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498A - 다목적 인명구조 소방차 - Google Patents
다목적 인명구조 소방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94498A KR20080094498A KR1020070039010A KR20070039010A KR20080094498A KR 20080094498 A KR20080094498 A KR 20080094498A KR 1020070039010 A KR1020070039010 A KR 1020070039010A KR 20070039010 A KR20070039010 A KR 20070039010A KR 20080094498 A KR20080094498 A KR 200800944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et
- vehicle
- impeller
- fire
- boo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전 사고를 예방하면서 인명을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에 관한 것으로, 차량 후방의 적재대에 회전 및 신장이 가능하게 구비된 제1, 2, 3단 붐과 인명 구조용 사다리가 구비된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으로, 상기 붐대의 단부에 연결수단을 통해 구비되는 버켓을 포함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에 있어서; 상기 버켓은 절연체 수지인 외피와 내피가 상호 열융착을 통해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는 버켓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절연용 FRP로 구성되며, 상기 내피는 외피보다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로 구성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을 특징으로 한다.
소방, 구조차량, 버켓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인명 구조차량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명 구조차량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을 확대 도시한 버켓의 후방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화학 소방수단에 구비되는 소방펌프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7는 본 발명의 인명 구조차량에 구비된 물탱크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인명 구조차량에 구비된 폼탱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붐대 11 : 제1단 붐
12 : 제2단 붐 13 : 제3단 붐
2 : 버켓 21 : 외피
22 : 내피 23 : 방수포
3 : 연결수단 31 : 연결대
311 : 수직축 32 : 회전대
33 : 연결부 331 : 가이드 연결부
332 : 수직 실린더 333 : 승강로드
34 : 웜휠 35 : 회전대 회전모터
351 : 웜기어 36 : 조작부
4 : 피복 5 : 화학 소방수단
51 : 소방펌프 52 : 펌프 케이싱
53 : 케이싱커버 54 : 임펠러 홀더
55 : 임펠러 가이드 56 : 고압 임펠러
57 : 물탱크 58 : 폼탱크
6 : 적재대 7 : 인명 구조용 3단 사다리
본 발명은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전 사고를 예방하면서 동시에 대량 인명을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은, 건물의 화재 발생시 건물 상층에 대피 하고 있는 대피자를 건물의 외측에서 안전하게 구조하기 위한 차량을 말하는 것이다.
이에 종래의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은, 차량 후방에 구비된 적재대에 구비되어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가변되게 올려지는 붐대와, 붐대의 단부에 구비되어 구조자와 대피자가 탑승할 수 있는 버켓을 포함한다.
즉 상기 붐대는 신장되는 3개의 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적재대의 하부가 고정되어 외부 실린더를 통해 상승/하강이 가능하게 구비된 제1 단붐과, 제1 단붐에 내부 실린더를 통해 돌출되는 제2, 3단 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켓은 상기 제3 단부에 고정되어 구조자가 탐승하여 대피자를 구할 수 있도록 2인 이상이 들어갈 수 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명구조 차량을 이용하여 인명을 구조할 경우에는, 먼저 차량을 화재가 난 건물의 주위에 주차하여 다수의 직립 유압장치를 통해 차량을 지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버켓에 구조자가 탑승한 후 붐대의 회전각도와 길이를 조정하면서 버켓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버켓을 대피자에게 근접시켜 대피자를 탑승시킨다. 그런 다음 다시 붐대를 축소시키고 회전시켜 버켓을 하강시킴으로써 대피자를 구조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을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먼저 상기 인명 구조차량을 구성하는 버켓이 강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도 체인 금속재로 구성됨으로써, 버켓을 상승시켜 인명을 구조하는 과정에서 고압선과 버켓이 접촉되어 구조자 및 대피자가 감전되는 사고로 빈번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인명 구조차량에는 별도의 진화장비가 없음에 따라서 화재현장에 신속히 도착하더라도 초기진화가 불가능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버켓이 붐대의 단부에 단순히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서, 버켓 위치의 미세조정이 불가능함으로써 구조자를 안전하게 구조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버켓과 제3 단부를 비전도체로 구성하여 버켓의 상승을 통해 인명을 구조하는 과정에서, 버켓 또는 제3 단 붐이 전선과 접촉되더라도 버켓의 탑승자가 감전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동시에 대량 인명 구조를 할 수 있는 3단 복합 사다리와 별도의 화재 진압 장비를 구비하여 화재현장에 신속히 도착할 경우에 화재 진압이 가능한 다른 목적도 있다.
또 구조자가 직접 버켓의 위치에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후방의 적재대에 회전 및 신장이 가능하게 구비된 제1, 2, 3단 붐으로 구성된 붐대와 인명 구조용 사다리가 구비된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으로, 상기 붐대의 단부에 연결수단을 통해 구비되는 버켓을 포함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에 있어서; 상기 버켓은 절연체 수지인 외피와 내피가 상호 열융착을 통해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는 버켓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절연 FRP로 구성되며, 상기 내피는 외피 보다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로 구성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붐대의 제일 높이 상승되는 제3단 붐은 절연체인 FRP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켓의 상부에는, 초기에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는 분사 각도와 높이가 조정되는 방수포와 물탱크 그리고 폼탱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3단 붐의 단부에 고정되고 수직축을 포함하는 연결대와, 상기 버켓의 후방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 돌출되어 상기 수직축에 관통되게 고정되는 회전대와, 상기 수직축에 장착된 웜휠과, 상기 회전대에 구비되어 웜휠에 맞물리게 회전되는 웜기어를 포함하는 회전대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대 회전모터를 구동시키는 조작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버켓의 후방과 회전대의 사이에 회전대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 구비된 양 가이드 연결부와, 상기 회전대와 버켓에 실린더 본체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각각의 승강로드가 버켓과 회전대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양 수직 실린 더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양 수직 실린더를 조작하는 실린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대에는 소방펌프를 포함하여, 물탱크와 폼탱크 그리고 화학 소방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명 구조차량을 나타낸 측면도이도, 도 2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은, 차량 후방의 적재대(6)에 회전 및 신장이 가능하게 구비된 제1, 2, 3단 붐(11,12,13)으로 구성된 붐대(1)와, 상기 붐대(1)의 단부에 연결수단(3)을 통해 구비되는 버켓(2)을 포함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에 있어서, 상기 버켓(2)은 절연체 수지인 외피(21)와 내피(22)가 상호 열융착을 통해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피(21)는, 버켓(2)의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절연 FRP로 구성되며, 상기 내피(22)는 외피(21) 보다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내피(22)는 절연성이 우수하고 열 융착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붐대(1) 중 제일 높이 상승되는 제3단 붐(13)은 절연체이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FRP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버켓(2)과 제3단 붐(13)을 절연체로 구성함으로써, 붐 대(1)를 신장시켜 인명을 구조할 경우에, 버켓(2)과 제3단 붐(13)이 상승 이동되는 과정에서 고압선 등의 전선에 접촉되더라도 탑승자의 감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을 확대 도시한 버켓의 후방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에 상기 연결수단(3)은, 상기 제3단 붐(13)의 단부에 고정되고 수직축(311)을 포함하는 연결대(31)와, 상기 버켓(2)의 후방에 연결부(33)를 통해 연결 돌출되어 상기 수직축(311)에 관통되게 고정되는 회전대(32)와, 상기 수직축(311)에 장착된 웜휠(34)과, 상기 회전대(32)에 구비되어 웜휠(34)에 맞물리게 회전되는 웜기어(351)를 포함하는 회전대 회전모터(35)와, 상기 회전대 회전모터(35)를 구동하는 조작부(36)로 구성된다.
또한 연결부(33)는, 버켓(2)의 후방과 회전대(32)의 사이에 회전대(32)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 구비된 양 가이드 연결부(331)와, 상기 회전대(32)와 버켓(2)에 실린더 본체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각각의 승강로드(333)가 버켓(2)과 회전대(32)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양 수직 실린더(332)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6)는 상기 양 수직 실린더(332)를 조작하는 실린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상기 연결수단(3)의 외측에는 절연체의 피복(4;도 1 참조)이 더 구비됨으로써, 인명 구조시 버켓(2)에 탑승한 탑승자의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버켓(2)에 탑승한 구조자가 조작부(36)를 콘트롤하여 상기 회전대 회전모터(35)를 구동시키게 되면, 회전대 회전모터(35)와 연결되어 있는 웜기어(351)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연결대(31)의 수직축(311)에 고정된 웜휠(34) 주위를 웜기어(351)와 회전대 회전모터(35) 및 회전대(32)가 전체적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구조를 수행함에 있어서 버켓에 탑승한 구조자 버켓(2)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정함으로써, 대피자를 보다 안전한 위치에서 구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켓(2)에 탑승한 구조자가 조작부(36)를 콘트롤하여 상기 연결부(33)를 구성하는 수직 실린더(332)를 작동시키게 되면, 회전대(32)로부터 버켓(2)이 전체적으로 상승되거나 하강됨으로써 대피자를 보다 안전한 위치에서 구조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붐대(1)가 완전하게 신장된 상태에서 버켓(2)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조작부(36)를 콘트롤 하여 버켓(2)의 위치를 높임으로써, 붐대(1)가 닿지 않는 높이까지도 버켓(2)을 상승시켜 보다 안전한 구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켓(2)의 상부에는, 분사 각도와 높이가 조정되는 방수포(2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방수포(23)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적재대(6)에는 소방펌프(51)및 첨부도면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탱크(57)와 첨부도면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폼탱크(58)를 포함하는 화학 소방수단(5)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명 구조차량이 화재 현장에 소방차 보다 빨리 도착하였을 경우에, 무선 원격을 통하여 상기 방수포(23)와 물탱크와 폼탱크 및 화학 소방수단(5)을 사용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상기 물탱크와 폼탱크 및 화학 소방수단에 구비되는 소방펌프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와 폼탱크 및 화학 소방수단(5)을 구성하는 소방펌프(51)는; 일측에 공급관이 연결되어서 그 공급관을 통해 내부로 물이 공급되며, 내부에 회전축(521) 상에 체결된 저압 임펠러(522)가 구비되는 펌프 케이싱(52)과; 상기 펌프 케이싱(52) 일면에 체결되고 일측에 유입구(531) 및 토출구(532)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531)에는 상기 펌프 케이싱(52) 내부의 상기 저압 임펠러(522) 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 케이싱(52)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공급배관(533)이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532)에는 상기 유입구(531)로 공급된 물이 순환되면서 토출구(532)로 토출된 물이 방수되는 토출배관(534)이 연결된 케이싱 커버(53)와; 상기 저압 임펠러(522)의 일측에서 상기 회전축(521) 상에 체결되는 임펠러 홀더(54)와; 상기 임펠러 홀더(54) 상에 체결되어서 일측면이 상기 케이싱 커버(53)의 내면에 밀착되고 타측면에 상기 저압 임페러(522)의 일측이 지지되는 임펠러 가이드(55)와; 상기 임펠러 홀더(54)에 체결되고 단부측 둘레에 다수의 날개(561)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 커버(53)와 상기 임펠러 가이드(55) 사이에 위치되어서 회전축(521)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임펠러 홀더(54)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싱 커버(53) 내부로 유 입된 저압의 물이 고압으로 방수되도록 구비되는 고압 임펠러(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소방펌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신속한 5000리터 대용량 저압 방수와 50kg/㎠의 고압 방수로의 전환이 가능하고, 방수량 및 방수압력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버켓의 탑승자가 감전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구조의 안전성을 확보한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기에 화재 진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특수 펌프 및 물탱크와 폼탱크는 인명 구조와 물탱크 소방 펌프 소방차를 겸한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구조자가 버켓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피자를 좀 더 안전하게 동시에 많은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 차량 후방의 적재대(6)에 회전 및 신장 가능하게 구비된 제1, 2, 3단 붐(11,12,13)으로 구성된 붐대(1)와, 상기 붐대(1)의 단부에 연결수단(3)을 통해 구비되는 버켓(2)을 포함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에 있어서;상기 버켓(2)은 절연체 수지인 외피(21)와 내피(22)가 상호 열융착을 통해 일체로 구성되고,상기 외피(21)는 버켓(2)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FRP로 구성되며,상기 내피(22)는 외피(21) 보다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1)의 제일 높이 상승되는 제3단 붐(13)은 절연체인 FRP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2)의 상부에는,분사 각도와 높이가 조정되는 방수포(2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은,상기 제3단 붐(13)의 단부에 고정되고 수직축(311)을 포함하는 연결대(31)와,상기 버켓(2)의 후방에 연결부(33)를 통해 연결 돌출되어 상기 수직축(311)에 관통되게 고정되는 회전대(32)와,상기 수직축(311)에 장착된 웜휠(34)과,상기 회전대(32)에 구비되어 웜휠(34)에 맞물리게 회전되는 웜기어(351)를 포함하는 회전대 회전모터(35)와,상기 회전대 회전모터(35)를 구동시키는 조작부(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
- 제 4항에 있어서, 연결부(33)는, 버켓(2)의 후방과 회전대(32)의 사이에 회전대(32)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 구비된 양 가이드 연결부(331)와, 상기 회전대(32)와 버켓(2)에 실린더 본체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각각의 승강로드(333)가 버켓(2)과 회전대(32)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양 수직 실린더(332)로 구성되며;상기 조작부(36)는 상기 양 수직 실린더(331)를 조작하는 실린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의 외측에는 절연체의 피복(4)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6)에는 소방펌프(51)를 포함하는 물탱크와 폼탱크 및 화학 소방수단(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펌프(51)는;일측에 공급관이 연결되어서 그 공급관을 통해 내부로 물이 공급되며, 내부에 회전축(521) 상에 체결된 저압 임펠러(522)가 구비되는 펌프 케이싱(52)과;상기 펌프 케이싱(52) 일면에 체결되고 일측에 유입구(531) 및 토출구(532)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531)에는 상기 펌프 케이싱(52) 내부의 상기 저압 임펠러(522) 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 케이싱(52)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공급배관(533)이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532)에는 상기 유입구(531)로 공급된 물이 순환되면서 토출구(532)로 토출된 물이 방수되는 토출배관(534)이 연결된 케이싱 커버(53)와;상기 저압 임펠러(522)의 일측에서 상기 회전축(521) 상에 체결되는 임펠러 홀더(54)와;상기 임펠러 홀더(54) 상에 체결되어서 일측면이 상기 케이싱 커버(53)의 내면에 밀착되고 타측면에 상기 저압 임페러(522)의 일측이 지지되는 임펠러 가이드(55)와;상기 임펠러 홀더(54)에 체결되고 단부측 둘레에 다수의 날개(561)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 커버(53)와 상기 임펠러 가이드(55) 사이에 위치되어서 회전축(521)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임펠러 홀더(54)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싱 커버(53) 내부로 유입된 저압의 물이 고압으로 방수되도록 구비되는 고압 임펠러(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인명 구조차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9010A KR20080094498A (ko) | 2007-04-20 | 2007-04-20 | 다목적 인명구조 소방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9010A KR20080094498A (ko) | 2007-04-20 | 2007-04-20 | 다목적 인명구조 소방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4498A true KR20080094498A (ko) | 2008-10-23 |
Family
ID=4015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9010A KR20080094498A (ko) | 2007-04-20 | 2007-04-20 | 다목적 인명구조 소방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94498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984502A (zh) * | 2015-08-07 | 2015-10-21 | 丹阳市长江汽车部件有限公司 | 一种铝合金结构的消防车工作平台 |
KR102132868B1 (ko) * | 2019-12-27 | 2020-07-13 | 이준호 | 360도 회전이 가능한 수관 결합형 소방차 작업대 |
KR20210158463A (ko) * | 2020-06-23 | 2021-12-31 |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
-
2007
- 2007-04-20 KR KR1020070039010A patent/KR2008009449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984502A (zh) * | 2015-08-07 | 2015-10-21 | 丹阳市长江汽车部件有限公司 | 一种铝合金结构的消防车工作平台 |
KR102132868B1 (ko) * | 2019-12-27 | 2020-07-13 | 이준호 | 360도 회전이 가능한 수관 결합형 소방차 작업대 |
KR20210158463A (ko) * | 2020-06-23 | 2021-12-31 |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46731B1 (en) | Smoke evacuating fire vehicle | |
US9757601B2 (en) | Firefighting or rescue apparatus including a ladder mounted recovery winch | |
US6755258B1 (en) | Aerial ladder fire fighting apparatus with positionable waterway | |
KR20080094498A (ko) | 다목적 인명구조 소방차 | |
KR101967838B1 (ko) | 2-채널 방향 조작 소방용 방수총 거치대 | |
KR101589024B1 (ko) | 파괴 방수형 소방차 | |
CN203915855U (zh) | 消防车 | |
KR102049528B1 (ko) | 수관 결합구조를 갖는 인명구조용 소방차 작업대 | |
CN204050697U (zh) | 高空逃生网救援车 | |
US10273132B2 (en) | Isolated electronic backbone architecture for aerial devices | |
KR200392365Y1 (ko) | 다목적 소방차 | |
KR20070024457A (ko) |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 |
CN110274154B (zh) | 一种船用lng加气站 | |
KR100699088B1 (ko) | 다목적 소방차 | |
KR20140137724A (ko) | 물대포 및 화재진압 안전장치를 장착한 시위 진압차 | |
JP6170746B2 (ja) | 多機能消防車 | |
JP6236273B2 (ja) | 高所作業機能付車両 | |
KR102599451B1 (ko) |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수조 컨테이너 시스템 | |
KR102584555B1 (ko) |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
KR100597578B1 (ko) | 다목적 화재진화차량 | |
KR102604325B1 (ko) |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
KR101010521B1 (ko) | 인명구조용 차량 탑재형 사다리 구조체 | |
CN211751963U (zh) | 一种警用无人机用的灭火装置 | |
KR100987603B1 (ko) | 소방차용 캡 방수포 | |
JPH0576616A (ja) | 伸縮・旋回自在な支柱を具備する放水銃付き消防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106 Effective date: 2009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