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045B1 -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045B1
KR102399045B1 KR1020200076778A KR20200076778A KR102399045B1 KR 102399045 B1 KR102399045 B1 KR 102399045B1 KR 1020200076778 A KR1020200076778 A KR 1020200076778A KR 20200076778 A KR20200076778 A KR 20200076778A KR 102399045 B1 KR102399045 B1 KR 102399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work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8463A (ko
Inventor
이준호
박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Priority to KR1020200076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04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현장으로부터 피구조자를 구조하기 위해 구조요원을 이송하는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구조요원이 별도의 수신호를 행하지 않더라도 화재현장으로 신속한 접근을 가능케 함에 따라 조작성, 편의성 제고 및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신체적 안녕을 도모하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파지되어 조작 가능하고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설정 통신을 통해 전송하면서 설정 통신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 및 특정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제어부(100); 원격제어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조요원이 탑승한 탑승공간을 화재현장으로 접근케 하면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차량부(200); 구조요원의 탑승공간이 마련되고 차량부(200)에 의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면서 화재현장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영상 정보 및 해당 탑승공간과 화재현장의 거리를 감지하여 원격제어부(100)로 전송하고 원격제어부로부터 설정 신호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고소작업부(300):로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Operation System of the High-Rise Work Vehicle for Life-saving}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현장으로부터 피구조자를 구조하기 위해 구조요원을 이송하는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구조요원이 별도의 수신호를 행하지 않더라도 화재현장으로 신속한 접근을 가능케 함에 따라 조작성, 편의성 제고 및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신체적 안녕을 도모하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은 가연성 내장재 등이 다량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커 연소 확대의 속도가 빠르다. 또한, 외부 및 지상으로의 피난을 위한 한정된 피난로와 동선에 의해 화재현장의 피구조자가 화재장소로부터 대피하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편, 화재시 통상적으로 지상으로 대피할 수 없는 상태라면 상층으로 올라가 구조를 기다리는 것이 권장된다.
소방당국은 위와 같이 미처 지상으로 피난하지 못한 피구조자의 인명구조를 위해 화재진압차량 외에도 인명구조용 사다리 작업차량을 운용하고 있다. 해당 작업차량은 인용구조용 탑승 케이지를 포함한다. 허나, 케이지에 탑승한 구조요원이 열기 및 유독가스로 인해 화재현장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없어 인명구조에 효과적이지 못하였고, 케이지 탑승을 위해 제공되는 이동발판 등이 소형이거나 경량화되어 있으므로 피구조자가 안전상 위험을 느껴 케이지 탑승 자체를 두려워하여 구조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사방이 개방된 상태로 외곽 프레임 및 외곽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만 존재하는 케이지는 피구조자가 케이지 탑승 후에도 구조되었다는 안도감을 느끼지 못하여 구조요원이 피구조자를 안정시키는데 남은 기력을 다하므로 구조요원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가 가중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933376호에는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의 기술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해당 기술사상은 인명구조용 절첩식 사다리에 탑승함을 설치함과 동시에 붐대의 선단에 구조용 버켓을 설치하고 버켓과 활송장치를 연결함으로써 피구조자의 구조이후 신속하게 지상으로 이송하는 것에 장점이 있으나, 탑승함 자체의 견고함 및 이동경로의 제공이 미흡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모두 개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933376호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화재현장으로부터 피구조자를 구조하기 위해 구조요원을 이송하는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구조요원이 별도의 수신호를 행하지 않더라도 화재현장으로 신속한 접근을 가능케 함에 따라 조작성, 편의성 제고 및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신체적 안녕을 도모하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파지되어 조작 가능하고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설정 통신을 통해 전송하면서 설정 통신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 및 특정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제어부(100); 원격제어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조요원이 탑승한 탑승공간을 화재현장으로 접근케 하면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차량부(200); 구조요원의 탑승공간이 마련되고 차량부(200)에 의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면서 화재현장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영상 정보 및 해당 탑승공간과 화재현장의 거리를 감지하여 원격제어부(100)로 전송하고 원격제어부로부터 설정 신호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고소작업부(300):로 구성한다.
상기 원격제어부(100)는 차량부(200) 및 고소작업부(300)와 설정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차량부(200)의 승·하강, 전·후진, 회전을 제어하고 고소작업부(300)로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진입제어부(110); 고소작업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 및 감지된 거리를 한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120); 고소작업부(300)의 화재현장으로부터 탑승공간으로 열전도를 차단하기 위해 유체 분사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유체제어부(130);로 구성한다.
상기 차량부(200)는 설정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부(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신호송수신부(210); 차량신호송수신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부합하는 승·하강, 전·후진, 탑승공간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회전 동작이 실시되고, 수평 설정값 초과시 알림신호를 방출하는 진입부(220); 차량신호송수신부(210)에서 입력되는 유체제어신호에 따라 고소작업부(300)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230);로 구성한다.
상기 고소작업부(300)는 설정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부(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작업송수신부(310); 구조요원이 탑승한 탑승공간과 화재현장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부(322)를 포함하는 작업센싱부(320); 작업송수신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330); 작업송수신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발광부(340); 화재현장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원격제어부(100)로 전송하여 출력케 하는 카메라부(350);로 구성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진입제어부(110)는 차량부(200)와 설정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차량부(200)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제어부(112)와, 차량부(200)의 전·후진을 제어하는 전후진제어부(114)와, 구조요원의 탑승공간의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해 탑승공간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116)와, 고소작업부(300)로 설정 신호를 전송하여 설정 광원에 전력 공급을 유도하는 발광제어부(118)를 포함한다.
상기 진입부(220)는 차량신호송수신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중 승·하강 신호에 부합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승하강부(222)와, 차량신호송수신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중 전·후진 신호에 부합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전후진부(224)와, 차량신호송수신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중 회전 신호에 부합하는 동작을 제어하고 탑승공간이 수평 설정값 초과시 알림신호를 방출 및 전송하는 수평센싱알림부(226a)를 포함하는 회전부(226)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120)는 차량부(200) 및 고소작업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송부받아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출력부(124)를 포함하고, 진동출력부(124)는 차량부(200)의 진입부(220)의 수평 설정값 초과 알림신호에 따른 진동이 출력되는 제1진동블럭(124a)과, 고소작업부(300)의 작업센싱부(320)로부터 감지된 거리를 토대로 진동이 출력되는 제2진동블럭(124b)로 구성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현장으로부터 피구조자를 구조하기 위해 구조요원을 이송하는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구조요원이 별도의 수신호를 행하지 않더라도 화재현장으로 신속한 접근을 가능케 함에 따라 조작성, 편의성을 제고한다.
아울러,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신속한 접근을 가능케 하고 화재현장으로 진입하는 과정에 구조요원의 신체적 안녕을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블럭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단순 기술분야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선행기술을 특정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재현장으로부터 피구조자를 구조하기 위해 구조요원을 이송하는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구조요원이 별도의 수신호를 행하지 않더라도 화재현장으로 신속한 접근을 가능케 함에 따라 조작성, 편의성 제고 및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신체적 안녕을 도모하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에 관한 것임을 주지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파지되어 조작 가능하고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설정 통신을 통해 전송하면서 설정 통신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 및 특정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제어부(100); 원격제어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조요원이 탑승한 탑승공간을 화재현장으로 접근케 하면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차량부(200); 구조요원의 탑승공간이 마련되고 차량부(200)에 의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면서 화재현장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영상 정보 및 해당 탑승공간과 화재현장의 거리를 감지하여 원격제어부(100)로 전송하고 원격제어부로부터 설정 신호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고소작업부(300):로 구성한다.
상기 원격제어부(100)와 차량부(200) 및 고소작업부(300)는 설정 통신망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해당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통신으로 설정해도 무방하다.
상기 고소작업부(300)는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탑승공간을 마련하는 고소작업대로 지칭할 수 있으며, 유체분사, 전구 등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유체분사는 스프링 쿨러의 동작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는 원격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고소작업부(300)는 차량부(200)의 승하강 및 전후진, 회전 동작에 따라 화재현장으로 진입하면서 구조과정에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신체적 안녕을 위해 수평이 유지되도록 한다. 특히, 고소작업부(300)는 실질적으로 화재현장에 직면하는 탑승공간의 이화학 상태 즉, 온도 등으로부터 구조요원을 보호하기 위해 유체를 분사하고 구조요원의 시야 가시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전구 등이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차량부(200)는 차량과 연결되고 길이 가변을 가능케 절첩방식 구성을 채용한다. 가변은 차량부(200)와 연결된 차량에 별도의 제어 조이스틱을 마련하여 제어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화재현장에 신속한 접근, 구조요원이 별도의 수신호 내지 음성신호를 보내지 않더라도 원격 제어를 통해 접근 가능케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원격제어부(100)는 차량부(200) 및 고소작업부(300)와 설정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차량부(200)의 승·하강, 전·후진, 회전을 제어하고 고소작업부(300)로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진입제어부(110); 고소작업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 및 감지된 거리를 한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120); 고소작업부(300)의 화재현장으로부터 탑승공간으로 열전도를 차단하기 위해 유체 분사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유체제어부(130);로 구성한다.
상기 원격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조작성, 편의성을 위해 파지영역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진입제어부(110)를 통해 승·하강, 전·후진, 회전을 제어한다.
상기 진입제어부(110)는 적어도 셋 이상의 핸들이 구성된 조이스틱으로서, 각 핸들은 승·하강, 전·후진,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진입제어부(110)는 차량부(200)와 설정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차량부(200)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승하강제어부(112)와, 차량부(200)의 전·후진을 제어하는 전후진제어부(114)와, 구조요원의 탑승공간의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해 탑승공간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116)와, 고소작업부(300)로 설정 신호를 전송하여 설정 광원에 전력 공급을 유도하는 발광제어부(118)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수단으로 구성되어 진입제어부(110)와 원격제어부(100)가 제공하는 파지영역에 개재되어 종국적으로 사용자가 고소작업부(300) 진입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르게 출력부(120)는 휴대전화 단말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태블릿PC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유체제어부(130)는 고소작업부(300)가 진입하는 경로에 유체를 분사시키기 위해 이를 제어하는 것으로 원격제어부(100) 상에서 푸쉬 버튼 또는 핸들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핸들로 구성한다면 일측 동작만 가능하게 구성하여 유체분사량을 조절되도록 하며, 푸쉬 버튼으로 구성한다면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유체분사량이 조절되게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차량부(200)는 설정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부(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신호송수신부(210); 차량신호송수신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부합하는 승·하강, 전·후진, 탑승공간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회전 동작이 실시되고, 수평 설정값 초과시 알림신호를 방출하는 진입부(220); 차량신호송수신부(210)에서 입력되는 유체제어신호에 따라 고소작업부(300)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230);로 구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부(200)는 고소작업대(300)의 승·하강, 전·후진, 회전 동작을 실시하는 구성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상기 진입부(220)는 차량신호송수신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중 승·하강 신호에 부합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승하강부(222)와, 차량신호송수신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중 전·후진 신호에 부합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전후진부(224)와, 차량신호송수신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중 회전 신호에 부합하는 동작을 제어하고 탑승공간이 수평 설정값 초과시 알림신호를 방출 및 전송하는 수평센싱알림부(226a)를 포함하는 회전부(226)를 포함한다.
즉, 상기 승하강부(220)는 절첩식 구조물로서 차량신호송수신부(21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펼침과 접힘 동작이 실시된다. 이는 통상 사다리차의 승하강 동작이 구현됨을 지칭한다. 또한, 전후진부(224)는 승하강부(220)의 전·후진 동작을 실시하여 종국적으로 고소작업부(300)의 전·후진을 유도한다. 이때, 승하강부(220)의 일측 선단에는 회전부(226)가 구비되며 해당 회전부에 고소작업부(300)가 연결되어 회전부(226)가 고소작업대의 수평을 유지한다.
특히 상기 회전부(226)는 수평센싱알림부(226a)를 포함하는바, 이는 각 승·하강 등의 동작 및 고소작업부(300)가 화재현장에 도달하여 구조요원이 고소작업부(300)가 제공하는 이동경로를 통해 이동, 피구조자의 구조과정에서 하중에 의해 고소작업부(300)의 수평이 깨질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센싱알림부(226a)는 2개 1조로 구성되어 양 측방에서 인식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식은 원격제어부(100)의 사용자에게 인식을 지칭한다.
상기 수평센싱알림부(226a)는 수평유지를 위한 수평센서와 외부 인식을 위한 LED램프 내지 소리발생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센서는 추의 수평범위를 설정하여 초기값과 추의 수평이 깨지는 한계값이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한계값은 초기값을 0으로 한다면 -5, +5도로 설정하여 -5의 한계값 초과시 빨강으로 점등을, +5의 한계값 초과시 파랑으로 점등되도록 한다. 아울러, 초기값은 최초 수평센서의 추를 0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하고 0~-5, 0~+5까지의 범위에서는 초록으로 점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소작업부(300)는 설정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부(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작업송수신부(310); 구조요원이 탑승한 탑승공간과 화재현장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부(322)를 포함하는 작업센싱부(320); 작업송수신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330); 작업송수신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발광부(340); 화재현장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원격제어부(100)로 전송하여 출력케 하는 카메라부(350);로 구성한다.
상기 고소작업부(300)는 구조요원이 탑승하는 탑승공간이 마련된 작업대로서 원격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체를 분사하면서 화재현장으로 진입한다. 이때, 상기 작업센싱부(320)의 거리센서부(322)가 고소작업부(300)와 화재현장의 거리를 감지하여 이를 원격제어부(100)의 화면출력부(122)에 출력되도록 하여 원격제어부(100)의 사용자가 고소작업부(300)를 화재현장으로 신속하게 접근시키는 작용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과 동시에 상기 카메라부(350)에서 고소작업부(300)의 접근 과정 및 화재현장 상황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화면출력부(122)에 출력되도록 하여 거리센서부(322)와 연계하여 고소작업부(300)의 신속한 접근을 가능케 한다.
상기 발광부(340)는 구조요원의 시야확보를 구성되며 해당 발광부 또한 원격제어부(100)에서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라 함은 결국 발광부(340)에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 내지 차단을 제어하는 것을 지칭한다. 발광부(340)는 수개의 LED전구가 구비되는 램프로 이루어지되, 선택에 따라 전체 또는 일부 LED전구에 전력을 공급하여 화재현장의 가시성 및 구조요원의 요청에 따른 제어를 가능케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하여 원격제어부(100)를 통해 제어하는 동작의 편의성 및 조작성을 제고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20)는 차량부(200) 및 고소작업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송부받아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출력부(124)를 포함하고, 진동출력부(124)는 차량부(200)의 진입부(220)의 수평 설정값 초과 알림신호에 따른 진동이 출력되는 제1진동블럭(124a)과, 고소작업부(300)의 작업센싱부(320)로부터 감지된 거리를 토대로 진동이 출력되는 제2진동블럭(124b)로 구성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원격제어부(100)의 출력부(120)는 화면출력부(122) 외 진동출력부(124)를 더 포함하고 수평 초과 알림신호에 따른 진동은 수평센싱알림부(226a)에서 감지된 초기값 한계값 초과에 따라 강도가 달라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작업센싱부(320)의 거리센서부(322)로부터 감지되는 거리에 따라 화재현장으로 근접하고 그 거리가 피구조자 구조에 적합한 거리로 형성되었을 때 진동이 발생한다.
상기 진동출력부(124)를 통해 원격제어부(100)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함으로써 3차원 인식을 가능케 하여 구조요원의 수신호 배제와 진입과정의 정확도, 신속성을 제고한다.
위와 같은 동작은 수평센싱알림부(226a); 거리센서부(322);의 감지정보를 각 차량신호송수신부(210); 작업송수신부(310)를 거쳐 원격제어부(100)로 전송됨은 당연한 것이다. 아울러, 진동출력부(124)는 사용자가 파지되는 영역을 임의로 분할하여 각 제1진동블럭(124a)과 제2진동블럭(124b)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부(100)를 분할하여 제1진동블럭(124a)과 제2진동블럭(124b)으로 구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진동블럭(124a)의 진동은 어느 일측에서 발생하고, 제2진동블럭(124b)의 진동은 또 다른 일측에서 발생하여 원격제어부(100) 사용자가 각기 다른 영역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인지하여 거리, 수평의 접근 또는 오차를 인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 동작을 위해 별도로 데이터베이스(DB) 및 DBMS서버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고, 모든 정보의 송수신은 설정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원격제어부(100); 고소작업부(300);는 동작을 위한 수치값이 프로그래밍되어 있음은 더욱더 자명하다 할 것이고 해당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원리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어 있을 수 있다.
종국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지에 탑승한 구조요원이 열기 및 유독가스로 인해 화재현장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없어 인명구조에 비효율적이던 문제점을 개선하고, 피구조자 및 구조요원의 신체적 안녕을 도모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원격제어부 110 : 진입제어부
112 : 승하강제어부 114 : 전후진제어부
116 : 회전제어부 118 : 발광제어부
120 : 출력부 122 : 화면출력부
124 : 진동출력부 130 : 유체제어부
200 : 차량부 210 : 차량신호송수신부
220 : 진입부 222 : 승하강부
224 : 전후진부 226 : 회전부
230 : 유체공급부 300 : 고소작업부
310 : 작업송수신부 320 : 작업센싱부
330 : 유체분사부 340 : 발광부
350 : 카메라부

Claims (4)

  1. 구조요원이 탑승하는 탑승공간이 마련되고 해당 탑승공간을 화재현장으로 접근케 하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파지되어 조작 가능하고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설정 통신을 통해 전송하면서 입력되는 영상 정보 및 특정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제어부(100);
    원격제어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조요원이 탑승한 탑승공간을 화재현장으로 접근케 하면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차량부(200);
    구조요원의 탑승공간이 마련되고 차량부(200)에 의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면서 화재현장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영상 정보 및 해당 탑승공간과 화재현장의 거리를 감지하여 원격제어부(100)로 전송하고 원격제어부로부터 설정 신호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고소작업부(300)로 구성하고,

    상기 원격제어부(100)는,
    차량부(200) 및 고소작업부(300)와 설정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차량부(200)의 승·하강, 전·후진, 회전을 제어하고 고소작업부(300)로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진입제어부(110);
    고소작업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 및 감지된 거리를 한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120);
    고소작업부(300)의 화재현장으로부터 탑승공간으로 열전도를 차단하기 위해 유체 분사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유체제어부(130)로 구성하고,

    상기 출력부(120)는 차량부(200) 및 고소작업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송부받아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출력부(124)를 포함하고, 진동출력부(124)는 차량부(200)의 진입부(220)의 수평 설정값 초과 알림신호에 따른 진동이 출력되는 제1진동블럭(124a)과, 고소작업부(300)의 작업센싱부(320)로부터 감지된 거리를 토대로 진동이 출력되는 제2진동블럭(124b)로 구성하고,
    상기 출력부(120)의 수평 초과 알림신호에 따른 제1진동블럭(124a)의 진동은 수평센싱알림부(226a)에서 감지된 초기값 한계값 초과에 따라 강도가 달라지도록 구성하고, 제2진동블럭(124b)의 진동은 작업센싱부(320)의 거리센서부(322)로부터 감지되는 거리에 따라 화재현장으로 근접하고 그 거리가 피구조자 구조에 적합한 거리로 형성되었을 때 발생하며,

    상기 차량부(200)의 승하강부(222)의 일측 선단에 구비되는 회전부(226)는 고소작업부(300)의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회전부(226)는 수평센싱알림부(226a)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226)는 승하강 등의 동작 및 고소작업부(300)가 화재현장에 도달하여 구조요원이 고소작업부(300)가 제공하는 이동경로를 통해 이동, 피구조자의 구조과정에서 하중에 의해 고소작업부(300)의 수평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수평센싱알림부(226a)는 2개 1조로 구성되어 양 측방에서 원격제어부(100)에 인식되며,

    상기 고소작업부(300)는,
    설정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부(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작업송수신부(310);
    구조요원이 탑승한 탑승공간과 화재현장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부(322)를 포함하는 작업센싱부(320);
    작업송수신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330);
    작업송수신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발광부(340);
    화재현장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원격제어부(100)로 전송하여 출력케 하는 카메라부(350);
    로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200)는,
    설정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부(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신호송수신부(210);
    차량신호송수신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부합하는 승·하강, 전·후진, 탑승공간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회전 동작이 실시되고, 수평 설정값 초과시 알림신호를 방출하는 진입부(220);
    차량신호송수신부(210)에서 입력되는 유체제어신호에 따라 고소작업부(300)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230);
    로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76778A 2020-06-23 2020-06-23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KR102399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778A KR102399045B1 (ko) 2020-06-23 2020-06-23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778A KR102399045B1 (ko) 2020-06-23 2020-06-23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463A KR20210158463A (ko) 2021-12-31
KR102399045B1 true KR102399045B1 (ko) 2022-05-18

Family

ID=7917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778A KR102399045B1 (ko) 2020-06-23 2020-06-23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0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4572A (ja) * 2001-11-12 2003-05-20 Nippon Kikai Kogyo Kk 放水銃の照準システム
KR100609448B1 (ko) 2001-11-14 2006-08-16 (주)로하스씨앤씨 카고 크레인에 탑재된 조명 설비의 원격제어장치
KR101933376B1 (ko) * 2018-08-24 2018-12-28 류시열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498A (ko) * 2007-04-20 2008-10-23 전진씨에스엠 주식회사 다목적 인명구조 소방차
KR101196999B1 (ko) * 2009-10-26 2012-11-02 육상조 주변상황을 확인해가면서 안전하게 고층으로 짐을 운반해 줄 수 있는 사다리차의 적재부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4572A (ja) * 2001-11-12 2003-05-20 Nippon Kikai Kogyo Kk 放水銃の照準システム
KR100609448B1 (ko) 2001-11-14 2006-08-16 (주)로하스씨앤씨 카고 크레인에 탑재된 조명 설비의 원격제어장치
KR101933376B1 (ko) * 2018-08-24 2018-12-28 류시열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463A (ko)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669B1 (ko)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JP3218616U (ja) 防火昇降移動装置
CN110523033A (zh) 一种消防救援的智能逃生辅助机器人
KR101842194B1 (ko) 인명구조를 위한 드론 시스템 및 드론 시스템을 이용한 인명구조 방법
CN102886107A (zh) 一种高层建筑物消防救生装置
KR101069783B1 (ko) 피난 유도 로봇 장치
CN110354424B (zh) 一种消防装置
CN207575604U (zh) 体感远程控制人形消防机器人
CN204916187U (zh) 一种消防无人机
KR102162840B1 (ko) 드론을 이용한 고층빌딩 탈출장치
KR102399045B1 (ko)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JP2010280251A (ja) ヘリコプターに取り付けられる消火救難ユニット
CN103663060B (zh) 高层建筑防火救生系统
CN112843535B (zh) 一种基于无人机的高层建筑火灾救援系统及方法
GB0523797D0 (en) High-rise fire 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ement
KR20200066796A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CN111792029B (zh) 用于给人员通气供氧的自主飞行器
CN110420424B (zh) 一种基于导弹消防车的超高层建筑火灾救援方法和装置
KR102053374B1 (ko) 이동식 인명 구조 장치
KR101724061B1 (ko) 다기능 소방 차량
KR102399044B1 (ko)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CN105459125B (zh) 一种基于互联网的高层救援机器人系统及其快速救援方法
KR102126502B1 (ko) 인명 구조를 위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구조 방법
CN110898357A (zh) 一种足形侦查灭火救援机器人系统及方法
KR20220032353A (ko) 드론을 이용한 인명 구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