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858Y1 - 자동차의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858Y1
KR200250858Y1 KR2020010020985U KR20010020985U KR200250858Y1 KR 200250858 Y1 KR200250858 Y1 KR 200250858Y1 KR 2020010020985 U KR2020010020985 U KR 2020010020985U KR 20010020985 U KR20010020985 U KR 20010020985U KR 200250858 Y1 KR200250858 Y1 KR 200250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owing
boom
tow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봉
Original Assignee
마스타자동차관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타자동차관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스타자동차관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0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8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858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견인차량의 후방에 장착되어 불법주차중이거나 고장으로 운행할 수 없는 자동차등의 피견인차량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메인붐(4)과 익스텐션붐(12) 및 타이어고정수단(30)으로 이루어진 견인장치가 차체의 후미하단에 장착되어, 견인차량의 공차 주행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별도의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유압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견인작업을 완전 자동식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한 견인이 가능하게 되며, 피견인차량의 차체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는 자동차의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견인장치{traction apparatus of a car}
본 고안은 견인차량의 후방에 장착되어 불법주차중이거나 고장으로 운행할 수 없는 자동차등의 피견인차량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메인붐과 익스텐션붐 및 타이어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견인장치가 차체의 후미하단에 장착되어, 견인차량의 공차 주행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별도의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유압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견인작업을 완전 자동식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한 견인이 가능하게 되며, 피견인차량의 차체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는 자동차의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그 차량이 자력으로 운행할 수 없을 때에는 견인을 전문으로 하는 견인차량을 불러 피견인차량을견인해 가게 되며, 이를 위해 견인차량에는 견인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차량의 상태에 따라 견인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차량을 적재하여 운반하나 견인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는 주로 견인하는 방법을 택하여 운송하고 있다.
이때, 견인차량은 피견인차량의 앞타이어를 들어올린 상태로 고정하여 설정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견인차량이 피견인차량을 견인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견인차량은 차체(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1붐(112)과 제2붐(114)으로 구성된 붐조립체(110)와, 데릭실린더(122)와 윈치(124)로 구성되어 상기 붐조립체(11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120)와, 상기 차체(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피견인차량의 바닥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1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붐조립체(110)는 차체(100)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붐서포터(123)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장치(120)는 차체(100)의 포스트(10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붐(112)의 선단을 지지하면서 신축 작동하는 데릭실린더(122)와 상기 포스트(102)에 설치되어 케이블(124a)을 감는 윈치(12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붐(114)의 선단에는 상기 케이블(124a)을 매개로 후크부(126)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체(100)의 후단에는 견인대(132), 견인후크(14),견인목(136)이 차례로 연결된 고정장치(13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장치(130)는 체인을 매개로 상기 후크부(126)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견인차량이 피견인차량을 견인할 때는 먼저 견인대(132)에서 견인후크(134)를 펼친 다음, 상기 견인후크(134)를 피견인차량의 액슬부위에 걸어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견인후크(134)와 피견인차량의 접촉부위에 손상되지 않도록 견인목(136)을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장치(120)의 데릭실린더(122)와 윈치(124)를 각각 작동하면, 상기 붐조립체(110)의 제1붐(11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케이블(124a)이 윈치(124)에 감겨져 후크부(126)가 상기 견인대(132)를 당겨서 피견인차량의 앞부분이 들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견인차량의 앞부분이 들려진 상태에서 견인차량이 목적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의 견인장치에 의하면, 피견인차량의 견인시 상기 견인목(136)이 견인후크(134)와 피견인차량과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때까지 잡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피견인차량에 대한 지지상태가 견고하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견인차량의 견인시 상기 견인후크(134)가 걸리게 되는 피견인차량의 액슬부위에 힘이 가해져 피견인차량의 차체를 손상시킬 우려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메인붐과 익스텐션붐 및 타이어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견인장치를 차체의 후미하단에 장착하여, 견인차량의 공차 주행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운행할 수 있고, 별도의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유압에 의해 전체적인 견인작업을 완전 자동식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한 견인이 가능하게 되며, 피견인차량의 타이어를 위로 들어올려 견인하게 됨으로서 피견인차량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피견인차량의 차체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으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의 견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견인차량이 피견인차량을 견인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장치가 장착된 견인차량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견인장치가 장착된 견인차량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고정수단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장치를 장착한 견인차량이 비견인 상태일 때의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고정수단에 피견인차량의 타이어가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견인장치가 장착된 견인차량이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체 4: 메인붐
6: 힌지축 10: 리프트 실린더
12: 익스텐션붐 20: 각도조절 실린더
30: 타이어고정수단 31: 고정판
32: 지지대 34: 제1지지편
35: 고정실린더 36: 제2지지편
37: 축 38: 관통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견인차량에 장착되어 불법주차중이거나 고장으로 운행할 수 없는 자동차등의 피견인차량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견인장치에 있어서, 차체의 후미하단에 힌지고정되고 리프트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승하강하는 메인붐과;
상기 메인붐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익스텐션붐과;
상기 메인붐과 익스텐션붐 사이에 연결되어 익스텐션붐을 회동시키는 각도조절 실린더와;
상기 익스텐션붐의 끝단과 고정판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에는직각을 이루며 절곡된 제1지지편이 각각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단 전면부에 고정되는 고정실린더와;
상기 고정실린더와 지지대의 일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장치가 장착된 견인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견인장치가 장착된 견인차량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고정수단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견인장치는 차체(1)의 후미하단에 힌지고정되고 리프트 실린더(10)의 동작에 따라 승하강하는 메인붐(4)과, 상기 메인붐(4)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익스텐션붐(12)과, 상기 메인붐(4)과 익스텐션붐(12) 사이에 연결되어 익스텐션붐(12)을 회동시키는 각도조절 실린더(20)와, 상기 익스텐션붐(12)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피견인차량의 타이어를 고정하는 타이어고정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붐(4)은 차체(1)의 후미하단에 힌지축(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체(1) 상부와 상기 메인붐(4) 사이에는 유압의 힘에 의해 메인붐(4)을 상하강시키는 리프트 실린더(10)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붐(4)의 끝단에는 지면과 수평되게 승강하는 익스텐션붐(12)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붐(4)과 익스텐션붐(12) 사이에는 익스텐션붐(12)을 회동시키는 각도조절 실린더(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익스텐션붐(12)의 끝단에는 피견인차량의 타이어를 고정하는 타이어고정수단(30)이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고정수단(30)은 상기 익스텐션붐(12)의 끝단과 고정판(31)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에는 직각을 이루며 절곡된 제1지지편(34)이 각각 구비되는 지지대(32)와, 상기 지지대(32)의 양단 전면부에 고정되는 고정실린더(35)와, 상기 고정실린더(35)와 지지대(3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편(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32)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익스텐션붐(12)의 끝단과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31a)이 형성된 2개의 고정판(31)이 상하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2)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판(31)과 반대방향으로 제1지지편(34)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구비되고, 지지대(32)의 후면부 일측에는 2개의 고정돌기(33)가 서로 대응되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32)의 양단 전면부에는 유압의 힘에 의해 작동되는 고정실린더(35)가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편(36)은 막대봉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끝단에서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결합부(36a)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6a)에는 상기 지지대(32)의 고정돌기(33)와 고정실린더(35)의 로드 끝단에 축(37)결합을 위한 2개의 관통공(38)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2지지편(36)이 결합부(36a)를 통해 상기 지지대(32)의 고정돌기(33)와 고정실린더(35)의 로드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실린더(35)의 로드가 제2지지편(36)의 결합부(36a)를 밀게 되면, 제2지지편(36)이 축(37)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그 일측 끝단이 상기 제1지지편(34)의 끝단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견인장치에서, 리프트 실린더(10)와 각도조절 실린더(20) 및 고정실린더(35) 등의 각 유압실린더들은 별도로 설치된 유압펌프에 연결되어 구동되며, 그 구동의 제어는 이들의 유압전달라인 상에 설치되어 제어반에서 이루어짐은 공지의 기술로서 자명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장치를 장착한 견인차량이 비견인 상태일 때의 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고정수단에 피견인차량의 타이어가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견인장치가 장착된 견인차량이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견인장치는, 차체(1)의 후미하단에 힌지고정되고 리프트 실린더(10)의 동작에 따라 승하강하는 메인붐(4)과, 상기 메인붐(4)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익스텐션붐(12)과, 상기 메인붐(4)과 익스텐션붐(12) 사이에 연결되어 익스텐션붐(12)을 회동시키는 각도조절 실린더(20)와, 상기 익스텐션붐(12)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견인차량의 타이어를 고정하는 타이어고정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타이어고정수단(30)은 지지대(32)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1지지편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32)의 양단 전면부에는 고정실린더(35)가 고정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32) 및 고정실린더(35)에 제2지지편(36)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견인장치가 장착된 견인차량이 비견인 상태에서 운행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실린더(10)가 차체(1)의 상부로 당겨져 상기 메인붐(4)이 차체(1)의 하부면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각도조절 실린더(20)의 로드가 상기 익스텐션붐(12)을 잡아 당겨 수직으로 세워 차체(1)의 배면쪽으로 밀착시키므로, 상기 견인차량의 외관 및 길이 등을 최소화하여 운행하게 된다.
이렇게 운행하다가 견인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차체(1)내의 유압펌프와 유압모터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유체에너지를 호스를 통하여 받아들인 컨트롤부를 통해 고압의 유압유를 상기 리프트 실린더(10) 및 각도조절 실린더(20)로 보내어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리프트 실린더(10)가 하강하면서 상기 메인붐(4)이 힌지축(6)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각도조절 실린더(20)의 로드가 상기 익스텐션붐(12)을 밀어 차체의 배면쪽으로 밀착된 익스텐션붐(12)이 아래로 천천히 내려와 지면에 근접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익스텐션붐(12)이 회동하여 지면과 평행하게위치한 상태에서, 익스텐션붐(12)의 끝단에 결합된 타이어고정수단(30)이 피견인차량의 바닥부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피견인차량의 타이어(70)가 제1지지편(34)과 제2지지편(36)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2)의 양단 전면부에 구비된 고정실린더(35)의 로드가 상기 제2지지편(36)의 결합부(36a)를 밀게되면, 고정돌기(33)의 축(37)을 중심으로 제2지지편(36)이 상기 제1지지편(34) 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피견인차량의 타이어(70)는 앞부분이 상기 지지대(32)에 놓이고, 뒷부분은 상기 제2지지편(36)에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 피견인차량의 타이어(70)가 놓이게 되는 지지대(32)와 제2지지편(36) 사이의 간격은 타이어(70)의 지름보다 작게 위치됨은 당연한 것이다.
이렇게 타이어(70) 고정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실린더(10)를 조절하여 위로 상승시켜주면, 상기 리프트 실린더(10)에 연결된 메인붐(4)이 위로 상승되어지면서 익스텐션붐(12) 및 피견인차량이 고정된 타이어고정수단(30) 부분이 상승하면서 피견인차량의 타이어(70)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붐(4)이 상승될 때 각도조절 실린더(20)의 로드는 당겨져 메인붐(4)의 상승높이만큼 상기 익스텐션붐(12)을 상승시켜 이를 보상해 줌으로서 지면과의 평행유지가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피견인차량의 종류 및 능력에 알맞은 높이로 올린 후 견인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메인붐(4)과 익스텐션붐(12) 및 타이어고정수단(30)의 제2지지편(36) 동작을 유압의 힘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수행함으로서 견인작업을 완전 자동식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이어(70)가 틀어져 있는 피견인차량을 견인할 때에는 타이어고정수단(30)에 형성된 고정판(3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타이어(70)의 틀어진 각도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견인장치에 의하면,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메인붐과 익스텐션붐 및 피견인차량의 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타이어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견인장치가 차체의 후미하단에 장착되어, 견인차량의 공차 주행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운행할 수 있고, 별도의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유압에 의해 전체적인 견인작업을 완전 자동식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한 견인이 가능하게 되며, 피견인차량의 타이어를 위로 들어올려 견인하게 됨으로서 피견인차량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피견인차량의 차체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으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견인차량에 장착되어 불법주차중이거나 고장으로 운행할 수 없는 자동차등의 피견인차량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견인장치에 있어서,
    차체(1)의 후미하단에 힌지고정되고 리프트 실린더(10)의 동작에 따라 승하강하는 메인붐(4)과;
    상기 메인붐(4)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익스텐션붐(12)과;
    상기 메인붐(4)과 익스텐션붐(12) 사이에 연결되어 익스텐션붐(12)을 회동시키는 각도조절 실린더(20)와;
    상기 익스텐션붐(12)의 끝단과 고정판(31)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에는 직각을 이루며 절곡된 제1지지편(34)이 각각 구비되는 지지대(32)와;
    상기 지지대(32)의 양단 전면부에 고정되는 고정실린더(35)와;
    상기 고정실린더(35)와 지지대(32)의 일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편(3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견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2)의 후면부에 고정돌기(33)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편(36)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고정돌기(33)와 상기 고정실린더(35)의 로드 끝단에 축(37)결합을 위한 관통공(38)을 갖는 결합부(36a)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견인장치.
KR2020010020985U 2001-07-11 2001-07-11 자동차의 견인장치 KR200250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85U KR200250858Y1 (ko) 2001-07-11 2001-07-11 자동차의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85U KR200250858Y1 (ko) 2001-07-11 2001-07-11 자동차의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858Y1 true KR200250858Y1 (ko) 2001-11-17

Family

ID=7308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985U KR200250858Y1 (ko) 2001-07-11 2001-07-11 자동차의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8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41817A (zh) * 2024-03-08 2024-04-09 江苏中汽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清障车的c型牵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41817A (zh) * 2024-03-08 2024-04-09 江苏中汽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清障车的c型牵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1193A (en) Wheel lift apparatus
US5064078A (en) Combination portable hoist, crane, and vehicle towing apparatus
JPS6223837A (ja) 車両持上げ/牽引装置
US5439343A (en) Mini boom bumper
US4418713A (en) Concrete pump tractor trailer assembly
US5445281A (en) Light-duty electric crane
US5240129A (en) Heavy duty crane with self-retracting/erecting live mast
KR200250858Y1 (ko) 자동차의 견인장치
US20060045710A1 (en) Hoist
KR100635134B1 (ko) 견인차량
KR200250857Y1 (ko) 자동차의 견인장치
US4050586A (en) Apparatus for raising & lowering a mast and boom on a mobile crane
KR200395825Y1 (ko) 차량 견인용 언더리프트 장치
CA2267751C (en) Improved crane mechanism
KR100391422B1 (ko) 차량용 견인 후크의 강도 및 내구성 시험장치
KR20200113968A (ko) 차량정비시 차종에 따른 리프팅 장치
US4247085A (en) Combined bumper, jack and hoist
US7380677B2 (en) Crane, as well as a process for raising its boom
US3915320A (en) Tow truck lift hitch
KR20050002199A (ko) 주차위반 견인용 견인차
KR100358916B1 (ko) 구난차량의 견인장치
JP2648878B2 (ja) クレーン車における旋回体支持用ジャッキ装置の取付装置
WO2020262471A1 (ja) 作業車両
KR100354617B1 (ko)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KR200199643Y1 (ko) 견인차용 로드부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