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389A -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 Google Patents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389A
KR20190107389A KR1020180028592A KR20180028592A KR20190107389A KR 20190107389 A KR20190107389 A KR 20190107389A KR 1020180028592 A KR1020180028592 A KR 1020180028592A KR 20180028592 A KR20180028592 A KR 20180028592A KR 20190107389 A KR20190107389 A KR 20190107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air supply
solid
supply unit
density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섭
Original Assignee
이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섭 filed Critical 이재섭
Priority to KR1020180028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7389A/ko
Publication of KR2019010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1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8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by purging the pipe with a gas or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21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means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r for removal of depos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6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 B65G2812/1658Air pressure systems with fluidisation of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체원료가 공급되고, 공급된 고체원료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는 압력용기; 상기 압력용기의 하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유동화가 이루어진 고체연료를 토출시키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와 저장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고체연료를 이송하는 이송배관; 상기 토출부의 하부 일면에 연결 구성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고체원료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에어 공급부; 상기 이송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배관으로 토출되는 상기 고체연료들의 고밀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고밀도화가 이루어진 고체원료들을 저속 이송시키는 제2에어 공급부; 및 상기 이송배관의 내부로 일정량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이송배관의 내부를 세척하는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High-density low-speed feed device for solid}
본 발명은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체원료들 사이의 간극으로 공기를 침투시켜 고체원료들 간의 마찰계수를 현저하게 낮춰 고체원료들 간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체원료의 이송시 배관과의 충돌에너지를 최소화하면서 이송이 가능하게 하고, 압력용기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의 방향과 유량을 제어하여 고체원료의 이송을 저속으로 제어함으로써 이송배관의 내마모를 향상시켜서 사용수명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중이 높고 마모성이 심한 고체원료나 이송시 쉽게 파손되는 커피 알갱이와 같은 원료들은 별도의 압력용기에 일정량 공급한 후, 압축공기를 상기 압력용기의 상부와 측면으로 공급하면서 일시적으로 압력용기의 하부를 개방하여 공기압에 의한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압력용기의 경우 토출압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토출이 이루어지는 하부가 상부에 비해 좁은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원료의 토출시 병목 현상이 발생하면서 마찰력이 증가되어 토출되는 고체원료의 토출량 대비 토출압력이 과도하게 높게 설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출압에 의해 토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 고체원료들이 이송배관과 충돌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체원료와 이송배관 모두가 파손이 발생하여 이송배관의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져만 하고 이로 인한 고체원료의 이송 작업이 정지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압송기는 압력용기에 원료를 충진한후 압력을 최고조로 가하여 일시에 압력용기로부터 토출되어 고속의 입자가 이송배관의 밴드부위와 충돌이 발생하면서 상기 이송배관의 밴드부위를 마모시키므로 이송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5545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압축공기를 하부 및 측면으로 공급하면서 고체원료들 사이의 간극으로 공기를 침투시켜 고체원료들 간의 마찰계수를 현저하게 낮춰 고체원료들 간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체원료의 이송시 배관과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용기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의 방향과 유량을 제어하여 고체원료의 이송을 저속으로 제어함으로써 이송배관의 내마모를 향상시켜서 사용수명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공기 유량으로 고체원료의 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원료이송을 위한 컴프레서 용량을 최소할 수 있는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배관의 밴드부위에 충격 완화배관을 더 구성함으로써, 이송배관의 밴드부위에서 마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체원료가 공급되고, 공급된 고체원료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는 압력용기; 상기 압력용기의 하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유동화가 이루어진 고체연료를 토출시키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와 저장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고체연료를 이송하는 이송배관; 상기 토출부의 하부 일면에 연결 구성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고체원료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에어 공급부; 상기 이송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배관으로 토출되는 상기 고체연료들의 고밀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고밀도화가 이루어진 고체원료들을 저속 이송시키는 제2에어 공급부; 및 상기 이송배관의 내부로 일정량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이송배관의 내부를 세척하는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용기의 상부에는 공급호퍼와 연결되어 상기 고체원료의 공급여부 및 공급량을 제어하는 원료 공급부와,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잔존하는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벤트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에어 공급부는 상기 원료 공급부에 의해 상기 고체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질 때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토출부로 이동하는 고체원료들의 유동화가 지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에어 공급부는 상기 제2에어 공급부의 개방, 또는 폐쇄 작동이 이루어진 이후에 개방, 또는 폐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에어 공급부는 개방 작동시 이에 대한 개방 신호를 상기 원료 공급부로 전송하여 일정량의 고체원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리닝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에어 공급부의 폐쇄 작동시 구동하도록 제어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제2에어 공급부와 상기 제1에어 공급부가 순차적으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배관에는 일정 길이 마다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외주면으로 실리콘 재질의 충격 완화부재가 형성된 밴드부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격 완화부재는 상기 밴드부에 편심되게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체원료들 사이의 간극으로 공기를 침투시켜 고체원료들 간의 마찰계수를 현저하게 낮춰 고체원료들 간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체원료의 이송시 배관과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이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압력용기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의 방향과 유량을 제어하여 고체원료의 이송을 저속으로 제어함으로써 이송배관의 내마모를 향상시켜서 사용수명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적은 공기 유량으로 고체원료의 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원료이송을 위한 컴프레서 용량을 최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배관의 밴드부위에 충격 완화배관을 더 구성함으로써, 이송배관의 밴드부위에서 마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의 이송배관의 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의 이송배관의 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는 비중이 높고 마모성이 심하거나, 이송시 쉽게 파손되는 커피 알갱이와 같은 고체원료(이하, 원료라고 함.)를 공기압에 의해 저속으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배관(190)과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송 거리가 길게 형성된다 하더라도 고체원료와 이송배관(190) 모두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이송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는 공급호퍼(110)와 연결되어 일정량의 원료들이 공급되는 압력용기(120)와, 상기 압력용기(120)의 하부에 연결 구성되어 일정량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원료들 사이로 소정의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송시 원료들 간의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제1 및 제2에어 공급부(130, 140)와, 원료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배관(190)의 내부를 소정의 공기압으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리닝 수단(160)과, 원료들을 저장탱크(10)까지 이송하는 이송배관(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력용기(120)는 상부로 공급호퍼(110)와 공급배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급배관 연결부(122)와, 공급배관 연결부(122)의 일측으로 압력용기(120)의 내부에 잔존하는 압축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벤트부(220)와 연결되는 벤트 연결부(124)가 구성된다.
이때, 공급배관은 하단부가 공급배관 연결부(122)와 연결되고, 상단부가 공급호퍼(110)와 연결되게 구성되며, 공급되는 원료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원료 공급여부 제어수단(212)과, 공급되는 원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원료 공급량 제어수단(214)으로 구성된 원료 공급부(210)가 구성된다.
여기서, 원료 공급부(210)는 원료의 공급여부 및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3-way, 4-way 제어밸브, 또는 버터플라이 제어밸브로 구성되거나, 공급배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에어 액츄에이터, 캠 어셈블리 등과 같은 제어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원료의 공급여부 및 공급량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벤트부(220)는 배출배관에 의해 상기 벤트 연결부(124)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배관에는 압력용기(120)의 내부에 잔존하는 압축공기의 배출 여부 및 배출량을 제어하는 배출 제어수단(222)이 구성된다.
이때, 배출 제어수단(222)은 상기 원료 공급부(210)에 구성된 제어수단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압력용기(120)는 하부로 공급된 원료들을 토출하는 토출부(126)가 구성된다.
토출부(126)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구성되며, 공급된 원료들측으로 압축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부 일측으로 제1에어 공급부(130)가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원료들을 이송배관(190)측으로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단부에 토출부 개폐수단(128)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압력용기(120)는 공급호퍼(110)로부터 일정량의 원료의 공급이 이루어게 되면, 제1에어 공급부(130)에 의해 압축공기가 압력용기(120)의 측면으로 유입이 이루어지면서 공급되는 원료들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유동화라 함은 압력용기(120)의 상부에서 공급되는 원료들 사이의 간극(공간)으로 토출부(126)에 구성된 제1에어 공급부(130)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침투하면서 원료와 원료 사이의 공간과 원료의 표면 상에 공기층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유동화가 이루어지는 원료들은 공기층에 의해 토출부(126)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이송배관(190)을 통해 이송이 이루어질 때 원료들 간의 충돌, 또는 이송배관(190)의 내주면과의 충돌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토출부(126)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토출부 개폐수단(128)은 통상의 공압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료들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도록 토출부(126)를 폐쇄하거나, 또는 유동화가 이루어진 원료들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토출부(126)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압력용기(120)에는 상부에 구성되어 압력용기(120)로 공급되는 원료의 최대 공급량을 감지하는 상부 리미트 센서(232) 및 공급 및 토출이 이루어진 원료의 최저값을 감지하는 하부 리미트 센서(234)로 이루어지고, 원료 공급부(210)로 감지된 결과값을 전송하여 원료의 공급 여부 및 공급량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리미트 센서(230)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에어 공급부(130)는 상기 압력용기(120)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컴프레셔(180)와 연결된 에어 분배기(170)를 통해 일정량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며, 공급된 압축공기를 토출부(126)의 하부 측면부로 공급하여 원료들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에어 공급밸브(132), 제1에어 공급노즐(134) 및 제1에어 공급배관(13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에어 공급부(130)는 에어 분배기(17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제1에어 공급밸브(132)가 구성된다.
제1에어 공급밸브(132)는 에어 분배기(17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제1에어 공급배관(136)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제1에어 공급노즐(134)은 일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지면서 제1에어 공급배관(136)을 개폐시켜 압축공기의 공급 여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제1에어 공급노즐(134)은 원료 공급부(210)의 작동시 제1에어 공급배관(136)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리미트 센서(232)의 감지가 시작되는 시점에 제1에어 공급배관(136)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원료 공급부(210)에 의해 압력용기(120)의 내부로 원료가 공급됨과 동시에 토출부(126)측으로 일정량의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원료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1에어 공급노즐(134)은 상기 원료 공급부(210)의 작동이 정지하면, 제1에어 공급배관(136)을 폐쇄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하부 리미트 센서(234)가 구동하는 경우, 제1에어 공급배관(136)을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에어 공급노즐(134)은 후술할 제2에어 공급부(140)의 제2에어 공급노즐(144)의 개방, 또는 폐쇄 작동이 이루어진 이후에 개방, 또는 폐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용기(120)와 이송배관(190)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원료의 유동화 및 유동화가 이루어진 원료의 토출이 이루어질 때, 일시적으로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토출부(126)측으로 이동하는 원료들이 계속 유동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원료들의 계속적인 유동화 과정으로 인해 토출부(126)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상기 원료의 유동화 및 토출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에어 공급노즐(134)은 압축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압력용기(12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거나, 또는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에어 공급부(140)는 유동화가 이루어진 원료들이 이송배관(190)을 통해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원료들로 소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원료들의 고밀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고밀도화가 이루어진 원료들의 저속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에어 공급밸브(142), 제2에어 공급노즐(144) 및 제2에어 공급배관(146)으로 구성된다.
제2에어 공급밸브(142)는 에어 분배기(17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제2에어 공급배관(146)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제2에어 공급노즐(144)은 일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지면서 제2에어 공급배관(146)을 개폐시켜 이송배관(190)으로 압축공기의 공급 여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동화가 이루어진 원료의 고밀도화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이송배관(190) 내에서 저속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제2에어 공급노즐(144)은 제2에어 공급밸브(142)의 개방, 또는 폐쇄 작동시 함께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개방 작동시 이에 대한 개방 신호를 원료 공급부(210)로 전송하여 일정량의 원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원료 공급부(210)는 상부 리미트 센서(232)로부터 압력용기(120)의 내부에 저장된 원료의 공급량을 파악하여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제2에어 공급부(140)의 구동시 이에 대한 구동신호가 원료 공급부(210)로 전송되어 일정량의 원료가 압력용기(120)의 내부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원료가 압력용기(120)의 내부로 공급되면, 제1에어 공급부(130)가 구동하면서 공급되는 원료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토출부 개폐수단(128)에 의해 토출부(126)의 하단부가 개방되면, 제1에어 공급부(130)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여 유동화가 이루어진 원료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이때 제2에어 공급부(140)는 계속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있으므로, 원료들이 이송배관(190)으로 토출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에어 공급노즐(144)은 제1에어 공급노즐(134)의 개방, 또는 폐쇄 작동이 이루어진 이후에 개방, 또는 폐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 수단(160)은 원료의 이송이 이루어진 이후, 이송배관(190)의 내부로 일정량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송배관(190)의 내부를 세척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클리닝 에어 공급밸브(162), 클리닝 공급노즐(164) 및 클리닝 공급배관(166)으로 구성된다.
클리닝 공급밸브(162)는 에어 분배기(17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클리닝 공급배관(166)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클리닝 공급노즐(164)은 일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지면서 클리닝 공급배관(166)을 개폐시켜 이송배관(190)의 세척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클리닝 공급노즐(164)은 제2에어 공급부(140)의 제2에어 공급노즐(144)의 폐쇄 작동이 이루어진 이후에 구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클리닝 공급노즐(164)의 구동이 정지하면, 상기 제2에어 공급노즐(144)의 개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원료의 이송이 완료된 이후에 이송배관(190)의 세척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송배관(190)의 세척이 완료되면, 제2에어 공급부(140)와 제1에어 공급부(130)가 순차적으로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원료의 유동화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내지 클리닝 수단(130, 140, 160)은 연속적으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송배관(190)은 일측 끝단부가 토출부(126)와 연결되고, 타측 끝단부가 저장탱크(10)와 연결되어 유동화가 이루어진 원료들을 이송하는 것으로, 일측으로 제2에어 공급부(140)의 제2에어 공급배관(146)이 연결되어 압축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송배관(190)에는 제2에어 공급배관(146)과 클리인 에어 공급배관(166) 사이에 개폐 제어밸브(240)가 더 구성되어 이송배관(190) 내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 여부 및 공급량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배관(190)은 일정 길이 마다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밴드부(192)가 구성된다.
밴드부(192)는 복수의 이송배관(190)을 연결하는 엘보우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주면으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충격 완화부재(194)가 감싸지게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충격 완화부재(194)는 밴드부(192)에만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직선 형태의 이송배관(190)의 외주면에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충격 완화부재(194)는 밴드부(192)의 내측 곡률부(R1)와 외측 곡률부(R2)에 서로 다른 두께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192)와 충격 완화부재(194)는 서로 편심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향할수록 충격 완화부재(194)의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구성하되, 하부의 두께(L1)과 상부의 두께(L2)가 1:3의 비율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이송중인 원료가 밴드부(192)에 진입하면서 외측 곡률부(R2)와 먼저 충돌이 이루어진 후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송 중에서 내측 곡률부(R1) 보다 외측 곡률부(R2)와의 충돌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충격 완화부재(194)는 외측 곡률부(R2)가 내측 곡률부(R1) 보다 더 두꺼운 상태로 밴드부(192)에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공급호퍼 120: 압력용기
130: 제1에어 공급부 140: 제2에어 공급부
160: 클리닝 수단 170: 에어 분배기
180: 컴프레셔 190: 이송배관
210: 원료 공급부 220: 벤트부
230: 리미트 센서 240: 개폐 제어밸브

Claims (8)

  1. 고체원료가 공급되고, 공급된 고체원료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는 압력용기;
    상기 압력용기의 하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유동화가 이루어진 고체연료를 토출시키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와 저장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고체연료를 이송하는 이송배관;
    상기 토출부의 하부 일면에 연결 구성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고체원료의 유동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에어 공급부;
    상기 이송배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배관으로 토출되는 상기 고체연료들의 고밀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고밀도화가 이루어진 고체원료들을 저속 이송시키는 제2에어 공급부; 및
    상기 이송배관의 내부로 일정량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이송배관의 내부를 세척하는 클리닝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의 상부에는 공급호퍼와 연결되어 상기 고체원료의 공급여부 및 공급량을 제어하는 원료 공급부와,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잔존하는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벤트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 공급부는 상기 원료 공급부에 의해 상기 고체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질 때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토출부로 이동하는 고체원료들의 유동화가 지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 공급부는 상기 제2에어 공급부의 개방, 또는 폐쇄 작동이 이루어진 이후에 개방, 또는 폐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에어 공급부는 개방 작동시 이에 대한 개방 신호를 상기 원료 공급부로 전송하여 일정량의 고체원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에어 공급부의 폐쇄 작동시 구동하도록 제어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제2에어 공급부와 상기 제1에어 공급부가 순차적으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배관에는 일정 길이 마다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외주면으로 실리콘 재질의 충격 완화부재가 형성된 밴드부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재는 상기 밴드부에 편심되게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KR1020180028592A 2018-03-12 2018-03-12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KR20190107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592A KR20190107389A (ko) 2018-03-12 2018-03-12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592A KR20190107389A (ko) 2018-03-12 2018-03-12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389A true KR20190107389A (ko) 2019-09-20

Family

ID=6806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592A KR20190107389A (ko) 2018-03-12 2018-03-12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73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1626A (zh) * 2020-10-09 2021-01-08 山东国舜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流化风管道的除尘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545B1 (ko) 2016-04-12 2018-01-05 토바피엔씨(주) 공압식 재료 이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545B1 (ko) 2016-04-12 2018-01-05 토바피엔씨(주) 공압식 재료 이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1626A (zh) * 2020-10-09 2021-01-08 山东国舜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流化风管道的除尘装置
CN112191626B (zh) * 2020-10-09 2021-12-03 山东国舜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流化风管道的除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1518A (en) Automatic pneumatic feeder
KR101890551B1 (ko) 용기뚜껑 제조장치
JP2012501936A (ja) 空気式材料搬送システムの方法及び構成
CN110606321A (zh) 一种用于胶带输送机转载点的溜槽装置
KR20190107389A (ko)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US5971690A (en) Parts distribution apparatus
CN101495363A (zh) 用于从船上卸载散装材料的系统和方法
US20130256090A1 (en) Gravity chute
US201201070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flowable solid material
US9038808B2 (en) Method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products and a low pressure storage device therefor
AU2018102130A4 (en) Air blaster
KR101815545B1 (ko) 공압식 재료 이송 시스템
CN111661657A (zh) 使用真空输送机的粉体自动输送系统
CN214569300U (zh) 一种粉料卸船机设备
CN115504279A (zh) 一种粉煤灰的存储与输送一体化系统及方法
JP5561990B2 (ja) ニューマチックアンローダの先端ノズル用荷役促進装置
CN211495545U (zh) 一种用于胶带输送机转载点的溜槽装置
KR102004860B1 (ko)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WO1982000992A1 (en) Conveying of bulk materials
CN114476710A (zh) 一种用于粉粒料散货的卸料系统
JPH06183540A (ja) スクリュコンベヤ装置
CN208100768U (zh) 一种搅拌站料仓全自动智能操控安全上料装置
KR101072012B1 (ko) 너트 정렬 장치
CN208790344U (zh) 原煤仓气动旋切式清堵设备
JPH07309411A (ja) 固形物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