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860B1 -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860B1
KR102004860B1 KR1020190032791A KR20190032791A KR102004860B1 KR 102004860 B1 KR102004860 B1 KR 102004860B1 KR 1020190032791 A KR1020190032791 A KR 1020190032791A KR 20190032791 A KR20190032791 A KR 20190032791A KR 102004860 B1 KR102004860 B1 KR 102004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hopper
materials
material supply
transf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도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3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23Wear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2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21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means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r for removal of depos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분체, 펠릿(Pellet) 등의 형태를 갖는 원료를 이송함으로써, 전체 설비의 제작 및 설치와 운용 상의 공간활용도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공압을 이용하여 원료를 이송함에 있어, 원료에 의한 이송라인(관체)의 마모 및 손상, 이송라인 내부에서의 과도한 원료 적체 등으로 인한 이송효율의 감소 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용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가 보관 및 혼합되는 각 호퍼의 내부에, 부가적인 공기 분사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원료의 배출, 이송, 공급 및 혼합 등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원료 이송 분야 및 원료 이송용 설비 분야, 특히 공압과 이송관을 이용한 원료의 이송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Material supply system using pneumatic}
본 발명은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분체, 펠릿(Pellet) 등의 형태를 갖는 원료를 이송함으로써, 전체 설비의 제작 및 설치와 운용 상의 공간활용도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공압을 이용하여 원료를 이송함에 있어, 원료에 의한 이송라인(관체)의 마모 및 손상, 이송라인 내부에서의 과도한 원료 적체 등으로 인한 이송효율의 감소 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용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제조공정에서 원료 및 중간제조물 등을 이송하는 방법으로는, 일정한 거리를 자동 및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반도체 웨이퍼 및 소자 등을 이송하는 자동제어방식의 로봇 운반 시스템, 분말이나 분체, 펠릿(Pellet) 등의 형태를 갖는 원료를 공압방식으로 운반하는 시스템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의 경우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컨베이어의 특성상 이송라인이 직선으로 배치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원료 및 중간품의 이송라인의 구성, 설비나 장치 등의 배치에 따른 공간활용도에 제약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압을 이용한 이송관으로 원료를 이송방식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이송라인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컨베이어 시스템과 같은 구조적 제약을 최소화하며, 설비의 제작 및 운용상에서 자유도 및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7085호 '혼합 분말 제조용 원료 공급 장치'는, 혼합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를 보관하였다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것으로,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라인을 구성함에 있어, 평면상에서 다양한 배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의 이송에 대해서도 구조적 제약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이송관을 통해 원료를 공급하는 경우, 이송관 내부에 원료가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선행기술에서는 이송관의 외측으로 일정간격마다 세척도어를 구성하고, 내부 오염 등을 확인하여 세척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세척도어가 구성될 경우, 이송관의 밀폐성이 저하되어 원료의 운송능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송관을 통해 원료를 공급하는 경우, 공압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가 이송관의 내측벽, 특히 곡선부분에서 내측벽에 충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송관의 내측벽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며, 심한 경우 크랙(Crack)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송관의 곡선부는 앞서 설명한 원료의 적체 현상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송관을 통해 원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이송라인에 곡선부 등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7085호 '혼합 분말 제조용 원료 공급 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분체, 펠릿(Pellet) 등의 형태를 갖는 원료를 이송함으로써, 전체 설비의 제작 및 설치와 운용 상의 공간활용도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압을 이용하여 원료를 이송함에 있어, 원료에 의한 이송라인(관체)의 마모 및 손상, 이송라인 내부에서의 과도한 원료 적체 등으로 인한 이송효율의 감소 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용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가 보관 및 혼합되는 각 호퍼의 내부에, 부가적인 공기 분사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원료의 배출, 이송, 공급 및 혼합 등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은, 원료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료저장호퍼; 상기 원료저장호퍼로부터 이송된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호퍼; 및 공압방식으로 상기 원료저장호퍼에서 원료공급호퍼로 원료를 이송하는 원료이송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원료이송라인은, 곡선부의 적어도 일부에 마모방지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료이송라인은, 상기 곡선부의 아웃코스(Out course)측 내측곡면에 세라믹라이닝 방식으로 상기 마모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이송라인은, 상기 곡선부에 적어도 하나의 원료적체용 리브(Rib)가 구성되어 상기 마모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이송라인은, 상기 곡선부에 적어도 하나의 원료적체용 스쿱(Scoop)이 구성되어 상기 마모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쿱에는, 원료의 이송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저장호퍼는,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 공기를 분사하여, 경사면에 적재된 원료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용 분사노즐;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공급호퍼는, 내측 공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료이송라인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원료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된 원료를 상부로 분사하여 고르게 확산시키는 원료분사구;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공급호퍼는, 내측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료분사구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원료분사구에서 분사된 공기와 섞이면서 와류를 형성하는 혼합유도용 분사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공급호퍼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원료공급호퍼로 이송된 원료를 정량 및 정속으로 배출하도록 동작되는 정량공급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원료공급호퍼에서 공급된 원료를 크기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선별하는 진동선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분체, 펠릿(Pellet) 등의 형태를 갖는 원료를 이송함으로써, 전체 설비의 제작 및 설치와 운용 상의 공간활용도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압을 이용하여 원료를 이송함에 있어, 원료에 의한 이송라인(관체)의 마모 및 손상, 이송라인 내부에서의 과도한 원료 적체 등으로 인한 이송효율의 감소 등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송관의 곡선부에 대하여, 세라믹라이닝(Ceramic lining)에 의한 마모방지부를 형성하거나, 별도의 구조를 통해 원료의 일부를 상시적으로 적체시켜 이송되는 원료가 이송관의 내측벽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송관의 구조적 안전성 및 수명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관의 마모를 방지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함으로써, 이송하고자 하는 원료의 종류(분말이나 분체, 펠릿 등)나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설비에 최적화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관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고, 이송라인의 배치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용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가 보관 및 혼합되는 각 호퍼의 내부에, 부가적인 공기 분사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원료의 배출, 이송, 공급 및 혼합 등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원료 이송 분야 및 원료 이송용 설비 분야, 특히 공압과 이송관을 이용한 원료의 이송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원료이송라인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원료이송라인의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원료이송라인의 구체적인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원료저장호퍼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원료공급호퍼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A)은 원료저장호퍼(100), 원료공급호퍼(200) 및 원료이송라인(300)을 포함한다.
원료저장호퍼(100)는 분말, 분체 및 펠릿(Pellet) 등의 형태인 원료를 저장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가 구성되어 어느 하나가 선별되어 사용되거나 복수 개가 연동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시스템을 농장에서 운용하며 사료(원료)를 공급하는데 사용하는 경우, 복수 개의 원료저장호퍼(100)에는 동물별 사료를 종류별로 각각 저장하고, 필요시 어느 하나의 원료저장호퍼(100)에 저장된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 개의 원료를 혼합하고자 하는 경우, 복수 개의 원료저장호퍼(100)에 저장된 원료를 동시에 제공하여 혼합하도록 할 수 있다.
원료공급호퍼(200)는 원료저장호퍼(100)로부터 이송된 원료를 후공정이나 다른 설비에 공급하는 것으로, 이송된 원료를 고르게 확산, 분포, 혼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원료가 이송되는 경우, 원료공급호퍼(200)는 이송된 원료를 고르게 확산시킴으로써, 후공정과 원활하게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 개의 원료가 이송되는 경우, 원료공급호퍼(200)는 이송된 원료들을 고르게 확산 및 혼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원료 공급 시스템(A)은 공압을 이용하여 원료를 운송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원료저장호퍼(100)와 원료공급호퍼(200) 사이에 원료이송라인(300)을 구성할 수 있다.
원료이송라인(300)은 공압방식으로 원료저장호퍼(100)에 보관된 원료를 원료공급호퍼(200)로 이송하는 것으로, 주로 관체인 이송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직선 및 곡선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배치 및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관체인 원료이송라인(3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곡선부에서 원료의 이송에 의한 마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원료이송라인(300)인 관체를 구성하는 곡선부의 적어도 일부에 마모방지부(3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모방지부(31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A)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량공급기(400) 및 진동선별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량공급기(400)는 원료공급호퍼(200)의 하부에 구성되며, 원료공급호퍼(200)로 이송된 원료를 정량 및 정속으로 배출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량공급기(400)의 구성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진동선별기(500)는 정량공급기(400)를 통해 원료공급호퍼(200)에서 공급된 원료를, 진동을 이용하여 크기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선별하는 것으로, 진동선별기(500)의 구조 또한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정량공급기(400) 및 진동선별기(500)는 본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A)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양한 장치로 변경되거나 제거될 수 있으며, 추가되는 다른 장치들과 연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나타난 원료 공급 시스템(A)의 각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원료이송라인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료이송라인(300)의 마모방지부(310)는 세라믹라이닝(Ceramic lining)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공압을 이용하여 원료를 이송할 경우, 원료가 이송되는 원료이송라인(300)의 곡선부, 특히 곡선부의 아웃코스(Out course)측 내측곡면에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곡선부의 아웃코스(Out course)측 내측곡면에 일정한 두께의 세라믹층이 형성되도록 세라믹라이닝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은, 원료이송라인(300)에서 마모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하여, 그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원료이송라인(300)의 마모에 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원료이송라인의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원료이송라인(300)은 마모방지부(310)에 적어도 하나의 원료적체용 리브(Rib)(320)가 구성될 수 있다.
원료적체용 리브(320)는 도 3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원료의 일부를 적체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의 상부에 나타나 바와 같이 원료의 이송방향(도 3에서 실선화살표)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원료이송라인(300)을 통해 원료가 이송되면, 이송되는 원료 중 일부가 도 3의 하부와 같이 원료적체용 리브(320)에 의해 적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료이송라인(300)의 곡선부에 원료의 일부가 적체되면, 다른 원료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원료가 원료이송라인(300)의 내측벽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료이송라인(300)의 마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원료이송라인의 구체적인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원료이송라인(300)은 마모방지부(310)에 적어도 하나의 원료적체용 스쿱(Scoop)(320)이 구성될 수 있다.
원료적체용 스쿱(320)은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원료적체용 리브(320)와 마찬가지로 이송되는 원료의 일부를 적체시키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반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원료이송라인(300)의 곡선부에 원료가 지속적으로 적체된 경우, 해당 원료가 변질될 수 있으며, 변질된 원료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서 원료공급호퍼(2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원료적체용 스쿱(320)에 의해 적체된 원료를 일정시간마다 제거하여 원료공급호퍼(200)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어분사노즐(331)을 구성할 수 있다.
에어분사노즐(331)은 원료의 이송방향(도 3의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원료적체용 스쿱(320)에 의해 적체된 원료가 원료이송라인(300)을 통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원료이송라인(300)의 곡선부에 원료를 적체시켜 원료이송라인(300)의 마모를 방지함에 있어, 적체된 원료를 지속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원료의 변질 및 그로 인해 유발되는 각종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료저장호퍼(100) 및 원료공급호퍼(200)는 하부의 형상이 고깔모양으로 형성되므로, 보관(저장)된 원료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원료저장호퍼(100) 및 원료공급호퍼(200)에 보관된 원료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원료저장호퍼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원료저장호퍼(100)에는 배출유도용 분사노즐(113)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원료저장호퍼(100)는 원료를 저장하는 호퍼(110)와, 호퍼(1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장치(12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에어공급장치(120)의 압축공기는 에어호스(121)를 통해 배출유도용 분사노즐(113)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에어호스(121)의 종단부에는 호퍼(110)의 결합구(112)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노즐(130)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사용자)가 에어호스(121)의 연결노즐(130)을 결합구(112)에 결합한 상태에서 에어공급장치(120)를 동작시키게 되면, 에어공급장치(120)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에어호스(121)를 통해 연결노즐(130)이 결합된 결합구(112)와 연결되는 배출유도용 분사노즐(113)에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유도용 분사노즐(113)에서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분사된 공기가 호퍼(110)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확산(도 5에서 실선화살표)되면서, 고깔형태의 경사면에 적재된 원료가 투입관(111)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어 원료공급호퍼(200)로 투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원료공급호퍼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원료공급호퍼(200)는 원료분사구(220) 및 혼합유도용 분사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원료공급호퍼(200)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210)와 몸체(210) 하부에 구성되는 투입호퍼(2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210)의 내부에는 원료분사구(220) 및 혼합유도용 분사구(230)가 구성될 수 있다.
원료분사구(220)는 앞서 설명한 원료이송라인(300)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원료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된 원료를 상부로 분사하여 고르게 확산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료분사구(220)는 원료이송라인(300)을 통해 공급된 원료가 일정부분에 과도하게 적재되는 것을 방지하고, 몸체(210) 및 투입호퍼(211) 내부에서 고르게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료분사구(220)는 몸체(210)의 내측 공간부 하부에 구성되어, 상부방향으로 원료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원료가 공급되는 경우, 원료공급호퍼(200) 내부에서 복수 개의 원료가 효과적으로 혼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210)의 내측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혼합유도용 분사구(23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몸체(210)의 하부에는 원료분사구(220)가 구성되어 원료가 섞인 공기를 상부로 분사시키고, 몸체(210)의 상부에는 혼합유도용 분사구(230)가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210)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공기가 분사되어 섞이게 되면 와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와류에 의해 이송된 복수 개의 원료가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혼합유도용 분사구(230)에서 분사된 공기는, 혼합된 원료가 투입호퍼(211)에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말이나 분체, 펠릿(Pellet) 등의 형태를 갖는 원료를 공압방식으로 운반하는 시스템에서, 원료 이송시 발생하는 원료이송라인(300)의 마모문제를 효과적을 해결할 수 있다.ㄴ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원료 공급 시스템
100 : 원료저장호퍼
110 : 호퍼 111 : 투입관
112 : 결합구 113 : 배출유도용 분사노즐
120 : 에어공급장치 121 : 에어호스
130 : 연결노즐
200 : 원료공급호퍼
210 : 몸체 211 : 투입호퍼
220 : 원료분사구
230 : 혼합유도용 분사구 231 : 에어펌프
300 : 원료이송라인
310 : 마모방지부 320 : 원료적체용 리브
330 : 스쿱(Scoop) 331 : 에어분사노즐
400 : 정량공급기
500 : 진동선별기

Claims (10)

  1. 원료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료저장호퍼;
    상기 원료저장호퍼로부터 이송된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호퍼; 및
    공압방식으로 상기 원료저장호퍼에서 원료공급호퍼로 원료를 이송하는 원료이송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원료이송라인은,
    곡선부의 적어도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원료적체용 스쿱(Scoop)이 구성된 마모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쿱에는,
    원료의 이송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이송라인은,
    상기 곡선부의 아웃코스(Out course)측 내측곡면에 세라믹라이닝 방식으로 상기 마모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이송라인은,
    상기 곡선부에 적어도 하나의 원료적체용 리브(Rib)가 구성되어 상기 마모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저장호퍼는,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 공기를 분사하여, 경사면에 적재된 원료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용 분사노즐;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호퍼는,
    내측 공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료이송라인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원료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된 원료를 상부로 분사하여 고르게 확산시키는 원료분사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호퍼는,
    내측 공간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료분사구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원료분사구에서 분사된 공기와 섞이면서 와류를 형성하는 혼합유도용 분사구;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호퍼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원료공급호퍼로 이송된 원료를 정량 및 정속으로 배출하도록 동작되는 정량공급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원료공급호퍼에서 공급된 원료를 크기 및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선별하는 진동선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32791A 2019-03-22 2019-03-22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KR102004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91A KR102004860B1 (ko) 2019-03-22 2019-03-22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91A KR102004860B1 (ko) 2019-03-22 2019-03-22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860B1 true KR102004860B1 (ko) 2019-07-29

Family

ID=6748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791A KR102004860B1 (ko) 2019-03-22 2019-03-22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8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479U (ko) * 1994-11-22 1996-06-17 분체 이송용 곡관부의 마모방지구조
WO2012122808A1 (zh) * 2011-03-16 2012-09-20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混凝土输送管弯头
KR101797085B1 (ko) 2017-08-07 2017-11-14 신우식품 주식회사 혼합 분말 제조용 원료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479U (ko) * 1994-11-22 1996-06-17 분체 이송용 곡관부의 마모방지구조
WO2012122808A1 (zh) * 2011-03-16 2012-09-20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混凝土输送管弯头
KR101797085B1 (ko) 2017-08-07 2017-11-14 신우식품 주식회사 혼합 분말 제조용 원료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3167B (zh) 利用真空式填充的粉末泵
CN101495363B (zh) 用于从船上卸载散装材料的系统和方法
CN101421028B (zh) 用于气动地处理粉末状材料的方法和装置
CN105314818A (zh) 用于把由碎片和原料混合物组成的散状物料供料给玻璃熔化设备的方法和用于执行该方法的设备
CN207551371U (zh) 新型矿用粉状或粒状物料气力输送系统
KR102004860B1 (ko) 공압을 이용한 원료 공급 시스템
CN111661657B (zh) 使用真空输送机的粉体自动输送系统
EP0452378A1 (en) APPARATUS FOR PNEUMATIC TRANSPORT OF A PARTICULATE MATERIAL.
CN215755277U (zh) 一种原料场系统
CN204777502U (zh) 一种原料运输装置
CN209758369U (zh) 一种输送皮带气力清扫装置及收尘系统
CN208839518U (zh) 种子混合生产线
JP2563925B2 (ja) 添加剤混入装置
KR101529197B1 (ko) 분진 비산 방지장치
CN107949530A (zh) 用于将支撑剂递送至搅拌机的系统和方法
CN103771139A (zh) 一种高炉煤粉连续给料浓相气力输送系统与工艺
WO2000055073A1 (en) Materials transportation and storage apparatus
JP2604085B2 (ja) 乾式コンクリート吹付装置
KR20190107389A (ko) 고체원료용 고밀도 저속 압송장치
CN105836485B (zh) 圆形煤场卸料机
KR20150137894A (ko) 광물제품 이송장치용 누적, 고착방지장치
CN218748505U (zh) 一种混凝土拌合站
CN104773479B (zh) 一种小直径装药机刮板输送加料设备
CN111659308B (zh) 包括空气吹扫的粉体输送料斗
CN214359125U (zh) 一种砂石自动装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