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183Y1 -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183Y1
KR200339183Y1 KR20-2003-0030962U KR20030030962U KR200339183Y1 KR 200339183 Y1 KR200339183 Y1 KR 200339183Y1 KR 20030030962 U KR20030030962 U KR 20030030962U KR 200339183 Y1 KR200339183 Y1 KR 200339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support plate
cylinder
slid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20-2003-0030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1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9Movable platforms, Load ramps, e.g.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작업차의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고소작업차에 설치된 바스켓은 붐대의 각도조정실린더에 의해 그 높이가 조정되거나 붐이 신축됨으로 해서 바스켓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서, 바스켓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붐대의 각도가 조정됨에 따라 바스켓의 각도를 별도로 조정하거나 연동되도록 하여 그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3 내지 도 5 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받침부(7)와 바스켓(3) 사이에 양측으로 가이드부(28)를 갖춘 지지판(22)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22)에는 신축실린더(26)를 갖춘 한 쌍의 "X"자형 링크브라켓(24)으로 이루어진 승강장치(20)와; 지지판(22)과 받침대(7) 사이에 양측에 가이드홈(56)을 갖춘 회전판(54)과 양단에 힌지브라겟(60)(62)을 갖춘 슬라이드실린더(52)로 이루어진 슬라이드장치(50)와; 회전원판(76)상에 쇽업소버(74)와 손잡이(78)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지지장치(70)에 의해 붐대(2)의 높이조정과 관계없이 승강장치(20)에 의해 바스켓(3)의 높이를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슬라이드장치(50)와 지지장치(70)에 의해 보다 벽체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바스켓(3)에 탑승한 작업자 또는 소화물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작업을 하거나 운송할 수 있어 바스켓(3)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소작업차의 바스켓{Basket of high place works car}
본 고안은 고소작업차의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스켓과 바스켓받침대 사이에 승강장치와 슬라이드장치 및 지지장치를 설치하여 붐대가 신장된 상태에서 바스켓의 높이를 일정 한도에서 작업자가 작업하기에 용이한 높이로 조정하면서 전후로 이동하고, 또한 바스켓이 건물의 외벽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한 고조작업차의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 고층화를 이루면서 고소작업을 위한 특수 장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서 붐대가 설치된 이동성을 갖춘 고소작업차가 있다.
상기 고소작업차는 붐대의 선단에 바스켓이 설치되어 고층아파트나 빌딩에 물품운송용으로 이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붐대의 선단에 바스켓이 설치되어 바스켓에 작업자를 탑승시켜서 가로수나 가로등 및 신호등을 보수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정비용, 또한 전신주의 보수작업용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차는 예시도 1 내지 예시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붐들이 내장되어 접첩식으로 조립된 붐대(2)가 차체(1)에 설치되고, 이 붐대(2)는 안테나식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최상단의 붐대(2) 선단에는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바스켓(3)(필요에 따라서는 적재대를 설치)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붐대(2)에는 붐대(2)의 각도를 조종하는 붐대각도실린더(4)를 포함한 유압장치와, 접첩되어 있는 붐대(2)의 내부에는 붐들을 늘어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하는 윈치(5)와 유압실린더(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붐대(2)의 선단에 설치된 바스켓(3)은 받침대(7)를 매개로 붐대(2)와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받침대(7)에 각도조정장치와 회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정장치는 붐대(2)의 선단과 받침대(7)의 일단에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각도조정실린더(8)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장치는 링기어(9)와 링기어(9)와 치합되는 구동기어(10)를 갖춘 정역모우터(11)로 이루어져 있고, 차체의 양측면 양단에는 차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아웃트리거(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바스켓(3)을 붐대(2)의 선단과 일체를 이루게 하는 받침대(7)에 설치된 각도조정장치와 회전장치에 의해 바스켓(3)은 봄대(2)의 길이방향으로 임의적으로 회전하면서 각도를 조정하여 안정된 상태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받침대(7)에 설치된 회전장치에 의해 바스켓(3)을 일정각도 임의적으로 회전할 수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붐대(2)의 선단에 설치된 바스켓(3)은 받침대(7)에 설치된 각도조정장치의 각도조정실린더(8)에 의해 바스켓(3)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나, 바스켓(3)자체만을 부분적으로 승강할 수 없어 작업 높이를 조정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화물운송용으로 사용하거나 작업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차체의 하중과 운송화물의 하중에 의해 작업중에 바스켓의 높이에 변화가 생겨 작업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고소작업을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빌딩의 벽면작업(유리를 부착하거나 대리석을 부착하는 작업)을 할 경우, 중량물인 자재(강화유리 또는 대리석)의 하중에 의해 바스켓이 하강되어 작업자가 중량물을 들어 올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것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스켓이 승강된 상태에서 적재된 중량물을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바스켓이 건물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바스켓이 좌우로 흔들리는 불안정한 상태에서 중량물을 이동시키게 되어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고소작업차의 바스켓이 지닌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붐대의 선단에 설치한 받침대와 바스켓 사이에 승강장치와 슬라이드장치 및 지지장치를 설치하여 붐대가 신장된 상태에서 바스켓의 높이를 일정 한도에서 작업자가 작업하기에 용이한 높이로 조정하며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하여 건물의 외벽과 밀착할 수 있도록 한 고조작업차의 바스켓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붐대의 선단과 일측단이 힌지결합을 이루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부 및 바스켓로 이루어진 고소작업차의 바스켓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바스켓 사이에 지지판과 회전판을 설치하여 승강수단과 슬라이드수단을 설치하고, 바스켓의 선단에 쇽업소버를 이용한 지지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승강수단은 한 쌍의 링크브라켓과 신축실린더를 지지판 상에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의 측면을 "ㄷ"자형으로 절곡시켜서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바스켓의 밑면에 "ㄷ"자형의 가이드브라켓을 설치하며, 상기 링크브라켓은 내·외측링크브라켓으로 이루어져 "X"자형으로 교차시켜서 힌지축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하고, 내·외측링크브라켓에 상·하부크로스바를 설치하여 그 사이에 신축실린더를 설치하며, 상기 내·외측링크브라켓의 하단부와 상단부는 지지판의 가이드부와 바스켓의 가이드브라켓에 결합하고, 내측링크브라켓의 하단부와 외측링크브라켓의 상단부는 축결합을 시켜 회동가능하도록 고정시키며, 내측링크브라켓의 상단부와 외측링크브라켓의 하단부는 로울러를 설치하여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수단은 회전판의 양단을 절곡시켜서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지지파의 양단에 가이드로울러를 설치하며, 회전판과 지지판 사이에 슬라이드실린더를 설치하여 지지판이 일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바스켓의 선단 양측에 손잡이를 갖춘 회전원판을 설치하고, 회전원판과 일체를 이루는 쇽업소버를 설치하며, 그 단부에 케스터를 설치함으로서, 신축실린더가 신축함에 따라 바스켓이 승강할 수 있어 바스켓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슬라이드실린더에 의해 바스켓이 전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할 수 있고, 이동되고 승강되는 바스켓은 케스터를 갖춘 쇽업소버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바스켓에 탑승한 작업자는 보다 안정된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는 등, 작업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고소작업차에 설치된 바스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고소작업차에 설치된 바스켓의 확대도,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에 설치된 승강장치와 슬라이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 의 (a)(b)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a)는 바스켓이 하강된 상태의 예시도,
(b)는 바스켓이 상승된 상태의 예시도,
도 5 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이 슬라이드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승강장치, 22 - 지지판,
24 - 링크브라켓, 26 - 신축실린더,
28 - 가이드부, 30 - 가이드브라켓,
32 - 내측링크브라켓, 34 - 외측링크브라켓,
36 - 힌지축, 38 - 상부크로스바,
40 - 하부크로스바, 42 - 로울러,
50 - 슬라이드장치, 52 - 슬라이드실린더,
54 - 회전판, 56 - 가이드홈,
58 - 가이드로울러, 60·62 - 힌지브라켓
70 - 지지장치, 72 - 케스터,
74 - 쇽업소버, 76 - 회전원판,
78 - 손잡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승강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에 설치된 승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예시도 4 의 (a)(b)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a)는 바스켓이 하강된 상태의 예시도이고, (b)는 바스켓이 상승된 상태의 예시도이며, 예시도 5 의(a)(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바스켓의 승강된 상태의 예시도이고, (b)는 바스켓이 슬라이드된 상태의 예시도 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붐대(2)의 선단과 일측단이 힌지결합을 이루는 받침대(7)와, 상기 받침대(7)에 링기어(9)와 구동기어(10)로 이루어진 회전수단과 각도조정실린더(8)를 갖춘 바스켓(3)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3)의 하부에 지지판(22)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22)에는 한 쌍의 링크브라켓(24)과 신축실린더(26)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승강장치(20)와; 지지판(22)과 받침대(7)사이에 슬라이드실린더(52)를 갖춘 회전판(54)을 설치하고, 회전판(54)의 양단부를 "ㄷ"자형으로 절곡시켜서 가이드홈(56)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판(22)의 양측단에 가이드로울러(58)를 설치하여 회전판(54)의 가이드홈(56)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장치(50)와; 단부에 충격흡수용 케스터(72)를 설치한 쇽업소버(74)와 쇽업소버(74)의 다른 일단을 고정시키는 회전원판(76)과 상기 회전원판(76)을 회전시키는 손잡이(78)로 이루어진 지지장치(7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승강장치(20)의 지지판(22)은 그 측면을 "ㄷ"자형으로 절곡시켜서 가이드부(28)를 형성하고, 바스켓(3)의 밑면에 "ㄷ"자형의 가이드브라켓(30)을 설치하며, 상기 링크브라켓(24)은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으로 이루어져 "X"자형으로 교차시켜서 힌지축(36)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하고,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에 상·하부크로스바(38)(40)를 설치하여 그 사이에 신축실린더(26)를 설치하며, 상기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의 하단부와 상단부는 지지판(22)의 가이드부(28)와 바스켓(3)의 가이드브라켓(30)과 결합하고, 내측링크브라켓(32)의 하단부와 외측링크브라켓(34)의 상단부는 축결합을 시켜 회동가능하도록 고정시키며, 내측링크브라켓(32)의 상단부와 외측링크브라켓(34)의 하단부는 로울러(42)를 설치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장치(50)는 슬라이드실린더(52)의 양측단에 힌지브라켓(60)(62)을 설치하여 일측은 회전판(54)의 일단과 결합하고, 타단은 지지판(22)의 밑면에 결합하여 슬라이드실린더(52)가 신축함에 따라 지지판(22)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신축실린더(26)는 차체(1)에 설치된 유압펌프에 의해 발생한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것과, 차체에 설치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회전하는 정역모우터의 회전력에 의해 신축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0은 내측링크브라켓의 하단과 외측링크브라켓의 상단을 회동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보울트이고, 82는 링기어(9)와 일체를 이루기 위해 지지판(20)의 중앙에 환형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이며, 84는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에 설치된 고정축이고, 도면 중 종래의 구성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종래의 설명에서 사용한 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예시도 3 내지 예시도 4의 (a)(b)에 표현된 바와 같이, 붐대(2)의 선단과 일측단이 힌지결합을 이루는 받침대(7)에 바스켓(3)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7)의 상부와 하부에는 정역모우터(11)에 의해 회전되는 링기어(9)와 각도조정실린더(8)가 설치되어 바스켓(3)을 일정각도에서 회전시키거나 붐대(2)의 길이방향으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7)와 바스켓(3) 사이에 지지판(22)과 회전판(54)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22)에는 신축실린더(26)이 설치되고, 상·하부크로스바(38)(40)가 설치된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으로 이루어진 링크브라켓(24)과, 지지판(22)의 양측에 가이드부(28)가 갖춰지고, 바스켓(3)의 밑면에 가이드브라켓(3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승강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판(22)의 양측 단부는 "ㄷ"자형의 가이드부(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22)상에내·외측링크브라켓(32)(34)으로 이루어진 링크브라켓(24)이 설치되며, 상기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의 하단은 가이드부(28)에 고정되거나 스라이딩 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22)의 가이드부(28)와 상응하는 위치인 바스켓(3)의 밑면에는 "ㄷ"자형의 가이드브라켓(30)이 설치되어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의 상단부가 설치되며, 내측링크브라켓(32)의 상단부와 외측링크브라켓(34)의 하단부에는 로울러(42)가 설치되어 가이드브라켓(30)과 가이드부(28)를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는 반대로 내측링크브라켓(32)의 하단부와 외측링크브라켓(34)의 상단부는 각각 가이드부(28)와 가이드브라켓(30)에 보울트(80)에 의해 일정위치에 고정되며, 단지 고정축(84)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으로 이루어진 링크브라켓(24)에는 상부크로스바(38)와 하부크로스바(40)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크로스바(38)와 하부크로스바(40) 사이에 신축실리더(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은 "X"자형으로 교차시켜 힌지축(36)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되어 신축실린더(26)가 신축됨에 따라 링크브라켓(24)이 작동됨으로 바스켓(3)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한 쌍을 이루는 링크브라켓(24)에 설치된 신축실린더(26)가 화살표와 같이 작동되면, 도면상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의 일측단에 설치된 로울러(42)는 가이드부(28)와 가이드브라켓(3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내·외측링크브라켓(32)(34)는 힌지축(36)에 의해 접어지면서 바스켓(3)이 화살표와 같이 하강하게 된다.(예시도 4의 a 참조)
이와는 반대로 한 쌍을 이루는 링크브라켓(24)에 설치된 신축실린더(26)가 화살표와 같이 작동되면, 도면상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의 일측단에 설치된 로울러(42)는 가이드부(28)와 가이드브라켓(3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내·외측링크브라켓(32)(34)는 힌지축(36)에 의해 펼쳐지게 되어 바스켓(3)이 화살표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예시도 4의 b 참조)
상기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은 일측단이 보울트(80)에 의해 가이드부(28)와 가이드브라켓(3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로울러(42)가 설치되어 있어 슬라이딩되도록 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내측링크브라켓(32)에 설치된 상부크로스바(38)와 외측링크브라켓(34)에 설치된 하부크로스바(40) 사이에 설치된 신축실린더(26)가 신축됨에 따라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은 힌지축(36)을 회동축으로 하여 작동되어 바스켓(3)이 승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장치(50)는 지지판(22)과 받침대(7) 사이에 회전판(54)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54)의 중앙에 회전장치의 링기어(9)와 일체를 이루기 위한 관통홀(82)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82)를 통해 결합보울트에 의해 링기어(9)에 결합되어 회전판(54)은 받침대(7)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장치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받침대(7)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장치와 일체를 이루게 되는 회전판(54)의 양측 단부를 "ㄷ"자형으로 절곡시켜서 가이드홈(5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56)과 상응하는 위치인 지지판(22)의 양측단에 로울러(58)가 설치되어 가이드홈(56)과 결합된다.
상기 회전판(54)과 지지판(22) 사이에는 양측단에 힌지브라켓(60)(62)이 설치된 슬라이드실린더(52)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슬라이드실린더(52)의 일측 힌지브라켓(62)은 회전판(54)과 일체를 이루고, 타측 힌지브라켓(60)은 지지판(22)의 밑면과 일체를 이루게 되어 슬라이드실린더(52)가 작동됨에 따라 지지판(22)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받침대(7)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판(54)과 지지판(22)에 각각 슬라이드장치(50)와 승강장치(20)가 설치된 바스켓(3)은 예시도 5의 (a)(b)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바스켓(3)의 선단 양측에 지지장치(70)가 설치되어 있어 바스켓(3)은 벽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작업(소화물 운송작업 또는 벽체의 외장작업)중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시도 5의 (a)에 표현된 바와 같이, 붐대(2)가 작동되어 바스켓(3)의 위치를 일정 위치로 상승시킨 후, 바스켓(3)의 하단에 설치된 승강장치(20)를 작동시켜서 바스켓(3)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고, 바스켓(3)의 지지장치(70) 즉, 일정각도 회전되는 회전원판(76)에 부착된 손잡이(78)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선단에 케스터(72)가 장착된 쇽업소버(74)를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판(54)에 설치된 슬라이드실린더(52)를 작동시키게 되면 예시도 5의 (b)에 표현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20)를 포함한 바스켓(3)이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케스터(72)가 벽체에 접하면서 쇽업소버(74)가 압축되어 바스켓(3)은 벽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쇽업소버(74)의 선단에 설치된 케스터(78)는 벽체에 밀착될 때, 벽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쿠션력을 갖춘 타이어형이 바람직하며, 쇽업소버(74)는 가스를 이용한 쇽업소버와 유압을 이용한 쇽업소버 및 스프링을 이용한 쇽업소버등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을 이용한 쇽업소버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신축실린더(26)는 유압펌프의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기적 신호에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역모우터의 회전력에 의해 실린더축이 신축되는 실린더를 설치할 수도 있고, 그 작용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받침부(7)와 바스켓(3) 사이에 양측으로 가이드부(28)를 갖춘 지지판(22)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22)에는 신축실린더(26)를 갖춘 한 쌍의 "X"자형 링크브라켓(24)으로 이루어진 승강장치(20)와; 지지판(22)과 받침대(7) 사이에 양측에 가이드홈(56)을 갖춘 회전판(54)과 양단에 힌지브라겟(60)(62)을 갖춘 슬라이드실린더(52)로 이루어진 슬라이드장치(50)와; 회전원판(76)상에 쇽업소버(74)와 손잡이(78)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지지장치(70)에 의해 붐대(2)의 높이조정과 관계없이 승강장치(20)에 의해 바스켓(3)의 높이를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슬라이드장치(50)와 지지장치(70)에 의해 보다 벽체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바스켓(3)에 탑승한 작업자 또는 소화물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작업을 하거나 운송할 수 있어 바스켓(3)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붐대(2)의 선단과 일측단이 힌지결합을 이루는 받침대(7)와, 상기 받침대(7)에 링기어(9)와 구동기어(10)로 이루어진 회전수단과 각도조정실린더(8)를 갖춘 바스켓(3)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3)의 하부에 지지판(22)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22)에는 한 쌍의 링크브라켓(24)과 신축실린더(26)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승강장치(20)와; 지지판(22)과 받침대(7)사이에 슬라이드실린더(52)를 갖춘 회전판(54)을 설치하고, 회전판(54)의 양단부를 "ㄷ"자형으로 절곡시켜서 가이드홈(56)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판(22)의 양측단에 가이드로울러(58)를 설치하여 회전판(54)의 가이드홈(56)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장치(50)와; 단부에 충격흡수용 케스터(72)를 설치한 쇽업소버(74)와 쇽업소버(74)의 다른 일단을 고정시키는 회전원판(76)과 상기 회전원판(76)을 회전시키는 손잡이(78)로 이루어진 지지장치(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장치(20)는 지지판(22)의 측면을 "ㄷ"자형으로 절곡시켜서 가이드부(28)를 형성하고, 바스켓(3)의 밑면에 "ㄷ"자형의 가이드브라켓(30)을 설치하며, 상기 링크브라켓(24)은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으로 이루어져 "X"자형으로 교차시켜서 힌지축(36)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하고,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에 상·하부크로스바(38)(40)를 설치하여 그 사이에 신축실린더(26)를 설치하며, 상기 내·외측링크브라켓(32)(34)의 하단부와 상단부는 지지판(22)의 가이드부(28)와 바스켓(3)의 가이드브라켓(30)과 결합하고, 내측링크브라켓(32)의 하단부와 외측링크브라켓(34)의 상단부는 축결합을 시켜 회동가능하도록 고정시키며, 내측링크브라켓(32)의 상단부와 외측링크브라켓(34)의 하단부는 로울러(42)를 설치하여 이동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장치(50)는 슬라이드실린더(52)의 양측단에 힌지브라켓(60)(62)을 설치하여 일측은 회전판(54)의 일단과 결합하고, 타단은 지지판(22)의 밑면에 결합하여 슬라이드실린더(52)가 신축함에 따라 지지판(22)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량의 바스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신축실린더(40)는 차체(1)에 설치된 유압펌프에 의해 발생한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어차의 바스켓 승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신축실린더(40)는 차체(1)에 설치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회전하는 정역모우터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승강장치.
KR20-2003-0030962U 2003-10-01 2003-10-01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KR200339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962U KR200339183Y1 (ko) 2003-10-01 2003-10-01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962U KR200339183Y1 (ko) 2003-10-01 2003-10-01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183Y1 true KR200339183Y1 (ko) 2004-01-31

Family

ID=4934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962U KR200339183Y1 (ko) 2003-10-01 2003-10-01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1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0788C (en)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US9598902B2 (en) Aerial ladder truck
GB2099398A (en) Elevating mechanism for platform
CN111498704A (zh) 一种车体式龙门起重机
AU2021200337B2 (en) Electric lifting type aerial work platform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KR100909871B1 (ko) 이동식 고가 사다리
KR200339183Y1 (ko)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JP2014105079A (ja) 高所作業台
CN110342441A (zh) 一种稳定性高且具有反向伸缩功能的大轮胎剪叉式登高车
KR200377476Y1 (ko)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KR200331406Y1 (ko)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설치구조
CN212356446U (zh) 塔式多桅柱高空作业平台
JPH0450310Y2 (ko)
JPS586677B2 (ja) 大重量物用橋形クレ−ン
KR200306657Y1 (ko)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KR100556620B1 (ko)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CN110626964A (zh) 可调节高度并可折叠的新型起重机
KR101741372B1 (ko)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
KR200340381Y1 (ko)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JPH0811621A (ja) 高所作業車
CN219620825U (zh) 一种多功能高空作业车
CN219058310U (zh) 一种折叠式门架起重装置
RU2066673C1 (ru) Передвижной подъемник
CN215249436U (zh) 一种轨道式伸缩高空作业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