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197B1 - 분진 비산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분진 비산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197B1
KR101529197B1 KR1020140036914A KR20140036914A KR101529197B1 KR 101529197 B1 KR101529197 B1 KR 101529197B1 KR 1020140036914 A KR1020140036914 A KR 1020140036914A KR 20140036914 A KR20140036914 A KR 20140036914A KR 101529197 B1 KR101529197 B1 KR 101529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hute
dust
water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윤
박동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65G69/188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with spra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0Auxiliary treatments, e.g. aerating, heating, humidifying, deaerating, cooling, de-watering or drying, during loading or unloading; Loading or unloading in a fluid medium other tha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evention Of Fouling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분진 비산 방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료이송라인을 통해 원료를 공급받는 트리퍼카, 트리퍼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 원료 배출구가 형성되어 원료를 적치장으로 배출하는 슈트, 원료를 적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포집하는 비산먼지 포집부, 및 원료의 함수율이 기 설정된 수치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원료에 수분을 공급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분진 비산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분진 비산 방지장치{APPRATUS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DUST}
본 발명은 분진 비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원료를 해상이나 육상을 통해 이송하여 목적지에 최종 적치할 때는 컨베이어 등을 이용하여 이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석회석과 같은 미분 원료를 적치하는 과정에서 상당량의 비산먼지가 발생한다. 또한, 제철소에서 제철 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 등을 적치장에 적치할 때도 이와 유사한 비산먼지가 발생한다.
이러한 비산먼지는 근로자의 작업환경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적치 작업 중 슈트와 같은 적치 설비의 오작동을 야기시키거나 대기 및 수질 오염과 같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설비 등이 요구된다.
관련한 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143408호(2006.06.08, 방풍 펜스 및 그 구축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료를 적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분진 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료이송라인을 통해 원료를 공급받는 트리퍼카; 상기 트리퍼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 원료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원료를 적치장으로 배출하는 슈트; 상기 원료를 적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포집하는 비산먼지 포집부; 및 상기 원료의 함수율이 기 설정된 수치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원료에 수분을 공급하는 살수부를 포함하는 분진 비산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비산먼지 포집부는, 상기 슈트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산먼지를 흡수하는 흡기구; 및 상기 흡기구에 음압 또는 흡입압을 제공하는 감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수부는, 상기 슈트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수치 범위는 5% 내지 7% 일 수 있다.
상기 분진 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원료 배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슈트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충돌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돌판은 상기 원료 배출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환형(ring shap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기구는 상기 충돌판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분진 비산 방지장치는 원료를 적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강제 흡입 방식으로 포집함으로써 상기 비산먼지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분진 비산 방지장치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 비산먼지 발생량이 최소가 되는 최적의 함수율이 유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비산먼지에 의해 설비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원료의 함수율에 따른 비산먼지 발생량 및 작업환경기준치 달성 시간을 비교한 그래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장치(1000)는 트리퍼카(100), 슈트(200), 비산먼지 포집부(300), 살수부(4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치장(10) 등에서는 분진 형태의 비산먼지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분진 형태의 비산먼지는 외기로 배출될 수 있어 대기 및 수질 오염과 같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분진 비산 방지장치(1000)는 원료를 적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강제 흡입 방식으로 포집함으로써 상기 비산먼지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분진 비산 방지장치(1000)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 비산먼지 발생량이 최소가 되는 최적의 함수율이 유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비산먼지에 의해 설비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원료(20)가 석회석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의 원료(20)는 이외에도 제철소 등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원료나 코크스와 같은 부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트리퍼카(tripper car, 100)는 원료이송라인(40)을 통해 원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원료이송라인(40)은 예를 들어 원료(20)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퍼카(100)는 레일과 같은 가이드라인(미도시)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원료(20)를 적치장(10)의 여러 곳으로 분산시켜 적치할 수 있다.
슈트(chute, 200)는 트리퍼카(10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장치이다. 슈트(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에 원료 배출구(210)를 구비하여 트리퍼카(100)로부터 공급되는 원료(20)를 적치장(1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슈트(200)의 내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원료(20)가 통과하는 배출관(220)이 형성될 수 있다.
비산먼지 포집부(300)는 원료(20)를 적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형태의 비산먼지(30)를 포집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비산먼지 포집부(300)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2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비산먼지(30)를 강제흡기방식으로 포집하는 흡기구(310) 및 상기 흡기구(310)에 음압 또는 흡입압을 제공하는 감압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산먼지 포집부(300)는 흡기구(310)를 통해 포집된 비산먼지(30)를 외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흡기관(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기관(3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흡기구(310)와 연통되도록 배출관(220)의 외측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슈트(200)를 횡단면으로 절단할 경우, 배출관(220)은 중심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흡기관(320)은 배출관(220)의 외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록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흡기관(320)의 타단부는 후속 처리 설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속 처리 설비는 사일로(sil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감압기(330)는 흡기관(320)과 연결되어 상기 흡기관(320)에 음압 또는 흡입압을 제공할 수 있다. 감압기(330)로는 예를 들어 펌프(pump) 또는 팬(fa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감압기(3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퍼카(100) 내측에 수용되어 트리퍼카(100)와 같이 연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분진 비산 방지장치(1000)는 원료를 적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30)를 강제 흡입 방식으로 포집함으로써 비산먼지(30)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살수부(400)는 슈트(200)의 배출관(220)을 통해 투하되는 원료(20)의 함수율이 기 설정된 수치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원료(20)에 수분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살수부(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2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410), 및 슈트(200)를 따라 설치되어 노즐(410)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4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수부(400)는 물 공급관(420)을 통해 상기 노즐(41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 저장탱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록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물 저장탱크는 트리퍼카(100) 내측에 탑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410)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노즐(410)은 슈트(200)의 원료 배출구(210)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슈트(200)를 횡단면으로 절단할 경우, 복수의 노즐(410)은 배출관(2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환형(ring shape)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산먼지 발생량이 최소가 되는 최적의 함수율이 유지되도록 상기 기 설정된 수치 범위는 5% 내지 7% 내로 유지될 수 있다.
함수율 (%) 0 3 6
비산먼지 초기 발생농도(mg/m3) 135 62 20
작업환경기준 도달시간(분) 130 105 35
표 1은 원료의 함수율에 따른 비산먼지 발생량 및 작업환경기준치 달성 시간을 비교한 표이며, 도 3은 원료의 함수율에 따른 비산먼지 발생량 및 작업환경기준치 달성 시간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료(20)가 석회석이고, 작업환경기준치가 10 ㎎/㎥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표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원료(20)가 석회석인 경우 함수율이 6%일 때 비산먼지(30)의 초기 발생농도가 함수율이 0%일 때보다 90% 정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작업환경기준치 10 ㎎/㎥에 도달하는 시간도 80% 이상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원료(20)의 무게 대비 수분 함유량이 6% 내외가 되도록 유지함으로써, 비산먼지 발생량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분진 비산 방지장치(1000)는 원료(20)의 종류에 따라 비산먼지 발생량이 최소가 되는 최적의 함수율(본 실시예의 경우, 예를 들어 6%의 함수율)이 유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비산먼지(30)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그 결과 비산먼지(30)에 의해 설비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장치(1000)는 원료 배출구(210)에 인접하도록 슈트(200)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충돌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료 배출구(210)에 인접하도록 충돌판(500)을 슈트(200)의 하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슈트(200)의 원료 배출구(210)를 통해 배출되는 원료(20)가 충돌판(500)과 충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슈트(200)의 원료 배출구(210)에서 배출되는 원료(20)가 충돌판(500)에 충돌됨으로써, 낙하하는 원료(20) 유속이 순간적으로 떨어져 입자가 작은 비산먼지(30)는 흡기구(310)를 통해 포집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원료(20)는 하측으로 낙하하여 적치장(10)에 쌓일 수 있다.
따라서, 비산먼지(30)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산먼지(30)에 의해 설비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충돌판(500)은 원료 배출구(2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환형(ring shape)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슈트(200)를 횡단면으로 절단할 경우, 충돌판(500)은 원료 배출구(2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환형(ring shape)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산먼지 포집부(300)의 흡기구(310)는 충돌판(5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충돌판(500)에 의해 유속이 저하된 비산먼지(30)가 흡기구(310)를 통해 흡기관(320)으로 보다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충돌판(500)이 T자 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충돌판(500)은 L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적치장
20: 원료
30: 비산먼지
40: 원료 이송 라인
1000, 2000: 분진 비산 방지장치
100: 트리퍼카
200: 슈트
210: 원료 배출구
220: 배출관
300: 비산먼지 포집부
310: 흡기구
320: 흡기관
330: 감압기
400: 살수부
410: 노즐
420: 물 공급관
500: 충돌판

Claims (7)

  1. 원료이송라인을 통해 원료를 공급받는 트리퍼카와, 상기 트리퍼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 원료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원료를 적치장으로 배출하는 슈트와, 상기 원료를 적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포집하는 비산먼지 포집부 및 상기 원료의 함수율이 기 설정된 수치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원료에 수분을 공급하는 살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슈트의 내측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원료가 통과하는 배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비산먼지 포집부는 상기 슈트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산먼지를 흡수하는 흡기구; 및
    상기 흡기구에 음압 또는 흡입압을 제공하는 감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비산먼지 포집부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포집된 비산먼지를 외부로 이송하는 흡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흡기관은 상기 흡기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슈트의 내측에서 상기 배출관의 외측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살수부는 상기 슈트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원료 배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슈트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충돌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충돌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비산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수치 범위는 5% 내지 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비산 방지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은 상기 원료 배출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환형(ring shape)을 형성하는 분진 비산 방지장치.
  7. 삭제
KR1020140036914A 2014-03-28 2014-03-28 분진 비산 방지장치 KR101529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914A KR101529197B1 (ko) 2014-03-28 2014-03-28 분진 비산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914A KR101529197B1 (ko) 2014-03-28 2014-03-28 분진 비산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197B1 true KR101529197B1 (ko) 2015-06-17

Family

ID=5351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914A KR101529197B1 (ko) 2014-03-28 2014-03-28 분진 비산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1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3915A (zh) * 2019-03-08 2019-05-10 上海宝钢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降尘的料仓放料方法及装置
KR102109494B1 (ko) * 2019-05-15 2020-05-12 주식회사 동연중공업 하역기용 살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380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제철 원료 하역장치
KR20130030969A (ko) * 2011-09-20 2013-03-28 (주)태영인더스트리 하역용 분진 비산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380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제철 원료 하역장치
KR20130030969A (ko) * 2011-09-20 2013-03-28 (주)태영인더스트리 하역용 분진 비산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3915A (zh) * 2019-03-08 2019-05-10 上海宝钢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降尘的料仓放料方法及装置
KR102109494B1 (ko) * 2019-05-15 2020-05-12 주식회사 동연중공업 하역기용 살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28461B (zh) 铣刨机及其除尘系统
KR101770024B1 (ko) 벨트컨베이어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JP6551951B2 (ja) 空気を用いた穀物搬送装置
KR101529197B1 (ko) 분진 비산 방지장치
WO2011030652A1 (ja) 鋼板のショットブラスト方法およびその設備
CN104968479A (zh) 用于分割板状工件的板分割设备
EP1367176A1 (en) Dust control system for a road working machine
JP5644582B2 (ja) 粉粒体搬送時の発塵抑制方法
CN206051046U (zh) 一种洒水除尘系统
WO2015072935A1 (en) Cotton feeding unit
KR101603170B1 (ko) 공기흡입을 이용한 선반 가공의 칩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0597683B1 (ko) 대형 공작기계용 가공칩 처리 시스템
CN211136795U (zh) 一种循环水喷淋除尘的喷砂处理系统
JP5599206B2 (ja) 木屑ピットの粉塵飛散抑止装置
CN106984238A (zh) 一种可控速多功能混合机
CN206607033U (zh) 煅烧焦加工处理系统
KR20170141627A (ko) 미곡처리장용 투입호퍼
CN210058557U (zh) 一种除尘环保型破碎设备
KR101914342B1 (ko)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KR20120001229A (ko) 분진 처리장치
KR101888407B1 (ko) 성형탄 제조장치
CN219965327U (zh) 工件防锈吹风装置
CN210964962U (zh) 一种清洁防尘石灰石配料库
CN219099733U (zh) 一种沥青搅拌站用的上料装置
CN211053465U (zh) 一种防止给料堵塞的喷砂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