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617B1 -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617B1
KR100354617B1 KR1019990035961A KR19990035961A KR100354617B1 KR 100354617 B1 KR100354617 B1 KR 100354617B1 KR 1019990035961 A KR1019990035961 A KR 1019990035961A KR 19990035961 A KR19990035961 A KR 19990035961A KR 100354617 B1 KR100354617 B1 KR 10035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ylinder
vehicle
hinge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519A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5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61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8Tow ropes, chains or the like
    • B60D1/187Tow ropes, chain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to the towing vehicle or to the tra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차량의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견인차량의 차체 후미에 상호 힌지고정되어 링크구조를 이루는 제1,2,3아암(2,4,6)과, 이 아암(2,4,6)들에 각각 장착되어 인접아암에 작동력을 가하는 리프팅실린더(3)와 틸팅실린더(5) 및 익스텐션실린더(7)와 이 익스텐션실린더(7)의 실린더로드(7a)에 장착된 포크(8)로 이루어져 제어반에서 상기 각 유압실린더(3,5,7)들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포크(8)에 피견인차량의 프레임을 로킹하여 리프팅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리프팅작업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견인차량의 견인장치{a racking system of tractor}
본 발명은 견인차량의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차량을 견인할 수 있도록 된 견인차량의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중 고장을 일으키거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그 차량이 자력으로 운행할 수 없을 때에는 견인을 전문으로 하는 견인차량을 불러 피견인차량을 견인해 가게 되며, 이를 위해 견인차량에는 견인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견인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형 차량의 적재함부분에 붐(11)과 권선장치(12)가 설치되고, 이 권선장치(12)의 와이어(13)가 상기 붐(11)의 끝부분까지 인출되어 있으며, 이 와이어(13)에 후크(14)가 연결되는 한편, 차량의 후미에 삼각대(15)가 장착되어 이루어져 있었다.
따라서, 견인을 할때는 상기 후크(14)와 삼각대(15)를 체인(16)으로 연결하고, 또 다른 체인(16′)으로 삼각대(15)와 피견인차량의 액슬(17)을 연결하되, 상기 체인(16′)에 차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이 체인(16′)과 피견인차량의 사이에 각목(18)을 위치시킨후, 상기 권선장치(12)를 작동시켜 와이어(13)를 인입함으로써 피견인 차량의 전방부를 리프팅하여 목적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에서는 피견인차량의 리프팅시에 1명은 붐(11) 및 권선장치(12)를 조정하고, 이때 또 다른 1명은 상기 각목(18)이 체인(16′)에 의해 힘을 받아 피견인차량과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때까지 잡아주어야 하며, 더구나 상기 체인(16′)을 직접 액슬(17)에 걸어주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2인의 인원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견인차량의 운전자 혼자서 피견인차량의 리프팅시 필요한 모든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있고, 리프팅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된 견인차량의 견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견인장치가 구비되어 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장치가 장착된 견인차량의 후방측면도,
도 3은 도 1의 대응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견인장치가 구비되어 차량을 견 인하는 견인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제1아암
3 : 리프팅실린더 3a : 실린더로드
4 : 제2아암 5 : 틸팅실린더
5a : 실린더로드 6 : 제3아암
7 : 익스텐션실린더 7a : 실린더로드
8 : 포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후미하단에 제1아암이 힌지고정되고, 차체 후미상단에 제2아암이 힌지고정되며, 이 제2아암에 제3아암이 힌지고정되는 한편, 이 제1,2,3아암에는 각각 유압실린더들이 장착되되, 제 1아암에 장착된 유압실린더는 제2아암을 밀고, 제2아암에 장착된 유압실린더는 제3아암을 밀며, 제3아암에 장착된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는 포크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상기 실린더들에 의한 아암들의 링크작용에 의해 상기 포크로 피견인차량을 리프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견인을 위한 리프팅작업을 1인이 완벽히 해낼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견인차량에 장착된 견인장치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견인차량의 차체(1) 후미하단에 제1아암(2)이 힌지고정되고, 이 제1아암(2)에는 리프팅실린더(3)가 장착되며, 이 리프팅실린더(3)의 실린더로드(3a)는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차체(1) 후미상단에 힌지고정된 제2아암(4)의 중간부위에 힌지고정연결되고, 이 제2아암(4)에 틸팅실린더(5)가 장착되며, 상기 제2아암(4)에 제3아암(6)이 힌지고정되어지되, 틸팅실린더(5)의 실린더로드(5a)가 상기 힌지고정된 제3아암(6)을 작동시키도록 제3아암(6)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3아암(6)의 타단부로는는 익스텐션실린더(7)가 신장되게 장착되고, 이 익스텐션실린더(7)의 실린더로드(7a)에는 상방으로 U자형의 포크(8)가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즉 본 발명은 상기 제 1아암(2)에 장착된 리프팅 실린더(3)의 실린더로드(3a)의 자유단이 상부에서 힌지식으로 차체(1)에 결합된 제 2아암(4)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 2아암(4)에 장착된 틸팅실린더(5)의 실린더로드(5a)는 상기 제 2아암(4)에 힌지고정된 제 3아암(6)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제 3아암(6)을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3아암(6)의 타단부로는 익스텐션 실린더(7)에 의해 실린더 로드(7a)가 신장되도록 한 것이다.따라서 제 2아암(4)과 제 3아암(6)은 서로 힌지식으로 연결되면서 틸팅실린더(5)에 의하여 제 3실린더(6)가 제 2아암(4)의 하부 연결 힌지축을 매개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압으로 작용하는 각각의 실린더들(3,5,7)은 별도로 설치된 유압펌프에 연결되어 구동되며, 그 구동의 제어는 이들의 유압전달라인 상에 설치되는 제어반에서 이루어짐은 공지의 기술로서 자명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견인장치로 견인할 때에는 견인차량의 운전자가 직접 제어반의 제어스위치들을 조작하면서 상기 견인장치를 작동시켜 피견인차량을 리프팅하게 되는데, 상기 리프팅실린더(3)와 틸팅실린더(5)를 동시조작하여 상기 포크(8)가 피견인차량의 프레임(범퍼를 들어 올릴 수도 있음)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익스텐션실린더(7)를 조작하여 포크(8)를 프레임에 접촉시키며, 포크(8)가 프레임에 접촉되면 틸팅실린더(5)의 실린더로드(5a)를 인출시켜 제3아암(6)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포크(8)에 피견인차량의 프레임이 로킹(locking)되도록 한다. 이후 빠져 있던 익스텐션실린더(7)의 실린더로드(7a)를 재인입시키고, 리프팅실린더(3)의 실린더로드(3a)를 인출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견인차량을 리프팅하여 목적지로 이동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의 견인장치는 차량을 견인할때 견인되는 차량의 리프팅동작이 1인의 작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체인을 액슬에 걸고, 각목을 받치는 등의 불편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고, 리프팅 작업을 1인이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차량 리프팅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고장 또는 사고차량의 신속한 견인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1)의 후미하단에 힌지고정된 제1아암(2)과, 이 제1아암(2)에 장착된 리프팅실린더(3), 차체(1)의 후미상단에 힌지고정되며 중간부위에 리프팅실린더(3)의 실린더로드(3a)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차체후미상단의 힌지고정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2아암(4)과, 이 제2아암(4)에 장착된 틸팅실린더(5), 상기 제2아암(4)의 하부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틸팅실린더(5)의 실린더로드(5a)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2아암(4)과의 힌지고정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3아암(6), 이 제3아암(6)에 장착되어 실린더로드(7a)에 의하여 신장 및 단축되는 포크(8)를 갖춘 익스텐션 실린더(7)로 이루어진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KR1019990035961A 1999-08-27 1999-08-27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KR10035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961A KR100354617B1 (ko) 1999-08-27 1999-08-27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961A KR100354617B1 (ko) 1999-08-27 1999-08-27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519A KR20010019519A (ko) 2001-03-15
KR100354617B1 true KR100354617B1 (ko) 2002-09-30

Family

ID=1960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961A KR100354617B1 (ko) 1999-08-27 1999-08-27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6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519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TO980765A1 (it) Veicolo utilizzabile come sollevatore a trattore agricolo.
US4418713A (en) Concrete pump tractor trailer assembly
US5240129A (en) Heavy duty crane with self-retracting/erecting live mast
US5439343A (en) Mini boom bumper
US4155464A (en) Offset jib for cranes
US2855111A (en) Outrigger supports for mobilized log yarders and loaders, and the like
US3908842A (en) Tow truck
US4993911A (en) Mobile crane
KR100354617B1 (ko)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ITTO980271A1 (it) Veicolo con braccio di sollevamento, utilizzabile come macchina agricola
CN111845518A (zh) 吊装式清障车
US5931321A (en) Crane mechanism
US3608671A (en) Mobile machine with an elevatable and travelling carrier
GB2120620A (en) A breakdown recovery vehicle
US5782601A (en) Vehicle towing apparatus
JP3271036B2 (ja) クレーン車の転倒防止装置
KR100401835B1 (ko) 측면 하적이 가능한 덤프트럭의 하적 장치
JP2000083436A (ja) 車両積載式のブーム形作業装置
US3977546A (en) Wrecking and hauling truck
RU2216462C2 (ru) Погрузчик бортовой
KR200250858Y1 (ko) 자동차의 견인장치
KR100405421B1 (ko) 구난차량에 구비되는 견인장치
KR200187715Y1 (ko) 차량운반용 자동차의 리프팅장치
KR200238605Y1 (ko) 차량견인용 트레일러
KR100358916B1 (ko) 구난차량의 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