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378B1 -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378B1
KR102069378B1 KR1020180040941A KR20180040941A KR102069378B1 KR 102069378 B1 KR102069378 B1 KR 102069378B1 KR 1020180040941 A KR1020180040941 A KR 1020180040941A KR 20180040941 A KR20180040941 A KR 20180040941A KR 102069378 B1 KR102069378 B1 KR 102069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ad
fire extinguishing
conveying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957A (ko
Inventor
부기철
Original Assignee
제주특별자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특별자치도 filed Critical 제주특별자치도
Priority to KR1020180040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37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the receptacles being divided in compartments by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적재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를 분할하며 일부에 개방된 이송구가 형성된 격벽 및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내부에 상기 적재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수용유닛, 상기 수용공간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적재물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이송가압부 및 상기 이송가압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송가압부로 상기 이송구를 차단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밀폐 격리해 외부공기유입을 차단하는 감지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package collecting container having fire extinguishing function}
본 발명은 적재물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별도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수용공간을 밀폐함과 동시에 소화유닛을 이용해 자체적으로 화재를 소화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나 고층건물 등 대형 주거 지역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와 같은 대형 주거지역에서는 폐기물 역시 세대에 비례하여 많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의 양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수용하고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은 부패 및 악취 등으로 인해 제약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특정 지역에 커버가 달린 수거함 등을 구비하여 이용자가 직접 수거함에 넣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순히 수거함만을 구비하여 쓰레기를 수집하는 경우 고양이나 개 등의 동물이 이를 파손하거나, 세균 번식으로 인한 부패와 악취 등으로 인해 위생상태가 좋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금속소재의 외형을 가진 자동 개방형 수거함이 개발되어 보급되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자동 개방형 수거함의 경우 기존의 수거함과 달리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 후 자동으로 커버가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이 외에는 내부가 차단된 형태로 보존된다.
이에 따라, 내 외부를 차단하여 동물들에 의한 오염 및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 개방형 수거함의 경우 내부가 커버가 차단된 형태로 형성되어 여름철 온도 상승으로 인해 화재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수거된 쓰레기 내부에 발화 물질이 포함된 경우 이송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나, 작은 온도상승 만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거함들의 경우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이에 대한 대응이 불가능하며 소화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수거함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강제적으로 커버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알 수 없으며, 이를 감지하였다 하더라도 마땅히 소화를 위한 수단이 없어 화재를 그냥 두고 볼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적재물이 수용된 수용공간 내부에 별도의 밀폐유닛과 소화유닛을 구비하여. 화재발생 시 이를 감지하고 외부공기를 차단함과 동시에 소화물질을 이용해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적재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를 분할하며 일부에 개방된 이송구가 형성된 격벽 및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내부에 상기 적재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수용유닛, 상기 수용공간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적재물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이송가압부 및 상기 이송가압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송가압부로 상기 이송구를 차단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밀폐 격리해 외부공기유입을 차단하는 감지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가압부는 상기 이송구를 향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송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가압부는 둘레에 따른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확장되어 상기 이송구의 밀폐를 보조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격벽상에서 상기 이송구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상기 적재물이 외부로 반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틸팅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차단부는 동일한 회전축상에서 상기 이송구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차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가압부의 가압면에 접촉하며, 상기 이송가압부와 함께 상기 이송구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차단부는 상기 격벽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일면상에서 회전축을 가지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제어유닛은 기본상태인 적재모드에서 상기 이송가압부가 상기 이송구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까지 슬라이딩하여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키고, 화재발생에 의한 소화모드에서 상기 이송가압부가 상기 이송구를 관통하지 않고 상기 이송구를 차단하는 위치까지만 슬라이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감지되는 소화물질을 내부로 공급하는 소화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에서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측부 또는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어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소화부 및 상기 소화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를 보호하는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각이 이격 분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소화물질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분사하는 분사부 및 내부에 상기 소화물질을 수용하여 상기 분사부로 상기 소화물질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또한, 상기 감지제어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가압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용공간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모서리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컨테이너 내부에서 격벽에 의해 적재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에 분할 형성되며, 적재물이 이송되는 이송구를 이송유닛의 일부인 이송가압부가 이동하여 차단함으로써 적재물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자체적인 소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둘째, 격벽상에서 하부로 돌출된 별도의 틸팅차단부를 구비하여 이송구와 이송가압부 사이의 유격을 차단함으로써 수용공간의 밀폐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셋째, 수용공간 내부에 별도의 소화유닛을 구비하여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소화유닛의 일부가 용융되어 포함된 소화물질이 수용공간 내부로 분사됨으로써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의 개략적인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에서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에서 적재물이 수용공간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도 1의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에서 화재 발생 시 이송구가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수용공간이 밀폐 격리된 상태로 소화물질이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에서 소화유닛이 수용공간 일부에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에서 틸팅차단부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1의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에서 소화유닛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소화유닛에서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1의 수집장치에서 이송가압부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도 10의 이송가압부가 이송구를 차단한 상태로 밀폐부재가 확장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는 투입구를 통해 내부에 수용물을 적재 및 보관하여 일괄적으로 수송하기 위한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생활 쓰레기 수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쓰레기 수거에 사용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 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는 일반적으로 공공장소나 주거단지 등에 설치되어 적재물을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쓰레기 등을 수집하는데 적용된다.
본 발명은 크게 컨테이너(100), 수용유닛(200), 이송유닛(300), 감지제어유닛(미도시) 및 소화유닛(400)을 포함하여 내부에 적재물(T)을 수용한다.
상기 컨테이너(100)는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일부가 구획되어 상술한 수용유닛(200), 이송유닛(300), 소화유닛(400) 및 감지제어유닛이 배치되며,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소재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구성을 지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테이너(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적재물(T)이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구(110)가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100)는 일반적인 형태의 상자로 구성되며 내부와 별도로 외면이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수용되는 적재물(T) 등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단순 사각형태가 아니라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외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에 상기 투입구(110)와 별도로 개방 가능한 도어(102)가 형성되어 내부 부품 등의 파손 시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 (도1을 수정 하여 도면부호를 추가 하였습니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110)와 연통된 내부에는 별도로 적재물(T)을 후술하는 이송유닛(300)으로 제공하는 전달부(120) 가 형성된다.
상기 전달부(120)는 상기 이송유닛(300)에 의해 상기 적재물(T)이 상기 수용유닛(200)으로 전달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수용하고, 추후 이를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기 이송유닛(300)의 배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전달부(120)는 L자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기울여 상기 적재물(T)을 하부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투입구(110)는 바닥에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배치되며, 상기 전달부(120)는 상기 투입구(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물(T)을 일시적으로 수용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과 같이 후술하는 상기 이송유닛(30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적재물(T)은 상기 이송유닛(300)이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120)는 상기 이송유닛(300)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적재물(T)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는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 가능한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10)와 연결된 전달부(120)를 내부에 구비하여 후술하는 상기 이송유닛(300)을 통해 상기 적재물(T)이 상기 수용유닛(2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투입구(110)와 별도로 인접하게 배치된 별도의 인증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이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상기 투입구(110)가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인증부는 지문, ID카드, RF통신 또는 신용카드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되어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비용 결제까지 함께 할 수 있다.
또한, 대형 주택단지나 아파트 등에 설치된 경우, 상기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적재물(T)의 출처를 기록할 뿐만 아니라 이용자 별로 적재물(T)의 투입량을 각각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부(120)는 단순히 상기 적재물(T)을 수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투입된 상기 적재물(T)의 하중을 측정하여 이용자가 투입한 상기 적재물(T)의 양을 확인 및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는 내부에 후술하는 상기 수용유닛(200), 상기 이송유닛(300), 상기 소화유닛(400) 및 상기 감지제어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측에 형성된 투입구(110)를 통해 상기 적재물(T)을 내부에서 수용할 수 잇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에서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상기 적재물(T)을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해당 영역을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220), 상기 격벽(220)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에서 일측에 형성되는 수용공간(210) 및 상기 격벽(220)의 하부로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틸팅차단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격벽(220)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내부를 분할하여 상기 수용공간(210)을 격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을 따라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10) 및 투입공간(130)으로 분할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210)은 상기 적재물(T)이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으로, 복수 개의 내면을 가지며 일측에 상기 격벽(220)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공간(130)은 상기 격벽(220)에 의해 구획된 나머지 공간으로 상기 투입구(110)와 연통되며, 후술하는 상기 이송유닛(300)이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감지제어유닛 또는 추가적인 전자/기계적 설비들도 함께 수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격벽(220)은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에서 상기 수용공간(210) 및 상기 투입공간(130)으로 분할하며 하부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격벽(220)은 상기 수용공간(210)을 완전히 밀폐시키도록 구성되지 않고 상기 적재물(T)이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구(240)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구(240)는 원형이나 다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격벽(220)상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공간(130)으로 투입된 상기 적재물(T)이 상기 이송유닛(300)에 의해 이송되는 경로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상기 이송유닛(300)의 일부인 이송가압부(310)가 상기 이송구(240)에 삽입 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210)이 밀폐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구(240)는 상기 격벽(220)의 하부에서 바닥면과 연속하는 형태로 개방되며, 후술하는 상기 이송유닛(30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220)이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공간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상부에서부터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격벽(220)의 하부에는 자연스레 상기 이송구(24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에서 상기 격벽(220)에 의해 분할 격리되어 상기 적재물(T)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상기 이송구(24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벽으로 둘러싸여 외부와 차단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210)은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내부에서 상기 적재물(T)을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210)은 상기 투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적재물(T)이 마찰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물(T)이 지속적으로 공급 되더라도 내부에서 단순 압축되는 것이 아니라 측면을 따라 슬립이 발생하여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공간(210)은 상기 이송구(240)와 마주보는 내면 및 이와 인접한 모서리 부분 등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물(T)이 의도하지 않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용공간(210)의 내면이 단순 평면 형태가 아니라 곡면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물(T)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더라도 슬립에 의해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10)은 상기 격벽(220)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이송구(24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적재물(T)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적재물(T)이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의 내면이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상기 격벽(220)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며 상기 적재물(T)이 반송되는 것을 구성으로, 상기 격벽(220)상에서 상기 이송구(24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상기 이송구(240)의 크기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이송구(240)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되어 노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상기 이송구(240)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이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동일한 회전축 상에서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기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상기 이송구(240)의 일부를 차단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 적재물(T)이 상기 수용공간(210)으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적재물(T)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방향으로 틸팅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물(T)이 상기 격벽(220)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복원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상기 적재물(T)이 반송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중력의 의한 복원으로 인해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며, 추가적으로 별도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상기 격벽(220)상에서 상기 이송구(240)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수용공간(210)내부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적재물(T)의 이송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상기 이송구(240)의 상부에 위치하여 하부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연장 돌출되며 상하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상기 격벽(220)의 하측에서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의 일면에 회전축을 가지며 하부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하부로 돌출된 길이가 상기 이송구(240)의 상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이는 추후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 수용되는 적재물(T)이 증가하는 경우 이미 수용된 상기 적재물(T)과의 간섭에 의해 틸팅이 원활하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틸팅차단부(230)의 회전축이 상기 격벽의(220) 일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틸팅차단부(230)의 회전반경 및 방향을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로만 한정하기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210)에 수용된 상기 적재물(T)이 반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적재물(T)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적재물(T)과 접촉에 의해 상부로 틸팅되고, 상기 적재물(T)이 상기 이송구(240)를 통과하면, 중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틸팅되어 초기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로 상기 적재물(T)의 이송 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가압부(310)의 복귀에 의해 상기 적재물(T)이 상기 수용공간(210) 외부로 재반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상기 격벽(220)상에서 일부에만 설치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수용공간(210)의 밀폐를 위해 상기 이송구(24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이송가압부(310)와 함께 상기 이송구(240)를 차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를 분할하는 격벽(220), 상기 격벽(220)에 의해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적재물(T)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10), 상기 격벽(220)에서 상기 수용공간(210)으로 상기 적재물(T)이 이송되는 이송구(240) 및 상기 이송구(240)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상기 적재물(T)의 반송을 방지하지는 틸팅차단부(23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컨테이너(100) 내부에서 상기 수용공간(21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적재물(T)을 상기 수용공간(210)으로 이송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상기 투입공간(130)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이송구(240)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하며 상기 적재물(T)을 이송시키는 이송가압부(310) 및 상기 이송가압부(310)에 연결되어 전후 슬라이딩을 조절하는 구동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가압부(310)는 상기 이송구(240) 방향으로 배치된 가압면(312)을 가지며, 상기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상기 적재물(T)에 상기 가압면(312)이 접촉한 상태로 가압하여 상기 이송구(240)를 관통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송가압부(310)는 상술한 상기 전달부(120)에서 하부로 전달된 상기 적재물(T)의 측부에서 가압하는 형태로 이송시킨다.
즉 상기 이송가압부(310)는 상기 이송구(240)를 향해 전후 슬라이딩하며, 후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부(120)에 의해 상기 적재물(T)이 상기 이송구(240)와의 사이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120)로부터 전달된 상기 적재물(T)을 상기 이송가압부(310)에서 가압하여 상기 수용공간(210)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이송가압부(310)는 상기 적재물(T)을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역할과 동시에 상기 이송구(240)를 차단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가압부(310)는 상기 가압면(312)이 상기 이송구(240)를 향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송구(24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가압부(310)는 슬라이딩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송구(240)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가압부(310)는 기 설정된 두께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구(24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가압부(310)가 상기 이송구(240)에 삽입되는 경우 상술한 상기 틸팅차단부(23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압면(312)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상기 이송가압부(310)와 상기 이송구(240) 사이의 유격을 차단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이송가압부(310)가 상기 이송구(240) 내부로 일부만 삽입되도록 단턱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가압부(310)는 상기 적재물(T)의 이송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구(240)의 차단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320)는 상기 투입공간(130)의 내부에서 상기 이송가압부(310)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가압부(310)의 슬라이딩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320)는 상기 후술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용자가 상기 투입구(110)의 개방을 위해 인증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적재물(T)을 투입하는 경우 구동하여 상기 이송가압부(310)를 슬라이딩 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부(3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신축하는 액츄에이터 또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교차 결합된 형태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가압부(310)가 상기 이송구(240)를 향해 전후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320)는 X자형태의 프레임 결합을 통해 상기 이송가압부(31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320)의 상부에는 별도의 가이드 또는 구조물 등이 구비되어 이물질이 상기 구동부(3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300)은 상기 투입공간(130)으로 전달된 상기 적재물(T)을 상기 수용공간(210)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이송구(240)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격벽(220)과 함께 상기 수용공간(210)을 밀폐 격리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감지제어유닛은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송구(240)를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제어유닛은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와 이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320)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함몰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적재물(T)과의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온도센서는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복수 개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분산 배치되어 각각이 독립적으로 온도를 감지하며, 측정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공간(210) 또는 상기 투입공간(13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전달받아 기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고,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하는 경우 상기 이송가압부(3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이송구(240)를 차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가압부(310)의 초기위치에 따라 다르게 제어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 상기 이송가압부(310)가 상기 이송구(240)를 차단한 상태로 배치되거나 이와 반대로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구(240)를 개방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감지제어유닛은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를 밀폐한 상태로 유지시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추가적인 공기의 유입이 없으므로 자체적으로 소화가 진행되어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제어유닛은,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화재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이송가압부(310)의 슬라이딩 거리를 각각 다르게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기본상태인 적재모드에서는 투입된 상기 적재물(T)을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 안정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이송가압부(310)가 상기 이송구(240)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까지 침투하도록 슬라이딩 거리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화재가 방생하는 경우, 상기 감지제어유닛은 상술한 상기 적재모드에서 소화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이송가압부(310)가 상기 이송구(240)를 관통하지 않고 상기 이송구(240)를 차단하는 위치까지만 슬라이딩하여 위치가 조절된다.
즉, 상기 감지제어유닛은 상기 적재모드 시 상기 이송가압부(310)가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까지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소화모드 시 상기 이송가압부(310)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이송구(240)상에 배치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제어유닛은 상기 적재모드 및 상기 소화모드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가압부(310)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적재 및 소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감지제어유닛은 후술하는 소화유닛(400)과 연동하여 상기 수용공간(210)의 밀폐와 동시에 내부에 소화물질(412)을 분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소화유닛(400)은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이를 소화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용공간(210)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210)에서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소화물질(412)을 내부로 분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유닛(400)은 시트나 볼 돌기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10)의 내부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소화물질(4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소화유닛(400)에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가 가해지는 경우 용융되며 내부에 포함된 상기 소화물질(412)이 하부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상구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소화물질(412)이 자체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이를 소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유닛(400)은 다중레이어를 가지는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10)의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소화유닛(400)은 크게 소화부(410) 및 코팅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부(410)는 내부에 상기 소화물질(412)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며 파손되는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부(410)는 상기 미세캡슐이 상기 소화물질(41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미세캡슐이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에서 파손됨에 따라 상기 소화물질(412)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미세캡슐 내부에서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상기 소화물질(412)뿐만 아니라 산소를 차단할 수 있도록 별도의 냉각기체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소화부(410)는 상기 적재물(T)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적재물(T)을 향해 상기 소화물질(412)을 공급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적재물(T)에서의 화재를 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부(410)는 별도의 프라이머에 상기 소화물질(412)이 포함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10) 측면에 시트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소화부(410)는 별도의 시트나 플레이트 형태의 설치판에 도포되며, 상기 설치판은 상기 수용공간(210)의 내측면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소화부(410) 자체가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착탈 및 교체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210)의 내면 중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부(410)는 상기 설치판 또는 상기 수용공간(210)의 내면에 프라이머, 소화물질(412) 및 프라이머 순으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에나멜 교반 등을 통해 프라이머 내부에 상기 소화물질(412)이 포함된 상태로 도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포된 상기 소화부(410)에 열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소화부(410)에 포함된 상기 소화물질(412)이 상기 수용공간(210)내부를 향하도록 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부(410)는 상기 설치판에 도포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소화부(410)는 상기 설치판이 아닌 상기 수용공간(210)의 내면에 직접 도포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설치판은 기 설정된 크기를 가지며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10)의 내부에서 분할되어 이격 배치되거나, 특정 위치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코팅부(420)는 상기 소화부(410)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410)를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부(420)는 상기 소화부(4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부(410)를 보호하며, 상기 소화부(4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용도에서 용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코팅부(420)는 상기 소화부(410)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에서 의도하지 않게 용융되는 것을 차단하며, 추가적으로 소화부(410)가 외력 또는 상기 적재물(T)과의 간섭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적재물(T)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코팅부(420)가 먼저 용융되며, 상기 코팅부(420)가 용융된 후 자연스럽게 상기 소화부(410)가 용융되어 상기 소화물질(412)이 상기 적재물(T)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화유닛(400)은 상기 코팅부(420) 및 상기 소화부(410)를 포함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용융되어 상기 소화물질(412)이 하부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물질(412)은 대기보다 무거운 비중을 가지며, 상기 미세캡슐이 파손되어 상기 소화물질(41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자연스럽게 하부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유닛(400)이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상기 적재물(T)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자체적으로 상기 소화물질(412)을 분사하여 소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유닛(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상면 또는 측면의 전체를 커버하도록 배치되지 않고 띠 형태로 일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한 점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치판 자체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의 형상이나, 상기 적재물(T)의 종류 등에 의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상기 적재물(T)과의 간섭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격벽(220)과 함께 상기 이송가압부(310) 및 상기 틸팅차단부(230)에 의해 내부가 밀폐 격리되고, 추가적으로 상기 소화유닛(400)에 의해 자체적으로 소화물질(412)을 공급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틸팅차단부(23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1의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에서 틸팅차단부(230)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지만, 상기 틸팅차단부(230)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구(24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변형된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적어도 일부가 합성수지나 고무, 실리콘 등의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가압부(310)가 상기 이송구(240)를 차단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이송가압부(310)의 가압면(312)과 접촉하여 상기 수용공간(210)의 밀폐를 보조한다.
특히, 상기 이송구(240)의 둘레에는 별도의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이송가압부(310)에 의한 밀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상기 격벽(220)상에서 상기 수용공간(210)측의 일면에 구비되지 않고, 하측 끝단부에 회전축을 가지며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이 변형된 상기 틸팅차단부(230)는 단순히 적재물(T)의 반송을 차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가압부(310)와 상기 이송구(240)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의 밀폐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상기 소화유닛(4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1의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에서 소화유닛(400)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은 도 8의 소화유닛(400)에서 소화물질(412)을 분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상기 소화유닛(40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소화유닛(400)이 시트형태로 상기 소화캡슐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소화물질(412)을 분사하는 분사부(430) 및 이를 수용하고 공급하는 공급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부(4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며, 각각에서 상기 소화물질(412)이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부(430)는 노즐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10)의 내부에 액체 또는 분말등으로 구성된 상기 소화물질(412)을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부(4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10)의 상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내측면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비된 각각의 상기 분사부(430)는 상기 공급부(440)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물질(412)을 공급받는다.
한편, 상기 공급부(440)는 내부에 상기 소화물질(412)을 수용하고, 상기 분사부(430)와 분리되어 배치되며 별도의 파이프에 의해 상기 분사부(43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210)의 온도기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소화물질(412)을 각각의 상기 분사부(430)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440)는 상기 감지제어유닛과 연동하여 구동되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동작여부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는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1차적으로 상기 이송가압부(310)와 상기 틸팅차단부(230)가 상기 이송구(240)를 차단하여 내부에 추가적인 공기의 유입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대응해 상기 공급부(440)가 상기 소화물질(412)을 각각의 상기 분사부(430)로 공급하여 상기 수용공간(210) 내부에서 분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수집장치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달라 상기 감지제어유닛에서 감지된 내부온도에 연동하여 직접 상기 소화물질(412)의 분사가 조절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컨테이너
110: 투입구
120: 전달부
130: 투입공간
200: 수용유닛
210: 수용공간
220: 격벽
230: 틸팅차단부
240: 이송구
300: 이송유닛
310: 이송가압부
320: 구동부
400: 소화유닛
410: 소화부
420: 코팅부
430: 분사부
440: 공급부
T: 적재물

Claims (16)

  1. 일측에 적재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를 분할하며 일부에 개방된 이송구가 형성된 격벽 및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내부에 상기 적재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수용유닛;
    상기 수용공간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적재물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이송가압부 및 상기 이송가압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송가압부로 상기 이송구를 차단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밀폐 격리해 외부공기유입을 차단하는 감지제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유닛은,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격벽상에서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고,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상기 적재물이 외부로 반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틸팅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차단부는 복원력을 가지며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적재물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적재물과 접촉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틸팅되어 상기 적재물의 이송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압부는,
    상기 이송구를 향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송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차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가압부의 가압면에 접촉하며, 상기 이송가압부와 함께 상기 이송구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차단부는,
    상기 격벽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일면상에서 회전축을 가지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제어유닛은,
    기본상태인 적재모드에서 상기 이송가압부가 상기 이송구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까지 슬라이딩하여 상기 적재물을 이송시키고,
    화재발생에 의한 소화모드에서 상기 이송가압부가 상기 이송구를 관통하지 않고 상기 이송구를 차단하는 위치까지만 슬라이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감지되는 소화물질을 내부로 공급하는 소화유닛을 더 포함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에서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측부 또는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어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소화부; 및
    상기 소화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를 보호하는 코팅부;
    를 포함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각이 이격 분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소화물질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분사하는 분사부; 및
    내부에 상기 소화물질을 수용하여 상기 분사부로 상기 소화물질을 공급하는 공급부;
    를 포함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제어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가압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용공간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모서리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곡선형태로 형성되는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KR1020180040941A 2018-04-09 2018-04-09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KR102069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41A KR102069378B1 (ko) 2018-04-09 2018-04-09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41A KR102069378B1 (ko) 2018-04-09 2018-04-09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57A KR20190117957A (ko) 2019-10-17
KR102069378B1 true KR102069378B1 (ko) 2020-01-22

Family

ID=6842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941A KR102069378B1 (ko) 2018-04-09 2018-04-09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539B1 (ko) * 2020-07-28 2021-12-29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무게측정이 가능한 적재물 투입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적재물 수집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705B1 (ko) 2001-07-07 2004-05-24 용성공업 주식회사 소화용 물주머니가 내장된 쓰레기통
KR200407930Y1 (ko) 2005-11-01 2006-02-07 배태현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
KR100658830B1 (ko) 2004-09-17 2006-12-15 강남구청 소화 장치가 장착된 쓰레기통
JP2012041121A (ja) * 2010-08-18 2012-03-01 Morita Holdings Corp プレス式塵芥収集車の延焼防止装置
KR101366592B1 (ko) 2012-10-08 2014-02-25 주식회사 선진디자인테크 소화성 단위 천정판
KR101497011B1 (ko) * 2014-09-05 2015-03-09 (주)그린니스 폐기물 압축 장치
KR101706717B1 (ko) 2016-11-04 2017-03-09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KR101719492B1 (ko) * 2015-07-08 2017-03-24 파이어킴 주식회사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CN107399539A (zh) 2017-09-20 2017-11-28 伍硕仪 一种智能垃圾桶
CN107472759A (zh) 2017-07-17 2017-12-15 芜湖泰领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火报警功能的垃圾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2008A6 (nl) * 1988-05-25 1990-05-15 R Van Den Bosch Containers N V Brandbeveiligingsinrichting voor containers, meer in het bijzonder voor afvalcontainers.
JP2553765B2 (ja) * 1990-11-29 1996-11-13 富士車輛 株式会社 ゴミ圧縮方法及びゴミ圧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705B1 (ko) 2001-07-07 2004-05-24 용성공업 주식회사 소화용 물주머니가 내장된 쓰레기통
KR100658830B1 (ko) 2004-09-17 2006-12-15 강남구청 소화 장치가 장착된 쓰레기통
KR200407930Y1 (ko) 2005-11-01 2006-02-07 배태현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
JP2012041121A (ja) * 2010-08-18 2012-03-01 Morita Holdings Corp プレス式塵芥収集車の延焼防止装置
KR101366592B1 (ko) 2012-10-08 2014-02-25 주식회사 선진디자인테크 소화성 단위 천정판
KR101497011B1 (ko) * 2014-09-05 2015-03-09 (주)그린니스 폐기물 압축 장치
KR101719492B1 (ko) * 2015-07-08 2017-03-24 파이어킴 주식회사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KR101706717B1 (ko) 2016-11-04 2017-03-09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CN107472759A (zh) 2017-07-17 2017-12-15 芜湖泰领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火报警功能的垃圾桶
CN107399539A (zh) 2017-09-20 2017-11-28 伍硕仪 一种智能垃圾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57A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41359A1 (en) Hot melt systems, feeder devices and methods for moving particulate hot melt adhesive
KR101373321B1 (ko) 애완동물 자동먹이 공급장치
KR102069378B1 (ko)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JP6417010B2 (ja) 医薬品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
US5000641A (en) Refuse conveyor system
US9470368B2 (en) Adhesive buffer unit and associated fill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moving adhesive particulate
US6273153B1 (en) Metering and dispensing particulate matter directly into bins
US3765147A (en) Compacting system
TW200414082A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bags
KR101287172B1 (ko) 고층건축물의 쓰레기처리시스템
CN105050460A (zh) 具有阻隔性能的分配装置
US4991912A (en) Refuse storage bin
US3765143A (en) Compacting system and method of compacting
JPWO2006095601A1 (ja) ドライアイス供給装置
EP0159634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ly trapping and processing rats or the like
JPS6487406A (en) Disposing system for dust
JP7299010B2 (ja) エア搬送装置
EP0485988B1 (en) A transport plug for use in pneumatically transporting solid materials and a pneumatic transport method employing the transport plug
KR102343539B1 (ko) 무게측정이 가능한 적재물 투입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적재물 수집장치
KR101198959B1 (ko) 공기압력 차이를 이용한 레이저 프린터 카트리지의 토너 자동 공급 시스템 및 방법
CN114126466A (zh) 配给单元、含水家用电器和方法
CN113939463A (zh) 具备双重门以及空气幕的月台遮蔽物模块
CN215987444U (zh) 一种传动回收装置及自动售药机
KR102362434B1 (ko) 스프레이 캔 제조 장치
KR20190107389A (ko)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