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325B1 -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4325B1 KR102604325B1 KR1020230027676A KR20230027676A KR102604325B1 KR 102604325 B1 KR102604325 B1 KR 102604325B1 KR 1020230027676 A KR1020230027676 A KR 1020230027676A KR 20230027676 A KR20230027676 A KR 20230027676A KR 102604325 B1 KR102604325 B1 KR 1026043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vehicle
- fire
- fork
- main body
- entranc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511 endothel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81—Remote contr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ongitudinally mov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6—Side shift, i.e. both forks move together sideways relative to fork support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의 화재 발생 시 전기자동차를 화재진압용 수조에 저장된 물에 침지시켜 소화기나, 소방호스를 이용한 종래의 화재 진압 방법에 비하여 보다 신속히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은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화재진압용 수조를 설치하는 단계, 이송장치를 제어하여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견인한 후, 화재진압용 수조에 형성된 출입구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의 내부로 진입하여 전기자동차를 언로딩하는 단계, 이송장치가 전기자동차를 언로딩 후 출입구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의 외부로 이동되면, 출입구를 폐쇄하는 단계, 화재진압용 수조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를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 및 화재진압용 수조의 상부를 방염커버로 차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은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화재진압용 수조를 설치하는 단계, 이송장치를 제어하여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견인한 후, 화재진압용 수조에 형성된 출입구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의 내부로 진입하여 전기자동차를 언로딩하는 단계, 이송장치가 전기자동차를 언로딩 후 출입구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의 외부로 이동되면, 출입구를 폐쇄하는 단계, 화재진압용 수조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를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 및 화재진압용 수조의 상부를 방염커버로 차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친환경에너지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자동차 산업에서는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여 유해물질의 발생이 없는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의 차체 바닥에는 다량의 배터리가 배치된다.
이에, 교통사고로 인해 배터리에 큰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배터리가 손상되면서 화재가 발생된다.
배터리에서 화재가 지속될 경우 배터리가 단락되면서 화재의 연쇄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배터리 전체에 화재가 번져 결국 배터리가 폭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에 화재가 발생되면 초기 진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배터리는 차량이 내부에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의 발생 시 소화기나 물을 분사하더라도 화재가 완전히 진압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전기자동차에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를 진압한 후, 견인차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안전한 장소로 운반하였다.
그러나, 이의 경우 화재가 진압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주변 환경이 위험요소에 그대로 노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의 화재 발생 시 전기자동차를 화재진압용 수조에 저장된 물에 침지시켜 소화기나, 소방호스를 이용한 종래의 화재 진압 방법에 비하여 보다 신속히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원격으로 조작되는 이송장치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로 운반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주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은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화재진압용 수조를 설치하는 단계; 이송장치를 제어하여 화재가 발생된 상기 전기자동차를 견인한 후,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에 형성된 출입구를 통해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전기자동차를 언로딩하는 단계; 상기 이송장치가 상기 전기자동차를 언로딩 후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의 외부로 이동되면,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전기자동차를 상기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의 상부를 방염커버로 차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벽부; 및 상기 벽부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전기자동차가 지지되는 평판형상의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서로 연결된 세 개의 벽을 형성하고, 일 측에 상기 출입구가 형성되는 고정부; 및 공기가 미주입되면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고,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한 개의 벽을 형성하여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부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고, 공기가 배출되면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벽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내피; 상기 내피에 접하고, 방염처리된 직물 재질로 형성되는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의 표면에 도포되는 방염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되고, 상기 전기자동차를 하역 및 운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박스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자동차를 승강시키는 리프팅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부 및 상기 리프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이송부 및 상기 리프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본체의 하측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본체를 이송하는 구동휠; 및 상기 본체의 하측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조향신호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본체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조향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전개 및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다단 마스트; 상기 본체와 상기 다단 마스트를 연결하고, 축 방향을 따라 신장되거나 수축되면서 상기 다단 마스트를 가압하여 상기 다단 마스트를 회전시키는 틸트 실린더; 상기 다단 마스트의 전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백레스트; 상기 백레스트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전기자동차를 승강시키는 포크들; 상기 다단 마스트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포크들이 결합된 상기 백레스트를 승강시키는 리프트 실린더; 상기 다단 마스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포크의 상부 공간에 대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획득하는 상부 카메라; 및 상기 다단 마스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포크의 하부 공간에 대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획득하는 하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백레스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 실린더; 상기 백레스트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상기 포크들을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송하는 제2 이송 실린더들; 및 상기 백레스트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상기 포크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는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크는, 상기 백레스트에 결합되는 관형의 제1 포크부; 상기 제1 포크부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포크부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1 포크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 포크부; 및 상기 제1 포크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포크부를 이송하는 신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는, 상기 제1 포크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포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제2 포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탄성 지지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구는, 상기 제2 포크부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제2 포크부가 이동되면 회전되면서 상기 제2 포크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볼; 상기 가이드볼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케이지; 및 상기 볼 케이지를 상기 제2 포크부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화재 발생 시 전기자동차를 화재진압용 수조에 저장된 물에 침지시키므로, 소화기나, 소방호스를 이용한 종래의 화재 진압 방법에 비하여 보다 신속히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이송장치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로 운반한 후 화재진압용 수조 내에서 화재를 진압하므로,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주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화재진압용 수조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는 튜브형 구조로 형성되므로,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화재진압용 수조는 부분적으로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가능하여 팽창된 상태에서도 일부분에 출입구를 형성하여 이송장치의 출입이 가능하므로, 전기자동차를 견인하지 않고도, 이송장치를 통해 신속히 화재진압용 수조의 내부로 옮길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가 화재진압용 수조의 내부에 배치된 후, 방염커버를 이용하여 화재진압용 수조의 상부를 차폐하므로, 산소를 차단하여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이송장치는 원격으로 제어되고, 전기자동차를 리프팅 및 운반하도록 구성되므로, 작업자가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고, 호이스트 장비나 크레인에 비해 보다 신속히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화재진압용 수조의 내부로 옮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수조에 전기자동차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부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와 백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수조에 전기자동차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부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와 백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수조에 전기자동차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C)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이하 '전기자동차(C) 화재 진압 방법'이라 함)은 먼저,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C)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화재진압용 수조(1)를 설치한다(S11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수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재진압용 수조(1)는 벽부(11) 및 바닥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벽부(1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벽부(11)는 고정부(111) 및 개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바닥부(12)의 가장자리에 서로 연결된 세 개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고정부(111)의 일 측에는 이송장치(2)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12)는 공기가 미주입되면 출입구(111A)를 개방하고,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바닥부(12)의 가장자리에 한 개의 벽을 형성하여 출입구(111A)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11)와 개폐부(112)에는 각각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가능한 밸브(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12)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벽부(11)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부(12)의 상면에는 전기자동차(C)가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벽부(1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고, 공기가 배출되면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부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벽부(11)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내피(11A), 내피(11A)에 접하고, 방염처리된 직물 재질로 형성되는 외피(11B) 및 내피(11A)와 외피(11B)의 표면에 도포되는 방염 코팅층(11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자동차(C)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화재진압용 수조(1)가 설치되면, 이송장치(2)를 제어하여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C)를 견인한 후, 화재진압용 수조(1)에 형성된 출입구(111A)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로 진입하여 전기자동차(C)를 언로딩한다(S120).
도 4를 참조하면, 이송장치(2)는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되고, 전기자동차(C)를 하역 및 운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송장치(2)는 박스형태의 본체(21), 본체(21)를 이송하는 이송부(22), 본체(21)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기자동차(C)를 승강시키는 리프팅부(23),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4)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이송부(22) 및 리프팅부(23)를 제어하는 제어부(24) 및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어부(24)를 통해 이송부(22) 및 리프팅부(2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22)는 구동모터(221), 구동휠(222) 및 조향휠(22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221)는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휠(222)은 본체(21)의 하측 전방에 배치되고, 구동모터(221)에 의해 회전되어 본체(21)를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휠(222)은 조향휠(223)에 비하여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조향휠(223)은 본체(21)의 하측 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4)에서 입력된 조향신호에 의해 회전되면서 본체(21)의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리프팅부(23)는 다단 마스트(231), 틸트 실린더(232), 백레스트(233), 포크들(234), 리프트 실린더(235), 상부 카메라(236) 및 하부 카메라(237)를 포함할 수 있다.
다단 마스트(231)는 본체(21)의 전면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단 마스트(231)는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전개 및 절첩될 수 있다.
틸트 실린더(232)는 본체(21)와 다단 마스트(231)를 연결하고, 축 방향을 따라 신장되거나 수축되면서 다단 마스트(231)를 가압하여 다단 마스트(2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백레스트(233)는 다단 마스트(231)의 전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포크들(234)은 백레스트(233)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전기자동차(C)의 하면을 지지하여 전기자동차(C)를 승강시킬 수 있다.
리프트 실린더(235)는 다단 마스트(231)의 후면에 배치되고, 포크들(234)이 결합된 백레스트(233)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부 카메라(236)는 다단 마스트(231)의 상부에 배치되어 포크(234)의 상부 공간에 대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상부 카메라(236)에서 획득된 영상정보를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실시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포크(234)에 지지된 전기자동차(C)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하부 카메라(237)는 다단 마스트(231)의 하부에 배치되어 포크(234)의 하부 공간에 대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하부 카메라(237)에서 획득된 영상정보를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실시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C)를 지지하고 있는 포크(234)의 지지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와 백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백레스트(233)와 포크들(234)은 좌우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리프팅부(23)는 백레스트(233)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 실린더(238)와, 백레스트(233)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포크들(234)을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송하는 제2 이송 실린더들(239)과, 백레스트(233)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포크들(234)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23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포크(234)는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크(234)는 백레스트(233)에 결합되는 관형의 제1 포크부(234A)와, 제1 포크부(234A)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포크부(234A)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제1 포크부(234A)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 포크부(234B)와, 제1 포크부(234A)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2 포크부(234B)를 이송하는 신축 실린더(234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크(234)는 탄성 지지구들(234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구들(234D)은 제1 포크부(234A)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2 포크부(234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제2 포크부(234B)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지지구(234D)는 제2 포크부(234B)의 외면에 접하고, 제2 포크부(234B)가 이동되면 회전되면서 제2 포크부(234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볼(234D1)과, 가이드볼(234D1)의 외면에 결합되어 가이드볼(234D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케이지(234D2)와, 볼 케이지(234D2)를 제2 포크부(234B)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34D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송장치(2)가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에 전기자동차(C)를 언로딩한 후 출입구(111A)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1)의 외부로 이동되면, 출입구(111A)를 폐쇄한다(S13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출입구(111A)가 폐쇄되면,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에 물(W)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C)를 물(W)에 침지시킨다(S140).
이때, 수조(1)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W)은 소방차 혹은 인근 소화전에서 공급받을 수 있다.
전기자동차(C)가 물(W)에 침지되면, 화재진압용 수조(1)의 상부를 방염커버(3)로 차폐한다(S150).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자동차(C)의 화재 발생 시 전기자동차(C)를 화재진압용 수조(1)에 저장된 물에 침지시키므로, 소화기나, 소방호스를 이용한 종래의 화재 진압 방법에 비하여 보다 신속히 전기자동차(C)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C)를 이송장치(2)를 통해 화재진압용 수조(1)로 운반한 후 화재진압용 수조(1) 내에서 화재를 진압하므로,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C)를 주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화재진압용 수조(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는 튜브형 구조로 형성되므로,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화재진압용 수조(1)는 부분적으로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가능하여 팽창된 상태에서도 일부분에 출입구(111A)를 형성하여 이송장치(2)의 출입이 가능하므로, 전기자동차(C)를 견인하지 않고도, 이송장치(2)를 통해 신속히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로 옮길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C)가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에 배치된 후, 방염커버(3)를 이용하여 화재진압용 수조(1)의 상부를 차폐하므로, 산소를 차단하여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이송장치(2)는 원격으로 제어되고, 전기자동차(C)를 리프팅 및 운반하도록 구성되므로, 작업자가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고, 호이스트 장비나 크레인에 비해 보다 신속히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C)를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로 옮길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화재진압용 수조 11. 벽부
11A. 내피 11B. 외피
11C. 방염 코팅층 111. 고정부
111A. 출입구 112. 개폐부
12. 바닥부 2. 이송장치
21. 본체 22. 이송부
221. 구동모터 222. 구동휠
223. 조향휠 23. 리프팅부
231. 다단 마스트 232. 틸트 실린더
233. 백레스트 234. 포크
234A. 제1 포크부 234B. 제2 포크부
234C. 신축 실린더 234D. 탄성 지지구
234D1. 가이드볼 234D2. 볼 케이지
234D3. 탄성부재 235. 리프트 실린더
236. 상부 카메라 237. 하부 카메라
238. 제1 이송 실린더 239. 제2 이송 실린더
2391. 가이드 바 24. 제어부
25. 배터리 3. 방염커버
4. 사용자 단말 C. 전기자동차
11A. 내피 11B. 외피
11C. 방염 코팅층 111. 고정부
111A. 출입구 112. 개폐부
12. 바닥부 2. 이송장치
21. 본체 22. 이송부
221. 구동모터 222. 구동휠
223. 조향휠 23. 리프팅부
231. 다단 마스트 232. 틸트 실린더
233. 백레스트 234. 포크
234A. 제1 포크부 234B. 제2 포크부
234C. 신축 실린더 234D. 탄성 지지구
234D1. 가이드볼 234D2. 볼 케이지
234D3. 탄성부재 235. 리프트 실린더
236. 상부 카메라 237. 하부 카메라
238. 제1 이송 실린더 239. 제2 이송 실린더
2391. 가이드 바 24. 제어부
25. 배터리 3. 방염커버
4. 사용자 단말 C. 전기자동차
Claims (9)
-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C)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화재진압용 수조(1)를 설치하는 단계;
이송장치(2)를 제어하여 화재가 발생된 상기 전기자동차(C)를 견인한 후,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에 형성된 출입구(111A)를 통해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전기자동차(C)를 언로딩하는 단계;
상기 이송장치(2)가 상기 전기자동차(C)를 언로딩 후 상기 출입구(111A)를 통해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의 외부로 이동되면, 상기 출입구(111A)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전기자동차(C)를 상기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의 상부를 방염커버(3)로 차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진압용 수조(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벽부(11); 및
상기 벽부(11)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전기자동차(C)가 지지되는 평판형상의 바닥부(12);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1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상기 바닥부(12)의 가장자리에 서로 연결된 세 개의 벽을 형성하고, 일 측에 상기 출입구(111A)가 형성되는 고정부(111); 및
공기가 미주입되면 상기 출입구(111A)를 개방하고,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면서 상기 바닥부(12)의 가장자리에 한 개의 벽을 형성하여 상기 출입구(111A)를 폐쇄하는 개폐부(112);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C)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11)는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고, 공기가 배출되면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벽부(11)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내피(11A);
상기 내피(11A)에 접하고, 방염처리된 직물 재질로 형성되는 외피(11B); 및
상기 내피(11A)와 상기 외피(11B)의 표면에 도포되는 방염 코팅층(11C);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C)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2)는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되고, 상기 전기자동차(C)를 하역 및 운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송장치(2)는,
박스형태의 본체(21);
상기 본체(21)를 이송하는 이송부(22);
상기 본체(21)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자동차(C)를 승강시키는 리프팅부(23);
상기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4)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송부(22) 및 상기 리프팅부(23)를 제어하는 제어부(24); 및
상기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24)를 통해 상기 이송부(22) 및 상기 리프팅부(2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5);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C)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2)는,
상기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21);
상기 본체(21)의 하측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221)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본체(21)를 이송하는 구동휠(222); 및
상기 본체(21)의 하측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4)에서 입력된 조향신호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본체(21)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조향휠(223);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C)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23)는,
상기 본체(21)의 전면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전개 및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다단 마스트(231);
상기 본체(21)와 상기 다단 마스트(231)를 연결하고, 축 방향을 따라 신장되거나 수축되면서 상기 다단 마스트(231)를 가압하여 상기 다단 마스트(231)를 회전시키는 틸트 실린더(232);
상기 다단 마스트(231)의 전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백레스트(233);
상기 백레스트(233)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전기자동차(C)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전기자동차(C)를 승강시키는 포크들(234);
상기 다단 마스트(231)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포크들(234)이 결합된 상기 백레스트(233)를 승강시키는 리프트 실린더(235);
상기 다단 마스트(2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포크(234)의 상부 공간에 대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획득하는 상부 카메라(236); 및
상기 다단 마스트(23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포크(234)의 하부 공간에 대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획득하는 하부 카메라(237);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C)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23)는,
상기 백레스트(233)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 실린더(238);
상기 백레스트(233)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상기 포크들(234)을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송하는 제2 이송 실린더들(239); 및
상기 백레스트(233)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상기 포크들(234)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2391);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C)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234)는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포크(234)는,
상기 백레스트(233)에 결합되는 관형의 제1 포크부(234A);
상기 제1 포크부(234A)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포크부(234A)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1 포크부(234A)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 포크부(234B); 및
상기 제1 포크부(234A)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포크부(234B)를 이송하는 신축 실린더(234C);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C)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234)는,
상기 제1 포크부(234A)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포크부(234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제2 포크부(234B)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탄성 지지구들(234D);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구(234D)는,
상기 제2 포크부(234B)의 외면에 접하고, 상기 제2 포크부(234B)가 이동되면 회전되면서 상기 제2 포크부(234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볼(234D1);
상기 가이드볼(234D1)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볼(234D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케이지(234D2); 및
상기 볼 케이지(234D2)를 상기 제2 포크부(234B)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34D3);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C)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7676A KR102604325B1 (ko) | 2023-03-02 | 2023-03-02 |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PCT/KR2024/002440 WO2024181749A1 (ko) | 2023-03-02 | 2024-02-26 |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7676A KR102604325B1 (ko) | 2023-03-02 | 2023-03-02 |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4325B1 true KR102604325B1 (ko) | 2023-11-24 |
Family
ID=8897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27676A KR102604325B1 (ko) | 2023-03-02 | 2023-03-02 |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432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81749A1 (ko) * | 2023-03-02 | 2024-09-06 | 주식회사 포비드림 |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2146B1 (ko) * | 2017-06-12 | 2018-02-26 | 제니스테크(주) | 접이식 원격조정 지게차 |
KR102425529B1 (ko) * | 2020-12-08 | 2022-07-25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카메라를 이용한 자율주행 지게차 |
KR20220146971A (ko) * | 2021-04-26 | 2022-11-02 | 경기도 | 전기자동차의 화재 진압을 위한 수조 |
KR20220168657A (ko) | 2021-06-17 | 2022-12-26 |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 화재 방지를 위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 |
-
2023
- 2023-03-02 KR KR1020230027676A patent/KR1026043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2146B1 (ko) * | 2017-06-12 | 2018-02-26 | 제니스테크(주) | 접이식 원격조정 지게차 |
KR102425529B1 (ko) * | 2020-12-08 | 2022-07-25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카메라를 이용한 자율주행 지게차 |
KR20220146971A (ko) * | 2021-04-26 | 2022-11-02 | 경기도 | 전기자동차의 화재 진압을 위한 수조 |
KR20220168657A (ko) | 2021-06-17 | 2022-12-26 |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 화재 방지를 위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81749A1 (ko) * | 2023-03-02 | 2024-09-06 | 주식회사 포비드림 |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04325B1 (ko) |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
KR101912740B1 (ko) | 드론을 이용한 산불 감시 및 진압 시스템 | |
KR20160130100A (ko) | 화재 진압용 장비 및 화재진압 방법 | |
JP5458856B2 (ja) | 自動倉庫システム及び消火ユニット | |
CN106627309B (zh) | 一种消防指挥综合作业车 | |
KR102584555B1 (ko) |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
CN111840857A (zh) | 一种集装箱式系留消防灭火救援装备及方法 | |
KR102530655B1 (ko) | 자동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방법 | |
DE19934210A1 (de) | Transportsystem mit einer Träg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andhaben von Nutzlast bei Trägervorrichtungen | |
KR102635732B1 (ko) |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차량을 드는 리프트와 구멍을 뚫는 유압 강철 펀치 조립체를 부착한 일체형 EV(Electric Vehicle)용 자동소화장치 및 소화방법 | |
KR102604574B1 (ko) | 차량 화재 진압용 특장차 | |
KR101564445B1 (ko) | 고층 건물용 소방장치 | |
KR20190060427A (ko) | 소방차에 적재 가능한 기동형 서브 소방장치 | |
US2979152A (en) | Safety apparatus for mobile lifting equipment | |
JP4385231B2 (ja) | エレベータ | |
JP2005246986A (ja) | 安全装置付荷受台昇降装置 | |
JP2010248722A (ja) |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とその火災発生時制御方法 | |
KR20110001858U (ko) | 선박용 파이프 적입 장치 | |
WO2024181749A1 (ko) |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 |
JP2002035153A (ja) | 塗装ブースにおける消火設備及び消火方法 | |
KR102631579B1 (ko) |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 |
KR102635729B1 (ko) | 리튬이온배터리 팩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유압 강철 펀치 조립체를 부착한 타공 작기와 차량을 들어 올리는 리프트 작기로 구성된 전기자동차용 타공소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 방법 | |
KR102622463B1 (ko) | 차량용 아우트리거 | |
KR102681724B1 (ko) | 전기 자동차용 화재 대처장치 | |
JP4859396B2 (ja) | 伸縮式ブームを備えた架装車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