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134B1 - 견인차량 - Google Patents

견인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134B1
KR100635134B1 KR1020060037858A KR20060037858A KR100635134B1 KR 100635134 B1 KR100635134 B1 KR 100635134B1 KR 1020060037858 A KR1020060037858 A KR 1020060037858A KR 20060037858 A KR20060037858 A KR 20060037858A KR 100635134 B1 KR100635134 B1 KR 10063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ing
vehicle
towing vehicle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차규
김선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제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제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제이테크
Priority to KR1020060037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67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consisting of articulated or rigidly assembled bars or tubes forming a V-, Y-, or U-shaped draw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장치로 피견인 차량을 직접 견인시킴은 물론 피견인 차량을 트레일러에 실어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피견인 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장치가 설치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상기 견인차량의 저면에 윈치를 설치하고, 윈치에 감겨진 로프를 회동 받침대 및 견인 장치에 감아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 유지 장치와, 상기 견인 차량의 후미 경사면에 상부로 돌출된 브라켓트에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 받침대와, 상기 견인 차량의 후미에 길이 가변되는 신장 프레임을 설치하고, 피견인 차량과 연결되게 토우바의 양측에 후크가 고정된 견인 장치를 구비한 견인차량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견인 장치를 상하, 좌우로 자유로이 이동시켜 피견인 차량의 견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견인 장치의 길이를 조절하여 피견인 차량과의 연결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견인차량의 운행시 견인 장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피견인 차량을 안전하게 견인할 수 있고, 차량의 견인 작업 뿐만 아니라 차량을 안전하게 운반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견인차량, 장력 유지 장치, 회동 지지대, 견인 장치, 신장 프레임

Description

견인차량{Wrecker}
도1a는 종래의 견인차량을 보인 측면도.
도1b는 종래의 견인차량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견인차량을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견인차량의 장력 유지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 견인차량의 견인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 견인차량의 회동 받침대 및 견인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 견인차량의 견인 장치가 접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 견인차량의 가동붐이 작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 견인차량에 트레일러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 견인차량에 트레일러가 적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장력 유지 장치 11: 윈치
12: 로프 13: 아이들 풀리
14: 브라켓트 14a: 환형 브라켓트
14b: 고정공 15: 고정핀
16: 연결수단 17: 레일
18: 레버 20: 회동 받침대
21: 회전축 21a: 고정공
22: 형강 23: 풀리
30: 견인 장치 31: 고정 프레임
32,33: 신장 프레임 34: 토우바
35: 가이드 36: 고정 브라켓트
37: 고정간 38: 힌지
39: 힌지 40: 지지간
41: 제2레버 42: 브라켓트
43: 풀리 44: 후크
45: 고정공 46: 고정핀
47: 걸이편 48: 연결수단
49: 힌지 50: 가동붐
51: 트레일러 52: 고정 브라켓트
53: 붐 54: 결합홈
55: 고정핀 56: 회절 링크
57: 유압 실린더 57a: 피스톤 로드
본 발명은 견인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고 차량 또는 불법주차된 차량 등을 견인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견인차량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견인차량은 교통사고, 불법주차 등 피견인 대상이 되는 차량의 전면이나 후면을 일정 높이만큼 들어올려 다른 장소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견인차량은 피견인 대상 차량을 들어올리도록 견인장치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견인장치는 차량의 후미 양측에 후방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프레임을 고정하고, 이들 프레임의 선단에 차량의 저면 프레임에 결합되는 횡프레임을 고정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견인차량은 횡프레임을 하강시켜 횡프레임을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유압 실린더 등으로 리프프트 장치를 일정 높이만큼 들어올린 상태에서 견인차량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목적지로 운행하여 피견인 차량을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견인차량의 견인장치는 프레임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으나, 좌우측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어 협소한 장소에서 피견인 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설치 작업이 매우 힘겹게 이루어진다.
또한, 견인차량 중에는 견인장치로 견인 대상 차량을 수평상으로 들어올려 견인차량에 싣고서 이동하는 구성의 것도 있다.
이러한 견인차량은 견인차량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승강되는 수직 리프트 장 치를 설치하고,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수직으로 상승시킨 다음 견인차량의 적재면에 싣고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견인차량은 수직 리프트 장치를 설치하는데,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제작 비용이 고가인 폐단이 있다.
이러한 견인차량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00-284448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1a 및 도1b에 도시하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의 견인차량은 견인차량(100)의 적재함에 붐(111)이 설치되고, 상기 붐(111)을 승강시키는 실린더장치(112)가 설치되며, 상기 붐(111)의 선단에 틸팅 실린더 장치(102)에 의하여 선회 동작하는 신장붐(103)이 설치되고, 신장붐(103)의 선단에 피견인 차량(106)의 타이어(160)와 접촉하는 횡간(104)이 설치되며, 상기 횡간(104)의 양측에 피견인 차량의 타이어(160)와 접촉하는 클램프바(105)를 설치하되, 상기 클램프바(105)가 실린더 장치(140)에 의하여 회동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차량을 견인하기 위하여 붐(111)에 설치된 실린더 장치(112)를 하강시키고, 견인차량을 후진시켜 횡간(104)이 피견인 차량의 타이어에 밀착된 상태에서 횡간(104)에 설치된 실린더 장치(140)를 작동시킴에 따라 클램프바(105)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횡간(104)과 클램프바(105) 사이에 피견인 차량의 타이어를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피견인 차량의 타이어가 횡간(104)과 클램프바(105)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린더 장치(112)의 작동으로 붐(111)을 들어올려 견인차량을 운행하게 됨으로써 피견인 차량을 견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피견인 차량의 타이어에 횡간과 클램프바를 고정시킴으로써 그 설치 작업 및 견인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은 있으나, 타이어가 펑크난 피견인 차량을 견인하기 곤란하고, 또한 피견인 차량이 승용차나 소형 화물차가 아닌 경우 견인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량된 견인장치로 피견인 차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음은 물론, 피견인 차량을 트레일러에 실어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차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견인 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장치가 설치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상기 견인차량의 저면에 윈치를 설치하고, 윈치에 감겨진 로프를 회동 받침대 및 견인 장치에 감아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 유지 장치와, 상기 견인 차량의 후미 경사면에 상부로 돌출된 브라켓트에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 받침대와, 상기 견인 차량의 후미에 길이 가변되는 신장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신장 프레임에 피견인 차량과 연결되는 토우바를 구비한 견인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견인차량의 적재부에 유압 실린더로 회전 가능하게 가동붐이 결합되고, 상기 가동붐의 선단에는 트레일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견인차량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 견인차량의 장력 유지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 견인차량의 견인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 견인차량의 회동 받침대 및 견인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6은 본 발명 견인차량의 견인 장치가 접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 견인차량의 가동붐이 작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8은 본 발명 견인차량에 트레일러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 견인차량에 트레일러가 적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견인차량은 견인 장치(30)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 유지 장치(10)와, 피견인 차량을 직접 견인하는 견인장치(30)와, 트레일러(51)와 결합되는 가동붐(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력 유지 장치(10)는 견인차량의 저면에 설치된 윈치(11)와, 견인차량의 후미에 설치된 회동 받침대(20)를 개재하여 견인차량의 후방측에 돌출 및 수납이 가능하게 설치된 견인 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윈치(11)는,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차량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일측에 윈치(11)를 회전시키는 모터(도면상 미도시됨)를 설치하며, 윈치(11)에 감긴 로프(12)는 아이들 풀리(13)를 개재하여 회동 받침대(20) 및 견인 장치(30)에 연결한다.
또한, 견인차량의 후미 양측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는 회동 받침대(20)가 설치되도록 상부로 돌출된 브라켓트(14)를 각각 형성하며, 브라켓트(14)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 브라켓트(14a)를 형성한다.
이러한 환형 브라켓트(14a)에는 고정공(14b)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14b)과 후술할 회동받침대(20)의 회전축(21)에 형성된 고정공(21a)에 끼워져 상기 회동 받침대(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핀(15)의 일단은 체인 등의 연결수단(16)을 고정하고, 연결수단(16)의 끝단을 브라켓트(14)에 고정한다.
아울러 양측의 브라켓트(14)의 아래쪽에는 견인차량의 앞쪽을 향하여 그 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레일(17)을 수평되게 고정하고, 이들 레일(17)에는 결합공(도면상 미도시됨)을 형성하며, 결합공의 하부에는 제1레버(18)를 설치한다.
이러한 제1레버(18)는 결합공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견인 장치(30)의 가이드(35)에 삽입되어 상기 견인 장치(30)를 레일(17)로부터 돌출시키거나 수납할 때 견인 장치(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1레버(18)는 그 선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그 회동되는 각도에 따라 제1레버(18)가 결합공에 출몰되게 설치한다.
또한, 회동 받침대(20)는 대략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브라켓트(14)의 환형 브라켓트(14a)에 삽입되는 회전축(21)을 형성하고, 이 회전축(21)에 상기 환형 브라켓트(14a)의 고정공(14b)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공(21a)을 형성한다.
아울러 양측 회전축(21)의 선단에는 상부로 경사지게 형강(22)을 고정하고, 이들 형강(22)의 중심에는 윈치(11)에 연동되어 로프(12)가 권선되는 풀리(2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견인 장치(30)는,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7)에 삽입되는 고정 프레임(31)과, 고정 프레임(31)에 후방측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2개의 신장 프레임(32,33)과, 피견인 대상 차량에 결합되는 토우바(3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31)은 레일(17) 측으로 연장 돌출되게 가이드(35)를 형성하여 양측 레일(17) 사이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하고, 이 가이드(35)에 상기 제1레버(18)의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도면상 미도시됨)을 형성한다.
또한, 고정 프레임(31)에는 2개의 신장 프레임(32,33)을 설치하도록 2개의 고정 브라켓트(36)를 고정하며, 고정 브라켓트(36)에는 고정간(37)을 결합하되, 이들 고정 브라켓트(36)와 고정간(37)은 상하 회동되게 힌지(38)로 결합한다.
상기 신장 프레임(32,33)은 상기 고정간(37)과 토우바(34) 사이에 설치되어 견인장치(10)를 피견인 차량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길이가 가변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신장 프레임(32,33)은 고정간(37)에 고정되는 중공 형태의 고정부재(32a,33a)와, 고정부재(32a,33a) 내부에 길이 출몰 가능하게 삽입된 이동부재(32b,33b)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32a,33a)는 그 일단을 고정간(37)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힌지(39)로 결합하고, 그 타단에는 이동부재(32b,33b)를 끼워 슬라이딩 되게 끼워 결합하며, 고정부재(32a,33a)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도면상 미도시됨)에 지지간(40)을 개재하여 제2레버(41)를 결합한다.
아울러 이동부재(32b,33b)에는 결합공과 대응되는 삽입공(40a)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이동부재(32b,33b)의 타단은 토우바(34)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토우바(34)에는 이동부재(32b,33b)를 힌지 고정하는 브라켓트(42)를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상기 윈치(11)에 감긴 로프(12)를 권선시키는 풀리(43)를 설치하며, 토우바(34)의 양단에는 좌우로 길이가 가변되는 후크(44)를 설치한다.
아울러 브라켓트(42)에는 고정부재(32a)의 좌우 요동을 제어하는 고정핀(46)이 삽입되는 고정공(45)을 형성하고, 고정부재(32a)의 일측면에 고정핀(46)을 일시적으로 꽂아두는 중공의 걸이편(47)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핀(46)은 체인 등의 연결수단(48)으로 고정부재(32a)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붐(50)은 견인 장치(30)를 사용하지 않고 피견인 차량을 별도의 트레일러(51)에 싣고 운반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가동붐(50)은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차량의 적재부(50a) 중간 부분에 상부로 돌출된 한 쌍의 고정 브라켓트(52)를 고정하고, 고정 브라켓트(52)에는 절곡된 붐(53)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붐(53)의 타단에는 트레일러(51)와 결합되도록 결합홈(54)을 형성하고, 결합홈(54)에는 탈착되는 고정핀(55)을 구비한다.
아울러 붐(53)에는 고정 브라켓트(52)와 인접한 위치에 절곡된 회절 링크(56)의 일측을 고정하고, 회절 링크(56)의 타단은 견인차량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며, 회절 링크(56)의 절곡부에 유압 실린더(57)의 피스톤 로드(57a)를 결합하 고, 유압 실린더(57)를 견인차량의 소정 위치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견인 현장 여건에 따라 견인 장치(30)와 가동붐(50)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피견인 차량을 견인할 수 있다.
먼저, 견인 장치(30)를 이용하는 견인 작업에 대하여 설명하면, 작업자는 견인 장치(30)를 하강시켜 토우바(34)와 피견인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된 후크에 체인을 걸어 견인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견인차량에 설치된 윈치(11)의 모터를 구동시켜 팽팽하게 감겨져 있는 로프(11)를 풀어 긴장된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견인장치(30)는 고정간(37)의 힌지(38)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되고, 이와 함께 토우바(34)의 일측 브라켓트(42)에 꽂혀 있는 고정핀(46)을 이탈시키면, 토우바(34)는 고정간(37)의 힌지(39)와 브라켓트(42)의 힌지(49)를 중심으로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다.
이어서 견인 장치(30)를 하강시켜 토우바(34)가 피견인 차량에 근접한 위치에서 별도로 구비된 프레임(도면상 미도시됨)의 일단을 피견인 차량의 바디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프레임의 타단에 고정된 체인을 토우바(34)의 후크(44)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렇게 피견인 차량의 연결이 완료되면, 토우바(34)에 형성된 일측 브라켓트(42)의 고정공(45)에 고정핀(46)을 꽂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윈치(11)를 회전시켜 견인 장치(30)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견인 장치(30)의 상승으로 피견인 차량의 전면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견인차량을 운행하여 피견인 차량을 견인시킨다.
한편, 견인차량과 피견인 차량의 간격이 너무 넓은 경우에는 신장 프레임(32,33)의 길이를 조절하여 견인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윈치(11)를 구동시켜 로프(12)의 긴장 상태를 해제시킨 후, 브라켓트(42)의 고정핀(46)을 이탈시켜 토우바(34)가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고정부재(32a,33a)에 설치된 제2레버(41)를 회전시킨다. 이렇게 제2레버(41)를 회전시키면 제2레버(41)가 지지간(40)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되어 이동부재(32b,33b)의 삽입공(40a)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32b,33b)가 고정부재(32a,33a)로부터 이동 가능하므로, 이동부재(32b,33b)를 고정부재(32a,33a)로부터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어 작업 현장에 적합하도록 신장 프레임(32,33)의 길이를 조절한 후 별도의 프레임을 피견인 차량에 고정시키고, 이에 고정된 체인을 후크(44)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견인 작업이 완료되면, 브라켓트(42)에 고정핀(46)을 꽂아 고정시킴과 함께 제2레버(41)를 회동시켜 제2레버(41)가 결합공(40a)에 삽입됨으로써 신장 프레임(32,33)의 고정부재(32a,33a)와 이동부재(32b,33b)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피견인 차량을 견인시킨다.
다음, 본 발명의 견인차량에서 가동붐(50)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동붐(50)에 연결된 트레일러(51)에 피견인 차량을 싣고 이동할 수도 있는데, 이때 견인차량 후미에 설치된 회동 받침대(20)는 견인차량 전면측으로 젖혀지고, 견인 장치(30)는 레일(17)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견인차량에 수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모터의 구동으로 윈치(11)를 회전시켜 로프(12)의 긴장 상태를 해제시키고, 브라켓트(14)와 회동 받침대(20)의 회전축(21)에 고정된 고정핀(15)을 이탈시킨 후 회동 받침대(20)를 견인차량의 전면측으로 밀면, 회동 받침대(20)는 환형 브라켓트(14a)에 결합된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와 함께 양측 레일(17)에 설치된 제1레버(18)를 회동시키면, 레일(17)과 가이드(35)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레일(17)을 따라 고정 프레임(31)이 삽입됨에 따라 견인 장치(30)의 신장 프레임(32,33)이 견인차량의 레일(17)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어서 윈치(11)를 회전시켜 로프(12)를 감고, 유압 실린더(57)를 작동시켜 붐(53)을 회동시킨다.
즉, 유압실린더(57)의 작동으로 피스톤 로드(57a)에 연결된 붐(53)이 고정 브라켓트(52)의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180° 회동시켜 견인장치(30) 위치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붐(53)에 연결되어 적재부(50a)에 실려 있던 트레일러(51)는 붐(53)의 결합홈(54)과 트레일러(51)의 선단에 있는 연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붐(53)의 회동에 따라 적재부(50a)로부터 견인차량의 후미측 즉, 견인장치(30)의 후방에 내려지게 된다.
이어서 유압 실린더(57)를 작동시켜 붐(53)을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트레일러(51)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트레일러(51)가 경사지게 되고, 이러한 트레일러(51)에 피견인 차량 또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차량을 실은 다음 붐(53)을 하강시킨 상태로 견인차량을 운행하여 차량을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트레일러(51)는 피견인 차량을 적재하지 않은 경우 도9에서와 같이 상기 붐(53)에 연결된 상태에서 견인차량의 적재부(50a) 위에 실려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견인 장치를 상하, 좌우로 자유로이 이동시켜 피견인 차량의 견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견인 장치의 길이를 조절하여 피견인 차량과의 연결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견인차량의 운행시 견인 장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피견인 차량을 안전하게 견인할 수 있고, 차량의 견인 작업 뿐만 아니라 차량을 안전하게 운반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견인 장치와 가동 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견인 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 트레일러에 의한 운반 작업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피견인 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장치가 설치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상기 견인차량의 저면에 윈치를 설치하고, 윈치에 감겨진 로프를 회동 받침대 및 견인 장치에 감아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 유지 장치와,
    상기 견인 차량의 후미 경사면에 상부로 돌출된 브라켓트에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 받침대와,
    상기 견인 차량의 후미에 길이 가변되는 신장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신장 프레임에 피견인 차량과 연결되는 토우바를 구비한 견인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유지 장치는 그 일단이 윈치에 감긴 로프를 회동 받침대 상단에 설치된 풀리와, 견인 장치의 토우바 중앙에 설치된 풀리에 권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받침대는 브라켓트의 내측면에 설치된 환형 브라켓트에 회전축을 결합하고, 상기 환형 브라켓트와 회전축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고정공에 고정핀을 결합,해제하여 그 회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장치는 상기 회동 받침대의 아래쪽에 설치된 레일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 후방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2개의 신장 프레임과, 상기 신장 프레임 선단에 피견인 차량에 연결되는 토우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프레임은 중공 형태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결합공을 형성하고, 이동 부재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과 삽입공에 고정핀을 결합,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바에는 이동부재를 힌지 고정하는 브라켓트를 설치하되, 상기 브라켓트에는 일측 이동부재의 좌우 요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에 고정핀을 결합,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차량의 적재부에는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가동붐이 결합되고, 상기 가동붐의 선단에는 트레일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붐은 회절 링크를 개재하여 유압 실린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는 가동붐의 회동에 따라 견인차량의 적재부에 적재되거나 견인차량 후미에서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KR1020060037858A 2006-04-26 2006-04-26 견인차량 KR100635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858A KR100635134B1 (ko) 2006-04-26 2006-04-26 견인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858A KR100635134B1 (ko) 2006-04-26 2006-04-26 견인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5134B1 true KR100635134B1 (ko) 2006-10-18

Family

ID=3762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858A KR100635134B1 (ko) 2006-04-26 2006-04-26 견인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1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161B1 (ko) * 2009-07-21 2011-12-12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차량 견인장치
KR200465755Y1 (ko) * 2010-10-25 2013-03-11 김재현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KR200466491Y1 (ko) * 2012-07-19 2013-04-18 김재현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KR101740877B1 (ko) 2017-02-03 2017-05-29 박종용 견인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트럭지게차
KR102631579B1 (ko) * 2022-10-11 2024-02-07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603Y1 (ko) 2002-10-30 2003-02-11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셀프로다용 견인와이어의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603Y1 (ko) 2002-10-30 2003-02-11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셀프로다용 견인와이어의 지지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161B1 (ko) * 2009-07-21 2011-12-12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차량 견인장치
KR200465755Y1 (ko) * 2010-10-25 2013-03-11 김재현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KR200466491Y1 (ko) * 2012-07-19 2013-04-18 김재현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KR101740877B1 (ko) 2017-02-03 2017-05-29 박종용 견인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트럭지게차
CN108689341A (zh) * 2017-02-03 2018-10-23 朴钟茸 具有牵引功能的多功能货车叉车
CN108689341B (zh) * 2017-02-03 2019-05-07 朴钟茸 具有牵引功能的多功能货车叉车
KR102631579B1 (ko) * 2022-10-11 2024-02-07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261B1 (ko) 견인차용 리프팅 장치
KR100635134B1 (ko) 견인차량
CN101759105B (zh) 移动式起重机以及拆卸、运输和架立移动式起重机的方法
CN101891121B (zh) 起重机的后拉索展开器
JP6209422B2 (ja) 電柱支持装置
US9206021B2 (en) Crane and crane assembling method
US8919079B2 (en) Tarp loa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17103995A (ja) 作業車の支持装置
US20060045710A1 (en) Hoist
JP7015696B2 (ja) クレーンブーム、そのクレーンブームを備えるクレーン、及びガイ支持部のクレーンブームへの取付方法
US108371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tensioning fence wire
KR101093161B1 (ko) 차량 견인장치
JP5161721B2 (ja) 車両用昇降装置
KR100723644B1 (ko) 견인 차량용 트레일러
JP3478499B2 (ja) 林内作業車のアーム構造
JP7286284B2 (ja) ガイドユニット
JP4688303B2 (ja) ケーブル架渉用高所作業車及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架渉方法
CN216545939U (zh) 一种救援拖车机器人的伸出折叠机构
JP2993785B2 (ja) 自走型クレーンのフック係止構造
KR100555442B1 (ko) 측방 견인차
JP7032866B2 (ja) クレーン
JP2009040599A (ja) 移動式クレーン
KR200250858Y1 (ko) 자동차의 견인장치
SK500212014A3 (sk) Zariadenie na nastavenie tyčí trolejbusového zberača
JP2001010782A (ja) クローラ式走行クレーンに於けるブライドル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