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579B1 -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579B1
KR102631579B1 KR1020220129884A KR20220129884A KR102631579B1 KR 102631579 B1 KR102631579 B1 KR 102631579B1 KR 1020220129884 A KR1020220129884 A KR 1020220129884A KR 20220129884 A KR20220129884 A KR 20220129884A KR 102631579 B1 KR102631579 B1 KR 102631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lectric vehicle
trailer
extinguishing water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최병민
손창협
김미진
박정호
이인석
이환희
Original Assignee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박정호
이인석
이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박정호, 이인석, 이환희 filed Critical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9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5/00Mobile jacks of the garage type mounted on wheels or rollers
    • B66F5/04Mobile jacks of the garage type mounted on wheels or rollers with fluid-pressure-operated lift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를 수용하는 차량 수용 공간이 형성된 트레일러; 상기 트레일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리프트 도어; 상기 트레일러 내부의 타측 상단에 구비되는 윈치; 상기 트레일러의 타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윈치로부터 풀려지는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 이동 롤러; 및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의 하부로 소화수를 분사하며,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 견인고리에 체결되어 상기 차량 수용 공간으로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를 이동시키는 살수 견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ELECTRIC VEHICLE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FOR FIRE SUPPRESSION USING SAME}
본 발명은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 화재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진압하도록 이루어진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EV, Electric Vehicle)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친환경 자동차로, 고전압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전기 모터로 공급되어 차량은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차는 탄소 배출 감축과 환경 보호 정책에 따라 각 국가에서는 전기차의 구매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고, 전기차를 구매하는 경우 보조금을 지원하기도 한다.
그러나 차량의 저면에 구비되는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지속적인 열전이가 일어나게 되어 화재 진압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고층건물이나 대형건물에 주차되어 있는 전기차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대형 화재로도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기차 화재 발생시, 전기차 주변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효과적으로 전기차 화재를 진압하도록 이루어진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31351호(2005.04.0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기차 화재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진압하도록 이루어진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를 수용하는 차량 수용 공간이 형성된 트레일러; 상기 트레일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리프트 도어; 상기 트레일러 내부의 타측 상단에 구비되는 윈치; 상기 트레일러의 타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윈치로부터 풀려지는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 이동 롤러; 및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의 하부로 소화수를 분사하며,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 견인고리에 체결되어 상기 차량 수용 공간으로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를 이동시키는 살수 견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의 일측에는 상기 차량 수용 공간으로 인입되는 전기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차량 수용 공간으로 전기차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일러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의 하부에는 무버가 구비되어, 상기 트레일러는 원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의 내측 벽면은 방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의 내부에는 상기 트레일러의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살수 견인모듈은, 소방호스가 결합되는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로 공급된 소화수를 전기차의 하면으로 분사하는 제1 소화수 분사 노즐;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며, 노면에 접촉되는 바퀴를 가지는 제1 견인부; 상기 제1 견인부와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를 상기 제1 견인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로 상승시키는 에어백 리프트; 및 상기 에어백 리프트에 의해 상기 제1 견인부로부터 상부로 이동된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를 고정시키는 리프트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견인부에는 상기 견인고리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는 전기차의 저면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전기차를 노면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살수 견인모듈은, 소방호스가 결합되는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 노면에 접촉되는 바퀴를 가지며, 자키 레버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를 상승시키는 제2 견인부; 상기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로 공급된 소화수를 전기차의 전부측 하면으로 분사하는 제2 소화수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견인부에 형성된 고정부 삽입홈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휠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휠 고정부의 인출시, 상기 휠 고정부는 전기차의 휠에 형성된 스포크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운반차량에 결합된 트레일러를 화재 발생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운반차량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러를 분리시킨 후, 무버를 원격조정하여 상기 트레일러를 요구되는 위치로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트레일러의 리트프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윈치에 감긴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 견인고리를 살수 견인모듈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살수 견인모듈은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의 하부로 소화수를 분사하며, 화재 발생 전기차를 상기 트레일러의 차량 수용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에는 트레일러와 살수 견인모듈이 구비됨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화재 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내부로 전기차가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수 견인모듈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화재 진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화재 진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수 견인모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수 견인모듈을 평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내부로 전기차가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수 견인모듈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1000)은 트레일러(100), 리프트 도어(200), 윈치(300), 가이드 롤러(400) 및 살수 견인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일러(100)의 내부에는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를 수용하는 차량 수용 공간(101)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트레일러(100)의 전부측에는 운반차량(10)과 결합되는 견인바(110)가 구비되어, 운반차량(10)에 결합된 트레일러(100)는 운반차량(1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일러(100)의 내측 벽면은 예를 들어 방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트레일러(100)의 내부로 인입된 화재 발생 전기차로부터 트레일러(100)의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트레일러(100)의 하부에는 무버(120)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트레일러(100)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트레일러(100)가 운반차량(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무버(120)의 원격 조정을 통해 트레일러(100)를 요구되는 위치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일러(100)는 무버(120)를 통해 요구되는 위치로 정확하고 빠르게 이동될 수 있어, 전기차의 화재 진압은 더욱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일러(100)의 내부에는 카메라 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트레일러(100)의 내부 상황을 촬영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원격에서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통해 차량 수용 공간(101) 내 상황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트레일러(100) 내에서 전기차의 화재 진압이 이루어질 시,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통해 화재 진압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도 있다.
그리고 트레일러(100)의 일측에 마련된 리프트 도어(200)는 회전을 통해 차량 수용 공간(101)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리프트 도어(200)는 예를 들어 유압식 도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는 살수 견인모듈(500)을 통해 차량 수용 공간(101)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롤러(400)는 리프트 도어(200)가 마련된 트레일러(100)의 양측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400)는 살수 견인모듈(500)에 안착된 전기차가 차량 수용 공간(101)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전기차가 트레일러(100)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며, 차량 수용 공간(101)으로 전기차가 안전하게 인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윈치(300)는 트레일러(100)의 내부에 구비되되, 리프트 도어(200)가 배치된 반대편인 트레일러(100)의 타측 상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윈치(300)는 케이블(320)의 감김 또는 풀림 작업을 통해 살수 견인모듈(500)에 안착된 전기차를 차량 수용 공간(101)으로 견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윈치(300)가 트레일러(100)의 타측 상단에 구비된 것은 차량 수용 공간(101)으로 살수 견인모듈(500)을 효과적으로 인입시키고, 전기차의 인입과정에서 걸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케이블 이동 롤러(310)는 트레일러(100)의 타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윈치(300)로부터 풀려지거나 감기는 케이블(32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살수 견인모듈(500)을 차량 수용 공간(101)으로 견인시키는 케이블(320)의 단부에는 견인고리(321)가 구비된다. 이러한 견인고리(321)는 살수 견인모듈(500)에 체결되어, 윈치(300)의 권취 작업에 의해 살수 견인모듈(500)에 안착된 전기차는 차량 수용 공간(101)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살수 견인모듈(500)은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 소화수 분사 노즐(520), 제1 견인부(530), 에어백 리프트(540) 및 리프트잭(5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에는 소방호스(20)가 결합되어 예를 들어, 소화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는 소방호스(20)를 통해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의 상면에는 전기차의 저면부가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는 전기차의 저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전기차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는 전기차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들어올려야 되기에, 일정 이상의 강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는 예를 들어 이중철판 구조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소화수 분사 노즐(520)은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로 공급되는 소화수를 전기차의 저면으로 분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로, 소화수 분사 노즐(520)의 단부는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노즐 삽입홀(511)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소화수 분사 노즐(520)은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전기차의 저면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전기차의 저면에는 복수의 전기 배터리가 배치되기에, 소화수 분사 노즐(520)은 전기 배터리가 마련된 전기차의 저면으로 소화수를 집중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견인부(530)는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 견인부(530)의 하부에는 노면에 접촉되는 바퀴(531)가 구비되어,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는 살수 견인모듈(500)에 안착된 상태에서 견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견인부(530)에는 제1 체결고리(532)가 구비되며, 견인고리(321)는 제1 체결고리(532)에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견인고리(321)는 제1 체결고리(532)에 체결되어, 윈치(300)의 권취 과정에서 살수 견인모듈(500)에 안착된 전기차는 차량 수용 공간(101)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 리프트(540)는 제1 견인부(530)와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에어백 리프트(540)의 공기 주입을 통해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는 제1 견인부(530)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즉, 에어백 리프트(540)의 공기 주입을 통해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에 안착되는 전기차는 전기차에 구비된 바퀴가 노면에서 떨어진 상태로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전기차는 살수 견인모듈(500)에 안착된 상태에서 견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백 리프트(540)에 의해 제1 견인부(530)가 상승하여 전기차를 노면으로부터 들어올린 상태에서 리프트잭(550)은 제1 견인부(530)와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를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리프트잭(550)의 일단은 제1 견인부(53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리프트잭(550)의 타단부에는 리프트잭(5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홈(551)이 형성된다. 이러한 리프트잭(550)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홈(551)은 회전을 통해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에 구비된 고정돌기(51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는 리프트잭(550)에 의해 제1 견인부(530)에 견고하게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프트잭(550)은 수동 방식이 아닌 자동 방식으로 회전되며, 고정돌기(512)에 체결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화재 진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화재 진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고층건물이나 대형건물에 주차되어 있는 전기차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전기차에서 발생된 화재는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1000)은 전기차의 화재 진압과 더불어, 해당 전기차를 화재가 발생된 장소로부터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대형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1000)은 소방차의 진입이 불가능한 2층 이상의 지상 주차장이나 지하 주차장에 주차된 전기차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전기차의 화재 진압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1000)의 화재 진압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고층건물이나 대형건물에 주차되어 있는 전기차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화재 발생 지점으로 트레일러(100)를 이동시킨다. (S100)
다음으로, 운반차량(10)에 결합된 트레일러(100)를 운반차량(1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무버(120)를 원격조정하여 트레일러(100)를 요구되는 위치로 자동 이동시킨다. 여기서 사용자는 트레일러(100)와 화재 발생 전기차가 일직선이 되도록 무버(120)의 원격 조정을 통해 트레일러(100)를 요구되는 위치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S200)
다음으로, 트레일러(100)의 리프트 도어(20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윈치(300)에 감긴 케이블(320)의 단부에 구비된 견인고리(321)를 살수 견인모듈(500)에 결합한다. (S300)
다음으로, 화재 지역에 배치된 소화전에 소방호스(20)의 일단을 결합하고, 소방호스(20)의 타단은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에 결합한다. 이에, 소화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는 소방호스(20)를 통해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의 하부로 살수 견인모듈(500)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에어백 리프트(540)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510)에 안착되는 전기차를 노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으로 이격시킨다.
다음으로, 윈치(300)는 케이블(320)을 감으며, 전기차가 안착된 살수 견인모듈(500)을 트레일러(100)의 차량 수용 공간(101)으로 이동시킨다. (S400)
마지막으로, 트레일러(100)의 전부측에 구비된 견인바(110)를 운반차량(10)에 재결합한 상태에서 운반차량(10)은 화재가 발생된 장소로부터 안전한 장소로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를 신속하게 이동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화재 전기차에 대한 잔불 작업을 추가로 진행하여 화재 진압을 마무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수 견인모듈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수 견인모듈을 평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살수 견인모듈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살수 견인모듈과 구조적인 차이를 보인다.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살수 견인모듈(500')은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560), 제2 견인부(570), 제2 소화수 분사 노즐(580) 및 휠 고정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살수 견인모듈(500')은 핸드 자키(핸드 파렛트 트럭) 방식으로 화재 전기차의 앞바퀴(30)를 들어올리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견인부(570)에 마련된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자키 레버(573)를 상, 하로 회전시킬 경우, 휠 고정부(590)는 노면으로부터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휠 고정부(590)는 제2 견인부(570)에 마련된 고정부 삽입홈(571)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휠 고정부(590)는 화재 전기차와 체결이 필요한 경우, 휠 고정부(590)는 고정부 삽입홈(571)으로부터 인출되어 화재 전기차의 앞바퀴(30)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휠 고정부(590)는 인출 시, 휠에 마련된 스포크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휠 고정부(590)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2 견인부(570)는 도 9의 (a)에서와 같이 T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9의 (b)에서와 같이 U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제2 견인부(570)의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휠 고정부(590)가 스포크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키 레버(573)의 회전을 통해 휠 고정부(590)를 상부로 들어올릴 시, 화재 전기차의 앞바퀴(30)는 휠 고정부(590)에 의해 들어 올려지게 된다. 즉, 화재 전기차의 앞바퀴(30)는 휠 고정부(590)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자키 레버(573)의 회동은 사용자가 직접 수동방식으로 회동시킬 수도 있고, 또는 원격에서 자동으로 회동되도록 작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견인부(570)의 하부에는 바퀴(572)가 구비된다. 이러한 자키 레버(573)의 회전에 의해 제2 견인부(570)는 노면에 지지되는 바퀴(572)로부터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견인부(570)에는 제2 체결고리(574)가 구비되며, 견인고리(321)는 제2 체결고리(574)에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견인고리(321)는 제2 체결고리(574)에 체결되어, 윈치(300)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살수 견인모듈(500')에 결합된 전기차는 차량 수용 공간(101)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560)에는 소방호스(20)가 결합되어 소화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는 소방호스(20)를 통해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56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560)에는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미도시)이 구비되어 소화수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수는 전기차의 앞바퀴(30)가 마련된 전부측의 하면으로 전체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수 견인모듈(500')은 화재 전기차의 전부측 하면으로 소화수를 분사함과 동시에, 휠 고정부(590)에 의해 앞바퀴(30)가 들려진 화재 전기차를 트레일러(100)의 차량 수용 공간(10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트레일러
101: 차량 수용 공간
110: 견인바
120: 무버
200: 리프트 도어
300: 윈치
310: 케이블 이동 롤러
320: 케이블
321: 견인고리
400: 가이드 롤러
500, 500': 살수 견인모듈
510: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
511: 노즐 삽입홀
512: 고정돌기
520: 소화수 분사 노즐
530: 제1 견인부
531, 572: 바퀴
532: 제1 체결고리
540: 에어백 리프트
550: 리프트잭
551: 결합홈
560: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
570: 제2 견인부
571: 고정부 삽입홈
573: 자키 레버
574: 제2 체결고리
580: 제2 소화수 분사 노즐
590: 휠 고정부
1000: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Claims (9)

  1.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를 수용하는 차량 수용 공간이 형성된 트레일러;
    상기 트레일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리프트 도어;
    상기 트레일러 내부의 타측 상단에 구비되는 윈치;
    상기 트레일러의 타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윈치로부터 풀려지는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 이동 롤러; 및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의 하부로 소화수를 분사하며,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 견인고리에 체결되어 상기 차량 수용 공간으로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를 이동시키는 살수 견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살수 견인모듈은, 소방호스가 결합되는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로 공급된 소화수를 전기차의 하면으로 분사하는 제1 소화수 분사 노즐;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며, 노면에 접촉되는 바퀴를 가지는 제1 견인부; 상기 제1 견인부와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를 상기 제1 견인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로 상승시키는 에어백 리프트; 및 상기 에어백 리프트에 의해 상기 제1 견인부로부터 상부로 이동된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를 고정시키는 리프트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견인부에는 상기 견인고리가 체결되는 것인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2.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를 수용하는 차량 수용 공간이 형성된 트레일러;
    상기 트레일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리프트 도어;
    상기 트레일러 내부의 타측 상단에 구비되는 윈치;
    상기 트레일러의 타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윈치로부터 풀려지는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 이동 롤러; 및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의 하부로 소화수를 분사하며,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 견인고리에 체결되어 상기 차량 수용 공간으로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를 이동시키는 살수 견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살수 견인모듈은, 소방호스가 결합되는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 노면에 접촉되는 바퀴를 가지며, 자키 레버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를 상승시키는 제2 견인부; 상기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로 공급된 소화수를 전기차의 전부측 하면으로 분사하는 제2 소화수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견인부에 형성된 고정부 삽입홈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휠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휠 고정부의 인출시, 상기 휠 고정부는 전기차의 휠에 형성된 스포크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의 일측에는 상기 차량 수용 공간으로 인입되는 전기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차량 수용 공간으로 전기차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일러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의 하부에는 무버가 구비되어, 상기 트레일러는 원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의 내측 벽면은 방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의 내부에는 상기 트레일러의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는 전기차의 저면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전기차를 노면으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8. 운반차량에 결합된 트레일러를 화재 발생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운반차량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러를 분리시킨 후, 무버를 원격조정하여 상기 트레일러를 요구되는 위치로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트레일러의 리프트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윈치에 감긴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 견인고리를 살수 견인모듈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살수 견인모듈은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의 하부로 소화수를 분사하며, 화재 발생 전기차를 상기 트레일러의 차량 수용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살수 견인모듈은, 소방호스가 결합되는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로 공급된 소화수를 전기차의 하면으로 분사하는 제1 소화수 분사 노즐;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며, 노면에 접촉되는 바퀴를 가지는 제1 견인부; 상기 제1 견인부와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를 상기 제1 견인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로 상승시키는 에어백 리프트; 및 상기 에어백 리프트에 의해 상기 제1 견인부로부터 상부로 이동된 상기 제1 소화용수 저장탱크를 고정시키는 리프트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견인부에는 상기 견인고리가 체결되는 것인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9. 운반차량에 결합된 트레일러를 화재 발생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운반차량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러를 분리시킨 후, 무버를 원격조정하여 상기 트레일러를 요구되는 위치로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트레일러의 리프트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윈치에 감긴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 견인고리를 살수 견인모듈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살수 견인모듈은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의 하부로 소화수를 분사하며, 화재 발생 전기차를 상기 트레일러의 차량 수용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살수 견인모듈은, 소방호스가 결합되는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 노면에 접촉되는 바퀴를 가지며, 자키 레버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를 상승시키는 제2 견인부; 상기 제2 소화용수 저장탱크로 공급된 소화수를 전기차의 전부측 하면으로 분사하는 제2 소화수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견인부에 형성된 고정부 삽입홈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휠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휠 고정부의 인출시, 상기 휠 고정부는 전기차의 휠에 형성된 스포크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KR1020220129884A 2022-10-11 2022-10-11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KR102631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884A KR102631579B1 (ko) 2022-10-11 2022-10-11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884A KR102631579B1 (ko) 2022-10-11 2022-10-11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579B1 true KR102631579B1 (ko) 2024-02-07

Family

ID=8987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884A KR102631579B1 (ko) 2022-10-11 2022-10-11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5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314A (ja) * 1999-03-04 2000-09-19 Furukawa Co Ltd 車両運搬車
KR20050031351A (ko) 2003-09-29 2005-04-06 노갑문 차량화재 시의 자동 화재진압 안전시스템.
KR100635134B1 (ko) * 2006-04-26 2006-10-18 주식회사 씨제이테크 견인차량
KR101706717B1 (ko) * 2016-11-04 2017-03-09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KR20180002031U (ko) * 2016-12-27 2018-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내부에 스프링클러 소화 장치가 설치된 컨테이너 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314A (ja) * 1999-03-04 2000-09-19 Furukawa Co Ltd 車両運搬車
KR20050031351A (ko) 2003-09-29 2005-04-06 노갑문 차량화재 시의 자동 화재진압 안전시스템.
KR100635134B1 (ko) * 2006-04-26 2006-10-18 주식회사 씨제이테크 견인차량
KR101706717B1 (ko) * 2016-11-04 2017-03-09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KR20180002031U (ko) * 2016-12-27 2018-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내부에 스프링클러 소화 장치가 설치된 컨테이너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4062A (en) Self powered, roll-on and roll-off trailer
CN212478702U (zh) 带隔离区的停车设备
CN106627309B (zh) 一种消防指挥综合作业车
CN109985330B (zh) 一种基于飞行器远程锚定遣派的高层火灾救援车辆
CN206086485U (zh) 消防指挥综合作业车
KR102631579B1 (ko)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WO2023204590A1 (ko)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JP5792537B2 (ja) 給電接続領域を備えた駐車場
WO2022118233A1 (de) Löschhaube zur feuerbekämpfung eines brennenden objekts
KR20220045985A (ko) 차량의 전기 에너지 저장부의 충전을 위한 충전 로봇, 충전 장치, 및 전기 에너지 저장부가 이와 같은 충전 장치로 충전 가능한 차량
US7204344B2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7036630B2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JP2007505799A (ja) 高層ビルでの消火活動、救助および建設のための機材
KR102579072B1 (ko) 레일 이동식 전기차 소방 시스템
KR102579070B1 (ko) 전기차 소방 시스템
KR102015183B1 (ko) 소방차에 적재 가능한 기동형 서브 소방장치
JP3118661B2 (ja) 台車付消火栓
US20170158456A1 (en) Deployment system
KR200341225Y1 (ko) 소방호스 운반차
KR102304364B1 (ko) 소방차 적재용 소형 무한궤도 방수차
KR102584555B1 (ko)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KR102604574B1 (ko) 차량 화재 진압용 특장차
KR100768927B1 (ko) 소방차용 소방호스 운반차량의 길이가변장치
KR102604325B1 (ko)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US20240140698A1 (en) Containmen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