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717B1 -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717B1
KR101706717B1 KR1020160146648A KR20160146648A KR101706717B1 KR 101706717 B1 KR101706717 B1 KR 101706717B1 KR 1020160146648 A KR1020160146648 A KR 1020160146648A KR 20160146648 A KR20160146648 A KR 20160146648A KR 101706717 B1 KR101706717 B1 KR 101706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attery module
signal
controll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기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60146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타입의 에너지 저장시스템에서 배터리모듈의 온도가 일정 온도이상으로 상승하거나, 배터리모듈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배터리모듈측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화재의 번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화재를 조기에 진화시킬 수 있도록 소화수단이 구비된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내부에 내장되고, 내부에 상,하로 복수의 배터리모듈이 적층되도록 배열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적층된 배터리모듈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모듈의 온도를 계측하고, 이상 발생시 제어부측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수단과; 상기 열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되는 배터리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배터리모듈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트레이의 타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복수의 차단판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모듈에 화재 발생시 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는 액튜에이터의 이동력에 의해 각 차단판의 단부가 상기 트레이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배터리모듈을 구획되게 차단하는 차단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차단블록을 트레이측으로 이동시키는 로드를 갖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블록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에 배열되는 배터리모듈들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도록 이격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트레이의 내부로 진입 가능하게 상기 트레이의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공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차단판과, 일측면에 상기 차단판의 단부들이 연결되고 타측면에 상기 로드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FIRE PREVENTING DEVICE FOR BATTERY PACK OF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테이너 타입의 에너지 저장시스템에서 배터리모듈의 온도가 일정 온도이상으로 상승하거나, 배터리모듈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화재의 번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배터리모듈의 화재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화재를 조기에 진화시킬 수 있도록 소화수단이 구비된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한 냉난방기기 보급 확대 등으로 에너지 수요는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소득 증대와 삶의 질 향상, 각종 서비스 고도화 요구에 따라 새로운 에너지수요가 지속 발생하여 직접적인 전력 의존도가 심화되어 전력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매년 여름과 겨울철이 되면 '전력대란 위기', '에너지 절약' 등과 같은 전력 문제가 발생한다. 또 국내 에너지원의 상당수가 원유 및 원자력에 의존하고 있어 에너지 수급에 대한 개선은 시급한 국가적 과제이다.
이러한 전력대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가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장치) 이다. ESS는 잉여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거나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서 생산된 전기를 필요한 시간대에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전기수요가 적은 시간에 유휴전력을 저장해두었다가 수요가 많은 시간대에 전기를 공급하여 안정적으로 전력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신재생에너지 활용도 제고 및 전력 공급 시스템 안정화를 달성한다.
따라서 신성장동력 산업의 하나인 ESS 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ESS 를 팩 형태로 보관, 수납하도록 소정의 수납 구조를 갖는 ESS 배터리 RACK 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ESS 배터리 RACK 은 진동을 포함한 각종 외부 환경으로부터 ESS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구조를 갖는다. 이에 기하급수적인 시장의 확대와 국가적 과제로 분류되고 있는 장치로서 ESS 배터리 RACK 의 안전성은 ESS 못지않게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민간시설물의 대부분이 지진에 매우 취약하며, 내진 적용기준이 마련되어 있지만 시설물에 대한 보강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진에 대한 피해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일본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공공연하게 발생하고 있다. 지진규모에 상관없이 여러 가지 피해 사례들이 있지만 1차적인 측면에서 정전사태를 보면 엄청난 불편함과 산업분야의 손해를 가져온다.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전기수요의 부하로 인한 정전사태뿐만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진으로 인한 정전사태는 더욱 피해가 심각하다. ESS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장치)는 이런 정전사태에 대비한 예비 베터리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체형 용접 방식으로 제작된 기존 Rack Type의 ESS 배터리 RACK 은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리며, 제조원가가 높다. 또한 구성품의 부적합 발생 때 부분 교체가 불가하여 제조 단가의 증가가 발생하고, 진동에 취약하여 내부의 ESS 장치의 안전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또한, 부식 및 내구성이 취약하여 변형을 일으키며, ESS 장치의 오작동과 파괴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 에너지 저장장치의 배터리팩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4216호 "ESS 배터리 PACK"(공개일자 : 2016.08.0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ESS 가 수납되는 ESS 배터리 RACK 에 있어서, 높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연장되며 평면 상에서 사각형 공간의 각각의 모서리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는 4 개의 연직 프레임; 전체적으로 사각형으로 구성되며 각 모서리가 상기 연직 프레임에 연결되되 상기 연직 프레임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탑 플레이트; 전체적으로 사각형으로 구성되며 각 모서리가 상기 연직 프레임에 연결되되 상기 연직 프레임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되, 상기 탑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복수 개가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이격되며 나란히 배치되어 각각의 사이에 ESS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ESS 지지 플레이트; 내측면이 상기 ESS 지지 플레이트의 각 외측변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직 프레임 사이를 가로질러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서로 인접한 연직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ESS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프레임 보강대; 상기 탑 플레이트와 연직 프레임 사이의 연결 모서리 부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연직 프레임 사이의 연결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여, 일 측은 상기 연직 프레임과 나사 연결되고 일 측은 상기 탑 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사 연결되도록 전체적으로 직각 삼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탑 플레이트와 연직 프레임 사이의 연결 모서리 부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연직 프레임 사이의 연결 모서리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 브라켓; 서로 인접한 2 개의 상기 연직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며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판으로 구성되고 소정의 제어반이 구비되는 제어반 장착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배치되며 바닥면 상에 지지되는 열반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직 프레임, 탑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 ESS 지지 플레이트, 프레임 보강대, 보강 브라켓, 제어반 장착 브라켓, 및 열반 베이스부는 압출 성형 후 2차 열처리된 고강도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는 하면이 상기 연직 프레임의 상단부와 닿아 나사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면이 상기 연직 프레임의 하단부와 닿아 나사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보강대 및 상기 제어반 장착 브라켓은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상기 연직 프레임에 닿아 나사 연결되어, 상기 연직 프레임, 탑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 ESS 지지 플레이트, 프레임 보강대, 보강 브라켓, 제어반 장착 브라켓, 및 열반 베이스부는 각각 서로에 대해 탈착되어 설치 및 교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기존 에너지 저장장치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4340호 "에너지저장 컨테이너"(등록일자 : 2016.10.04)에 개시되고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의 내부 양측을 따라 배터리모듈(200)이 장착되는 트레이(110)가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110)에 장착되는 양측의 배터리모듈(200)에 간섭없이 이동토록 바퀴를 갖는 대차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한 에너지저장장치에서 각각의 배터리모듈(200)이 트레이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내측 양측면에 마련된 가이드레일 상에 거치되고, 각 배터리모듈이 상,하로 적층되게 배열된다.
그런데, 각 배터리 모듈이 트레이 내부로 진입된 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외부의 전원이 충전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열화 또는 과충전 등의 이유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하 적층된 배터리모듈들에 화재가 번지게 되어 대형사고를 유발시킬 우려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4216호 "ESS 배터리 PACK"(공개일자 : 2016.08.0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4340호 "에너지저장 컨테이너"(등록일자 : 2016.10.04)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컨테이너 타입의 에너지 저장시스템에서 배터리모듈의 온도가 일정 온도이상으로 상승하거나, 배터리모듈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화재의 번짐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모듈의 화재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화재를 조기에 진화시킬 수 있도록 소화수단이 구비된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진 발생시 배터리팩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내부에 내장되고, 일측이 배터리모듈의 진입을 위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하로 복수의 배터리모듈이 적층되도록 배열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적층된 배터리모듈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모듈의 온도를 계측하고, 이상 발생시 제어부측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수단과; 상기 열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되는 배터리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배터리모듈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트레이의 타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복수의 차단판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모듈에 화재 발생시 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는 액튜에이터의 이동력에 의해 각 차단판의 단부가 상기 트레이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배터리모듈을 구획되게 차단하는 차단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차단블록을 트레이측으로 이동시키는 로드를 갖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블록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에 배열되는 배터리모듈들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도록 이격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트레이의 내부로 진입 가능하게 상기 트레이의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공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차단판과, 일측면에 상기 차단판의 단부들이 연결되고 타측면에 상기 로드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차단판에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각각의 배터리모듈측으로 소화액을 분사하기 위한 소화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소화수단은 상기 각 차단판에 구비되고 소화액을 각각의 배터리모듈측으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재와, 외부의 소화공급부로부터 각 차단판에 구비된 노즐부재측으로 소화액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각각의 호스부재와, 상기 각 호스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호스부재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에는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진이 감지될 경우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지진계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지진계(35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근거로 전원공급부(5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모듈(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열감지수단은 열화상카메라를 채용한 것이다.
상기 배터리모듈의 이상 발생시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모듈이 트레이 내에 적층되도록 배열된 후에, 적층된 배터리모듈 중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열감지수단으로 이상을 감지하고, 제어부의 전원공급부 제어를 통해 해당되는 배터리모듈측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과 아울러, 배터리모듈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차단판들이 트레이 내부로 진입되어 배터리모듈 사이를 구획하도록 차폐함으로써, 화재가 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판과 연계된 소화수단을 이용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화액을 화재가 발생된 배터리모듈측으로만 공급함으로써, 화재를 조기 진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터리팩에 이상 발생시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경보음 발생부에서 경보음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이상 상황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열감지수단을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는 추후 사고 발생 후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계가 구비됨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제어부에서 전원공급부측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원공급부로부터 배터리모듈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타입의 에너지 저장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 차단블록의 차단판이 트레이 내로 진입되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차단블록의 차단판이 트레이 내로 진입된 후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소화수단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는 컨테이너 타입의 배터리팩에 적용되며, 앞서 설명한 기존 컨테이너타입의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컨테이너(100)와;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부에 내장되고, 일측이 배터리모듈(200)의 진입을 위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하로 복수의 배터리모듈(200)이 적층되도록 배열되는 트레이(110)와; 상기 트레이(110)에 적층된 배터리모듈(200)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모듈(200)의 온도를 계측하고, 이상 발생시 제어부(400)측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수단(300)과; 상기 열감지수단(30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되는 배터리모듈(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배터리모듈(20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트레이(110)의 타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복수의 차단판(610)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모듈(200)에 화재 발생시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되는 액튜에이터(700)의 이동력에 의해 각 차단판(610)의 단부가 상기 트레이(110)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배터리모듈(200)을 구획되게 차단하는 차단블록(600)과; 상기 차단블록(600)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차단블록(600)을 트레이(110)측으로 이동시키는 로드(710)를 갖는 액튜에이터(700);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컨테이너(100) 타입 에너지 저장시스템을 나타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100)는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복수의 배터리팩이 내장된다.
상기 배터리팩은 트레이(110)와 배터리모듈(200)로 구성되며, 트레이(110) 내에 복수의 배터리모듈(200)이 상,하로 적층되도록 배열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트레이(110)는 좌,우 내측면에 배터리모듈(200)의 양측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하로 복수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배터리모듈(200)들 간의 상,하 거리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지만, 컨테이너(100)의 내부에는 전력변환장치(P.C.S: Power Conversion System)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재예방장치는 컨테이너(100) 내부를 촬영하는 열감지수단(300)과, 열감지수단(300)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450)와, 컨테이너(100) 내부의 이상 발생시 열감지수단(300)으로부터 인가된 정보를 근거로 이상을 판단하고 판단된 근거로 전원공급부(500), 액튜에이터(700), 소화수단(800) 및 경보음 발생부(9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열감지수단(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화상카메라를 채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배터리모듈(200)들 중 이상 온도를 보이거나, 불법 침입자가 컨테이너(10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촬영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촬영된 데이터 정보를 제어부(400)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열감지수단(300)인 열화상카메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영상, 온도 및 불법 침입자의 움직임 정보 등이며, 상기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부(400)측으로 실시간으로 전달됨과 아울러, 데이터 베이스(450)에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450)에 저장된 정보는 추후 사고 발생 후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경보음 발생부(900)는 제어부(400)의 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을 인식시키도록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차단블록(600)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110)에 배열되는 배터리모듈(200)들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도록 이격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트레이(110)의 내부로 진입 가능하게 상기 트레이(1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공(112)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차단판(610)과, 일측면에 상기 차단판(610)의 단부들이 연결되고 타측면에 상기 로드(71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6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차단판(61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튜에이터(700)의 동작시 전진 동작되는 로드(710)에 의해 트레이(110) 내에 상,하로 배열된 배터리모듈(200)들 사이로 진입되면서 각 배터리모듈(200)을 구획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공(112)은 트레이(110)의 타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610)의 형태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진이 감지될 경우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측으로 출력하는 지진계(3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진계(350)는 디지털 지진계(350)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진계(350)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일정 규모이상의 지진을 감지할 경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0)측으로 출력한다.
즉, 지진계(350)는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진을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출력하고, 제어부(400)는 지진계(35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근거로 전원공급부(5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모듈(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각 차단판(610)에는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각각의 배터리모듈(200)측으로 소화액을 분사하기 위한 소화수단(800)이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소화수단(800)은 상기 각 차단판(610)에 구비되고 소화액을 각각의 배터리모듈(200)측으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재(820)와, 외부의 소화공급부로부터 각 차단판(610)에 구비된 노즐부재(820)측으로 소화액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각각의 호스부재(810)와, 상기 각 호스부재(810)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에 따라 호스부재(81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830)로 구성된다.
즉, 소화수단(800)은 제어부(400)의 신호에 따라 외부의 소화액 공급부가 소화액을 호스부재(810)를 통해 노즐부재(820)측으로 공급되고, 노즐부재(820)를 통해 차단판(610)에 의해 각각 구획된 배터리모듈(200)측으로 소화액을 공급하여 화재가 발생한 배터리모듈(200)을 소화(消火)시키게 된다.
이때, 개폐밸브(830)는 화재가 발생한 배터리모듈(200)측으로만 소화액이 공급되도록 제어부(400)의 신호에 따라 호스부재(810)의 유로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호스부재(810)는 상기 차단블록(600)의 이동시에도 소화액을 노즐부재(820)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지지플레이트(620)의 외측에서 플렉시블한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트레이(110)는 내부에 배터리모듈(200)측에 접속되어 전력변환장치로부터 전원이 충전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트레이(110) 내부에 배터리모듈(200)이 상,하로 적층되도록 결합된 후에, 전력변환장치로부터 전원이 각각의 배터리모듈(200)측으로 충전된다.
컨테이너(100)의 내부에 구비된 열감지수단(300)의 열화상카메라는 각각의 배터리모듈(200)측의 온도, 컨테이너(100)의 내부 영상, 불법 침입자 등의 데이터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450)로 저장하게 된다.
한편, 배터리모듈(200)들 중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화재가 발생하게 될 경우 열감지수단(300)으로부터 제어부(400)측으로 데이터 정보를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400)는 전원공급부(500)측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되는 배터리모듈(200)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화재가 번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어부(400)에서 액튜에이터(7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액튜에이터(700)의 로드(710)를 트레이(110)측으로 전진 동작시켜 로드(710)와 연결된 지지플레이트(620) 및 차단판(610)을 전진시키게 된다.
이후에, 각각의 차단판(6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10)의 삽입공(112)을 통과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액튜에이터(700)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110)의 내부에 적층된 배터리모듈(200)들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게 되면서 트레이(1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배터리모듈(200)로부터 나머지 배터리모듈(200)들을 차폐하게 된다.
또한, 소화수단(800)은 차단판(610)이 트레이(110) 내로 진입된 후에 호스부재(810)를 통해 공급된 소화액을 노즐부재(820)를 통해 화재가 발생된 배터리모듈(200)측에 공급함으로써, 화재를 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진계(350)는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진 발생시 제어부(400)측으로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400)에서 전원공급부(500)측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각의 배터리모듈(200)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지진 발생시 배터리팩의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모듈(200)이 트레이(110) 내에 적층되도록 배열된 후에, 적층된 배터리모듈(200) 중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열감지수단(300)으로 이상을 감지하고, 제어부(400)의 전원공급부(500) 제어를 통해 해당되는 배터리모듈(200)측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과 아울러, 배터리모듈(200)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차단판(610)들이 트레이(110) 내부로 진입되어 배터리모듈(200) 사이를 구획하도록 차폐함으로써, 화재가 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판(610)과 연계된 소화수단(800)을 이용하여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소화액을 화재가 발생된 배터리모듈(200)측으로만 공급함으로써, 화재를 조기 진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터리팩에 이상 발생시 제어부(400)의 신호에 따라 경보음 발생부(900)에서 경보음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이상 상황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열감지수단(300)을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450)에 저장된 정보는 추후 사고 발생 후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계(350)가 구비됨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제어부(400)에서 전원공급부(500)측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원공급부(500)로부터 배터리모듈(200)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0 : 컨테이너 110 : 트레이
112 : 삽입공 200 : 배터리모듈
300 : 열감지수단 350 : 지진계
400 : 제어부 450 : 데이터 베이스
500 : 전원공급부 600 : 차단블록
610 : 차단판 620 : 지지플레이트
700 : 액튜에이터 710 : 로드
800 : 소화수단 810 : 호스부재
820 : 노즐부재 830 : 개폐밸브
900 : 경보음 발생부

Claims (6)

  1. 컨테이너(100)의 내부에 내장되고, 일측이 배터리모듈(200)의 진입을 위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하로 복수의 배터리모듈(200)이 적층되도록 배열되는 트레이(110)와;
    상기 트레이(110)에 적층된 배터리모듈(200)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모듈(200)의 온도를 계측하고, 이상 발생시 제어부(400)측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수단(300)과;
    상기 열감지수단(30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되는 배터리모듈(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배터리모듈(20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0)와;
    상기 트레이(110)의 타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복수의 차단판(610)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모듈(200)에 화재 발생시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되는 액튜에이터(700)의 이동력에 의해 각 차단판(610)의 단부가 상기 트레이(110)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배터리모듈(200)을 구획되게 차단하는 차단블록(600); 및
    상기 차단블록(600)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차단블록(600)을 트레이(110)측으로 이동시키는 로드(710)를 갖는 액튜에이터(700);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블록(600)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110)에 배열되는 배터리모듈(200)들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도록 이격되게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트레이(110)의 내부로 진입 가능하게 상기 트레이(1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공(112)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차단판(610)과, 일측면에 상기 차단판(610)의 단부들이 연결되고 타측면에 상기 로드(71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6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차단판(610)에는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각각의 배터리모듈(200)측으로 소화액을 분사하기 위한 소화수단(8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소화수단(800)은 상기 각 차단판(610)에 구비되고 소화액을 각각의 배터리모듈(200)측으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재(820)와,
    외부의 소화공급부로부터 각 차단판(610)에 구비된 노즐부재(820)측으로 소화액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각각의 호스부재(810)와,
    상기 각 호스부재(810)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에 따라 호스부재(81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8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일정 규모 이상의 지진이 감지될 경우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측으로 출력하는 지진계(3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지진계(35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근거로 전원공급부(5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모듈(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수단(300)은 열화상카메라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200)의 이상 발생시 상기 제어부(40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부(9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KR1020160146648A 2016-11-04 2016-11-04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KR101706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48A KR101706717B1 (ko) 2016-11-04 2016-11-04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48A KR101706717B1 (ko) 2016-11-04 2016-11-04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717B1 true KR101706717B1 (ko) 2017-03-09

Family

ID=5840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648A KR101706717B1 (ko) 2016-11-04 2016-11-04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717B1 (ko)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439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대경산전 에너지 저장시스템용 자동소화장치
KR101977136B1 (ko) * 2019-02-21 2019-08-28 주식회사 에코이노 에너지저장장치 화재 사고 발생시 대응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KR102022075B1 (ko) 2019-04-17 2019-09-17 주식회사 다인산전 접점 스위칭을 통한 이원화 에러 디텍팅 에너지 스토리지 시스템
KR102027373B1 (ko) * 2019-04-16 2019-10-01 주영길 Ess 설비 온도 감시 시스템
KR102029422B1 (ko) 2018-10-16 2019-10-07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배터리팩 온도검출용 센서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모니터링 장치
KR20190117957A (ko) * 2018-04-09 2019-10-17 제주특별자치도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KR102083872B1 (ko) * 2018-11-06 2020-03-03 석진규 화재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시 방법
KR102086842B1 (ko) 2018-10-22 2020-03-10 현대이엔티 주식회사 Ess 배터리랙 화재확산방지 장치
KR102103163B1 (ko) 2019-06-07 2020-05-29 주식회사 이엔테크 Ess의 화재 발생 차단 시스템
KR20200061814A (ko) 2018-11-26 2020-06-03 (주)비에이에너지 화재 소화용 장치
KR102123684B1 (ko) 2019-03-30 2020-06-1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 기능을 갖춘 ess 배터리 장치
KR20200096712A (ko) * 2019-02-01 2020-08-13 주식회사 이에스텍 화재 조기차단 에너지저장 시스템
KR102154314B1 (ko) 2019-12-18 2020-09-10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KR102172449B1 (ko) 2020-06-05 2020-10-30 김광섭 상변화 물질의 잠열을 이용한 배터리 시스템의 화재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KR102178601B1 (ko) 2020-04-23 2020-11-16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WO2020246721A1 (ko) * 2019-06-05 2020-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102197092B1 (ko) * 2020-03-10 2020-12-31 주식회사 태희에볼루션 에너지저장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KR102199513B1 (ko) * 2020-03-19 2021-01-07 주식회사 아산정밀 배터리 모듈 자동소화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
KR20210006660A (ko) 2019-07-09 2021-01-19 유윤종 배터리 스토리지 유닛 및 배터리 보관실
WO2021045410A1 (ko) * 2019-09-05 2021-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CN112823462A (zh) * 2019-02-21 2021-05-18 株式会社Lg化学 Ess的稳定系统及其方法
KR102262360B1 (ko) 2020-10-19 2021-06-09 (주)제이에이치에너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과열 및 가스 누출 감시 시스템
KR20210076261A (ko) * 2019-12-13 2021-06-24 정대원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소화시스템 및 그 소화방법
KR102313994B1 (ko) 2020-04-28 2021-10-28 주식회사 에어퓨쳐 배터리 보관장치 및 배터리 보관실
WO2021230528A1 (ko) * 2020-05-13 2021-11-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진압 수단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330073B1 (ko) * 2021-04-30 2021-11-23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용 소화 시스템
KR20210142314A (ko) * 2020-05-18 2021-11-25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소화유닛이 구비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소화시스템
KR20220042537A (ko) 2020-09-28 2022-04-05 한국전력공사 비상시 데이터 저장장치의 보호 시스템
KR20220049357A (ko) 2020-10-14 2022-04-21 설영일 복수의 화재인자 검출에 기반한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팩 화재 모니터링 방법 및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팩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WO2022086060A1 (ko)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KR102631579B1 (ko) * 2022-10-11 2024-02-07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KR102653557B1 (ko) 2023-11-16 2024-04-03 주식회사 하이플랜 에너지 저장장치의 화재방지 시스템
KR102661241B1 (ko) * 2022-12-29 2024-04-29 주식회사 우림특장 일체형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차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62A (ko) * 2013-12-04 2015-06-12 세방전지(주)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KR101584295B1 (ko) * 2014-07-03 2016-01-25 인셀(주) 랙 구조를 갖는 배터리 시스템
KR20160094216A (ko) 2015-01-30 2016-08-09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이치 Ess 배터리 rack
KR101664340B1 (ko) 2015-04-14 2016-10-12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에너지저장 컨테이너
KR20160126490A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뉴피에스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62A (ko) * 2013-12-04 2015-06-12 세방전지(주)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KR101584295B1 (ko) * 2014-07-03 2016-01-25 인셀(주) 랙 구조를 갖는 배터리 시스템
KR20160094216A (ko) 2015-01-30 2016-08-09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이치 Ess 배터리 rack
KR101664340B1 (ko) 2015-04-14 2016-10-12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에너지저장 컨테이너
KR20160126490A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뉴피에스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Cited B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817B1 (ko) * 2017-05-11 2019-05-31 주식회사 대경산전 에너지 저장시스템용 자동소화장치
KR20180124439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대경산전 에너지 저장시스템용 자동소화장치
KR102069378B1 (ko) 2018-04-09 2020-01-22 제주특별자치도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KR20190117957A (ko) * 2018-04-09 2019-10-17 제주특별자치도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KR102029422B1 (ko) 2018-10-16 2019-10-07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배터리팩 온도검출용 센서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모니터링 장치
KR102086842B1 (ko) 2018-10-22 2020-03-10 현대이엔티 주식회사 Ess 배터리랙 화재확산방지 장치
KR102083872B1 (ko) * 2018-11-06 2020-03-03 석진규 화재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시 방법
KR20200061814A (ko) 2018-11-26 2020-06-03 (주)비에이에너지 화재 소화용 장치
KR20200096712A (ko) * 2019-02-01 2020-08-13 주식회사 이에스텍 화재 조기차단 에너지저장 시스템
KR102162417B1 (ko) * 2019-02-01 2020-10-07 주식회사 벤텍 화재 조기차단 에너지저장 시스템
CN112823462A (zh) * 2019-02-21 2021-05-18 株式会社Lg化学 Ess的稳定系统及其方法
KR101977136B1 (ko) * 2019-02-21 2019-08-28 주식회사 에코이노 에너지저장장치 화재 사고 발생시 대응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CN112823462B (zh) * 2019-02-21 2024-03-15 株式会社Lg新能源 Ess的稳定系统及其方法
KR102123684B1 (ko) 2019-03-30 2020-06-1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 기능을 갖춘 ess 배터리 장치
KR102027373B1 (ko) * 2019-04-16 2019-10-01 주영길 Ess 설비 온도 감시 시스템
KR102022075B1 (ko) 2019-04-17 2019-09-17 주식회사 다인산전 접점 스위칭을 통한 이원화 에러 디텍팅 에너지 스토리지 시스템
WO2020246721A1 (ko) * 2019-06-05 2020-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102103163B1 (ko) 2019-06-07 2020-05-29 주식회사 이엔테크 Ess의 화재 발생 차단 시스템
KR20210006660A (ko) 2019-07-09 2021-01-19 유윤종 배터리 스토리지 유닛 및 배터리 보관실
KR102273735B1 (ko) 2019-07-09 2021-07-05 유윤종 배터리 스토리지 유닛 및 배터리 보관실
WO2021045410A1 (ko) * 2019-09-05 2021-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KR20210076261A (ko) * 2019-12-13 2021-06-24 정대원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소화시스템 및 그 소화방법
KR102307536B1 (ko) * 2019-12-13 2021-09-30 정대원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소화시스템 및 그 소화방법
KR102154314B1 (ko) 2019-12-18 2020-09-10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KR102197092B1 (ko) * 2020-03-10 2020-12-31 주식회사 태희에볼루션 에너지저장장치 화재예방 시스템
KR102199513B1 (ko) * 2020-03-19 2021-01-07 주식회사 아산정밀 배터리 모듈 자동소화시스템 및 이의 작동방법
KR102178601B1 (ko) 2020-04-23 2020-11-16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KR102313994B1 (ko) 2020-04-28 2021-10-28 주식회사 에어퓨쳐 배터리 보관장치 및 배터리 보관실
WO2021221262A1 (ko) * 2020-04-28 2021-11-04 유윤종 배터리 보관장치 및 배터리 보관실
WO2021230528A1 (ko) * 2020-05-13 2021-11-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진압 수단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10142314A (ko) * 2020-05-18 2021-11-25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소화유닛이 구비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소화시스템
KR102373242B1 (ko) * 2020-05-18 2022-03-11 대한민국 소화유닛이 구비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소화시스템
KR102172449B1 (ko) 2020-06-05 2020-10-30 김광섭 상변화 물질의 잠열을 이용한 배터리 시스템의 화재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KR20220042537A (ko) 2020-09-28 2022-04-05 한국전력공사 비상시 데이터 저장장치의 보호 시스템
KR20220049357A (ko) 2020-10-14 2022-04-21 설영일 복수의 화재인자 검출에 기반한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팩 화재 모니터링 방법 및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팩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62360B1 (ko) 2020-10-19 2021-06-09 (주)제이에이치에너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과열 및 가스 누출 감시 시스템
WO2022086060A1 (ko)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 전력 저장 장치, 및 발전 시스템
KR102330073B1 (ko) * 2021-04-30 2021-11-23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용 소화 시스템
KR102631579B1 (ko) * 2022-10-11 2024-02-07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KR102661241B1 (ko) * 2022-12-29 2024-04-29 주식회사 우림특장 일체형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차량
KR102653557B1 (ko) 2023-11-16 2024-04-03 주식회사 하이플랜 에너지 저장장치의 화재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717B1 (ko)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US8547710B2 (en)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power module
KR102086842B1 (ko) Ess 배터리랙 화재확산방지 장치
US10193112B2 (en) Modular energy storage component enclosure
US8951657B2 (en) Battery apparatus
JP5715135B2 (ja) 二次電池収納システムラック
JP2019075191A (ja) 蓄電装置
JP6103651B2 (ja) 蓄電装置
KR102257375B1 (ko) 지능형 안전관리가 가능한 태양광 접속반
US20230201643A1 (en) Fire protection apparatus for battery system using latent heat of phase change material and battery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14145876A1 (en) Data center facility design configuration
KR20220049357A (ko) 복수의 화재인자 검출에 기반한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팩 화재 모니터링 방법 및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팩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CN103043327B (zh) 继电保护插件智能存放柜
US11599812B2 (en) Condition determination system, condition determination method,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5971748B2 (ja) 蓄電装置及び蓄電システム
JP2012002038A (ja) 建物設備ユニット及び建物
CN106123970A (zh) 一种地下变电站状态监测和可靠性分析方法和系统
EP4228056A1 (en) Energy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energy storage container
KR101516237B1 (ko) 노이즈방지수단을 구비한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
KR102190551B1 (ko) 에너지저장시스템용 배터리랙
JP2019175560A (ja) 蓄電池装置
JP2021132006A (ja) 蓄電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5893317B2 (ja) キャスク監視装置
KR101962329B1 (ko) 태양광발전 장치
EP4220793A1 (en) Battery pack installa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