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463B1 - 차량용 아우트리거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우트리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463B1
KR102622463B1 KR1020210114093A KR20210114093A KR102622463B1 KR 102622463 B1 KR102622463 B1 KR 102622463B1 KR 1020210114093 A KR1020210114093 A KR 1020210114093A KR 20210114093 A KR20210114093 A KR 20210114093A KR 102622463 B1 KR102622463 B1 KR 102622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rigger
housing
disposed
cylind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1637A (ko
Inventor
이상범
김일석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Priority to KR1020210114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463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우트리거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길이를 확장시키나 아우트리거 하우징내에 인입되어 아우트리거 하우징내에 수납시키는 차량용 아우트리거에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아우트리거는, 아우트리거 본체;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에 제 1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제 1 개구부를 형성하며, 제 1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개구부에서 제 2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 1 이동 아우트리거;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에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여 제 2 개구부를 형성하며, 제 3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 및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개구부에서 제 4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 2 이동 아우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용 아우트리거{VEHICLE OUTRIGG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아우트리거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길이를 확장시키나 아우트리거 하우징내에 인입되어 아우트리거 하우징내에 수납시키는 차량용 아우트리거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사다리 소방차, 고가 굴절탑 소방차 등과 같은 고소 작업 차량은 차량 본체로부터 측방향으로 전개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아우트라거를 구비하고 있다.
아우트리거는 H자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H자 형태의 아우트리거는 차량 본체의 좌, 우측에 2개씩 모두 4개가 설치되며, 차량 본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전개되는 수평빔과 수평빔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전개되는 수직빔과, 수평빔을 전개시키는 수평실린더와, 수직빔을 전개시키는 수직실린더로 구성된다.
이러한 아우트리거는 차량 본체를 지면에 지지시킴으로써, 사다리붐, 굴절붐등을 전개시켰을 경우라도, 상기 차량본체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키며, 따라서 차량의 전복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아우트리거는 각각의 아우트리거들이 개별적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각각의 아우트리거들이 모두 한 번에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아우트리거는 모두 한 번에 작동시 주어진 길이만큼 최대로 신장하여 사용되고, 그때 아우트리거의 최대 전개길이를 기초로 하여 사다리의 신장길이 및 각도등 안전운전범위를 설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아우트리거는 현장 출동시 주차차량과 기타 장애물등으로 인하여 아우트리거를 최대로 전개할 수 있는 안전 공간(예;넓은 공간)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협소한 좁은 공간에서 아우트리거를 임의 길이로 전개할 경우에는 전개된 아우트리거의 길이내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아우트리거는 개별적으로 작동할 경우, 2명의 작업자가 아우트리거 주변 상태 및 안전 공간(예; 넓은 공간)를 확인하면서 전개작업 및 수납작업을 해야함으로, 많은 인력과 작업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신속한 회재 진압 및 인명구조가 필요한 화재 현장에서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6661호(2007.01.10 공고)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고가사다리 자동차의 아우트리거 제어 장치 ”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협소한 좁은 공간에서 신속하고 빠르게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에서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를 인출하여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길이를 확장시키거나 인입하여 수납할 수 있는 차량용 아우트리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아우트리거는, 아우트리거 본체;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에 제 1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제 1 개구부를 형성하며, 제 1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개구부에서 제 2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 1 이동 아우트리거;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에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여 제 2 개구부를 형성하며, 제 3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 및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개구부에서 제 4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 2 이동 아우트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는, 상기 제 1, 2 개구부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으로부터 제 1, 2 방향으로 전개되고, 상기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는, 상기 제 1, 2 개구부에서 인입될 경우, 상기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내에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의 일측면에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상승하거나 하강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로드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지 로드의 일단은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에 형성된 제 1 회전 연결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회전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지지 로드의 타일단은 상기 아우트리거 하우징에 형성된 제 2 회전 연결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회전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의 상기 일측면의 반대인 타측면에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상승하거나 하강을 지지하는 제 2 지지 로드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지지 로드의 일단은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에 형성된 제 3 회전 연결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회전 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지지 로드의 타일단은 상기 아우트리거 하우징에 형성된 제 4 회전 연결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4 회전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의 끝단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제 1 발판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의 끝단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제 2 발판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는,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에 배치되는 제 1 실린더 튜브; 및 일단이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내에 배치된 피스톤과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의 길이방향을항하여 직선 이동하며, 타일단은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과 연결되는 제 1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 1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실린더 튜브; 및 일단이 상기 제 2 실린더 튜브내에 배치된 피스톤과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제 2 실린더 튜브의 길이방향을 항하여 직선 이동하며, 타일단은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와 연결되는 제 2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 2 실린더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는,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에 배치되는 제 3 실린더 튜브; 및 일단이 상기 제 3 실린더 튜브내에 배치된 피스톤과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제 3 실린더 튜브의 길이방향을항하여 직선 이동하며, 타일단은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과 연결되는 제 3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 3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유압 실린더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4 실린더 튜브; 및 일단이 상기 제 4 실린더 튜브내에 배치된 피스톤과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제 4 실린더 튜브의 길이방향을항하여 직선 이동하며, 타일단은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과 연결되는 제 4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 4 실린더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는 작동유 탱크 및 붐과 연결되는 붐지지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는 동시 작동이 가능하여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상승 및 하강, 그리고, 제 1 이동 아우트리거의 인출 및 인입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고,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4 유압 실린더는 동시 작동이 가능하여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상승 및 하강, 그리고, 제 2 이동 아우트리거의 인출 및 인입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2, 3 및 4 유압 실린더는 동시 작동이 가능하여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상승 및 하강, 그리고,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의 인출 및 인입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아우트리거 본체에 배치된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에서 제 1, 2, 3 및 4 유압 실린더에 의해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를 인출하여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길이를 확장시키거나 인입하여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내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는 차량의 다양한 작업시 차량을 협소한 좁은 공간의 지면에서 신속하고 빠르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추가 작업자 없이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를 인출하거나 인입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인출에 의한 전개 작업 또는 인입에 의한 수납 작업시 소요되던 인력 및 작업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작업(예; 소방 작업이 요구되는 화재지역)이 필요한 곳에서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의 전개 작업 또는 수납 작업을 매우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에서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를 신속하고 빠르고 전개 작업 또는 수납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시간과의 싸움이라고 할 정도로 신속성이 요구되는 긴급한 화재현장에서 아우트리거를 전개 또는 수납시키는데 드는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하고 최대한 빨리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작업에 착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100)는 협소한 좁은 공간에서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로부터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를 인출하여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의 길이를 확장시키거나 인입하여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내에 수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100)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100)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100)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용 아우트리거(100)는, 아우트리거 본체(110),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 및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1)은 고층 작업을 하는 고소 작업차량, 화재 진압 및 인명구조를 위한 소방차 및 고가 사다리 차량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1)은 상기 개시된 차량(1)이외에 아우트리거를 포함하는 차량(1)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1)은 소방차를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는 상기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 상기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 작동유 탱크(191) 및 붐(50)과 연결되는 붐지지 구조물(19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배치하여 모듈화 할 수 있고, 이러한 모듈화된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는 차량(1)에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위 생산도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에는 상기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 상기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 작동유 탱크(191) 및 붐지지 구조물(192)을 장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장착 프레임들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유 탱크(191)는 후술하는 제 1, 2, 3 및 4 유압 실린더(10, 20, 30, 40), 붐(50)에 배치된 유압 실린더(미도시됨) 및 붐(50)를 회전시키는 유압모터에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붐지지 구조물(192)은 상기 붐(50)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192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은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에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은 후술하는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를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제 1 개구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은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가 상기 제 1 개구부(121)에서 인출할 경우, 제 1 유압 실린더(10)에 의해 하강할 수 있고,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은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가 상기 제 1 개구부(121)에서 인입할 경우,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10)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10)는 제 1 실린더 튜브(11) 및 제 1 실린더 로드(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11)의 내부에는 유압 펌프(미도시됨)에서 발생하는 유압의 힘을 이용하여 직선이동하는 피스톤(미도시됨)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린더 로드(12)의 일단은 상기 피스톤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피스톤(미도시됨)에 의해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11)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 1 실린더 로드(12)를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린더 로드(12)의 타일단은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과 연결되는 제 1 연결 부재(12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10)는 상기 제 1 실린더 로드(12)가 수축 또는 신장을 위해 직선이동할 경우,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개구부(121)에서 제 2 유압 실린더(20)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개구부(121)에서 제 2 유압 실린더(20)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입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는 상기 제 1 개구부(121)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으로부터 제 1 방향(①)으로 신장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는 상기 제 1 개구부(121)에서 인입될 경우,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내로 수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상승 또는 하강시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끝단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 로드(16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지지 로드(160)의 일단은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에 형성된 제 1 회전 연결 부재(1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회전부재(161)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 1 지지 로드(160)의 타일단은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에 형성된 제 2 회전 연결 부재(1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회전 부재(162)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지지 로드(160)는 상기 제 1, 2 회전 부재(161, 162)에 의해 회전하므로써 제 1 유압 실린더(10)에 의해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타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의 끝단에는 지면(2)과 접촉되는 제 1 발판(180)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가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제 1 개구부(121)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제 1 발판(180)도 함께 인출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 1 발판(180)은 인출 종료 위치에서 지면(2)과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지면(2)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발판(180)이 지면(2)에 지지되면,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도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에서 인출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20)는 제 2 실린더 튜브(21) 및 제 2 실린더 로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실린더 튜브(21)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실린더 튜브(21)의 내부에는 유압 펌프(미도시됨)에서 발생하는 유압의 힘을 이용하여 직선이동하는 피스톤(미도시됨)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린더 로드(22)의 일단은 상기 피스톤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피스톤(미도시됨)에 의해 상기 제 2 실린더 튜브(21)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 2 실린더 로드(22)를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린더 로드(22)의 타일단은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와 연결되는 제 2 연결 부재(22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20)는 상기 제 2 실린더 로드(22)가 직선이동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를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제 1 개구부(121)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은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에 상기 제 1 방향(①)의 반대인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은 후술하는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를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제 2 개구부(141)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은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가 상기 제 2 개구부(141)에서 인출할 경우, 제 3 유압 실린더(30)에 의해 하강할 수 있고,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은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가 상기 제 2 개구부(141)에서 인입할 경우,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30)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30)는 제 3 실린더 튜브(31) 및 제 3 실린더 로드(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 실린더 튜브(31)의 내부에는 유압 펌프(미도시됨)에서 발생하는 유압의 힘을 이용하여 직선이동하는 피스톤(미도시됨)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3 실린더 로드(32)의 일단은 상기 피스톤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피스톤(미도시됨)에 의해 상기 제 3 실린더 튜브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 3 실린더 로드(32)를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 실린더 로드(32)의 타일단은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과 연결되는 제 3 연결 부재(32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30)는 상기 제 3 실린더 로드(32)가 직선이동할 경우,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개구부(141)에서 제 4 유압 실린더(40)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개구부(141)에서 제 4 유압 실린더(40)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입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는 상기 제 2 개구부(141)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으로부터 제 2 방향(②)으로 신장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는 상기 제 2 개구부(141)에서 인입될 경우,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내로 수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상승 또는 하강시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끝단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 로드(17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지지 로드(170)의 일단은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에 형성된 제 3 회전 연결 부재(1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회전 부재(171)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 2 지지 로드(170)의 타일단은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에 형성된 제 4 회전 연결 부재(14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4 회전 부재(172)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지지 로드(170)는 상기 제 3, 4 회전 부재(171)(172)에 의해 회전하므로써 제 3 유압 실린더(30)에 의해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타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의 끝단에는 지면(2)과 접촉되는 제 2 발판(190)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가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제 2 개구부(141)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제 2 발판(190)도 함께 인출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 2 발판(190)은 인출 종료 위치에서 지면(2)과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지면(2)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발판(190)이 지면(2)에 지지되면,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도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에서 인출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4 유압 실린더(40)는 제 4 실린더 튜브(41) 및 제 4 실린더 로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4 실린더 튜브(41)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실린더 튜브(41)의 내부에는 유압 펌프(미도시됨)에서 발생하는 유압의 힘을 이용하여 직선이동하는 피스톤(미도시됨)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4 실린더 로드(42)의 일단은 상기 피스톤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피스톤(미도시됨)에 의해 상기 제 4 실린더 튜브(41)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 4 실린더 로드를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4 실린더 로드(42)의 타일단은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와 연결되는 제 4 연결 부재(42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4 유압 실린더(40)는 상기 제 4 실린더 로드(42)가 직선이동할 경우,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를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제 2 개구부(141)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트리거(10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차량용 아우트리거(100)는, 아우트리거 본체(110),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 및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은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에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은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에 상기 제 1 방향(①)의 반대인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에 형성된 제 1, 2 개구부(121, 141)도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10)의 제 1 실린더 튜브(11)는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10)의 제 1 실린더 로드(12)의 일단은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11)내에 배치된 피스톤(미도시됨)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실린더 로드(12)의 타일단에 형성된 제 1 연결 부재(12a)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상승 또는 하강시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끝단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 로드(16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에 형성된 제 1 개구부(121)에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내에는 제 2 유압 실린더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20)의 제 2 실린더 로드(22)의 일단은 제 2 실린더 튜브(21)내에 배치된 피스톤(미도시됨)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실린더 로드(22)의 타일단에 형성된 제 2 연결 부재(22a)는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의 끝단에는 제 1 발판(18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30)의 제 3 실린더 튜브(31)는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30)의 제 3 실린더 로드(32)의 일단은 상기 제 3 실린더 튜브(31)내에 배치된 피스톤(미도시됨)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3 실린더 로드(32)의 타일단에 형성된 제 3 연결 부재(32a)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본체(110) 일측면에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상승 또는 하강시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끝단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 로드(17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내부에는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에 형성된 제 2 개구부(141)에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내에는 제 4 유압 실린더(40)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4 유압 실린더(40)의 제 4 실린더 로드(42)의 일단은 제 4 실린더 튜브(41)내에 배치된 피스톤(미도시됨)과 연결되고, 상기 제 4 실린더 로드(42)의 타일단에 형성된 제 4 연결 부재(42a)는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의 끝단에는 제 2 발판(19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에 작동유 탱크(191) 및 붐(50)과 연결되는 붐지지 구조물(192)을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는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 제 1, 2, 3 및 4 유압 실린더(10, 20, 30, 40), 제 1, 2 지지 로드(160, 170), 제 1, 2 발판(180, 190), 작동유 탱크(191) 및 붐지지 구조물(192)을 배치하여 모듈화할 수 있다.
이렇게 모듈화된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는 차량(1)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붐지지 구조물(192)에 배치된 연결 부재(192a)에 붐(50)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화된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는 차량에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아우트리거(100)를 전개 작업 또는 수납 작업할 경우, 먼저, 차량(1)을 정차 및 주차한 후, 브레이크(미도시됨)를 걸어 제동 조치를 완료하고, 이어서 동력인출장치(미도시됨)의 스위치(미도시됨)를 온(on) 시켜서 상기 동력인출장치가 작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곧바로 차량(1)의 아우트리거를 모두를 한 번에 전개시키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동력인출장치(미도시됨)에 배치된 자동전개 스위치(미도시됨)를 눌러 차량용 아우트리거(100)의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가 모두 한 번에 전개되도록 하고, 만약 차량(1) 후단부의 아우트리거 조작반(미도시됨)에서 개별적으로 전개시키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운전석에서 벗어나 차체 후단부의 아우트리거 조작반에서 스위치들을 조작하여 차량용 아우트리거(100)의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를 각각 개별적으로 전개시킨다. 상기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를 모두 한 번에 전개하는 경우이든 각각 개별적으로 전개하는 경우이든 차량(1)의 수평을 감지하여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수평이 맞을 때까지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의 전개 상태를 조절한다.
예컨대, 상기 동력인출장치(미도시됨)의 스위치(미도시됨)를 온(on)시키면, 상기 동력인출장치는 상기 제 1, 2, 3 및 4 유압 실린더(10, 20, 30, 40)에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10)의 제 1 실린더 튜브(11)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11)내에 배치된 피스톤(미도시됨)이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11)의 길이방향의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직선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연결 부재(12a)를 하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연결 부재(12a)가 하강하면, 상기 제 1 연결 부재(12a)에 연결된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도 함께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의 일측면에 배치된 제 1 지지 로드(160)는 회전하여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하강시 끝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30)의 제 3 실린더 튜브(31)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상기 제 3 실린더 튜브(31)내에 배치된 피스톤(미도시됨)이 상기 제 3 실린더 튜브(31)의 길이방향의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직선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3 연결 부재(32a)를 하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3 연결 부재(32a)가 하강하면, 상기 제 3 연결 부재(32a)에 연결된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도 함께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의 일측면에 배치된 제 2 지지 로드(170)는 회전하여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하강시 끝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20)의 제 2 실린더 튜브(21)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상기 제 2 실린더 튜브(21)내에 배치된 피스톤(미도시됨)이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실린더 로드(22)도 함께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실린더 로드(22)의 제 2 연결 부재(22a)는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실린더 로드(22)가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도 함께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가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제 1 개구부(121)에서 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가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제 1 개구부(121)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으로부터 제 1 방향(①)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때, 인출된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의 끝단에 배치된 제 1 발판(180)은 지면(2)에 접촉됨과 동시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으로부터 전개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 4 유압 실린더(40)의 제 4 실린더 튜브(41)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상기 제 4 실린더 튜브(41)내에 배치된 피스톤(미도시됨)이 상기 제 1 방향(①)의 반대인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4 실린더 로드(42)도 함께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4 실린더 로드(42)의 제 4 연결 부재(42a)는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4 실린더 로드(42)가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도 함께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가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경우,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제 2 개구부(141)에서 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가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제 2 개구부(141)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으로부터 제 2 방향(②)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때, 인출된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의 끝단에 배치된 제 2 발판(190)은 지면(2)에 접촉됨과 동시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으로부터 전개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예컨데, 차량(1)은 인출된 상기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를 이용하여 지면(2)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차량(1)은 붐지지 구조물(192)에 연결된 붐(50)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량(1)이 소방차일 경우, 화재 진압 및 인명 구조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 상기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 및 제 1, 2 발판(180, 190)은 제 1, 2, 3 및 4 유압 실린더(10, 20, 30, 40)에 의해 차량(1)을 지면(2)에 신속하고 빠르게 지지시킴으로써, 차량(1)의 다양한 작업시 붐 크레인, 사다리붐 및 굴절붐등을 전개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는 상기 차량(1)을 지면(2)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이로인해 차량(1)의 전복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1)의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동력인출장치(미도시됨)는 상기 제 1, 2, 3 및 4 유압 실린더(10, 20, 30, 40)에 다시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10)의 제 1 실린더 튜브(11)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11)내에 배치된 피스톤(미도시됨)이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11)의 상기 길이방향의 제 1 방향(①)의 반대인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직선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연결 부재(12a)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연결 부재(12a)가 상승하면, 상기 제 1 연결 부재(12a)에 연결된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도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이 상승함과 동시에 원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의 일측면에 배치된 제 1 지지 로드(160)는 회전하여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상승시 끝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30)의 제 3 실린더 튜브(31)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상기 제 3 실린더 튜브(31)내에 배치된 피스톤(미도시돔)이 상기 제 3 실린더 튜브(31)의 길이방향의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직선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3 연결 부재(32a)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3 연결 부재(32a)가 상승하면, 상기 제 3 연결 부재(32a)에 연결된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도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이 상승함과 동시에 원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110)의 일측면에 배치된 제 2 지지 로드(170)는 회전하여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상승시 끝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20)의 제 2 실린더 튜브(21)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상기 제 2 실린더 튜브(21)내에 배치된 피스톤이 상기 제 1 방향(①)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실린더 로드(22)도 함께 상기 제 1 방향(①)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실린더 로드(22)는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도 상기 제 1 방향(①)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제 1 개구부(121)에서 인입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가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제 1 개구부(121)에서 인입될 경우,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내부에 다시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아우트리거(100)를 전개 작업 또는 수납 작업할 경우, 제 1 유압 실린더(10)와 제 2 유압 실린더(20)는 동시 작동이 가능하며, 동시 작동시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의 상승 및 하강, 그리고,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의 인출 및 인입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 4 유압 실린더(40)의 제 4 실린더 튜브(41)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상기 제 4 실린더 튜브(41)내에 배치된 피스톤(미도시됨)이 상기 제 2 방향(②)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4 실린더 로드(42)도 함께 상기 제 2 방향(②)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도 함께 상기 제 2 방향(②)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가 상기 제 2 방향(②)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경우,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제 2 개구부(141)에서 인입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가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제 2 개구부(141)에서 인입될 경우,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내부에 다시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아우트리거(100)를 전개 작업 또는 수납 작업할 경우, 제 3 유압 실린더(30)와 제 4 유압 실린더(40)는 동시 작동이 가능하며, 동시 작동시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의 상승 및 하강, 그리고,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의 인출 및 인입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차량용 아우트리거(100)를 전개 작업 또는 수납 작업할 경우, 제 1, 2, 3, 4 유압 실린더(10)(20)(30)(40)는 동시 작동이 가능하며, 동시 작동시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140)의 상승 및 하강, 그리고,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150)의 인출 및 인입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가 상기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의 내부에 수납됨과 동시에 원위치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차량(1)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에서 제 1, 2, 3 및 4 유압 실린더(10, 20, 30, 40)에 의해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를 인출하여 상기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의 길이를 확장시키거나 상기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에서 제 1, 2, 3 및 4 유압 실린더(10, 20, 30, 40)에 의해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를 인입하여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내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는 차량(1)의 다양한 작업시 차량(1)을 협소한 좁은 공간의 지면에서 신속하고 빠르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추가 작업자 없이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를 인출하거나 인입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인출에 의한 전개 작업 또는 인입에 의한 수납 작업시 소요되던 인력 및 작업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속한 작업(예; 소방 작업이 요구되는 화재지역)이 필요한 곳에서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의 전개 작업 또는 수납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상기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140)에서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를 신속하고 빠르고 전개 작업 또는 수납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긴급한 화재현장에서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130, 150)를 전개 작업 또는 수납 작업시 소요되던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차량용 아우트리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차량용 아우트리거 110: 아우트리거 본체
120, 140: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
130, 150 :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
10, 20, 30, 40 : 제 1, 2, 3 및 4 유압 실린더
160, 170 : 제 1, 2 지지 로드
180, 190 : 제 1, 2 발판
191 : 작동유 탱크
192 : 붐지지 구조물

Claims (9)

  1. 차량용 아우트리거에 있어서,
    아우트리거 본체(110);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에 제 1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제 1 개구부를 형성하며, 제 1 유압 실린더(10)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120);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개구부에서 제 2 유압 실린더(20)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 1 이동 아우트리거(130);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에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여 제 2 개구부를 형성하며, 제 3 유압 실린더(30)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140); 및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개구부에서 제 4 유압 실린더(40)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제 2 이동 아우트리거(150);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의 일측면과 반대쪽인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1,2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상승하거나 하강을 지지하는 제1,2 지지 로드(160,17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지지 로드는 각각 일단이 제1,3 회전 부재(161,171)를 매개로 하여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에 형성된 제 1,3 회전 연결 부재(111, 1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타일단이 제2,4 회전 부재(162,172)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2, 아우트리거 하우징에 형성된 제 2,4 회전 연결 부재(122,14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양쪽이 상기 제 1,2 회전 부재와 제3,4 회전 부재를 통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 1,2 아우트리거 하우징이 제1,3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타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우트리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의 끝단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제 1 발판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의 끝단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제 2 발판이 배치되는 차량용 아우트리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는,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에 배치되는 제 1 실린더 튜브; 및
    일단이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내에 배치된 피스톤과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제 1 실린더 튜브의 길이방향을항하여 직선 이동하며, 타일단은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과 연결되는 제 1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 1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는,
    상기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실린더 튜브; 및
    일단이 상기 제 2 실린더 튜브내에 배치된 피스톤과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제 2 실린더 튜브의 길이방향을항하여 직선 이동하며, 타일단은 상기 제 1 이동 아우트리거와 연결되는 제 2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 2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아우트리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는,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에 배치되는 제 3 실린더 튜브; 및
    일단이 상기 제 3 실린더 튜브내에 배치된 피스톤과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제 3 실린더 튜브의 길이방향을항하여 직선 이동하며, 타일단은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과 연결되는 제 3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 3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유압 실린더는,
    상기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4 실린더 튜브; 및
    일단이 상기 제 4 실린더 튜브내에 배치된 피스톤과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제 4 실린더 튜브의 길이방향을항하여 직선 이동하며, 타일단은 상기 제 2 이동 아우트리거과 연결되는 제 4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 4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아우트리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 본체는,
    작동유 탱크 및 붐과 연결되는 붐지지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아우트리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2 유압 실린더는 동시 작동이 가능하여 제 1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상승 및 하강, 그리고, 제 1 이동 아우트리거의 인출 및 인입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고,
    상기 제 3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4 유압 실린더는 동시 작동이 가능하여 제 2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상승 및 하강, 그리고, 제 2 이동 아우트리거의 인출 및 인입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우트리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및 4 유압 실린더는 동시 작동이 가능하여 제 1, 2 아우트리거 하우징의 상승 및 하강, 그리고, 제 1, 2 이동 아우트리거의 인출 및 인입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우트리거.
KR1020210114093A 2021-08-27 2021-08-27 차량용 아우트리거 KR102622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093A KR102622463B1 (ko) 2021-08-27 2021-08-27 차량용 아우트리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093A KR102622463B1 (ko) 2021-08-27 2021-08-27 차량용 아우트리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637A KR20230031637A (ko) 2023-03-07
KR102622463B1 true KR102622463B1 (ko) 2024-01-05

Family

ID=8551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093A KR102622463B1 (ko) 2021-08-27 2021-08-27 차량용 아우트리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4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021B1 (ko) 2004-12-24 2006-08-09 대호 (주)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
JP5601762B2 (ja) * 2008-06-18 2014-10-08 株式会社タダノ アウトリガ装置
KR102174081B1 (ko) * 2019-05-24 2020-11-04 주식회사 호룡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구동장치
JP6924669B2 (ja) 2017-10-16 2021-08-25 古河ユニック株式会社 アウトリ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6498A (en) * 1975-10-09 1977-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isture sensitive resistance element
KR100583912B1 (ko) * 2004-06-10 2006-06-01 (주)한백 산악용 조립식 크레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021B1 (ko) 2004-12-24 2006-08-09 대호 (주)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
JP5601762B2 (ja) * 2008-06-18 2014-10-08 株式会社タダノ アウトリガ装置
JP6924669B2 (ja) 2017-10-16 2021-08-25 古河ユニック株式会社 アウトリガ装置
KR102174081B1 (ko) * 2019-05-24 2020-11-04 주식회사 호룡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637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8831B2 (ja) 接近用装置
EP1846631B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US4941546A (en) Aerial ladder rotation limiter
US20210102396A1 (en) High-intensity, telescoping light tower with safety features
CN111840857B (zh) 一种集装箱式系留消防灭火救援装备及方法
US4185426A (en) Extension/elevation intra-action device for aerial lift apparatus
CN106627309B (zh) 一种消防指挥综合作业车
US8074767B1 (en) Aerial ladder system with powered rungs
US5944138A (en) Leveling system for aerial platforms
US3958813A (en) Positive safety locking system for powered outrigger beams
KR101054379B1 (ko) 인명구조용 굴절붐과 인명구조용 고가 사다리가 일체로 구비된 소방차
KR101663500B1 (ko) 소방 고가사다리차 안전장치
KR102622463B1 (ko) 차량용 아우트리거
AU2008295461A1 (en) Fall arrest assembly
JP2002104776A (ja) 輸送車両からの墜落防止用自動車
CN107207226A (zh) 稳定器装置
KR20090069745A (ko) 운전석에 아우트리거 자동전개 스위치를 장착한 고가사다리소방차
WO20181731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3492145B1 (de) Personenrettungssystem und verfahren zur evakuierung von personen aus einem bauwerk
KR200306657Y1 (ko)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KR102297603B1 (ko) 특수차량의 무게 밸런싱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특수차량 및 무게 밸런싱 방법
JP2006021897A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US3311193A (en) Multiple boom apparatus
JP4991132B2 (ja) 作業車の安全装置
US3339669A (en) Platform assembly for a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