체결 결합되어 활송장치가 지상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활송장치는,
    직물 재질의 베로우즈(bellows)형 호스(hose) 형상인 구조용 슈트(chute);
    상기 구조용 슈트가 구조용 버켓의 탈출구에 거치되도록 구조용 슈트의 일단(一端)에 고정 결합된 슈트거치대;
    상기 구조용 슈트의 타단에 설치된 연장용 지퍼;
    상기 구조용 슈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링 형상의 안전고리;
    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송장치는 연장용 슈트를 더 구비하며, 연장용 슈트는,
    직물 재질의 베로우즈형 호스 형상인 연장슈트;
    상기 연장슈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연장용 지퍼;
    상기 연장슈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링 형상의 안전고리;
    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조용 슈트와 연장슈트의 단부에 설치된 연장용 지퍼를 서로 체결하여 활송장치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슈트와 연장슈트는, 하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일정 길이가 절개되어 있고, 절개된 부분을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붐을 펼쳤을 때 붐대의 하단부분에 보조지지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보조지지대는,
    상단이 상기 붐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면거치용 파이프;
    일단이 상기 붐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거치용 파이프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파이프;
    상기 한 쌍의 지면거치용 파이프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파이프;
    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파이프의 중간에는 후크(hook) 형상의 걸쇠가 설치되어, 구조용 슈트 또는 연장슈트에 설치된 안전고리를 걸쇠에 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붐과 구조용 버켓의 연결구조는,
    상기 신축붐의 최선단(最先端)에 위치한 붐대의 선단(先端)에 고정 결합 되는 고정연결대;
    상기 고정연결대와 힌지 결합되어, 힌지 결합된 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부재;
    일단(一端)이 상기 고정연결대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재와 힌지 결합 설치되어, 구조용 버켓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회동시키는 수평유지실린더;
    상기 회동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회동부;
    일단이 상기 제1회동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보조아암;
    상기 보조아암의 타단 상부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구조용 버켓의 하부가 설치되는 제2회동부;
    를 구비하여 신축붐과 구조용 버켓이 연결되어, 구조용 버켓에 구비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구조용 버켓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방지 콘트롤러는,
    상기 신축붐의 길이와 경사 각도 및 선회 각도, 아우트리거의 인출 및 착지, 데릭(derric)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인명구조용 사다리의 현재 상태 및 각종 데이터를 모니터에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고, 제어 명령을 하게 되는 콘트롤부;
    상기 콘트롤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인명구조용 사다리의 작동을 실행하게 하는 유압 솔레노이드밸브;
    미리 설정해 둔 안전 작동범위의 한계에 이르면 청각 및 시각적으로 경보를 발하게 되는 경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KR1020180099052A 2018-08-24 2018-08-24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KR101933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052A KR101933376B1 (ko) 2018-08-24 2018-08-24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052A KR101933376B1 (ko) 2018-08-24 2018-08-24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376B1 true KR101933376B1 (ko) 2018-12-28

Family

ID=6500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052A KR101933376B1 (ko) 2018-08-24 2018-08-24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3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7569A (zh) * 2019-08-14 2019-10-15 北京中卓时代消防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过渡平台的救援爬梯顶置的登高平台消防车
CN110841227A (zh) * 2019-11-21 2020-02-28 惠州学院 一种高空应急救援车、联动控制系统及方法
KR20210154299A (ko) 2020-06-11 2021-12-21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KR20210158463A (ko) 2020-06-23 2021-12-31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CN114537678A (zh) * 2022-04-02 2022-05-27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用于直升机上的高空救援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8600A (ja) * 2000-03-30 2001-10-10 Aichi Corp 作業車の外部調整装置
KR100875146B1 (ko) * 2007-05-14 2008-12-22 양건이 다단 고가사다리차
KR101074642B1 (ko) * 2009-08-19 2011-10-19 주식회사 광림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8600A (ja) * 2000-03-30 2001-10-10 Aichi Corp 作業車の外部調整装置
KR100875146B1 (ko) * 2007-05-14 2008-12-22 양건이 다단 고가사다리차
KR101074642B1 (ko) * 2009-08-19 2011-10-19 주식회사 광림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7569A (zh) * 2019-08-14 2019-10-15 北京中卓时代消防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过渡平台的救援爬梯顶置的登高平台消防车
CN110841227A (zh) * 2019-11-21 2020-02-28 惠州学院 一种高空应急救援车、联动控制系统及方法
CN110841227B (zh) * 2019-11-21 2021-08-17 惠州学院 一种高空应急救援车联动控制方法及系统
KR20210154299A (ko) 2020-06-11 2021-12-21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KR20210158463A (ko) 2020-06-23 2021-12-31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KR102399045B1 (ko) * 2020-06-23 2022-05-18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CN114537678A (zh) * 2022-04-02 2022-05-27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用于直升机上的高空救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376B1 (ko)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US7308968B2 (en) Transportable rescue conveyer
ES2444639T3 (es) Método y aparato para alcanzar desde el exterior un nivel superior de una estructura alta
KR102076672B1 (ko)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US4421204A (en) Fire rescue system
JP2010280251A (ja) ヘリコプターに取り付けられる消火救難ユニット
KR101663500B1 (ko) 소방 고가사다리차 안전장치
US11554274B2 (en) Modular and orientable emergency evacuation system
US3921757A (en) Building evacuation and rescue apparatus
RU2329838C2 (ru) Подвесн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эвакуации из многоэтажных зданий
KR101074642B1 (ko)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JPH04244173A (ja) 移動式クレーン車に取付け可能な踊り場
JP3195089U (ja) 避難梯子
CN215136145U (zh) 一种超高空消防救援系统
CN114602086A (zh) 高层建筑用高空消防救援装置及其控制方法
CN113244541A (zh) 一种超高空消防救援系统及其救援方法
RU2651656C1 (ru) Устройство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KR20100007575U (ko) 비상탈출장치
KR100277432B1 (ko) 사다리 소방차
KR101915391B1 (ko) 인명구조용 신축레일과 운반대를 포함하는 대피장치
KR101004601B1 (ko) 무동력 구동방식의 정속하강 비상탈출장치
US20220387828A1 (e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an emergency evacuation unit and operation method of such system
KR102106627B1 (ko) 건축물 고정식 인명 구조 및 화재 진압용 고가 사다리 장치
CN212374657U (zh) 逃生平台及逃生平台系统
RU92334U1 (ru) Трап спасательный пожар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