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657Y1 -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657Y1
KR200306657Y1 KR20-2002-0032695U KR20020032695U KR200306657Y1 KR 200306657 Y1 KR200306657 Y1 KR 200306657Y1 KR 20020032695 U KR20020032695 U KR 20020032695U KR 200306657 Y1 KR200306657 Y1 KR 200306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outrigger
limit switch
vehicle body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20-2002-0032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6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9Movable platforms, Load ramps, e.g. working platforms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고소작업차는 단순히 유압실린더에 의해 그 길이가 가변되는 아웃트리거가 리어프레임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붐대가 차체의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무게중심이 불안정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차체가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 2내지 예시도 5에 표현된 바와 같이, 리어프레임(3)에 설치된 아웃트리거(4)의 크로스바(5) 측면에 각각 리미트스위치(10)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10)의 접점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기(12)가 설치되며, 프런트프레임(2)의 선단에는 전방지지대(20)가 설치되어 차체의 프런트측이 지지됨으로서, 붐대의 회전으로 무게중심이 프런트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차체의 전복이 방지되고, 특히 아웃트리거(4)의 크로스바(5)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10)와 경보기(12)에 의해 고소작업시 차체의 무게중심 이동이 감지되어 전복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Overturn preventing device of high place works car}
본 고안은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리어프레임에 설치된 각각의 아웃트리거에 리미트스위치와 경보기를 설치하여 차체의 무게중심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메인프레임의 선단에 전방지지대를 설치하여 보다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고층건물과 같은 구조물에 하중이 많이 나가는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량이며, 최근에는 작업자를 탑승시키고 설치하려는 구조물을 함께 적재하여 고공에서 설치하거나 이미 설치한 구조물을 정비 또는 교체하는 작업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중량물 운반을 위한 운반용 고소작업차와 시설물 정비 및 교체를 위한 작업용 고소작업차는 작업의 안정성과 기동성을 확보하여야 함은 물론,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량에 그 길이가 신축되는 붐대를 설치하고,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작업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소작업차의 작업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복방지장치인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그 길이가 신축되는 아웃트리거가 적재대의 각 모서리부분, 즉 차체의 리어프레임 양단에 설치되어 작업시 아웃트리거의 작동으로 차체의 하중을 아웃트리거가 지지해 주게 됨으로서 차체의 전복을 방지하며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는 예시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5)와 수평바(6) 및 수직바(7)로 이루어진 아웃트리거(4)로서, 상기 아웃트리거(4)는 차체의 골격을 이루는 사이드프레임과 크로스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에 설치되어 지되, 상기 메인프레임(1)은 프런트프레임(2)과 리어프레임 (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프런트프레임(2)에는 도면상 미도시 되었으나 엔진이 탑재되는 엔진룸과 운전석을 포함한 탑이 설치되고, 리어프레임(3)에는 고소작업을 위한 붐대의 베이스(8)가 설치되며, 리어프레임(3)의 크로스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아웃트리거(4)가 설치된다.
상기 아웃트리거(4)의 수평바(6)는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도면상 미도시 되었음)에 의해 크로스바(5)를 따라 슬라이드 되며, 수직바(7)는 이중구조로 되고 그 내부에 실린더(도면상 미도시되었음)가 설치되어 있어 수직방향으로 신축 가변되며, 상기 실린더의 작동은 주지된 바와 같은 유압펌프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전복방지장치인 아웃트리거(4)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리어프레임(3)의 선단과 후단에 설치된 크로스바(5)로부터 인출되는 수평바(6)의 일단과, 그 길이가 수직방향으로 신축 가변되는 수직바(7)의 일단은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수평바(6)를 인출된 상태에서 수직바(7)를 신축가변시킴으로서 리어프레임(3)을 포함한 차체는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되어 고소작업시 차체는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인 아웃트리커(4)를 작동시키고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붐대가 회전되면 차체의 무게 중심이 붐대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어느 일측의 아웃트리거(4)가 지면으로부터 들리게 되면서 순간적으로 흔들리게 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차체가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고소작업차의 붐대는 그 설치위치가 측면상 차체의 중심에 설치되어 있으나, 실제 설치된 위치는 리어프레임(3)의 선단측에 붐대 베이스(8)설치되어 있고 리어프레임(3)의 양단에 아웃트리거(4)가 설치되어 있어 차체의 후방향과 후측방향에서의 작업은 안정성을 갖추고 있어 일반적으로 붐대의 작업은 차체의 후방 또는 측방에서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붐대를 차체의 전방 즉, 프런트프레임(2)측(차체의 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작업할 경우가 발생되며, 이 경우 이동된 붐대에 의해 무게중심이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차체가 전복되는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의 전복사고는 붐대를 차체의 전방 45°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소작업을 할 때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음)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어프레임에 설치된 각각의 아웃트리거에 리미트스위치와 경보기를 설치하여 차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메인프레임의 선단에 전방지지대를 설치하여 보다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리어프레임에 설치된 아웃트리거의 수평바가 인출되는 크로스바의 측면에 각각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기가 설치되며, 프런트프레임의 선단에 전방지지대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전방지지대는 프런트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실린더가 설치된 연결크로스바와, 상기 연결크로스바의 중앙에 설치되고 하단 양측으로 지지바가 설치된 연결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와 지지바의 일단은 실린더힌지와 지지힌지에 의해 연결크로스바와 연결플레이트와 일체를 이루며, 타단은 결합힌지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됨으로서, 실린더의 작동으로 그 길이가 신장되어 지지바는 지지힌지를 축으로 회전되어 지지바의 일단이 지면에 닿으면서 차체가 지지되고, 따라서 붐대의 회전으로 무게중심이 프런트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차체의 전복이 방지되고, 특히 리어프레임에 설치된 아웃트리거의 크로스바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와 경보기에 의해 고소작업시 차체의 무게중심 이동이 감지되어 전복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고소작업차의 메인프레임에 아웃트리거가 설치된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의 설치상태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의 전복방지를 위한 경보장치의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은 따른 전방지지대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전방지지대의 사용상태 정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리미트스위치, 12 - 경보기,
20 - 전방지지대, 22 - 실린더,
24 - 연결크로스바, 26 - 지지바,
28 - 연결플레이트, 30 - 실린더힌지,
32 - 지지힌지, 34 - 결합힌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의 설치상태 예시도이고, 예시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아웃트리거의 전복방지를 위한 경보장치의 예시도이며, 예시도 4 는 본 고안은 따른 전방지지대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예시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전방지지대의 사용상태 정면도 이다.
상기 예시도에 표현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프런트프레임(2)과 리어프레 임(3)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에 실린더가 내부에 설치된 크로스바(5)와, 상기크로스바(5)에 삽탈되는 수평바(6)와, 그 길이가 신축되는 수직바(7)로 이루어진 아웃트리거(4)가 메인프레임(1)의 리어프레임(3) 양측단에 설치된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4)의 수평바(6)가 인출되는 크로스바(5)의 측면에 각각 리미트스위치(10)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10)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기(12)가 설치되며, 프런트프레임(2)의 선단에 전방지지대(20)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전방지지대(20)는 양측으로 실린더(22)가 설치된 연결크로스바(24)와, 상기 연결크로스바(24)의 중앙에 설치되고 하단 양측으로 지지바(26)가 설치된 연결플레이트(28)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22)와 지지바(26)의 일단은 실린더힌지 (30)와 지지힌지(32)에 의해 연결크로스바(24)와 연결플레이트(28)와 일체를 이루며, 타단은 결합힌지(34)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0은 지면과 접하게 되는 지지바(26)의 일단에 설치된 지지판이고, 42·43는 연결크로스바(24)의 양측단과 프런트프레임()의 선단에 부착(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룸)되어 보울트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상·하플레이트 이며, 44는 리미트스위치(10)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메인스위치이고, 46은 경보기 (12)를 작동시키는 배터리이며, 도면중 종래의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와 동일한 구성부분은 종래의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예시도 2와 예시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리어프레임 (3)에 설치된 아웃트리거(4)의 크로스바(5) 양측면에 리미트스위치(10)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리미트스위치(10)는 크로스바(5)의 측면에서 인출되는 수평바(6)의 밑면과 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10)의 작동으로 경고음이나 빛을발광하는 경보기(12)가 각각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웃트리거(4)의 크로스바(5)에 각각 설치된 리미트스위치(10)는 전체적으로 병렬결합을 이루고 있으며, 어느 일측의 리미트스위치(10)가 접점을 이루면 메인스위치(44)를 통해 배터리(46)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기(12)가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리미트스위치(10)의 작동은 붐대가 회전되어 무게중심이 어느 일측으로 이동되면, 붐대가 이동된 반대측의 아웃트리거(4)가 지면으로부터 들리게 되는데, 이때 들린 아웃트리거(4)의 수평바(6)가 리미트스위치(10)를 작동시키게 되어 배터리(46)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기(12)의 작동으로 차체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리미트스위치(10)는 아웃트리거(4)가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바(6)의 밑면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아웃트리거(4)가 지면으로부터 들려진 상태에서는 수평바(6)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리미트스위치(10)를 작동시키게 되어 경보기 (12)가 작동되고, 따라서 붐대를 조작하는 작업자는 경보기(12)의 작동으로 붐대의 회전조작을 보다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기가 작동함에 따라 유압라인을 차단시키는 유압라인차단장치를 설치할 경우 붐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인 유압이 차단되어 더 이상의 무게중심이동이 없어 차체의 전복위험을 줄일 수 있고, 이러한 유압라인차단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솔레로이드나 전동모우터를 이용한 개폐밸브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솔레로이드나 전동모우터를 이용한 개폐밸브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시도 4도 내지 예시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방지지대의 설치상태와 사용상태도로서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프런트프레임(2)의 선단에 상·하플레이트(42)(43)를 매개로 전방지지대(20)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전방지지대(20)는 양측으로 실린더힌지(30)에 의해 한 쌍의 실린더(22)가 설치된 연결크로스바(24)와, 상기 연결크로스바(24)의 중앙에 부착된 연결플레이트(28)와, 상기 연결플레이트(28)의 하단 양측으로 지지힌지(32)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한 쌍의 지지바(26)와, 상기 한 쌍의 실린더(22)와 지지바(26)의 일단을 결합시키는 결합힌지 (3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방지지대(20)의 작동을 설명하면, 연결크로스바(24)에 설치된 실린더 (22)에 유압이 공급되면 실린더(22)가 신장되면서 지지바(26)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상기 지지바(26)의 일단이 지지힌지(32)에 의해 연결프레이트(28)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바(26)는 지면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실린더(22)의 일단과 지지바(26)의 일단이 결합힌지(34)에 의해 일체을 이루고 있고, 상기 실린더(22)의 다른 일단은 연결크로스바(24)의 양측에 실린더힌지(30)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지지바(26)의 다른 일단은 연결크로스바 (24)의 중심에 부착된 연결플레이트(28)의 하단에 지지힌지(32)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린더(22)의 길이 변화에 따라 지지바(26)는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런트프레임(2)의 선단에 전방지지대(20)가 설치된 상태에서 리어프레임(3)에 설치된 아웃트리거(4)를 작동시키고, 전방지지대(20)를 작동시켜 차체를 안정되게 지지시킨 상태에서 도면상 미도시 되었으나 붐대를 차체의 전방, 즉 프런트프레임(2)측으로 회전시켜 무게중심이 이동되더라도 전방지지대(20)의 지지력에 의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리어프레임(3)에 설치된 아웃트리거(4)의 크로스바(5)의 측면에 각각 리미트스위치(10)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10)의 접점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기(12)가 설치되며, 프런트프레임(2)의 선단에 전방지지 대(20)가 설치되어 차체의 프런트측이 지지됨으로서, 붐대의 회전으로 무게중심이 프런트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차체의 전복이 방지되고, 특히 아웃트리거(4)의 크로스바(5)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10)와 경보기(12)에 의해 고소작업시 차체의 무게중심 이동이 감지되어 전복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아웃트리거(4)의 수평바(6)가 인출되는 크로스바(5)의 측면에 각각 리미트스위치(10)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10)에 의해 작동되는 경보기(12)가 설치되며, 프런트프레임(2)의 선단에 전방지지대(20)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전방지지대(20)는 양측으로 실린더(22)가 설치된 연결크로스바(24)와, 상기 연결크로스바(24)의 중앙에 설치되고 하단 양측으로 지지바(26)가 설치된 연결플레이트(28)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22)와 지지바(26)의 일단은 실린더힌지(30)와 지지힌지(32)에 의해 연결크로스바(24)와 연결플레이트(28)와 일체를 이루며, 타단은 결합힌지(34)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KR20-2002-0032695U 2002-11-01 2002-11-01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KR200306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695U KR200306657Y1 (ko) 2002-11-01 2002-11-01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695U KR200306657Y1 (ko) 2002-11-01 2002-11-01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657Y1 true KR200306657Y1 (ko) 2003-03-11

Family

ID=4940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695U KR200306657Y1 (ko) 2002-11-01 2002-11-01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65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7486A (zh) * 2016-08-24 2017-03-08 潍坊五洲和兴电气安装有限公司 电力窖井盖起吊工具
KR101817338B1 (ko) * 2016-12-30 2018-01-10 김영훈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KR101830076B1 (ko) 2017-04-21 2018-02-20 주식회사 호원정공 차량용 아웃트리거 구조
KR20190074853A (ko) 2017-12-20 2019-06-28 김영훈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7486A (zh) * 2016-08-24 2017-03-08 潍坊五洲和兴电气安装有限公司 电力窖井盖起吊工具
KR101817338B1 (ko) * 2016-12-30 2018-01-10 김영훈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KR101830076B1 (ko) 2017-04-21 2018-02-20 주식회사 호원정공 차량용 아웃트리거 구조
KR20190074853A (ko) 2017-12-20 2019-06-28 김영훈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572025U (zh) 用于采矿顶板的支撑系统和地下采矿的锚杆机
KR200306657Y1 (ko)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KR20100039763A (ko) 인명구조용 굴절붐과 인명구조용 고가 사다리가 일체로 구비된 소방차
KR101074642B1 (ko)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US10081288B1 (en) Emergency utility vehicle with high-clearance folding outriggers
KR101817338B1 (ko)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KR102022044B1 (ko)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JP2004001951A (ja) 運転室昇降機構を備えた作業機械
US20080230312A1 (en) Vehicle Supported, Portable Scaffold System
KR102612322B1 (ko) 4방향 확장형 아웃트리거를 갖는 고소 작업차량
JPH0891795A (ja) ブーム作業車の安全装置
CN211001065U (zh) 特种车辆
KR102646249B1 (ko) 확장형 아웃트리거를 갖는 고소 작업차량
KR102437874B1 (ko) 고소 작업차량
JP3068419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CN218702660U (zh) 一种矿用工程车辆驾驶室顶棚升降机构
KR200377475Y1 (ko) 밧데리카 크레인
JP3781662B2 (ja) 高所作業車のポスト伸長ロック装置
KR200354660Y1 (ko)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
JP3735478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100633058B1 (ko) 밧데리카 크레인
JP3028028U (ja) 高所作業車
KR200343099Y1 (ko) 고소 작업차 바스켓의 과부하 안전장치
JPH0348158Y2 (ko)
KR200339183Y1 (ko)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