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555B1 -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555B1
KR102584555B1 KR1020230092168A KR20230092168A KR102584555B1 KR 102584555 B1 KR102584555 B1 KR 102584555B1 KR 1020230092168 A KR1020230092168 A KR 1020230092168A KR 20230092168 A KR20230092168 A KR 20230092168A KR 102584555 B1 KR102584555 B1 KR 102584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fire
bottom plate
pressure 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2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비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비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비드림
Priority to KR1020230092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4Removing or cutting-off the supply of inflamm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walls, heaped materia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24C5/04Nozzl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07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liqui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71General 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the loading platform, e.g.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92Design or construction of the moving platform itse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의 화재 발생 시 전기자동차를 화재진압용 수조에 저장된 물에 침지시켜 소화기나, 소방호스를 이용한 종래의 화재 진압 방법에 비하여 보다 신속히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은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C)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화재진압용 수조(1)를 설치하는 단계(S110)와; 상기 전기자동차(C)를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234)가 갖추어지고 한 쌍의 포크(234) 사이에 전기자동차(C) 밑판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밑판 제거 수단(5)이 설치된 이송장치(2)가 한 쌍의 포크(234)를 전기자동차(C) 하부로 밀어넣는 단계(S120); 상기 이송장치(2)가 전기자동차(C) 내부로 물(W)이 유입되도록 상기 밑판 제거 수단(5)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C) 밑판을 부분 제거하는 단계(S130); 상기 이송장치(2)가 전기자동차(C)를 들어올린 후 화재진압용 수조(1)에 형성된 출입구(111A)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로 진입하여 전기자동차(C)를 언로딩(Unloading)하는 단계(S140); 상기 이송장치(2)가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에 전기자동차(C)를 언로딩한 후 출입구(111A)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1)의 외부로 이동되면 출입구(111A)를 폐쇄하는 단계(S150);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에 물(W)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C)를 물(W)에 침지시키는 단계(S160); 및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의 상부를 방염커버(3)로 차폐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How to effectively extinguish an electric vehicle fire by partially removing the bottom plate of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된 전기 자동차의 밑판을 부분 제거 후 전기 자동차를 화재진압용 수조에 담궈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친환경에너지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자동차 산업에서는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여 유해물질의 발생이 없는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의 차체 바닥에는 다량의 배터리가 배치된다.
이에, 교통사고로 인해 배터리에 큰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배터리가 손상되면서 화재가 발생된다.
배터리에서 화재가 지속될 경우 배터리가 단락되면서 화재의 연쇄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배터리 전체에 화재가 번져 결국 배터리가 폭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에 화재가 발생되면 초기 진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배터리는 차량의 내부에 보호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소화기나 물을 분사하더라도 화재가 완전히 진압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전기자동차에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를 진압한 후, 견인차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안전한 장소로 운반하였다.
그러나, 이의 경우 화재가 진압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주변 환경이 위험요소에 그대로 노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여지가 있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22-0168657호 (2022.12.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의 화재 발생 시 전기 자동차의 밑판을 부분 제거 후 전기자동차를 화재진압용 수조에 담궈 전기자동차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원격으로 조작되는 이송장치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로 운반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주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은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C)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화재진압용 수조(1)를 설치하는 단계(S110)와;상기 전기자동차(C)를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234)가 갖추어지고 한 쌍의 포크(234) 사이에 전기자동차(C) 밑판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밑판 제거 수단(5)이 설치된 이송장치(2)가 한 쌍의 포크(234)를 전기자동차(C) 하부로 밀어넣는 단계(S120); 상기 이송장치(2)가 전기자동차(C) 내부로 물(W)이 유입되도록 상기 밑판 제거 수단(5)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C) 밑판을 부분 제거하는 단계(S130); 상기 이송장치(2)가 전기자동차(C)를 들어올린 후 화재진압용 수조(1)에 형성된 출입구(111A)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로 진입하여 전기자동차(C)를 언로딩(Unloading)하는 단계(S140); 상기 이송장치(2)가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에 전기자동차(C)를 언로딩한 후 출입구(111A)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1)의 외부로 이동되면 출입구(111A)를 폐쇄하는 단계(S150);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에 물(W)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C)를 물(W)에 침지시키는 단계(S160); 및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의 상부를 방염커버(3)로 차폐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화재 발생 시 전기자동차의 밑판을 부분 제거 후 전기자동차를 화재진압용 수조에 침지시키므로, 소화기나, 소방호스를 이용한 종래의 화재 진압 방법에 비하여 보다 신속히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이송장치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로 운반한 후 화재진압용 수조 내에서 화재를 진압하므로,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주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 화재진압용 수조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는 튜브형 구조이므로,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하다.
또, 화재진압용 수조는 부분적으로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가능하여 팽창된 상태에서도 일부분에 출입구를 형성하여 이송장치의 출입이 가능하므로, 전기자동차를 견인하지 않고도, 이송장치를 통해 신속히 화재진압용 수조의 내부로 옮길 수 있다.
또, 전기자동차가 화재진압용 수조의 내부에 배치된 후, 방염커버를 이용하여 화재진압용 수조의 상부를 차폐하므로, 산소를 차단하여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 이송장치는 원격으로 제어되고, 전기자동차를 리프팅 및 운반하도록 구성되므로, 작업자가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고, 호이스트 장비나 크레인에 비해 보다 신속히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화재진압용 수조의 내부로 옮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수조에 전기자동차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부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한 쌍의 포크 사이에 설치된 밑판 제거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고압수 공급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와 백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수조에 전기자동차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부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한 쌍의 포크 사이에 설치된 밑판 제거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고압수 공급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와 백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은 도면 1 내지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C)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화재진압용 수조(1)를 설치하는 단계(S110)와; 상기 전기자동차(C)를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234)가 갖추어지고 한 쌍의 포크(234) 사이에 전기자동차(C) 밑판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밑판 제거 수단(5)이 설치된 이송장치(2)가 한 쌍의 포크(234)를 전기자동차(C) 하부로 밀어넣는 단계(S120); 상기 이송장치(2)가 전기자동차(C) 내부로 물(W)이 유입되도록 상기 밑판 제거 수단(5)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C) 밑판을 부분 제거하는 단계(S130); 상기 이송장치(2)가 전기자동차(C)를 들어올린 후 화재진압용 수조(1)에 형성된 출입구(111A)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로 진입하여 전기자동차(C)를 언로딩(Unloading)하는 단계(S140); 상기 이송장치(2)가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에 전기자동차(C)를 언로딩한 후 출입구(111A)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1)의 외부로 이동되면 출입구(111A)를 폐쇄하는 단계(S150);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에 물(W)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C)를 물(W)에 침지시키는 단계(S160); 및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의 상부를 방염커버(3)로 차폐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
수조(1)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W)은 소방차 혹은 인근 소화전에서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재진압용 수조(1)는 벽부(11) 및 바닥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벽부(1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벽부(11)는 고정부(111) 및 개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바닥부(12)의 가장자리에 서로 연결된 세 개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고정부(111)의 일 측에는 이송장치(2)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12)는 공기가 미주입되면 출입구(111A)를 개방하고,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바닥부(12)의 가장자리에 한 개의 벽을 형성하여 출입구(111A)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11)와 개폐부(112)에는 각각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가능한 밸브(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12)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벽부(11)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부(12)의 상면에는 전기자동차(C)가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벽부(1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고, 공기가 배출되면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부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벽부(11)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내피(11A), 내피(11A)에 접하고, 방염처리된 직물 재질로 형성되는 외피(11B) 및 내피(11A)와 외피(11B)의 표면에 도포되는 방염 코팅층(11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송장치(2)는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되고, 전기자동차(C)를 하역 및 운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송장치(2)는 박스형태의 본체(21), 본체(21)를 이송하는 이송부(22), 본체(21)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기자동차(C)를 승강시키는 리프팅부(23),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4)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이송부(22) 및 리프팅부(23)를 제어하는 제어부(24) 및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어부(24)를 통해 이송부(22) 및 리프팅부(2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22)는 구동모터(221), 구동휠(222) 및 조향휠(22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221)는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휠(222)은 본체(21)의 하측 전방에 배치되고, 구동모터(221)에 의해 회전되어 본체(21)를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휠(222)은 조향휠(223)에 비하여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조향휠(223)은 본체(21)의 하측 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4)에서 입력된 조향신호에 의해 회전되면서 본체(21)의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부(23)는 다단 마스트(231), 백레스트(233), 한 쌍의 포크(234), 리프트 실린더(235)를 포함한다.
상기 다단 마스트(231)는 본체(21)의 전면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단 마스트(231)는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전개 및 절첩될 수 있다.
상기 백레스트(233)는 다단 마스트(231)의 전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포크(234)는 백레스트(233)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전기자동차(C)의 하면을 지지하여 전기자동차(C)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실린더(235)는 다단 마스트(231)의 후면에 배치되고, 한 쌍의 포크(234)가 결합된 백레스트(233)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밑판 제거 수단(5)은 워터젯(Water jet)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C) 밑판을 절단하거나, 전기자동차(C) 밑판에 파쇄 수단(57)을 추진시켜 전기자동차(C) 밑판을 파쇄할 수 있다.
상기 밑판 제거 수단(5)은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포크(234) 사이에 설치된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양측부를 한 쌍의 포크(234)에 연결하되 한 쌍의 포크(234) 사이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조정되는 연결 수단(52), 상기 케이스(51) 윗면에 설치된 노즐(53)(Nozzle), 상기 케이스(51) 내부로 유입된 고압수의 수압을 상승시키되 수압이 상승된 고압수에 연마재를 혼합하고 연마재가 혼합된 고압수를 노즐(53)로 전달하는 고압수 공급 수단(54), 소방 호스를 통해 상기 본체(21)로 전달된 고압수를 상기 본체(21)와 백레스트(233)를 거쳐 상기 케이스(51)로 전달하는 고압수 전달 수단(55), 및 상기 본체(21)에 저장된 연마재를 상기 백레스트(233)를 거쳐 상기 케이스(51)로 전달하는 연마재 전달 수단(56)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53) 바깥으로 토출된 연마재가 혼합된 고압수는 전기자동차(C) 밑판을 절단한다.
상기 연결 수단(52)은 직경이 다른 원형 파이프를 여러 개 겹쳐 길이가 조정되도록 하거나 소정 길이 범주의 스트로크를 가진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압수 공급 수단(54)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압수 전달 수단(55)을 통해 고압수를 전달받는 고압수 공급관(541)과, 상기 고압수 공급관(541)의 출구에 설치되되 내부에 고압수 공급관(541)의 내경보다 작은 유로가 갖추어져 고압수 공급관(541)으로부터 전달된 고압수의 수압을 상승시키는 오리피스(542), 상기 연마재 전달 수단(56)을 통해 전달된 연마재를 혼합 챔버(544)로 전달하는 연마재 공급 수단(543), 및 상기 오리피스(542) 유로를 통해 유입된 고압수와 상기 연마재 공급 수단(543)을 통해 공급된 연마재를 혼합 후 혼합액을 노즐(53)로 전달하는 혼합 챔버(544)를 포함한다.
상기 밑판 제거 수단(5)은 파쇄 수단(57)과, 상기 케이스(51)에 설치되고 상기 파쇄 수단(57)을 추진시켜 파쇄 수단(57)으로 하여금 전기자동차(C) 밑판을 파쇄하도록 하는 추진 수단(58)을 포함한다.
상기 고압수 전달 수단(55)은 사용자 단말(4)의 원격 제어에 의해 고압수를 상기 고압수 공급관(541)으로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고, 상기 연마재 전달 수단(56)은 사용자 단말(4)의 원격 제어에 의해 연마재를 상기 연마재 공급 수단(543)으로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으며, 상기 추진 수단(58)은 사용자 단말(4)의 원격 제어에 의해 파쇄 수단(57)을 추진시키거나 추진시키지 않는다.
상기 추진 수단(58)은 예를 들어, 화약을 이용한 추진력으로 파쇄 수단(57)을 추진시키거나,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파쇄 수단(57)을 추진시킬 수도 있다.
또한, 파쇄 수단(57)을 일정 속도로 축 회전시켜 전기자동차(C) 밑판을 파쇄할 수도 있다.
상기 리프팅부(23)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틸트 실린더(232)와, 상부 카메라(236) 및 하부 카메라(237)를 더 포함한다.
상기 틸트 실린더(232)는 본체(21)와 다단 마스트(231)를 연결하고, 축 방향을 따라 신장되거나 수축되면서 다단 마스트(231)를 가압하여 다단 마스트(2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카메라(236)는 다단 마스트(231)의 상부에 배치되어 포크(234)의 상부 공간에 대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상부 카메라(236)에서 획득된 영상정보를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실시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포크(234)에 지지된 전기자동차(C)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카메라(237)는 다단 마스트(231)의 하부에 배치되어 포크(234)의 하부 공간에 대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하부 카메라(237)에서 획득된 영상정보를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실시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C)를 지지하고 있는 포크(234)의 지지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와 백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백레스트(233)와 한 쌍의 포크(234)는 좌우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리프팅부(23)는 백레스트(233)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 실린더(238)와, 백레스트(233)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한 쌍의 포크(234)를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송하는 제2 이송 실린더들(239)과, 백레스트(233)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한 쌍의 포크(234)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23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포크(234)는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크(234)는 백레스트(233)에 결합되는 관형의 제1 포크부(234A)와, 제1 포크부(234A)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포크부(234A)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제1 포크부(234A)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 포크부(234B)와, 제1 포크부(234A)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2 포크부(234B)를 이송하는 신축 실린더(234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크(234)는 탄성 지지구들(234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구들(234D)은 제1 포크부(234A)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2 포크부(234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제2 포크부(234B)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지지구(234D)는 제2 포크부(234B)의 외면에 접하고, 제2 포크부(234B)가 이동되면 회전되면서 제2 포크부(234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볼(234D1)과, 가이드볼(234D1)의 외면에 결합되어 가이드볼(234D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케이지(234D2)와, 볼 케이지(234D2)를 제2 포크부(234B)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34D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자동차(C)의 화재 발생 시 전기자동차(C)를 화재진압용 수조(1)에 저장된 물에 침지시키므로, 소화기나, 소방호스를 이용한 종래의 화재 진압 방법에 비하여 보다 신속히 전기자동차(C)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C)를 이송장치(2)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1)로 운반한 후 화재진압용 수조(1) 내에서 화재를 진압하므로,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C)를 주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화재진압용 수조(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는 튜브형 구조로 형성되므로,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화재진압용 수조(1)는 부분적으로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가능하여 팽창된 상태에서도 일부분에 출입구(111A)를 형성하여 이송장치(2)의 출입이 가능하므로, 전기자동차(C)를 견인하지 않고도, 이송장치(2)를 통해 신속히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로 옮길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C)가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에 배치된 후, 방염커버(3)를 이용하여 화재진압용 수조(1)의 상부를 차폐하므로, 산소를 차단하여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이송장치(2)는 원격으로 제어되고, 전기자동차(C)를 리프팅 및 운반하도록 구성되므로, 작업자가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고, 호이스트 장비나 크레인에 비해 보다 신속히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C)를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로 옮길 수 있다.
1. 화재진압용 수조 11. 벽부
11A. 내피 11B. 외피
11C. 방염 코팅층 111. 고정부
111A. 출입구 112. 개폐부
12. 바닥부 2. 이송장치
21. 본체 22. 이송부
221. 구동모터 222. 구동휠
223. 조향휠 23. 리프팅부
231. 다단 마스트 232. 틸트 실린더
233. 백레스트 234. 포크
234A. 제1 포크부 234B. 제2 포크부
234C. 신축 실린더 234D. 탄성 지지구
234D1. 가이드볼 234D2. 볼 케이지
234D3. 탄성부재 235. 리프트 실린더
236. 상부 카메라 237. 하부 카메라
238. 제1 이송 실린더 239. 제2 이송 실린더
2391. 가이드 바 24. 제어부
25. 배터리 3. 방염커버
4. 사용자 단말 C. 전기자동차
5. 밑판 제거 수단 51. 케이스
52. 연결 수단 53. 노즐
54. 고압수 공급 수단 541. 고압수 공급관
542. 오리피스 543. 연마재 공급 수단
544. 혼합 챔버 55. 고압수 전달 수단
56. 연마재 전달 수단 57. 파쇄 수단
58. 추진 수단

Claims (5)

  1.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C)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화재진압용 수조(1)를 설치하는 단계(S110)와;
    상기 전기자동차(C)를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234)가 갖추어지고 한 쌍의 포크(234) 사이에 전기자동차(C) 밑판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밑판 제거 수단(5)이 설치된 이송장치(2)가 한 쌍의 포크(234)를 전기자동차(C) 하부로 밀어넣는 단계(S120);
    상기 이송장치(2)가 전기자동차(C) 내부로 물(W)이 유입되도록 상기 밑판 제거 수단(5)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C) 밑판을 부분 제거하는 단계(S130);
    상기 이송장치(2)가 전기자동차(C)를 들어올린 후 화재진압용 수조(1)에 형성된 출입구(111A)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로 진입하여 전기자동차(C)를 언로딩(Unloading)하는 단계(S140);
    상기 이송장치(2)가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에 전기자동차(C)를 언로딩한 후 출입구(111A)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1)의 외부로 이동되면 출입구(111A)를 폐쇄하는 단계(S150);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에 물(W)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C)를 물(W)에 침지시키는 단계(S160);
    및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의 상부를 방염커버(3)로 차폐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2)는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되고 상기 전기자동차(C)를 하역 및 운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송장치(2)는,
    박스형태의 본체(21),
    상기 본체(21)를 이송하는 이송부(22),
    상기 본체(21)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자동차(C)를 승강시키는 리프팅부(23),
    상기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4)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부(22) 및 상기 리프팅부(23)를 제어하는 제어부(24), 및
    상기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24)를 통해 상기 이송부(22) 및 상기 리프팅부(2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5)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부(23)는,
    상기 본체(21)의 전면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전개 및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다단 마스트(231),
    상기 다단 마스트(231)의 전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백레스트(233),
    상기 백레스트(233)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전기자동차(C)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전기자동차(C)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포크(234),
    상기 다단 마스트(231)의 후면에 배치되고 한 쌍의 포크(234)가 결합된 상기 백레스트(233)를 승강시키는 리프트 실린더(235)를 포함하며,
    상기 밑판 제거 수단(5)은 한 쌍의 포크(234) 사이에 설치된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양측부를 한 쌍의 포크(234)에 연결하되 한 쌍의 포크(234) 사이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조정되는 연결 수단(52),
    상기 케이스(51) 윗면에 설치된 노즐(53)(Nozzle),
    상기 케이스(51) 내부로 유입된 고압수의 수압을 상승시키되 수압이 상승된 고압수에 연마재를 혼합하고 연마재가 혼합된 고압수를 노즐(53)로 전달하는 고압수 공급 수단(54),
    소방 호스를 통해 상기 본체(21)로 전달된 고압수를 상기 본체(21)와 백레스트(233)를 거쳐 상기 케이스(51)로 전달하는 고압수 전달 수단(55),
    및 상기 본체(21)에 저장된 연마재를 상기 백레스트(233)를 거쳐 상기 케이스(51)로 전달하는 연마재 전달 수단(56)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 공급 수단(54)은 상기 고압수 전달 수단(55)을 통해 고압수를 전달받는 고압수 공급관(541)과,
    상기 고압수 공급관(541)의 출구에 설치되되 내부에 고압수 공급관(541)의 내경보다 작은 유로가 갖추어져 고압수 공급관(541)으로부터 전달된 고압수의 수압을 상승시키는 오리피스(542),
    상기 연마재 전달 수단(56)을 통해 전달된 연마재를 혼합 챔버(544)로 전달하는 연마재 공급 수단(543),
    및 상기 오리피스(542) 유로를 통해 유입된 고압수와 상기 연마재 공급 수단(543)을 통해 공급된 연마재를 혼합 후 혼합액을 노즐(53)로 전달하는 혼합 챔버(544)를 포함하고,
    상기 밑판 제거 수단(5)은 파쇄 수단(57)과,
    상기 케이스(51)에 설치되고 상기 파쇄 수단(57)을 추진시켜 파쇄 수단(57)으로 하여금 전기자동차(C) 밑판을 파쇄하도록 하는 추진 수단(58)을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 전달 수단(55)은 사용자 단말(4)의 원격 제어에 의해 고압수를 상기 고압수 공급관(541)으로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고,
    상기 연마재 전달 수단(56)은 사용자 단말(4)의 원격 제어에 의해 연마재를 상기 연마재 공급 수단(543)으로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으며,
    상기 추진 수단(58)은 사용자 단말(4)의 원격 제어에 의해 파쇄 수단(57)을 추진시키거나 추진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벽부(11), 및
    상기 벽부(11)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전기자동차(C)가 지지되는 평판형상의 바닥부(12)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1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상기 바닥부(12)의 가장자리에 서로 연결된 세 개의 벽을 형성하고 일 측에 상기 출입구(111A)가 형성되는 고정부(111),
    및 공기가 미주입되면 상기 출입구(111A)를 개방하고,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상기 바닥부(12)의 가장자리에 한 개의 벽을 형성하여 상기 출입구(111A)를 폐쇄하는 개폐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벽부(1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고 공기가 배출되면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벽부(11)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내피(11A),
    상기 내피(11A)에 접하고, 방염처리된 직물 재질로 형성되는 외피(11B),
    및 상기 내피(11A)와 상기 외피(11B)의 표면에 도포되는 방염 코팅층(11C)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KR1020230092168A 2023-07-17 2023-07-17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KR102584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168A KR102584555B1 (ko) 2023-07-17 2023-07-17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168A KR102584555B1 (ko) 2023-07-17 2023-07-17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555B1 true KR102584555B1 (ko) 2023-10-05

Family

ID=88293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168A KR102584555B1 (ko) 2023-07-17 2023-07-17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5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533A (ko) * 2001-08-08 2003-02-15 이재언 불법주차차량 강제이동 차
KR20210154282A (ko) * 2020-06-11 2021-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소화 약제 공급 장치
KR20220168657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화재 방지를 위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
KR102528451B1 (ko) * 2022-04-19 2023-05-03 주식회사 비즈케어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533A (ko) * 2001-08-08 2003-02-15 이재언 불법주차차량 강제이동 차
KR20210154282A (ko) * 2020-06-11 2021-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소화 약제 공급 장치
KR20220168657A (ko)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화재 방지를 위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
KR102528451B1 (ko) * 2022-04-19 2023-05-03 주식회사 비즈케어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8298B2 (en) Pressurized dual fluid jet system
JP3761405B2 (ja) 救出業務に使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1924330B1 (en) Equipment for use in rescue service for making holes in roof etc by cutting
US3169581A (en) Fire fighting and rescue apparatus
JP5458856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及び消火ユニット
KR20160130100A (ko) 화재 진압용 장비 및 화재진압 방법
KR101400769B1 (ko) 기동형 로봇 화재진압 시스템
JP3914466B2 (ja) 乗物用防災設備
KR102584555B1 (ko)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CN203750067U (zh) 客运汽车及其自动灭火系统
KR20080060703A (ko) 가스 가압 전동식 이동 소화장치
CN110038244B (zh) 一种喷沙灭火装置及喷沙灭火车、喷沙拖挂车
US5180018A (en) Split stack fire-fighting apparatus and process of use
US7484567B2 (en) Applying solid carbon dioxide to a hazardous material or fire
JP2008284194A (ja) 塵芥収集車用消火燃焼抑制システム
KR102604325B1 (ko)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KR101799245B1 (ko)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KR101104751B1 (ko) 화재 진압용 소화장치
KR20190060427A (ko) 소방차에 적재 가능한 기동형 서브 소방장치
KR101049689B1 (ko) 자동차의 소화 장치
KR20110015939A (ko) 액체분사가 가능한 진압차량과 그 진압차량시스템
CN210145363U (zh) 一种喷沙灭火装置及喷沙灭火车、喷沙拖挂车
KR102631579B1 (ko)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KR102635729B1 (ko)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유압 강철 펀치 조립체를 부착한 타공 작기와 차량을 들어 올리는 리프트 작기로 구성된 전기자동차용 타공소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 방법
WO2020222263A1 (en) Apparatus to extinguish fires and vehicle equipped with such a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