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930Y1 -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930Y1
KR200407930Y1 KR2020050030949U KR20050030949U KR200407930Y1 KR 200407930 Y1 KR200407930 Y1 KR 200407930Y1 KR 2020050030949 U KR2020050030949 U KR 2020050030949U KR 20050030949 U KR20050030949 U KR 20050030949U KR 200407930 Y1 KR200407930 Y1 KR 200407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ash
blocking element
water supply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태현
Original Assignee
배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태현 filed Critical 배태현
Priority to KR2020050030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9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9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dust or loosely-baled or loosely-piled materials, e.g. in silos, in chimne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65F1/143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having a waste receptacle withdrawn upon opening of the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통내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로부터 화재가 발생할 경우 내주벽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흘러내리도록 하여 화재를 사전에 예방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내부에 수납실을 갖춘 몸통으로 이루어지는 쓰레기통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몸통의 내주연에 물이 담수될 수 있도록 하는 물저장부를 갖도록 하는 차단요소와;
상기 차단요소에 물저장부와 연통시켜 물이 수납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요소와;
상기 차단요소의 내주면에 물공급요소를 긴밀히 밀폐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밀폐요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The dustbin to have a fire automatic digestion facility}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쓰레기통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도.
도 3 은 도2의 A부 확대도.
도 4 는 본 고안이 쓰레기통에 뚜껑이 덮여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쓰레기통 20:몸통
21:수납실 40:물저장부
50:차단요소 60:물공급요소
70:밀폐요소
본 고안은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쓰레기통내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로부터 화재가 발생할 경우 내주벽에 저장되어 있던 물 이 흘러내리도록 하여 화재를 사전에 예방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은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공공장소 및 길거리 등등 다양한 장소에 배치시켜 사용 후 버려지게 되는 쓰레기를 버리도록 하여 쓰레기에 의해 주변이 더렵혀지지 않도록 하여 환경을 깨끗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청소가 수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쓰레기통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사용용도와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제작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주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쓰레기통은 내용물이 담겨 질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상태의 수용부만을 갖추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통은 단순히 수납부내에 각종의 쓰레기를 담아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용용도와 설치 위치에 각기 다른 형태의 뚜껑을 덮어 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쓰레기통내에 버려진 불씨가 완전히 꺼지지 않은 담배, 또는 성냥 그리고, 호기심에 의해 불꽃을 점화시켜 준 내용물을 쓰레기통내에 버려줄 경우 상기 쓰레기통내에 담겨져 있는 다른 쓰레기를 태우게 되어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안전의 위협을 느끼게 하게 되는 것이고, 특히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고 있는 쓰레기통일 경우에는 화재시의 열기에 의해 쓰레기와 함께 소각되어 주변의 다른 쓰레기 또는 주변의 시설물 등에 쉽게 옮겨 붙어 돌이킬 수 없는 안전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쓰레기통내에 담배불이나 성냥불 또는 호기심에 의해 불꽃이 점화된 내용물이 투입되어 수납되어 있는 다른 쓰레기에 불꽃이 옮겨붙어 화재가 발생 될 경우 쓰레기통의 내주벽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자동으로 쓰레기가 담겨져 있는 수납부내로 공급되도록 하여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내부에 수납실을 갖춘 몸통으로 이루어지는 쓰레기통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몸통의 내주연에 물이 담수될 수 있도록 하는 물저장부를 갖도록 하는 차단요소와;
상기 차단요소에 물저장부와 연통시켜 물이 수납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요소와;
상기 차단요소의 내주면에 물공급요소를 긴밀히 밀폐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밀폐요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쓰레기통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인 쓰레기통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측 단면도로서, 쓰레기통(10)은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내부에 수납실(21)을 갖는 몸통(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쓰레기통(10)은 사용용도와 설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와 크기를 갖게 되는 것이고, 재질 또한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몸통의 상면에는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뚜껑(30)이 덮여져 사용될 수도 있고, 뚜껑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쓰레기통은 종래와 동일한 것이며, 다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쓰레기통(10)을 이루는 몸통(20)의 내주연에 물이 담수될 수 있도록 하는 물저장부(40)를 갖도록 하는 차단요소(50)를 갖추게 되는데, 이때 상기 차단요소는 물저장부내에 담수되어진 물이 수납실(21)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쓰레기통을 제작시 몸통과 일체로 사출성형시켜 줄 수도 있고, 몸통(20)과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이나 다른 접합수단에 의해 긴밀하게 접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요소(50)에는 물저장부(40)와 연통 되어 물이 수납실(21)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요소(60)를 갖추어 준다.
이때, 상기 물공급요소(60)는 차단요소(50)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시켜 주어 화재가 발생시 빠른 시간내에 물저장부(40)내에 담수되어 있는 물이 물공급요소(60)를 통해 수납실(21)내로 공급이 이루어져 불꽃을 소각시켜 줄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물저장부내에 담수 되는 물을 화재가 발생시에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물저장부내에 담수 되어 있는 물이 수납실(21)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차단요소(50)에 갖추어져 있는 물공급요소(60)를 밀폐시 켜 주게 되는데, 이는 상기 차단요소(50)의 내주면에 밀폐요소(70)를 부착시켜 준 구성이다.
이때, 상기 밀폐요소(70)는 물에는 강하여 물저장부(40)내에 담수 되어 있는 물이 물공급요소(60)를 통해 밀폐요소(70)에 접촉이 이루어지더라도 아무런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오랜기간 사용하더라도 물에 의해 밀폐요소가 임의로 찢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고, 소정온도 이상의 불꽃이 가해질 경우에는 쉽게 녹을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화재시에는 상기 밀폐요소가 녹으므로서, 물공급요소(60)를 통해 물저장부(40)내의 물이 수납실(21)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폐요소(70)는 차단요소(50)의 내주면 전면에 부착시켜 줄 수도 있고, 물공급요소(60)가 있는 부분에만 개별적으로 부착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인 쓰레기통(10)은 차단요소(50)의 내주면에 밀폐요소(70)가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어 물저장부(40)내에 담수 되어 있는 물이 물공급요소(60)를 통해 수납실(21)내로 유입되지 않고 담수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쓰레기통(10)을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시켜 주게되면 주변을 지나치는 사람이 버리고자 하는 쓰레기를 수납실(21)내에 버리면 되는 것이고, 사용도중 수납실(21)내로 불씨가 완전히 꺼지지 않은 담배불이나 성냥불이 투입되거나, 어린 아이들이 호기심에 불이 붙은 종이 등을 투입시켜 줄 경우 수납실(21)내에 수납되어 있는 다른 내용물에 불길이 옮겨 붙어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화재가 발생할 경우 불길에 의한 열기 및 불꽃에 의해 차단요소(5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는 밀폐요소(70)가 다른 쓰레기와 함께 타거나 녹아 버림으로서 차단되어 있던 물공급요소(60)가 개방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물공급요소가 개방됨에 따라 물저장부(40)내에 담수되어 있는 물이 물공급요소(60)를 통해 수납실(21)내로 유입 되므로서 쓰레기를 태워주고 있던 불꽃을 화재 초기에 진압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쓰레기통(10)의 몸통(20)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몸통(20)의 상면에 덮여지는 뚜껑에도 적용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의 저면 내주연부에 물저장부(40a)를 갖도록 하는 차단요소(50a)를 갖추고, 상기 차단요소의 바닥면에는 수납실(21)과 연통시켜 물이 흘러내릴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요소(60a)를 갖추며, 상기 물저장부의 저면에는 물공급요소를 밀페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밀폐요소(70a)를 갖추어준 상태에서 사용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쓰레기통의 내주연에 물이 담수될수 있는 물저장부를 갖추어 주고, 화재시에만 상기 물저장부내에 담수 되어 있는 물이 쓰레기로 뿌려져 화재 초기에 불꽃을 자동으로 진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므로 서, 화재로 인한 안전사고 및 귀중한 인명사고를 사전에 예방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내부에 수납실을 갖춘 몸통으로 이루어지는 쓰레기통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몸통의 내주연에 물이 담수될 수 있도록 하는 물저장부를 갖도록 하는 차단요소와;
    상기 차단요소에 물저장부와 연통시켜 물이 수납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요소와;
    상기 차단요소의 내주면에 물공급요소를 긴밀히 밀폐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밀폐요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
  2.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내부에 수납실을 갖춘 몸통을 갖추고, 상기 몸통의 상면에 덮여지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쓰레기통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물이 담수될 수 있도록 하는 물저장부를 갖도록 하는 차단요소와;
    상기 차단요소에 물저장부와 연통시켜 물이 수납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요소와;
    상기 차단요소의 내주면에 물공급요소를 긴밀히 밀폐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밀폐요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
KR2020050030949U 2005-11-01 2005-11-01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 KR2004079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949U KR200407930Y1 (ko) 2005-11-01 2005-11-01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949U KR200407930Y1 (ko) 2005-11-01 2005-11-01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930Y1 true KR200407930Y1 (ko) 2006-02-07

Family

ID=4448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949U KR200407930Y1 (ko) 2005-11-01 2005-11-01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9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957A (ko) * 2018-04-09 2019-10-17 제주특별자치도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KR102392973B1 (ko) 2022-03-25 2022-04-29 김영광 인화성 폐기물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957A (ko) * 2018-04-09 2019-10-17 제주특별자치도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KR102069378B1 (ko) 2018-04-09 2020-01-22 제주특별자치도 소화기능을 가지는 적재물 수집장치
KR102392973B1 (ko) 2022-03-25 2022-04-29 김영광 인화성 폐기물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559352A (en) Ash container
CN108238386A (zh) 一种防火除异味塑料垃圾桶
KR200407930Y1 (ko) 화재 자동소화 기능을 갖춘 쓰레기통
CN203127553U (zh) 防火垃圾箱
US4250967A (en) Safety trash container having a movable closure and an extinguishant
US7070003B1 (en) Canister fire extinguishing assembly
CN104309968A (zh) 一种防火垃圾桶
CN204237068U (zh) 一种防火垃圾桶
US4073401A (en) Heat activated fire-safe cover assembly
US2001360A (en) Trash burner
CN210557105U (zh) 一种具有防火功能的垃圾箱
GB2129868A (en) Fire proof letter box
KR102180417B1 (ko) 화재진압 쓰레기통
JP2004321442A (ja) 消火方法とその消火装置
CA2110948A1 (en) Cigarette snuffer
JP3263922B2 (ja) ごみ箱用消火具
RU2171U1 (ru) Сигаретотушитель
US1487651A (en) Garbage receptacle and incinerator
KR100840354B1 (ko) 스탠드형 재떨이
JPH0317415A (ja) 密封式焼却炉
KR200223630Y1 (ko) 휴대용 스티로폼 융해기
FI121660B (fi) Palosuojalla varustettu keräysastia
KR100432705B1 (ko) 소화용 물주머니가 내장된 쓰레기통
US1100837A (en) Combined fire-bucket and waste-can.
US20080169296A1 (en) Fire-safe disposal bags for smokers' recepta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